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078B1 -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078B1
KR102499078B1 KR1020220119079A KR20220119079A KR102499078B1 KR 102499078 B1 KR102499078 B1 KR 102499078B1 KR 1020220119079 A KR1020220119079 A KR 1020220119079A KR 20220119079 A KR20220119079 A KR 20220119079A KR 102499078 B1 KR102499078 B1 KR 102499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per
plate
reel
image processing
ma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춘원
조병근
김희욱
김명수
권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2011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0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6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01N3/068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with optical 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extent of rebound of a striking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58Kind of property studied
    • G01N2203/0076Hardness, compressibility or resistance to crushing
    • G01N2203/0083Rebound strike or reflected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 G01N2203/0641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using optical, X-ray, ultraviolet, infrared or similar detectors
    • G01N2203/0647Image analysi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내부 공간에 기록지가 상호 연결되게 감긴 제1 릴과 제2 릴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슈미트 해머의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마커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상기 개구 영역을 덮도록 구비되는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1 릴에 감겨 있는 기록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릴에 감겨 있는 기록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에는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포함되는 레퍼런스 마커가 표시될 수 있다.

Description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SCHMIDT HAMMER RECOR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본원은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슈미트 해머는 반발경도로부터 콘크리트의 표면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기이다.
슈미트 해머를 이용한 콘크리트의 표면압축강도를 추정하는 방법은 테스트 해머에 의해 일정한 에너지로 콘크리트 표면을 타격했을 때, 테스트 해머의 다시 튀어오르는 높이(반발높이 또는 반발도)와 콘크리트의 경보(브리넬경도) 및 강도와 상관관계에 의한 시험식을 통한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추정 방법이다.
이러한, 반발경도법에 의한 콘크리트 비파괴 압축강도의 추정은 현재 정밀안전점검과 정밀안전진단 과업시 필수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이 경우 측정 후 기록지의 눈금을 육안으로 읽어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 결과를 스프레드시트를 활용해 분석함으로써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기록용지의 눈금을 분석자가 육안으로 판독하여 스프레드시트에 입력하는 방식은, 타격개수가 많아 그래프가 많은 경우 기록용지의 눈금으로부터 판독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4426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슈미트 해머 기록지를 영상분석하여 각 타격그래프에 대한 수치를 추출해내고 그 자료를 분석프로그램에 자동 입력함으로써 각 추정공식에 맞는 결과 값을 빠르고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정확한 작업이 가능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내부 공간에 기록지가 상호 연결되게 감긴 제1 릴과 제2 릴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슈미트 해머의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마커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상기 개구 영역을 덮도록 구비되는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1 릴에 감겨 있는 기록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릴에 감겨 있는 기록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에는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포함되는 레퍼런스 마커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와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와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에 의해,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가 상기 제1 릴과 상기 제2 릴에 대하여 종 방향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며,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며,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며, 상기 각각의 소정의 범위는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의 횡 방향으로의 조정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 각각은 맞물림 홈 및 상기 맞물림 홈으로의 맞물림을 종 방향에 대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레퍼런스 마커가 표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는 마커 시트; 및 상기 마커 시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마커 시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엣지 부분에 대하여 클리핑하는 클립 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커 시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를 벗어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돌출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시트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압력으로 상기 시트부를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상기 기록지의 종 방향 눈금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인식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종 방향 눈금인 y값 눈금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횡 방향 라인 및 타격그래프의 개수에 대응하는 횡 방향 범위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종 방향 라인을 포함하는 윤곽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횡 방향 라인과 상기 한 쌍의 종 방향 라인은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이 다른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자 마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횡 방향 범위 내에 포함된 타격그래프 하나가 차지하는 폭 크기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자 마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기록지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추출하는 이미지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포함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의 정답값을 출력으로 학습하여 구축된 신경망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의 수행에 앞서,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시 영향을 미치는 촬영 각도 및 촬영 거리를 포함하는 영향 인자를 고려하는 이미지를 전처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상기 기록지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구비되는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를 포함하고,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에는 레퍼런스 마커가 표시됨으로써, 마커 플레이트부가 하우징의 개구 영역에 대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인식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제1 릴의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제1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제2 릴의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제2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는 마커 플레이트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릴의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제2 