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7135B1 -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7135B1
KR102157135B1 KR1020180080895A KR20180080895A KR102157135B1 KR 102157135 B1 KR102157135 B1 KR 102157135B1 KR 1020180080895 A KR1020180080895 A KR 1020180080895A KR 20180080895 A KR20180080895 A KR 20180080895A KR 102157135 B1 KR102157135 B1 KR 10215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biometric
vehicle
driv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143A (ko
Inventor
김종옥
Original Assignee
(주)큐알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큐알온텍 filed Critical (주)큐알온텍
Priority to KR1020180080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71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7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58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wherein the data carrier is remov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3/00Taximet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8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remotely located st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25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optical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16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 G07C5/0833Indicating performance data, e.g. occurrence of a malfunction using audio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09Driver authorisation; Driver identity ch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72Driver physi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Abstract

본 기술은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운전자 근무 환경 분석 방법이 개시된다. 본 기술의 구체적인 예에 따르면, 기존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생체 인식을 통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된 운전자의 운행 시간 및 휴식 시간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근무 환경을 분석 및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안내 메시지를 운전자 및/또는 관리자에게 전달함에 따라 운전자의 근무 환경 개선할 수 있고, 기존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간단한 기능의 추가로 단순하게 차량 운행 정보의 기록 뿐만 아니라 운전자에 대한 인증 및 근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제품의 효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ANALYSYSING WORKING ENVIRONMENT OF DRIVER USING DIGITAL TACHOGRAPH}
본 발명은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운행기록계에 저장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운전자에 대한 인증과 인증 성공한 운전자의 근무 환경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운행기록계는 (Digital Tacho graph)는 영업용 차량이나 운수차량의 내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ECU와 센서를 통해 운행 차량의 속도, RPM정보, 브레이크 신호의 감지, GPS를 통한 위치정보, 가속도, 주행거리, 충격감지 등의 운행데이터를 전송받아 지정된 플랫폼에 따라 저장하는 장치로써, 국내에서는 교통안전법 시행규칙 제29조의2제1항에 그 기능이 명시되어 있고, 특히 화물자동차 운수사업법과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등에 의해 상용 차량인 택시나 화물 트럭 혹은 버스 등은 의무적으로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즉, 디지털 운행기록계는 상용 차량 내부에 설치하여 차량의 운행정보 데이터를 계속하여 기록하고, 이를 주기적으로 교통안전공단에 제출함으로써, 운전자가 과도한 운행으로 인한 졸음운전이나 사업주의 횡포(과도한 운행)로 인한 피해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 차량 운전자의 권익을 보호하면서 대형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하여 의무적으로 장착하게끔 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는 비행기의 블랙박스와 같이 운행데이터를 최대한 안전하게 보관하는 한편,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용이하게 추출하여 운전 후 컴퓨터를 촬영하여 분석하거나 교통안전공단에 제출하기 위한 점에 집중되었고, 이로 인해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구조는 단순하게 이루어져 있을 수밖에 없었으며, 그 효용성 역시 낮다.
