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302B1 -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302B1
KR102157302B1 KR1020200045406A KR20200045406A KR102157302B1 KR 102157302 B1 KR102157302 B1 KR 102157302B1 KR 1020200045406 A KR1020200045406 A KR 1020200045406A KR 20200045406 A KR20200045406 A KR 20200045406A KR 102157302 B1 KR102157302 B1 KR 102157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mmer
plate
handle
hole
schmid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길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우
Priority to KR102020004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extent of rebound of a striking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미트해머의 하우징을 누를 때 플런저가 경도측정면과 직각을 유지하도록 해서 정밀한 반발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한 슈미트해머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형성되는 손잡이탭구멍(43); 손잡이탭구멍(43)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44); 해머고정판(7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브래킷(72); 브래킷(7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임팩 손잡이(73); 브래킷(72)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임팩 손잡이(7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슈미트해머 안내장치{Schmidt Hammer Guide Device}
본 발명은 콘크리트 표면의 반발경도 측정에 이용되는 슈미트해머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슈미트해머의 하우징을 누를 때 플런저가 경도측정면과 직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반발경도 측정을 가능하게 한 슈미트해머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비파괴로 추정하는 방법의 하나로 경화된 콘크리트 표면을 슈미트 해머(schmidt hammer)에 의해 타격할 때, 측정한 반발경도와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의 사이에 특정 상관관계가 있다는 실험적 데이터를 기초로 하고 있다.
슈미트 해머에 의한 반발경도법의 측정원리는 도 1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이 평평한 플런저(2)의 밀착면(4)을 콘크리트(2) 표면에 밀착시킨 다음 도 1의 (나)에서와 같이 플런저(2)의 타격면(7)으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해머(5)를 내장된 임팩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일정한 운동량으로 가이드봉(6)을 따라 플런저(2)의 타격면(7)에 충격을 주면, 해머(5)로부터 플런저(2)를 통해 콘크리트(3)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는데 이때 콘크리트(3)의 반발력에 의해 이번에는 플런저(2)를 통해 해머(5)로 반발력이 전달된다.
이때 도 1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5)로 전달된 반발력의 크기에 따라 해머(5)가 타격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가 달라지게 되는데, 멀어진 거리를 눈금을 통해 읽어서 콘크리트(3)의 반발경도를 측정하게 되고, 측정된 콘크리트 표면의 반발경도로부터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하게 된다.
반발경도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와 비례 관계에 있고, 콘크리트의 강도는 탄성계수와 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의해 반발경도와 압축강도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반발경도법은 콘크리트 표면의 골재 돌출 유무,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철근까지의 깊이, 타격면의 거칠기, 콘크리트 내부 기공 유무 등에 따라 측정치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약 20개 정도의 타격점을 콘크리트위 표면에 격자모양으로 표시한 다음 측정하고 있으며, 오차가 큰 데이터는 제외하고 나머지 값의 평균을 구하여 콘크리트의 반발경도로 산정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미트 해머(1)에 의한 반발경도법의 측정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플런저(2)가 콘크리트(3) 표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종래에는 작업자가 슈미트 해머(1)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플런저(2)의 직각을 대략 유지한 상태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정밀한 측정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도 2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런저(2)가 콘크리트(3) 표면으로부터 직각을 유지하지 못하고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플런저(2)의 밀착면(4)과 콘크리트(3) 표면 간에 간극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이유 때문에 플런저(2)로 전달된 충격에너지가 플런저(2)의 에지부에 집중되면서 반발경도가 부정확하게 측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58748호(공고일 2014.02.10.)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848238호(공고일 2018.04.12.)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1460호(공고일 2014.04.