릴의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에 용이하게 맞춤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 각각이 제1 릴의 일단 디스크, 제1 릴의 타단 디스크, 제2 릴의 일단 디스크,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 각각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고 맞물리도록 구비되어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의 횡 방향으로의 조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 각각은 맞물림 홈 및 테이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됨으로써, 제1 릴의 일단 디스크, 제1 릴의 타단 디스크, 제2 릴의 일단 디스크,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 각각이 테이퍼부로 인해 상기 맞물림 홈으로의 맞물림이 유도되어 슈미트 해머의 제1 릴 및 제2릴과 마커 플레이트부가 맞춤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마커 시트,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마커 시트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고, 고정 유닛을 통해 마커 시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시트는 시트부 및 돌출부를 포함하고, 고정 유닛은 시트부가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돌출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1 플레이트와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시트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압력으로 시트부를 가압하도록 제공됨으로써, 기록지에 그려진 타격그래프의 종 방향 및 횡 방향과 마커 시트의 종 방향 및 횡 방향이 대응하지 않는 경우, 기록지에 그려진 타격그래프의 종 방향 및 횡 방향과 마커 시트의 종 방향 및 횡 방향이 서로 대응하도록 돌출부를 수동 조작하여 시트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가 레퍼런스 마커를 포함함으로써, 레퍼런스 마커가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기록지의 종 방향 눈금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인식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는 한 쌍의 횡 방향 라인 및 한 쌍의 종 방향 라인을 포함하는 윤곽 마커를 포함하며, 한 쌍의 횡 방향 라인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은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이 다른 라인으로 설정됨으로써, 인식된 라인들 간의 교차점 이미지 좌표에 대응하는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는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자 마커를 포함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를 통해 인식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는 횡 방향 범위 내에 포함된 타격그래프 하나가 차지하는 폭 크기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자 마커를 포함함으로써, 타격그래프 하나를 인식하는데 있어서 용이할 수 있으며,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함으로써,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해, 기록지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레퍼런스 마커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플레이트부가 슈미트 해머의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마커 시트,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마커 시트,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플레이트부가 슈미트 해머의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플레이트부의 맞물림 부재에 형성된 맞물림 홈 및 테이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측면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의 일 구현예 및 이미지분석부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의 일 구현예 및 이미지분석부를 통해 타격그래프의 팁 값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다.
도 8a는 도 7의 구현예에 격자마커가 추가적으로 구현된 구현예 및 이미지분석부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다.
도 8b는 도 7의 구현예에 격자마커가 추가적으로 구현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가 적용되는 슈미트 해머에서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이하 '본 장치'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플레이트부가 슈미트 해머의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내부 공간에 기록지가 상호 연결되게 감긴 제1 릴(210)과 제2 릴(220)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슈미트 해머(200)의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기준으로, 횡 방향은9시-3시 방향일 수 있다.
본 장치(100)는 마커 플레이트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커 플레이트부(110)는, 슈미트 해머(2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에서, 슈미트 해머(200)의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미트 해머(200)의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는, 슈미트 해머(2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된 제1 릴(210) 및 제2 릴(220)에 마커 플레이트부(11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가 적용되는 슈미트 해머에서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사진)으로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개구 상태가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마커 플레이트부(110)는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개구 영역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성은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가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은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는 높은 광 투과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슈미트 해머의 기록지에 그려지는 타격그래프가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할 정도의 광 투과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릴(210) 및 제2 릴(220)을 덮을 수 있는 형상(크기)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의 횡 방향 길이는 제1 릴(210) 및 제2 릴(220)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릴 (210) 및 제2 릴(220)을 덮을 수 있는 횡 방향 길이를 갖도록 구비되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의 종 방향 길이는 제1 릴(210) 및 제2 릴(220)의 종 방향 길이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종 방향 길이를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에는 마커 플레이트부(110)가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포함되는 레퍼런스 마커(11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마커(112)는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획득되어 기록지(230)에 그려진 타격그래프(231)의 팁 값을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마커 시트,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사시도)이며,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가 제1 플레이트, 제2 플레이트, 마커 시트, 및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고정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는 제1 플레이트(111a), 제2 플레이트(111b), 및 마커 시트(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111a)에는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가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111b)는 제1 플레이트(111a)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11a) 및 제2 플레이트(111b)는 광 투과성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플레이트(111a) 및 제2 플레이트(111b)의 광 투과성은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가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은 상태에서,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마커 시트(111c)는 레퍼런스 마커(112)가 표시되고,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는 하측(도 2 기준, 6시 방향)에 제1 플레이트(111a)가 배치되고, 마커 시트(111c) 가 제1 플레이트(111a) 상에 적층된 후, 제2 플레이트(111b)가 마커 시트(111c) 상에 적층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커 시트(111c)는 제1 플레이트(111a) 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개재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마커 