본 발명은 다수의 운전자가 하나의 차량의 운행하는 경우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운전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된 운전자에 의한 차량 운행 정보를 분석하여 운전자 근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다수의 운전자에 의해 운행하는 하나의 차량의 소정 위치에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장착하되,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는 다수의 운전자 중 차량을 운행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생체 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 수행하고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는 인증부; 상기 시동 신호를 전달받아 주행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소; 및 상기 저장소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운전자 근무 환경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생체 정보 수집부는, 운전자의 생체를 리딩(Reading)하는 생체 리더기; 상기 운전자의 생체를 토대로 생체의 특징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생체 특징 데이터를 상기 인증부로 전달하는 생체 정보 추출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부는, 하나의 차량을 운행하는 다수의 운전자에 대한 생체 등록데이터를 등록하는 생체 등록 모듈; 및 상기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와 기 등록된 생체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를 가지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부로 전달하고 인증 성공 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증부는, 상기 생체 특징 데이터 및 생체 데이터에 대해 이 및 정해진 일정 기준에 따라 생체 위변조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장소는,
운행 중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의 유효성에 대한 유효성 및 형식을 검사한 후 형식 변환 여부를 결정하고, 형식 변환 결정 시 차량 운행 정보의 크기 및 변수로 변환하여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중계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부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와 접속되고, 상기 저장소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운전자 근무 환경을 분석하는 분석 모듈; 분석 결과에 따라 운전자 근무 환경의 이상 발생 시 경고를 출력하는 메시지 발생 모듈; 및 상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상기 메시지 발생 모듈로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시지 발생 모듈은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무 휴식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휴식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을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시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전 시간이 기 정해진 임계치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저장소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 및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다수의 운전자 중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추출된 생체 특징 데이터와 기 등록된 생체 등록 데이터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인증 성공 시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는 차량 운행 단계; 주행 중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소에 저장하는 운행 정보 기록 단계; 상기 저장된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무 휴식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휴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을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시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전 시간이 기 정해진 임계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분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디지털 운행기록계로 생체 인식을 통한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된 운전자의 운행 시간 및 휴식 시간을 기반으로 운전자의 근무 환경을 분석 및 분석 결과에 대응되는 안내 메시지를 운전자 및/또는 관리자에게 전달함에 따라 운전자의 근무 환경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간단한 기능의 추가로 단순하게 차량 운행 정보의 기록뿐만 아니라 운전자에 대한 인증 및 근무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 제품의 효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실시 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의 운전자 근무 환경 분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의 생체 정보 수신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 예의 인증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의 분석부의 세부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 일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적용되는 디지털 운행기록계의 외관도로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S)는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수단에 의해 사용차량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고, 후단에 운행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접속 케이블이 연결되며, 접속 케이블에 전원 케이블 및 해당 차량의 CAN 버스 및 다수의 센서 등이 접속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운행기록계(S)의 내부 구성도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체 정보 수집부(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인증부(2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분석부(500)의 세부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지털 운행기록계(S)는 생체 정보 수집부(100), 인증부(200),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 저장소(400), 및 분석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 정보 수집부(100)는 다수의 운전자 중 차량을 운행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생체 정보 수집부(100)는 생체 리더기(110) 및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체라 함은, 지문, 손바닥 무늬, 홍채(홍채 근육 무늬), 음성, 얼굴 화상, 혈관 패턴(안저 망막 혈관망, 정맥 혈관망), 동적 서명, 키 스트로크 등을 말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지문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러한 생체 리더기(110)를 통해 입력된 생체 정보는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120)로 전달되며,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120)은 지문 인식의 경우 생체 리더기(110)와 접촉한 손가락의 형상을 지문 화상에 외접하는 사각 형태의 가로 방향 길이 및 세로 방향 길이로서 정의하여 미뉴샤법을 이용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징점을 계수하여 생체 특징 데이터를 도출한다.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120)에서 생체 정보의 특징점을 추출하는 일련의 과정은 공기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120)의 생체 특징 데이터는 인증부(200)로 전달된다.
한편 인증부(200)는 상기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 수행하고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증부(200)는 생체 등록 모듈(210) 및 인증 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생체 등록 모듈(210)는 하나의 차량에 대해 운전 가능한 다수의 운전자 각각에 대한 생체 정보를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생체가 지문인 경우 미리 생체 리더기(110)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특징 데이터를 생체 등록 데이터로 기 저장된다. 생체 등록 모듈(210)은 운전자 식별 정보를 근거로 랜덤하게 생성된 특정키로 인크립션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크립션 키로 수신된 생체 등록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운전자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등록한다. 이에 인크립션 키로 수신된 생체 등록 데이터는 암호화되어 등록된다.
그리고, 인증 모듈(220)은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와 생체 등록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를 가지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로 전달하고 인증 성공 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인증 모듈(220)의 인증 요구 시 생체 등록 모듈(210)은 상기 특정키를 공개키에 대응되는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획득하고 획득된 특정키와 상기 생체 등록 데이터의 고유값을 근거로 디크립션 키를 생성하며 생성된 디크립션 키로 암호된 생체 등록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인증 모듈(220)로 전달된다.
