KR20200073952A -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3952A
KR20200073952A KR1020190002107A KR20190002107A KR20200073952A KR 20200073952 A KR20200073952 A KR 20200073952A KR 1020190002107 A KR1020190002107 A KR 1020190002107A KR 20190002107 A KR20190002107 A KR 20190002107A KR 20200073952 A KR20200073952 A KR 20200073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ilding
information
evacuation
people
lo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시디
Original Assignee
리워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워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리워드 테크놀로지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73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3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5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Abstract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정보를 상기 사람들 각각이 소지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등록 정보 저장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BUILDING EVACUA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 대피 관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밀도가 높은 건물에서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절차는 임의적이며, 응급 상황을 감안할 때 부적절한 방법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2017년 런던의 Grenfell Tower 참사에서 당국이 대피 계획을 변경하고 거주자들에게 대피령을 내리기까지 응급 신고 후 1시간 53분이 걸렸으며, 그 시점까지 거주자들은 제자리에 남아있도록 권고 받았다.
대피가 필요한 경우, 건물의 보안/관리자는 건물의 거주자가 어느 시점에 어디에 있는지 거의 알 수 없다. 건물 내에서 개인이 있는 장소에 대한 실시간 보고가 없으면, 수많은 사람들이 대피 관리 실패로 인해 생명을 잃게 된다.
소방관이 화재가 발생한(또는, 대피 중인) 건물에 도착하면, 건물의 거주자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으며, 도망치는 대피자들에 의해 갇히거나 방해 받게 되어 대피 시간이 늦어지게 된다. 이는 많은 고층 건물에서 대피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05847호 (2018.10.11.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건물 내에서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 발생 시, 건물 내 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위치 정보와 같은 대피 상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정보를 상기 사람들 각각이 소지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등록 정보 저장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 내 현재 및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 상황 정보는, 상기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상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은, 상기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 관심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상황 정보 분석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기 결정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은, 각각 건물 내 상이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장치를 소지한 사람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 내 현재 및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피 상황 정보는, 상기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은, 상기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은, 상기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 관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기 결정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 내 화재와 같은 위급 상황 발생 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의 위치 정보와 같은 대피 상황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소방서와 같은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에서 적절한 인력 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건물 내 사람들의 이동 방향, 이동 경로, 이동 속도 등에 따라 관심 영역을 식별하고, 관심 영역에 있는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메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이 적절한 대피 경로로 신속하게 대피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의 순서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의 센서(110), 등록 정보 저장부(120), 위치 정보 생성부(130), 위치 정보 저장부(140) 및 상황 정보 생성부(150)를 포함한다.
복수의 센서(110)는 각각 건물 내 상이한 영역에 배치되며, 건물 내에 있는 각 사람들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이때, 식별 장치(200)는 예를 들어, 각 센서(110)의 요청에 따라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각 센서(110)로 제공하는 RFID 태그와 같은 수동형 RFID 칩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식별 장치(200)는 건물에 출입하는 각 사람들이 소지한 휴대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폰, 웨어러블 디바이스, 태블릿 PC 등), 건물에 출입하는 각 사람들에게 지급되는 출입 카드, ID 카드, 사원증 등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별 장치(200)는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유의 식별 정보를 각 센서(110)로 제공할 수 있다면 반드시 특정한 형태의 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센서(110)는 식별 장치(20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식별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센서(11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건물 내 특정 영역으로 식별 정보를 요청하는 무선 신호를 송출하고, 송출된 무선 신호에 응답하여 식별 장치(200)로부터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위치 정보 생성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센서(110)는 건물 출입구, 엘리베이터 로비(elevator lobby), 계단 등과 같이 건물 내에서 위급 상황 시 이용할 수 있는 대피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으나, 각 센서(110)의 배치 위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등록 정보 저장부(120)는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정보를 각 사람들이 소지한 식별 장치(200)의 식별 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한다.