시트(111c)는 시트부(111ca) 및 돌출부(111cb)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111ca)는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부(111ca)는 제1 플레이트(111a) 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개재되며, 레퍼런스 마커(112)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부(111ca)에는 레퍼런스 마커(112)가 표시되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과 레퍼런스 마커(112)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111cb)는 시트부(111ca)로부터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를 벗어나게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돌출부(111cb)는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개재된 시트부(111ca)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부(111cb)는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과 시트부(111ca)에 표시된 레퍼런스 마커의 위치가 서로 대응하게 시트부(111ca)의 위치를 미세 조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슈미트 해머에 기록지가 미세하게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로 기록이 진행된 경우, 각 릴의 디스크들과 맞물림 부재들을 서로 맞추어 마커 플레이트부를 배치하더라도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과 레퍼런스 마커의 위치가 서로 미세하게 어긋나게 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돌출부(111cb)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한 정렬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는 고정 유닛(111d)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111d)은 마커 시트(111c)가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유닛(111d)은 마커 시트(111c)가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를 잡아서 고정시키는 것일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11d)은 마커 시트(111c)가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를 엣지 부분에 대하여 클리핑하는 클립 유닛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유닛(111d)은 클립 유닛으로 구비되어,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의 엣지(가장자리) 부분에 클리핑하여,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111d)은 마커 시트(111c)의 돌출부(111cb)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 사이에서 시트부(111ca)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압력으로 시트부(111ca)를 가압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유닛(111d)이 마커 시트(111c)의 돌출부(111cb)가 배치된 방향과 동일한 엣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제1 플레이트(111a)와 제2 플레이트(111b)를 클리핑 하는 경우, 돌출부(111cb)의 수동 조작이 버거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고정 유닛(111d)은 돌출부(111cb)에 대해 가급적 멀리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유닛(111d)은 마커 시트(111c)의 돌출부(111cb)가 배치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3시 방향)의 엣지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9시 방향)의 엣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유닛(111d)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고정 유닛(111d) 중 적어도 하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11cb)가 배치되는 방향의 엣지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의 엣지에 위치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커 플레이트부(110)의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와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는 제1 릴(210)에 감겨 있는 기록지(23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211) 및 타단 디스크(212)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로부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지(230)의 폭 방향은, 도 1 기준, 12시-6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록지(230)의 폭 방향과 제1 릴(210)의 종 방향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다만, 기록지(230)가 미세하게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11cb)를 이용하여 기록지(230)의 폭 방향과 제1 릴(210)의 종 방향이 서로 대응하게 정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1 릴(210) 및 후술할 제2 릴(220), 그리고 각 릴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와 타단 디스크는 본래 슈미트 해머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구성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각각은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는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의 일측(도 1 기준, 12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는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의 타측(도 1 기준, 6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각각은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각각이 맞춤 결합 가능한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마커 플레이트부(110)의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제2 릴(220)에 감겨 있는 기록지(230)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221) 및 타단 디스크(222)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111)로부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지(230)의 폭 방향은, 도 1 기준, 12시-6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기록지(230)의 폭 방향과 제2 릴(220)의 종 방향은 서로 대응할 수 있다. 다만, 기록지(230)가 미세하게 어긋나게 배치된 상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부(111cb)를 이용하여 기록지(230)의 폭 방향과 제2 릴(220)의 종 방향이 서로 대응하게 정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의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는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의 일측(도 1 기준, 12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의 타측(도 1 기준, 6시 방향)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예로,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 각각이 맞춤 결합 가능한 홈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와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와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어,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와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에 의해, 마커 플레이트부(110)가 제1 릴(210)과 제2 릴(220)에 대하여 종 방향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가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와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에 의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며,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와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2)가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에 의해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되어 제1 릴(210)과 제2 릴(220)이 정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커 플레이트부(110)가 제1 릴(210)과 제2 릴(220)에 대하여 종 방향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는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는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각각은 의해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되며,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1 릴(210)에 대해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는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의해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되며,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어, 