인증 모듈(220)은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와 복호화된 생체 등록 데이터가 일치 여부를 토대로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를 가지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로 전달한다.
또한 인증 모듈(220)은 인증 성공 시 시동 신호를 생성하여 차량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차량은 주행 가능한 상태로 동작되며, 인증 성공한 운전자에 의해 차량이 주행된다. 이때 주행되는 차량 운행 정보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로 전달된다.
한편, 인증부(200)는 상기 생체 등록 데이터에 대해 기 정해진 일정 기준에 따라 생체 위변조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모듈(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검증 모듈(230)은 등록을 위해 수신된 원래의 생체 등록 데이터와 복호화된 생체 등록 데이터 간의 비교를 토대로 등록된 생체 등록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생체 등록 데이터는 해킹 등의 외부 공격으로 인한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는 수신된 차량 운행 정보에 대해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변환된 차량 운행 정보는 운전자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소(400)에 기록된다.
여기서 저장소(4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소(4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으며 이에 저장소(400)는 중계 모듈(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중계 모듈(410)는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차량 운행 정보에 대한 유효성 및 형식을 검사한 후 형식 변환 여부를 결정하고, 형식 변환 결정 시 차량 운행 정보의 크기 및 변수로 변환하여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여 클라우드 기반으로 웹 스트로지에 저장한다.
한편, 분석부(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 모듈(510) 메시지 발생 모듈(520) 및 통신 모듈(5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 모듈(510)은 저장소(400)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운전자 근무 환경을 분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분석 모듈(510)은 버퍼링하고 있는 현재의 운행데이터와 특정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의 운행 데이터 또는 설정값을 호출하여 과속, 급가속, 급감속, 급진로변경, 급회전의 위험 운전 패턴을 분석 및 안내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 분석 모듈(510)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도출하고 이에 따라 운전자의 근무 환경을 도출할 수 있다. 즉, 교통 안전법 시행규칙, 근로 기준법, 화물 자동차 운수 사업자법, 자동차 관리법 시행 규칙 등에서 사용 차량인 택시 또는 화물 트럭, 혹은 버스 등의 운전자는 의무적으로 일정 시간 운행 후 휴식을 취하여야 하고 하루 총 차량 운행 시간이 임계 시간을 넘지 아니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규정은 운전자가 과도한 운행으로 인한 졸음운전이나 사업주의 횡포(과도한 운행)로 인한 피해 등을 사전에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상용 차량 운전자의 권익을 보호하면서 대형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이에 메시지 생성 모듈(520)은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무 휴식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휴식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을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시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전 시간이 기 정해진 임계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시준 시간 및 임계 시간은 전술한 관련 법규에 의거 정해진다.
한편, 디지털 운행기록계(S)는 부저 또는 스피커를 구비하여 상기 메시지 생성 모듈(520)에서 생성된 메시지를 운전자에게 전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분석부(500)는 디지털 운행기록계(S)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고 있으나, 통신망을 통해 디지털 운행기록계(S)와 접속된 관리자 단말에 의거 저장소(400)의 차량 운행 정보를 토대로 운전자의 근무 환경을 도출하는 등의 공지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분석부(500)는 통신 모듈(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530)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관리자 단말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통신 모듈(530)은 관리자 단말과 디지털 운행기록계(S) 간의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고 관리자 단말의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실행에 따라 디지털 운행기록계(S)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를 디지털 운행기록계(S)로 전달하고,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기록된 저장소(400)의 차량 운행 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한다.
관리자 단말은 프로그램 실행에 따라 저장소(400)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운전자 근무 환경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는 통신 모듈(530)에 의거 디지털 운행기록계(S)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과도한 운행이 원천적으로 봉쇄되고, 사업주의 횡포(과도한 운행)로 인한 피해 등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으며, 상용 차량 운전자의 권익을 보호할 수 있다.