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슈미트해머의 플런저가 경도측정면과 직각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정밀한 반발경도 측정이 가능한 슈미트해머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슈미트해머 안내장치는, 슈미트해머의 플런저 선단을 경도측정면에 밀착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을 갖고, 경도측정면에 밀착되는 수직플레이트; 수직플레이트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 수직플레이트의 하단과 수평플레이트의 선단이 만나는 코너부에 설치되는 앵글; 앵글과 간격을 두고 수평플레이트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판; 지지판과 앵글에 양단이 지지되고, 수평플레이트와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안내봉; 안내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블록; 가동블록의 상면에 설치되는 해머고정판; 슈미트해머의 홀딩버튼을 하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해머고정판에 천공되는 버튼노출장공; 해머고정판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슈미트해머의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분할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수평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형성되는 탭구멍; 탭구멍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 해머고정판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브래킷; 브래킷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임팩 손잡이; 브래킷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임팩 손잡이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직플레이트(30)를 경도측정면(22)에 밀착시키면 앵글(50)에 의해 수직플레이트(3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는 수평플레이트(40)와 안내봉(42), 가동블록(60), 해머고정판(70), 분할클램프(80)에 의해 슈미트해머(20)의 플런저(21)가 경도측정면(22)과 직각을 이루기 때문에 반발경도 측정작업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평플레이트(40)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손잡이(44)와, 브래킷(72)을 통해 해머고정판(70)에 연결되어 있는 상부임팩 손잡이(74)와 하부임팩 손잡이(73)를 이용하면, 양손으로 편리하게 잡고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글(50)의 수직결합부(51)의 하단에서 돌출된 돌기부(53)에 의해 수평플레이트(40)를 수평결합부(52)에 조립할 때 위치결정을 보다 더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해머고정판(70)에 형성된 버튼노출장공(71)을 통해 슈미트해머(20)에 구비된 홀딩버튼(23)을 누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홀딩버튼(23)을 누르기 위한 홀딩레버(77)가 해머고정판(70)의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해머고정판(70)의 전후진 위치에 상관없이 홀딩버튼(23)을 누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브래킷(72)에 설치되는 상부임팩 손잡이(74)와 하부임팩 손잡이(73)가 서로 상반된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경도측정면(22)이 천장, 바닥, 벽면인 경우에 따라 상부임팩 손잡이(74) 또는 하부임팩 손잡이(73)를 자유롭게 선택해서 잡고 측정작업에 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해머고정판(70)에 끼움홈(7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서포터(76)의 위치를 편리하게 결정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40)에 형성된 손잡이탭구멍(43)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도측정면(22)과 고정손잡이(44)이 이루는 거리를 임의로 변경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슈미트 해머에 의한 반발경도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슈미트 해머의 플런저가 측정면으로부터 직각을 이루지 못하고 기울어진 상태로 타격되는 것을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반대편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할클램프에 슈미트해머가 물리는 것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플레이트와 수평플레이트 및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앵글과 수평플레이트를 보인 저면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머고정판과 분할클램프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아래쪽에서 본 분리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임팩 손잡이와 상부임팩 손잡이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도로서, 슈미트해머의 플런저가 돌출된 것을 보인 도면
도 14는 도 13의 상태로부터 슈미트해머의 하우징을 가압해서 경도측정면의 경도를 측정한 것을 보인 측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사시도
도 16은 도 13의 평면도
도 17은 도 14의 평면도
도 18은 도 13의 A-A선 단면도로서, (가)는 홀딩버튼이 돌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나)는 홀딩레버에 의해 홀딩버튼이 눌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서포터와 홀딩레버를 보인 분리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슈미트해머(20)의 플런저(21) 선단을 경도측정면(22)에 밀착시키기 위한 관통구멍(31)을 갖고, 경도측정면(22)에 밀착되는 수직플레이트(30); 수직플레이트(3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40); 수직플레이트(30)의 하단과 수평플레이트(40)의 선단이 만나는 코너부에 설치되는 앵글(50)을 포함한다.
수직플레이트(30)와 수평플레이트(40)는, 예를 들면 일정한 두께를 갖는 금속판을 이용해서 장방형의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수직플레이트(30)에 형성되는 관통구멍(31)도 장방형의 모양으로 천공될 수 있다.
수직플레이트(30)는 경도측정면(22)에 밀착되며, 수평플레이트(40)는 수직플레이트(30)에 의해 경도측정면(22)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은 앵글(50)과 간격을 두고 수평플레이트(40)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판(41); 지지판(41)과 앵글(50)에 양단이 지지되고, 수평플레이트(40)와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안내봉(42); 안내봉(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블록(60)을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봉(42)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판(41)과 하기의 수직결합부(51)에 봉삽입구멍(41h)(51h)을 서로 중심이 일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지지판(41)은 수평플레이트(40)에 용접되거나 볼트(도시생략)에 의해 수평플레이트(40)에 설치될 수 있다.