제2 릴(220)에 대해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에 의해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종 방향으로의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플레이트부가 슈미트 해머의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는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는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각각은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각각에 대하여 맞물린 상태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는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릴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 각각에 대하여 맞물린 상태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도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의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에 대한 소정의 범위,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의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에 대한 소정의 범위,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의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에 대한 소정의 범위,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의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에 대한 소정의 범위 각각은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의 횡 방향으로의 조정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갖도록 구비되어,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과 레퍼런스 마커(112)의 횡 방향 위치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마커 플레이트부(110)의 횡 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는 횡 방향 제1 방향(예를 들면, 도 4 기준, 9시 방향)에 대해 소정의 범위 이상의 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횡 방향 제2 방향(예를 들면, 도 4 기준, 3시 방향)에 대해 소정의 범위 이상의 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는 횡 방향으로 소정의 범위를 두고 양 방향(도 4 기준, 9시-3시 방향)에 대해 돌출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마커 플레이트부의 맞물림 부재에 형성된 맞물림 홈 및 테이퍼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맞물림 홈(113a, 115a, 114a, 116a) 및 맞물림 홈(113a, 115a, 114a, 116a)으로의 맞물림을 종 방향에 대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부(113b, 115b, 114b, 116b)를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각각은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1 일단 맞물림 홈(113a) 및 제1 타단 맞물림 홈(114a) 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일단 맞물림 부재(113) 및 제1 타단 맞물림 부재(114) 각각은,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각각이 제1 일단 맞물림 홈(113a) 및 제1 타단 맞물림 홈(114a)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될 때, 서로 정확하게 대응되는 위치가 아닌 종 방향으로의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제1 릴의 일단 디스크(211) 및 제1 릴의 타단 디스크(212) 각각이 제1 일단 맞물림 홈(113a) 및 제1 타단 맞물림 홈(114a) 각각에 대하여 쉽게 진입하여 맞물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해주는 제1 일단 테이퍼부(113b) 및 제1 타단 테이퍼부(114b)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일단 맞물림 홈(115a) 및 제2 타단 맞물림 홈(116a) 각각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일단 맞물림 부재(115)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116) 각각은,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 각각이 제2 일단 맞물림 홈(115a) 및 제2 타단 맞물림 홈(116a)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될 때, 서로 정확하게 대응되는 위치가 아닌 종 방향으로의 약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제2 릴의 일단 디스크(221)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222) 각각이 제2 일단 맞물림 홈(115a) 및 제2 타단 맞물림 홈(116a) 각각에 대하여 쉽게 진입하여 맞물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해주는 제2 일단 테이퍼부(113b) 및 제2 타단 테이퍼부(114b)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마커 플레이트부(110)의 레퍼런스 마커(112)는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기록지(230)의 종 방향 눈금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인식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마커(112)는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기록지(230)와 함께 이미지 획득되어, 후술하는 이미지분석부가 기록지(230)에 그려진 타격그래프(231)의 팁 값의 종 방향 눈금 중 적어도 일부를 인식할 때, 레퍼런스 마커(112)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퍼런스 마커(112)는 윤곽 마커(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윤곽 마커(112a)는 종 방향 눈금인 y값 눈금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 및 타격그래프(231)의 개수에 대응하는 횡 방향 범위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 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의 위치는 크게 관계없으며,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에 해당하는 기록 값은 고정된 값으로 설정되어야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을 참조하면,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에 해당하는 기록 값은 y값 눈금의 하한에 대응하여 0 값과 y값 눈금의 상한에 대응하여 100값의 기록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은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이 다른 라인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은 횡 방향 및 종 방향으로 2개 이상의 선들에 대해 특정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마커(112)가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의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 다르도록 설정됨으로써, 이미지 프로세싱시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을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에 대한 차이로 인해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레퍼런스 마커(112)가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과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이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이 다르도록 설정됨으로써, 기록지(230)의 눈금 색상화로 인해 시인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퍼런스 마커(112)는 격자 마커(112b)를 포함할 수 있다. 격자 마커(112b)는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마커(112b)는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미지 프로세싱시 격자 마커(112b)의 종 방향 단위 크기를 고려하여 타격그래프(231)의 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레퍼런스 마커(112)의 격자 마커(112b)는 횡 방향 범위 내에 포함된 타격그래프(231) 하나가 차지하는 폭 크기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격자 마커(112b)는 격자 마커(112b)의 횡 방향 단위 눈금 하나의 폭 크기가 타격그래프(231) 하나의 폭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이미지 프로세싱시 격자마커(112b)의 횡 방향 단위 크기를 고려하여 타격그래프(231)의 개수에 대응하는 결과값의 개수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레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의 일 구현예 및 이미지분석부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며,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레퍼런스 마커의 일 구현예 및 이미지분석부를 통해 타격그래프의 팁 값을 산정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다. 또한, 도 8a는 도 7의 구현예에 격자마커가 추가적으로 구현된 구현예 및 이미지분석부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하는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고, 도 8b는 도 7의 구현예에 격자마커가 추가적으로 구현된 구현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사진)이다.