생체 정보 수신부(100), 인증부(200)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 저장소(400), 및 분석부(500)는 설명의 편의상 디지털 운행기록계(S)에 종속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디지털 운행기록계(S)와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에 상기 기능들이 통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도시된 기능들 외 사용자의 인증 관련, 과금 관련 및 광고 관련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기능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운전자 근무 환경 분석 방법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다수의 운전자 중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추출된 생체 특징 데이터와 기 등록된 생체 등록 데이터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인증 성공 시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는 차량 운행 단계; 주행 중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소에 저장하는 운행 정보 기록 단계; 상기 저장된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무 휴식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휴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을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시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전 시간이 기 정해진 임계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분석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의 운전자 근무 환경 분석 방법의 각 단계는 전술한 생체 정보 수신부(100), 인증부(200),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300), 저장소(400), 및 분석부(500)에서 수행되는 기능으로 자세한 원용은 생략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생체 정보 수집부 110 : 생체 리더기
120 :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 200 : 인증부
210 : 생체 등록 모듈 220 : 인증 모듈
230 : 검증 모듈 300 :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
400 : 저장소 410 : 중계 모듈
500 : 분석부 510 : 분석 모듈
520 : 메시지 생성 모듈 530 : 통신 모듈

Claims (10)

  1. 다수의 운전자에 의해 운행하는 하나의 차량의 소정 위치에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장착하되,
    상기 디지털 운행기록계는
    다수의 운전자 중 차량을 운행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정보를 생성한 다음 생체 정보로부터 생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정보 수집부;
    상기 생체 특징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자 인증 수행하고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는 인증부;
    상기 시동 신호를 전달받아 주행하는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
    상기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저장소; 및
    상기 저장소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운전자 근무 환경을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부는,
    하나의 차량을 운행하는 다수의 운전자에 대한 생체 등록 데이터를 등록하는 생체 등록 모듈; 및
    상기 생체 특징 데이터와 생체 등록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생체 정보를 가지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를 상기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로 전달하고 인증 성공 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는 인증 모듈; 및
    상기 생체 등록 데이터에 대해 기 정해진 일정 기준에 따라 생체 위변조 검증을 수행하는 검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 수집부는,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리딩(Reading)하는 생체 리더기;
    상기 운전자의 생체 정보를 토대로 생체의 특징으로 추출하고 추출된 생체 특징 데이터를 상기 인증부로 전달하는 생체 특징 데이터 추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소는,
    운행 중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 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하도록 구비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의 유효성에 대한 유효성 및 형식을 검사한 후 형식 변환 여부를 결정하고, 형식 변환 결정 시 차량 운행 정보의 크기 및 변수로 변환하여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 중계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와 접속되고, 상기 저장소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되는 운전자 근무 환경을 분석하는 분석 모듈;
    분석 결과에 따라 운전자 근무 환경의 이상 발생 시 경고를 출력하는 메시지 발생 모듈; 및
    상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모듈은
    상기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상기 메시지 발생 모듈로 전달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발생 모듈은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무 휴식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휴식 안내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을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시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전 시간이 기 정해진 임계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저장소에 기록된 차량 운행 정보 및/또는 상기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된 관리자 단말로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10. 다수의 운전자 중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생체 특징 데이터를 추출하는 생체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추출된 생체 특징 데이터와 기 등록된 생체 등록 데이터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는 인증 단계;
    상기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의 인증 성공 시 운전하고자 하는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는 차량 운행 단계;
    주행 중인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차량 운행 정보를 상기 운전자 식별 정보와 매칭시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저장소에 저장하는 운행 정보 기록 단계;
    저장된 차량 운행 정보에 포함된 시동 온/오프 데이터를 기반으로 운전자의 휴식 시간 및 차량 운행 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이 기 정해진 기준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자의 의무 휴식 시간을 보장하기 위한 휴식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차량 운행 시간을 토대로 운전자의 운전 시간을 도출하고 도출된 운전 시간이 기 정해진 임계 시간에 도달되는 경우 운전 종료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분석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인증 단계는,
    하나의 차량을 운행하는 다수의 운전자에 대한 생체 등록 데이터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생체 특징 데이터와 생체 등록 데이터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된 생체 특징 데이터를 가지는 운전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여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 정보 및 시동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인증 성공한 운전자 식별정보를 차량 운행정보 수집부로 전달하고 인증 성공 시 시동 신호를 차량에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생체 등록 데이터에 대해 기 정해진 일정 기준에 따라 생체 위변조 검증을 수행하는 단계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방법.