안내봉(42)은, 원형단면을 갖는 직선형의 금속 환봉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삽입구멍(41h)(51h)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가동블록(60)에 형성된 부시삽입구멍(60h)에 부시(61)를 설치하고, 안내봉(42)을 부시(61)의 중심으로 삽입해서 가동블록(60)이 부드러운 움직임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여기서 부시(61)는 볼부시, 솔리드 형태의 중공부시, 오일이 함침된 오일리스 부시와 같은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동블록(6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해머고정판(70); 슈미트해머(20)의 홀딩버튼(23)을 하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해머고정판(70)에 천공되는 버튼노출장공(71); 해머고정판(70)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슈미트해머(20)의 하우징(24)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분할클램프(80)를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블록(60)의 상면에 형성된 블록탭구멍(60t)과 중심이 일치되는 블록체결공(70h)이 해머고정판(70)에 형성되고, 블록체결공(70h)과 블록탭구멍(60t)의 중심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해머고정판(70)을 가동블록(60)의 상면에 밀착시킨 후 블록체결공(70h)을 통해 블록고정볼트(70b)를 삽입해서 블록탭구멍(60t)에 결합하면 해머고정판(70)이 가동블록(60)에 결합된다.
버튼노출장공(71)은 도 6 및 도 7, 도 10 및 도 11,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미트해머(20)의 하우징(24) 저면에 설치된 홀딩버튼(23)을 해머고정판(70)을 통해 누르기 위한 것이다.
분할클램프(80)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미트해머(20)의 하우징(24)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클램프(81)와, 하우징(24)의 상부를 압박하는 상부클램프(82)로 구성할 수 있고, 상부클램프(82)와 하부클램프(81) 사이에 위치된 슈미트해머(20)를 가압하는 클램프볼트(83)가 구비된다.
상부클램프(82)와 하부클램프(81)에는 하우징(24)의 외경에 일치하는 내경을 갖는 반원커팅부(82c)(81c)를 각각 형성하고, 클램프볼트(82)를 체결하기 위해 하부클램프(81)의 양측에 클램프탭구멍(81t)을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상부클램프(82)의 양측에는 클램프탭구멍(81t)의 중심과 일치되는 카운터보어홀(82h)을 형성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클램프(81)의 저면에 하부탭구멍(81d)을 형성하고, 해머고정판(70)에는 하부탭구멍(81d)과 중심이 일치되는 하부체결공(70a)을 형성하며, 하부체결공(70a)을 통해 하부탭구멍(81d)에 하부볼트(84)를 결합해서 하부클램프(81)를 해머고정판(70)에 결합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클램프(81)의 하단 모서리가 걸리는 걸림턱(79)을 해머고정판(70)의 상면에 형성해서 하부클램프(81)의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고정판(7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된 하부볼트(84)의 볼트머리가 가동블록(60)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동블록(60)의 상면에 간섭방지홈(62)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형성되는 손잡이탭구멍(43); 손잡이탭구멍(43)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44); 해머고정판(7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브래킷(72); 브래킷(7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임팩 손잡이(73); 브래킷(72)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임팩 손잡이(74)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탭구멍(43)에 나사결합되는 스터드볼트(44s)가 고정손잡이(44)의 상단에 형성된다.
손잡이탭구멍(43)을 따라 옮겨가면서 고정손잡이(44)를 결합하면 경도측정면(22)과 고정손잡이(44) 사이의 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브래킷(72)은,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클램프(81)를 해머고정판(70)에 고정하기 위한 하부볼트(84)를 이용해서 해머고정판(7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탭구멍(81d)과 중심이 일치되고 하부볼트(84)가 통과되는 관통구멍(72h)을 브래킷(72)에 형성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임팩 손잡이(74)와 하부임팩 손잡이(73)에 각각 형성된 인서트볼트(74b)(73b)가 삽입되는 원형구멍(72a)(72b)이 브래킷(72)에 형성되고, 원형구멍(72a)(72b)으로 삽입되어 반대편으로 돌출된 인서트볼트(74b)(73b)에 너트(74n)(73n)를 결합해서 상부임팩 손잡이(74)와 하부임팩 손잡이(73)를 브래킷(72)에 설치한다.