본 장치(100)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이미지분석부는 기록지(230)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해, 기록지(230)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레퍼런스 마커(112)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함으로써,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231) 각각의 팁 값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장치는 기록지(230)를 촬영하여 영상분석 함으로써, 기록지(230)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영상분석으로 측정된 20개의 포인트를 텍스트(txt)화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분석부는 기록지(230)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과 레퍼런스 마커(112)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프로세싱함으로써, 분석하여 복수의 타격그래프(231) 각각에 대한 팁 값을 추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이미지분석부는 윤곽 마커를 포함하는 레퍼런스 마커(112) 및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한 획득된 이미지에서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 및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의 색상별 Image Thresholding 및 Hough Line Transform을 통해 인식된 선들 간의 교차점 이미지(Image) 좌표((Xi, Yi), i=0,1,2,3)를 추출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사전 정보인 유색선들 간의 교차점 좌표((xi, yi), i=0,1,2,3)를 호모그래피(Homography)에 대응하여 좌표 변환 3X3 행렬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을 참조하면, 이미지분석부는 획득된 이미지를 입력하고, training(학습)된 팁 인식용 Detection Network를 통해 팁을 인식하여, 팁(tip) 부분의 이미지(image) 좌표(예를 들면, 20개)를 호모그래피 3x3 행렬을 통해 기록지 좌표계 기준의 좌표(예를 들어, 20개)로 좌표를 변환하여 Y값을 추출하여 기록 측정값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팁 부분의 이미지 좌표는 (X0, Y0, 1), (X1, Y1, 1), ···, (X19, Y19, 1) 끝에 값이 1인 하나의 항이 더 붙은 homogeneous 좌표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기록지 좌표계 기준의 좌표는 (x0, y0, 1), (x1, y1, 1), ···, (x19, y19, 1) 좌표일 수 있으며, 이 중 y0, y1, ···, y19를 추출하여 기록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레퍼런스 마커(112)가 윤곽 마커(112a) 및 격자 마커(112b)를 포함하는 경우, 이미지 좌표계(X, Y)에서 기록지 좌표계(x, y)로 변환시키기 위해, 마커(marker) 인식 및 노드(예를 들면, 9개) 좌표를 추출하여 좌표 변환 3X3 행렬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획득된 이미지를 통해 Marker Detection 및 Point Detection을 통해 마커(Marker)의 사각형 꼭지점의 이미지(Image) 좌표((Xi, Yi), i=0, ···, 8)를 추출하고, 사전 정보인 마커(Marker)의 9개의 노드 좌표((xi, xi), i=0, ···, 8)를 Homography에 대응하여 좌표 변환 3X3 행렬을 산정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마커(Marker)가 도 8a와 같이 배치될 경우, 마커의 9개의 노드 좌표는 (20,0), (20,10), (20,20), (10,0), (10,10), (10,20), (0,0), (0,10), (0,20)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이미지분석부는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레퍼런스 마커(112)를 포함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입력하고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231) 각각의 팁 값의 정답값을 출력으로 학습하여 구축된 신경망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마커(112)가 윤곽 마커(112a)를 포함할 때, 객체 탐지(Object Detection) 알고리즘 Training 및 최적화에 대한 사전 준비 단계에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획득하여 알고리즘 training을 통해 학습된 팁 영역 인식 네트워크를 통해 팁을 인식하고, 팁 부분의 이미지 좌표들을 좌표 변환 및 Y값 반환하여 기록값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좌표계 변환 Homography 행렬 산정을 통해 3X3 변환 행렬로 좌표 변환 및 Y값을 반환하여 기록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전 준비 단계인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 Training에서, YOLOv5 등 CNN 기반의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연산속도(Processing time)가 중요한 경우, YOLOv5 사용을 권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마커(112)가 윤곽 마커(112a) 및 격자 마커(112b)를 포함하는 경우, Object Detection 알고리즘 Training 및 최적화에 대한 사전 준비 단계에서, 이미지 데이터(Image Data)를 획득하여 알고리즘 Training을 통해 학습된 팁 영역 인식 네트워크를 통해 팁을 인식하고, 팁 부분의 이미지 좌표들을 좌표 변환 및 Y값 반환하여 기록값들을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이미지 데이터를 알고리즘 Training된 마커(Marker) 인식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마커(Marker)를 인식하고, 좌표계 변환 Homography 행렬 산정을 통해 3X3 변환 행렬로 좌표 변환 및 Y값을 반환하여 기록값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퍼런스 마커(112)가 윤곽 마커(112a) 및 격자 마커(112b)를 포함하는 경우, 레퍼런스 마커(112)가 윤관 마커(112a)를 포함할 때와 달리, 좌표계 변환을 위한 Homography 산정 시에 선 인식 대신 마커(Marker) 인식을 사용한다는 점에 차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의 이미지분석부는, 이미지 프로세싱의 수행에 앞서,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레퍼런스 마커(112)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시 영향을 미치는 촬영 각도 및 촬영 거리를 포함하는 영향 인자를 고려하는 이미지를 전처리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프로세싱의 수행에 앞선 사전 준비 단계에서, 트레이닝 데이터(Training Data)가 영향 인자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조건의 이미지 데이터(예를 들어, 촬영 각도, 촬영 거리, 기록값 등)를 확보할 수 있으며, 팁 부분 사각형 영역 라벨링(Labeling) 처리하여 기록할 수 있다. 