KR1020180080895A 2018-07-12 2018-07-12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15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95A KR102157135B1 (ko) 2018-07-12 2018-07-12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95A KR102157135B1 (ko) 2018-07-12 2018-07-12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43A KR20200007143A (ko) 2020-01-22
KR102157135B1 true KR102157135B1 (ko) 2020-09-18

Family

ID=6936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95A KR102157135B1 (ko) 2018-07-12 2018-07-12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71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59B1 (ko) * 2020-04-09 2022-08-09 여태환 이륜차 운전의 ict 기반 운전자 특정 평가 분석 및 보상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11864B1 (ko) * 2021-08-31 2022-06-22 (주)에이아이매틱스 운전자의 익명성을 보장하는 공유 차량의 주행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97296B1 (ko) * 2023-02-15 2023-11-06 주식회사 아이티엠티 차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차량 통합 관리 서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4935A (ja) * 2016-11-22 2018-05-31 みなと観光バス株式会社 管理プログラム、当該管理プログラムが読み込まれた管理サーバ、及び当該管理サーバとデジタルタコグラフとを備えた運行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213A (ko) * 2007-12-04 2009-06-09 (주)아이이지컨설팅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KR20110038965A (ko) * 2009-10-09 2011-04-15 조재춘 차량 정보 획득 장치, 차량 정보 수집 장치, 차량 정보 분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KR102500445B1 (ko) * 2015-06-04 2023-02-17 (주)이아이랩 운행 일지 자동 생성 기능을 갖는 운행 기록 분석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84935A (ja) * 2016-11-22 2018-05-31 みなと観光バス株式会社 管理プログラム、当該管理プログラムが読み込まれた管理サーバ、及び当該管理サーバとデジタルタコグラフとを備えた運行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43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77575B (zh) 驾驶员身份的识别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157135B1 (ko) 디지털 운행기록계를 이용한 차량 운행 환경 분석 장치 및 방법
EP3414728B1 (en) Telematics authentication
CN111295862B (zh) 用于密码地保证车辆身份的系统和方法
US20160086043A1 (en) Using passive driver identification and other input for providing real-time alerts or actions
US20190012488A1 (en) Method, apparatus and device for storing vehicle travelling data
KR101302562B1 (ko) 블랙박스 데이터의 위변조 방지 장치 및 방법
US99969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or the exit from an area
US9830662B1 (en) Split sensing method
CN110758322A (zh) 车辆启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430039A (zh) 防疫信息采集系统、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106792681B (zh) 用于车联网的入侵检测方法和装置及设备
KR20160019331A (ko) 자동차 보험료 산출 시스템
KR102147540B1 (ko) 차량의 위치 정보와 주행 상태 정보를 기초로 도로 상태 정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정보 공유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N204821476U (zh) 一种机动车驾驶信息识别系统
EP2949510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road safety
CN108528387A (zh) 一种车辆控制方法及装置
CN108674367A (zh) 一种汽车驾驶人员用车控制方法及实现该方法的系统
CN110909597A (zh) 车辆儿童锁落锁控制方法、装置及车载设备
Hoppe et al. IT-forensic automotive investigations on the example of route reconstruction on automotive system and communication data
US202100677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operatively collecting video data from driving recorders
EP3680799A1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managing event data of a vehicle
CN107517187A (zh) 用于约车的方法、装置及车辆
CN109067745B (zh) 对乘车人进行认证的方法及其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9388368B (zh) 人机交互方法、装置、无人车及其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