이때, 등록 정보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번호, 이름, 나이, 속성(예를 들어, VIP, 방문자, 거주자, 근무자 등)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생성부(130)는 각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 및 등록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정보는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건물 내 현재 및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정보 생성부(130)는 복수의 센서(110) 중 특정 센서에 의해 식별 정보가 획득된 경우,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사람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생성부(130)는 해당 식별 정보를 획득한 센서(110)가 배치된 위치에 기초하여, 식별된 사람의 건물 내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위치를 식별 정보 획득 시간과 함께 위치 정보로서 위치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생성부(150)는 위치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피 상황 정보는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황 정보 생성부(150)는 위치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 있는 각 사람들에 대한 현재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현재 위치에 따라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영역별 현재 인원은 예를 들어, 건물의 각 층별 현재 인원, 각 층 내 특정 영역의 현재 인원, 계단에 있는 현재 인원 등과 같이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황 정보 생성부(150)는 위치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 있는 각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건물 내에 있는 각 사람들에 대한 위치 정보는 각 사람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200)의 식별 정보가 센서(110)에 의해 획득될 때마다 생성되며, 식별 정보가 획득된 시점과 해당 시점에서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 정보 생성부(150)는 각 사람에 대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사람의 시점 별 건물 내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각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상황 정보 제공부(160), 상황 정보 분석부(170) 및 메시지 제공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정보 제공부(160)는 상황 정보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황 정보 제공부(160)는 색상, 기호, 숫자, 문자 등을 이용하여 건물의 평면도 또는 단면도 상에서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 제공부(160)는 건물의 각 층별 현재 인원을 건물의 수직 단면도에 숫자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황 정보 제공부(160)는 건물의 특정 층 내 특정 영역에서 기 설정된 수 이상의 사람이 밀집되어 있거나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해당 층에 대한 평면도 상에서 해당 영역을 특정한 색상(예를 들어, 붉은 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황 정보 생성부(160)에 의해 시각화된 대피 상황 정보는 웹 페이지 또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건물 관리자, 응급 서비스 기관(예를 들어, 소방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황 정보 분석부(170)는 상황 정보 생성부(150)에 의해 생성된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서 관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정보 분석부(170)는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의 내에서 기 설정된 수 이상의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영역,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영역, 사람들이 대피 경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영역 등을 관심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한편, 관심 영역이 식별된 경우, 상황 정보 분석부(170)는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황 정보 분석부(170)는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 경로, 혼잡도가 가장 낮은 대피 경로,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른 대피 경로 등을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대피 경로 결정 기준은 반드시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 가능하다.
메시지 제공부(180)는 관심 영역이 식별된 경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제공부(180)는 위치 정보 저장부(140)에 저장된 위치 정보 및 등록 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휴대 전화 번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휴대 전화 번호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SMS 메시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팝업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시지 제공부(180)는 관심 영역 내지는 관심 영역 주위에 배치된 스피커, 디스플레이 화면 등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 내지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각각 건물 내 상이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110)를 이용하여,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2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310).
이후,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식별 장치(200)의 식별 정보에 맵핑된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정보 및 복수의 센서(110)에 의해 획득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320).
이후,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33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피 상황 정보는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생성된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건물 관리자, 응급 서비스 기관(예를 들어, 소방서)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건물 대피 관리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410 단계 내지 430 단계는 도 3에 도시된 310 단계 내지 330 단계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생성된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에서 관심 영역을 식별한다(440).