또한, 사전 준비 단계는, 상기 트레이닝 데이터(Training Data) 처리 이후, 인자 연구(Parameter Study)를 통해 인식 성능을 최적화하고, 필요한 경우 최적 촬영 조건을 도출하는 단계(Training & Valid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장치는 이미지분석부를 포함함으로써, 자동화 수치 도출되어, 기록지(230)에 그려진 복수개의 타격그래프(231)의 팁 값의 분석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미지분석부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AP)으로 개발될 수 있으며, 본 장치는 분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231) 팁 값을 PDF 형식의 문서형식으로 추출하여 보고서의 시험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이 제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분석부는 하드웨어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분석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컴퓨팅 장치(연산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이하 '본 방법'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방법은 전술한 본 장치(100)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기술적 특징을 공유하는 것으로서, 본 장치(100)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본 방법은, 마커 플레이트부(110)가 슈미트 해머(200)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및 제2 타단 맞물림 부재 각각을 제1 릴의 일단 디스크, 제1 릴의 타단 디스크, 제2 릴의 일단 디스크, 및 제2 릴의 타단 디스크 각각에 대하여 맞물림 결합한 상태에서, 기록지(230)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과 레퍼런스 마커(112)를 고려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S11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미지 획득은 스마트폰으로 기록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방법은 이미지 분석부가 기록지(230)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레퍼런스 마커(112)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하고,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231) 각각의 팁 값을 출력하는 단계(S12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방법은 기록지(230)를 영상 분석하여 각 타격그래프(231)에 대한 수치를 추출해내고 그 자료를 이미지분석부에 자동 입력함으로써 각 추정공식에 맞는 결과 값을 빠르고 정확하게 도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알고리즘에 대한 개략적인 개념도(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본 방법은, 슈미트 해머(200)에 의한 반발경도를 측정하고 기록지(230)를 촬영하여 픽셀 구분 후, 농도에 따라 복수의 타격그래프(231)를 수치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강도추정식을 선택하여 추정강도를 도출하고, 도출된 추정강도를 보고서화하여 부록자료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지(230) 촬영시, 레퍼런스 마커(112)를 통해 한 쌍의 횡 방향 라인(112aa) 및 한 쌍의 종 방향 라인(112ab)이 색상화되어 시인성이 증가하여 라인 인식이 보다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본 방법은 머신러닝기법을 도입하여 추정강도를 도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 내지 도 8b를 참조하면,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의 이미지분석부는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레퍼런스 마커(112)를 포함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입력하고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231) 각각의 팁 값의 정답값을 출력으로 학습하여 구축된 신경망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머신러닝기법을 도입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예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10: 마커 플레이트부
111: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
111a: 제1 플레이트
111b: 제2 플레이트
111c: 마커 시트
111ca: 시트부
111cb: 돌출부
111d: 고정 유닛
112: 레퍼런스 마커
112a: 윤곽 마커
112aa: 횡 방향 라인
112ab: 종 방향 라인
112b: 격자 마커
112ba: 단위 눈금
113: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113a: 제1 일단 맞물림 홈
113b: 제1 일단 테이퍼부
114: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114a: 제1 타단 맞물림 홈
114b: 제1 타단 테이퍼부
115: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115a: 제2 일단 맞물림 홈
115b: 제2 일단 테이퍼부
116: 제2 타단 맞물림 부재
116a: 제2 타단 맞물림 홈
116b: 제2 타단 테이퍼부
200: 슈미트 해머
210: 제1 릴
211: 제1 릴의 일단 디스크
212: 제1 릴의 타단 디스크
220: 제2 릴
221: 제2 릴의 일단 디스크
222: 제2 릴의 타단 디스크