본 발명은 해머고정판(7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버튼노출장공(71)을 향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끼움홈(75); 끼움홈(75)에 하단 일부가 삽입되는 힌지서포터(76); 힌지서포터(76)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슈미트해머(20)의 홀딩버튼(23)을 누르는 홀딩레버(77); 힌지서포터(76)와 홀딩레버(77)를 관통하는 힌지핀(78)을 포함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홈(75)에 관통공(75h)을 형성하고, 관통공(75h)의 중심과 일치되는 힌지탭구멍(76t)을 힌지서포터(76)의 저면에 형성하며, 관통공(75h)을 통해 삽입된 스크류(75s)를 힌지탭구멍(76t)에 결합해서 힌지서포터(76)를 해머고정판(7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핀(78)을 삽입하기 위한 핀구멍(76h)(77h)을 힌지서포터(76)와 홀딩레버(77)에 형성한 다음 힌지핀(78)을 핀구멍(76h)(77h)으로 삽입하고 반대편으로 돌출된 힌지핀(78)의 선단을 리벳형태로 두툼하게 성형해서 홀딩레버(77)를 힌지서포터(7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앵글(50)은, 수직플레이트(30)의 하측 정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수직결합부(51); 수직결합부(51)와 직각을 이루고, 수평플레이트(40)에 연결되는 수평결합부(52); 수평플레이트(40)의 양측면에 걸리도록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결합부(51)의 하단에서 하측을 향해 평행하게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부(53)를 포함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플레이트(30)에 수평나사구멍(30t)을 형성하고, 수직결합부(51)에는 수평나사구멍(30t)과 중심이 일치되는 수평체결공(51a)을 형성한 다음 수평볼트(51b)를 수평체결공(51a)을 통해 수평나사구멍(30t)에 결합함으로써 수직결합부(51)를 수직플레이트(30)에 설치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40)에 수직체결공(40h)을 형성하고, 수평결합부(52)에는 수직체결공(40h)과 중심이 일치되는 수직나사구멍(52t)을 형성한 후 수직볼트(52b)를 수직체결공(40h)을 통해 수직나사구멍(52t)에 결합해서 수평플레이트(40)를 수평결합부(52)에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플레이트(40)가 수평결합부(52)의 저면에 밀착될 때 수평플레이트(40)가 돌기부(53) 사이로 진입되면서 위치결정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도면 중 부호 25는 슈미트해머(20)에 구비된 눈금창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3, 도 4,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미트해머(20)의 플런저(21)가 돌출된 상태에서 한 손으로는 고정손잡이(44)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상부임팩 손잡이(74) 또는 하부임팩 손잡이(73)를 잡은 상태에서 수직플레이트(30)를 경도측정면(22)에 밀착시킨 다음 상부임팩 손잡이(74) 또는 하부임팩 손잡이(73)를 경도측정면(22)을 향해 밀게 되면, 해머고정판(70)과 가동블록(60), 분할클램프(80), 슈미트해머(20)가 모두 함께 경도측정면(22)을 향해 전진하게 된다.
이때 가동블록(60)이 안내봉(42)을 따라 직선 안내되기 때문에 슈미트해머(20)의 플런저(21)와 하우징(24)은 경도측정면(22)과 직각을 유지하게 되며, 슈미트해머(20)의 내부에 있는 해머(도시생략)가 플런저(21)를 타격해서 반발경도가 측정되면, 도 14 및 도 15, 도 17과 같이 플런저(21)가 하우징(24)의 내부로 진입된다.