예를 들어,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의 내에서 기 설정된 수 이상의 사람이 밀집되어 있는 영역, 사람들의 이동 속도가 기 설정된 값 이하인 영역, 사람들이 대피 경로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영역 등을 관심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관심 영역이 식별된 경우,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결정한다(45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관심 영역에서 가장 가까운 대피 경로, 혼잡도가 가장 낮은 대피 경로, 이동 속도가 가장 빠른 대피 경로 등을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한다(46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현재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의 휴대 전화 번호를 식별하고, 식별된 휴대 전화 번호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SMS 메시지, 이메일, 애플리케이션 팝업 메시지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은 관심 영역 내지는 관심 영역 주위에 배치된 스피커, 디스플레이 화면 등을 통해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안내 메시지는 예를 들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 메시지 내지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이미지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순서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컴퓨팅 환경
12: 컴퓨팅 장치
14: 프로세서
16: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8: 통신 버스
20: 프로그램
22: 입출력 인터페이스
24: 입출력 장치
26: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
100: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110: 센서
120; 등록 정보 저장부
130; 위치 정보 생성부
140: 위치 정보 저장부
150; 상황 정보 생성부
200: 식별 장치

Claims (10)

  1.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복수의 센서;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등록 정보를 상기 사람들 각각이 소지한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와 맵핑하여 저장하는 등록 정보 저장부;
    상기 획득된 식별 정보 및 상기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 생성부;
    상기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정보 저장부;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상황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 내 현재 및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대피 상황 정보는, 상기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상황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 관심 영역을 식별하고,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상황 정보 분석부; 및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기 결정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메시지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6. 각각 건물 내 상이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이 소지하고 있는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식별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식별 장치를 소지한 사람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 각각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건물 내 현재 및 과거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대피 상황 정보는, 상기 건물 내 영역별 현재 인원, 상기 건물 내에 있는 사람들에 대한 이동 방향, 이동 경로 및 이동 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피 상황 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대피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건물 내 관심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대피 경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관심 영역에 위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상기 결정된 대피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물 대피 관리 방법.
KR1020190002107A 2018-12-14 2019-01-08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39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226 2018-12-14
KR20180162226 2018-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3952A true KR20200073952A (ko) 2020-06-24

Family

ID=7140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107A KR20200073952A (ko) 2018-12-14 2019-01-08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39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578B1 (ko) * 2020-10-22 2021-09-17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장치 및 비상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396420B1 (ko) * 2021-11-23 2022-05-10 주식회사 와치캠 재난 대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847B1 (ko) 2018-03-30 2018-10-11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847B1 (ko) 2018-03-30 2018-10-11 주식회사 엠지브이보안시스템 화재 대피 안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578B1 (ko) * 2020-10-22 2021-09-17 (주)메가플랜 증강 현실을 이용하는 비상 경로 안내 장치 및 비상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396420B1 (ko) * 2021-11-23 2022-05-10 주식회사 와치캠 재난 대피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5188B1 (ko) 실시간 위치 추적 및 gis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그리고 산업현장 안전관리 방법
US10902536B2 (en) Cognitive emergency task coordination
US10181242B1 (en) Personalized emergency evacuation plan
US10445997B2 (en) Facilitating a search of individuals in a building during an emergency event
US11455701B2 (en) Presenting context-based guidance using electronic signs
KR101917215B1 (ko) 재난 대처 안내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US1095205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1155719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emergency response solutions
US20210118271A1 (en) Equipment usage status publication system, equipment usage status publication method, and program
US20230066525A1 (en) Facilitating a response to an emergency using an emergency response device
KR20200073952A (ko) 건물 대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0038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act tracing
Facchinetti et al. Mobile cloud computing for indoor emergency response: The IPSOS assistant case study
CN110832409B (zh) 楼宇管理系统以及楼宇管理装置
KR102157324B1 (ko) 비콘을 이용한 재난 안전 스마트 안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hang et al. Smart iAIR System with Integration of the Internet of Things and Mobile Applications.
WO2022059383A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210334926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creating and transmitting an occupant safety test for occupants in an organization
US11330095B2 (en) Emergency kit
US20210327256A1 (en) Integrating location information in a fire control system
KR20120125147A (ko) 지능형 경로 안내 서버,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35810A1 (en) Method and system for locating one or more users in an emergency
JP7465324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JP2021149871A (ja)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77739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