230: 기록지
231: 타격그래프

Claims (17)

  1. 내부 공간에 기록지가 상호 연결되게 감긴 제1 릴과 제2 릴이 횡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슈미트 해머의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로서,
    상기 내부 공간이 외부에 개방되도록 내부 공간을 덮는 커버가 열린 개구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개구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는 마커 플레이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는,
    광 투과성을 가지고 상기 개구 영역을 덮도록 구비되는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
    상기 제1 릴에 감겨 있는 기록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1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릴에 감겨 있는 기록지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는 일단 디스크 및 타단 디스크 각각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상기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로부터 상기 내부 공간 측으로 돌출되는 제2 일단 맞물림 부재와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에는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획득시 포함되는 레퍼런스 마커가 표시되되,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시 상기 기록지의 종 방향 눈금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한 인식을 가이드하도록 제공되고,
    상기 광 투과 플레이트 부재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상에 적층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레퍼런스 마커가 표시되고,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개재되는 마커 시트; 및
    상기 마커 시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도록 제공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와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와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는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에 의해, 상기 마커 플레이트부가 상기 제1 릴과 상기 제2 릴에 대하여 종 방향 위치가 정렬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며,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종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맞물리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1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며,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일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고,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는 상기 제2 릴의 타단 디스크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횡 방향으로의 이동 자유도를 가지도록 맞물리며,
    상기 각각의 소정의 범위는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한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의 횡 방향으로의 조정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2 일단 맞물림 부재, 상기 제1 타단 맞물림 부재, 및 상기 제2 타단 맞물림 부재 각각은 맞물림 홈 및 상기 맞물림 홈으로의 맞물림을 종 방향에 대하여 유도하는 테이퍼부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마커 시트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엣지 부분에 대하여 클리핑하는 클립 유닛인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 시트는,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개재되는 시트부; 및
    상기 시트부로부터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를 벗어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돌출부의 수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서 상기 시트부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는 압력으로 상기 시트부를 가압하도록 제공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종 방향 눈금인 y값 눈금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횡 방향 라인 및 타격그래프의 개수에 대응하는 횡 방향 범위의 상한 및 하한 각각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종 방향 라인을 포함하는 윤곽 마커를 포함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횡 방향 라인과 상기 한 쌍의 종 방향 라인은 색상, 명도 및 채도 중 하나 이상이 다른 라인으로 설정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자 마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 마커는, 상기 종 방향 눈금의 단위 크기에 대응하여 종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횡 방향 범위 내에 포함된 타격그래프 하나가 차지하는 폭 크기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격자 마커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는,