측정값은 슈미트해머(20)의 상부에 구비된 눈금창(25)을 통해 판독할 수 있으며, 슈미트해머(20)의 하부에 설치된 홀딩버튼(23)을 눌러야 하는 경우 가동블록(60)과 해머고정판(70)을 후진시킨 상태에서 해머고정판(70)에 형성된 버튼노출장공(71)을 통해 손가락을 넣고 홀딩버튼(23)을 누르거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머고정판(70)의 일측으로 돌출 되어 있는 홀딩레버(77)를 누르면 도 18의 (나)에서와 같이 홀딩레버(77)가 힌지핀(78)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안쪽의 홀딩버튼(23)을 누를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홀딩레버(77)는 해머고정판(70)의 전후진위치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홀딩버튼(23)을 누를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20 : 슈미트해머 21 : 플런저
22 : 경도측정면 23 : 홀딩버튼
24 : 하우징 25 : 눈금창
30 : 수직플레이트 30t : 수평나사구멍
31 : 관통구멍 40 : 수평플레이트
40h : 수직체결공 41 : 지지판
41h,51h : 봉삽입구멍 42 : 안내봉
43 : 손잡이탭구멍 44 : 고정손잡이
44s : 스터드볼트 50 : 앵글
51 : 수직결합부 51a : 수평체결공
51b : 수평볼트 52 : 수평결합부
52t : 수직나사구멍 52b : 수직볼트
53 : 돌기부 60 : 가동블록
60h : 부시삽입구멍 60t : 블록탭구멍
61 : 부시 62 : 간섭방지홈
70 : 해머고정판 70a : 하부체결공
70b : 블록고정볼트 70h : 블록체결공
71 : 버튼노출장공 72 : 브래킷
72h : 관통구멍 72a,72b : 원형구멍
73 : 하부임팩 손잡이 74 : 상부임팩 손잡이
74b,73b : 인서트볼트 74n,73n : 너트
75 : 끼움홈 75h : 관통공
75s : 스크류 76 : 힌지서포터
76h,77h : 핀구멍 76t : 힌지탭구멍
77 : 홀딩레버 78 : 힌지핀
79 : 걸림턱 80 : 분할클램프
81 : 하부클램프 81t : 클램프탭구멍
81d : 하부탭구멍 82 : 상부클램프
82c,81c : 반원커팅부 82h : 카운터보어홀
83 : 클램프볼트 84 : 하부볼트

Claims (4)

  1. 삭제
  2. 슈미트해머(20)의 플런저(21) 선단을 경도측정면(22)에 밀착시키기 위한 관통구멍(31)을 갖고, 상기 경도측정면(22)에 밀착되는 수직플레이트(30);
    상기 수직플레이트(30)와 직각을 이루는 수평플레이트(40);
    상기 수직플레이트(30)의 하단과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선단이 만나는 코너부에 설치되는 앵글(50);
    상기 앵글(50)과 간격을 두고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지판(41);
    상기 지지판(41)과 상기 앵글(50)에 양단이 지지되고, 상기 수평플레이트(40)와 평행을 이루는 한 쌍의 안내봉(42);
    상기 안내봉(42)의 길이방향을 따라 움직이는 가동블록(60);
    상기 가동블록(6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해머고정판(70);
    상기 슈미트해머(20)의 홀딩버튼(23)을 하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상기 해머고정판(70)에 천공되는 버튼노출장공(71);
    상기 해머고정판(70)에 서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상기 슈미트해머(20)의 하우징(24)을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분할클램프(80);
    를 포함하는 슈미트해머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직렬로 형성되는 손잡이탭구멍(43);
    상기 손잡이탭구멍(43)에 결합되는 고정손잡이(44);
    상기 해머고정판(70)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브래킷(72);
    상기 브래킷(72)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부임팩 손잡이(73);
    상기 브래킷(72)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임팩 손잡이(7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00045406A 2020-04-14 2020-04-14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KR102157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406A KR102157302B1 (ko) 2020-04-14 2020-04-14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406A KR102157302B1 (ko) 2020-04-14 2020-04-14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7302B1 true KR102157302B1 (ko) 2020-09-17

Family

ID=7270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406A KR102157302B1 (ko) 2020-04-14 2020-04-14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30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090B1 (ko) * 2021-01-28 2021-10-06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진단용 슈미트 해머 수직 고정 장치
KR102402333B1 (ko) * 2022-04-13 2022-05-30 주식회사 한진이앤씨 수직 보조유닛을 구비한 슈미트해머
CN115182221A (zh) * 2022-08-03 2022-10-14 洛阳理工学院 一种全自动路基路面回弹弯沉测试仪及测试方法
KR102499078B1 (ko) * 2022-09-21 2023-02-14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CN116124632A (zh) * 2022-12-29 2023-05-16 灌南县港鑫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用硬度检测装置