    상기 기록지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위해, 상기 기록지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추출하는 이미지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포함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입력으로 하고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의 정답값을 출력으로 학습하여 구축된 신경망에 기반하여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분석부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의 수행에 앞서,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포함하는 이미지 획득시 영향을 미치는 촬영 각도 및 촬영 거리를 포함하는 영향 인자를 고려하는 이미지를 전처리하도록 제공되는 것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17. 제10항에 따른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를 이용한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으로서,
    상기 기록지의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에 대하여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레퍼런스 마커를 고려하여 프로세싱함으로써, 상기 이미지 획득 대상 영역 내에 기록된 복수의 타격그래프 각각의 팁 값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
KR1020220119079A 2022-09-21 2022-09-21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KR102499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79A KR102499078B1 (ko) 2022-09-21 2022-09-21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79A KR102499078B1 (ko) 2022-09-21 2022-09-21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9078B1 true KR102499078B1 (ko) 2023-02-14

Family

ID=85221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79A KR102499078B1 (ko) 2022-09-21 2022-09-21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0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8908A (en) * 1964-03-11 1966-08-2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Drilling log comparator
US4420762A (en) * 1982-02-01 1983-12-13 Techsonic Industries, Inc. Chart recorder
KR200164599Y1 (ko) * 1999-07-27 2000-02-15 조병식 검침기록계
KR20170002710A (ko) * 2015-06-22 2017-01-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그래프 수치 분석 어플리케이션 및 그를 이용한 수치 분석방법
KR102157302B1 (ko) * 2020-04-14 2020-09-17 주식회사 천우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8908A (en) * 1964-03-11 1966-08-23 Exxon Production Research Co Drilling log comparator
US4420762A (en) * 1982-02-01 1983-12-13 Techsonic Industries, Inc. Chart recorder
KR200164599Y1 (ko) * 1999-07-27 2000-02-15 조병식 검침기록계
KR20170002710A (ko) * 2015-06-22 2017-01-0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현장용 그래프 수치 분석 어플리케이션 및 그를 이용한 수치 분석방법
KR102157302B1 (ko) * 2020-04-14 2020-09-17 주식회사 천우 슈미트해머 안내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슈미트해머(NSR)’, 인터넷 게시자, 네이버(인터넷 주소는 첨부참조), 2022.04.18, 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38602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2704215B (zh) 基于dst文件解析与机器视觉结合的绣布自动切割方法
CN103207987B (zh) 一种指针式仪表的示数识别方法
US8472726B2 (en) Document comparison and analysis
CN106557764A (zh) 一种基于二进制编码字符水尺和图像处理的水位识别方法
CN103528617A (zh) 一种座舱仪表自动识别和检测方法及装置
KR102010823B1 (ko) 고정형 단일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속도 감지 방법 및 장치
CN109522804A (zh) 一种道路边沿识别方法及系统
DE102018121039A1 (de)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verfahren zur steuerung von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und speichermedium
CN102750531B (zh) 用于票据文档定位格的手写体标记符号检测方法
US10816320B2 (en) Sleeve position inspecting device and sleeve position inspecting method
CN107203743B (zh) 一种人脸深度跟踪装置及实现方法
CN112507758A (zh) 答题卡字符串识别方法、装置、终端和计算机存储介质
KR102499078B1 (ko) 슈미트 해머 기록지 이미지 프로세싱용 장치 및 방법
CN101957993A (zh) 自适应红外小目标检测方法
CN110288708A (zh) 一种地图构建方法、装置及终端设备
CN103149087A (zh) 一种基于随动视窗与数字图像的非接触式实时应变测量方法
US8249364B2 (en) Method for resolving contradicting output data from a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 system, wherein the output data comprises more than one recognition alternative for an image of a character
Greeshma et al. Automated progress monitoring of construction projects using Machine learning and image processing approach
CN103455798B (zh) 基于最大几何流向直方图的人体检测方法
CN112348019A (zh) 一种答题卡矫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3250179A (zh) 用于标记图元的方法和用于检测图元中的所述标记的方法
KR101798988B1 (ko) 차량 하부 모니터링 시스템
KR20230085727A (ko) 구조물의 변위 판단 장치 및 방법
Kumar et al. Cost effective real-time image processing based optical mark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