KR102588799B1 (ko) * 2023-03-09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 안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748B1 (ko) 2012-07-20 2014-02-1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슈미트 해머용 자동타격점표시 및 수직보조장치
KR101381460B1 (ko) 2007-09-20 2014-04-04 마르코 브란데스티니 고체의 압축 강도의 비-파괴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4406872A (zh) * 2014-12-04 2015-03-11 林波 回弹仪用连续多测点检测支架及连续多测点自动回弹装置
CN206862771U (zh) * 2017-06-06 2018-01-09 江苏力德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升降式回弹仪
KR101848238B1 (ko) 2017-09-19 2018-04-12 (주)엘씨구조시스템 슈미트 해머의 타격 보조 및 수평 유지장치
CN207798550U (zh) * 2018-01-27 2018-08-31 中海监理有限公司 一种回弹仪的辅助检测装置
CN110608941A (zh) * 2019-05-05 2019-12-24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回弹仪的升降式装置及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460B1 (ko) 2007-09-20 2014-04-04 마르코 브란데스티니 고체의 압축 강도의 비-파괴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1358748B1 (ko) 2012-07-20 2014-02-10 (주) 한국시설안전연구원 슈미트 해머용 자동타격점표시 및 수직보조장치
CN104406872A (zh) * 2014-12-04 2015-03-11 林波 回弹仪用连续多测点检测支架及连续多测点自动回弹装置
CN206862771U (zh) * 2017-06-06 2018-01-09 江苏力德尔电子信息技术有限公司 升降式回弹仪
KR101848238B1 (ko) 2017-09-19 2018-04-12 (주)엘씨구조시스템 슈미트 해머의 타격 보조 및 수평 유지장치
CN207798550U (zh) * 2018-01-27 2018-08-31 中海监理有限公司 一种回弹仪的辅助检测装置
CN110608941A (zh) * 2019-05-05 2019-12-24 中交第三航务工程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用于回弹仪的升降式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9090B1 (ko) * 2021-01-28 2021-10-06 주식회사 중부구조안전기술단 안전진단용 슈미트 해머 수직 고정 장치
KR102402333B1 (ko) * 2022-04-13 2022-05-30 주식회사 한진이앤씨 수직 보조유닛을 구비한 슈미트해머
CN115182221A (zh) * 2022-08-03 2022-10-14 洛阳理工学院 一种全自动路基路面回弹弯沉测试仪及测试方法
CN115182221B (zh) * 2022-08-03 2024-03-15 洛阳理工学院 一种全自动路基路面回弹弯沉测试仪及测试方法
KR102499078B1 (ko) * 2022-09-21 2023-02-14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CN116124632A (zh) * 2022-12-29 2023-05-16 灌南县港鑫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用硬度检测装置
CN116124632B (zh) * 2022-12-29 2023-10-03 灌南县港鑫建材有限公司 一种混凝土用硬度检测装置
KR102588799B1 (ko) * 2023-03-09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구조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 안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7302B1 (ko)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US9333642B2 (en) Cabinet jig device with adjustable fasteners and related methods
KR102151413B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강도 측정용 슈미트 해머 측정보조장치
US5179787A (en) Drapery installation tool
US3362447A (en) Dowel hole drilling device
US20130318806A1 (en) Tool for Detecting Verticality between Axle Hole and Milling Plane
KR102402333B1 (ko) 수직 보조유닛을 구비한 슈미트해머
CN113670754B (zh) 电磁动力混凝土质量检测回弹仪装置
KR102360321B1 (ko) 구조 안전진단용 반발경도 위치 표시장치
KR101896794B1 (ko) 강관철탑 변위측정용 타겟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1848238B1 (ko) 슈미트 해머의 타격 보조 및 수평 유지장치
CN213181012U (zh) 一种用于检测桥梁夹片洛氏硬度的夹持装置
CN217505602U (zh) 推力检测装置
KR102584279B1 (ko) 구조 안전점검을 위한 균열변동 측정지그
CN110421541B (zh) 一种圆棒试样划线装置
KR102588799B1 (ko) 구조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 안내장치
US1737764A (en) Combined micrometer caliper and depth gauge
US5239763A (en) Adjustable linear gauge
JP6161079B2 (ja) ベンダ補助具
CN217552590U (zh) 一种带有活动标尺的木工用斜孔打孔器
CN220504553U (zh) 一种建筑施工用钢筋定位标记装置
KR200402305Y1 (ko) 변위계측기
CN217637299U (zh) 一种平面度测量工装
KR101679028B1 (ko) 외경 측정 장치
JPH10140841A (ja) 間柱固定定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