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793B1 -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 Google Patents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793B1
KR102156793B1 KR1020190174583A KR20190174583A KR102156793B1 KR 102156793 B1 KR102156793 B1 KR 102156793B1 KR 1020190174583 A KR1020190174583 A KR 1020190174583A KR 20190174583 A KR20190174583 A KR 20190174583A KR 102156793 B1 KR102156793 B1 KR 102156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ody
concrete
basement
heater rod
constru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소희
Original Assignee
(주)동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동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9017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건축시 발생되는 조인트(이음부)를 보강하기 위한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이음부인 조인트부의 균열 방지를 위해 그라우트(grout)와 같은 보강재(충전재)를 간편하게 주입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는 한편, 기초 구조물의 기둥을 더욱 안정적으로 시공하여 씽크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TOP-DOW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 TO PREVENT SINKHOLE}
본 발명은 건축물의 건축시 발생되는 조인트(이음부)를 보강하기 위한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이음부인 조인트부의 균열 방지를 위해 그라우트(grout)와 같은 보강재(충전재)를 간편하게 주입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는 한편, 기초 구조물의 기둥을 더욱 안정적으로 시공하여 씽크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구조물 시공방법 중 역타공법(Top-Down Method)은 지반을 굴착하기 전에 흙막이 벽체와 기둥을 선 시공한 후 굴착공사와 병행하여 지하 구조물을 지상에서 지하로 구축하는 공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지하 구조물의 구축과 동시에 지상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되고, 선시공된 1층 슬래브는 작업장으로 활용 가능하여 우천시에도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등 많은 장점을 지니고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기둥이나 외벽 및 코어에 조인트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역타공법은 본 기둥이 되는 철골기둥을 지중에 설치한 후, 지하 구조물의 각층 슬래브 등 수평 구조체로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면서 최하층까지 수평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과정으로 시공하고, 지하층의 기둥이나 벽체 등은 최하층부터 다시 순타 방식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층의 구축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지하층에 대한 구축이 진행되는 동안 지상층에 대하여도 일반적인 건축물 구축방식에 따라 철골기둥 등과 같은 수직부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본 기둥과 외벽 및 전단벽체를 완성한 다음, 슬래브를 형성하여 가면서 상부층에 대한 구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역타공법에서,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수직부재는 지상층을 위한 상부 부분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된 이후 하부 부분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하기 때문에 상부 콘크리트와 하부 콘크리트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그 사이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의 일시적인 중단에 따라 필연적으로 역타 조인트가 발생한다.
이로 인해 상부 콘크리트와 하부 콘크리트 사이에 균열 등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균열들이 콘크리트 구조체에 발생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체의 구조적인 내력을 감소시키는 한편, 누수 등에 의해 구조체의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외관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충분한 보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수직부재 간에 발생하는 조인트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부 콘크리트와 하부 콘크리트의 조인트부에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을 실시하였다.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은 드릴 등을 이용하여 조인트 부분에 천공홀을 형성하는 과정, 천공홀에 그라우트 장치의 주입노즐을 설치하고 그 주변을 실링재로 밀봉하는 과정, 주입노즐을 통해 에폭시를 천공홀에 주입시키는 과정, 주입노즐을 제거하고 천공홀 주변을 마감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에서는 천공홀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다소 복잡하여 작업량을 증가(공기 증가)시키고, 천공시 먼지 등을 비산시켜 작업환경을 저해하는 한편, 보강된 외면이 깨끗하지 못하며, 먼저 타설된 콘크리트 구조체에 불필요한 충격을 가하여 내력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7-090945호(공개일: 1995.04.04.)에서는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조인트부에 그라우트재가 충진되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지수 호스를 설치한 후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지수 호스에 지수용 주입재를 주입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7-090945호에서 제안된 그라우팅 공법은 드릴 등을 이용하여 조인트부를 천공한 후 그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충진하는 공법에 비해 공정을 단순화시켜 공기를 단축시키는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는 있으나, 동절기 작업시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이음면(선타설 콘크리트의 하면과 후타설 콘크리트의 상면)과 그라우트재 간의 온도차로 인해 이들이 안정적으로 접착되지 못하여 여전히 건조수축 균열, 소성 균열, 침하 균열, 외부 충격에 의한 물리적 균열 및 알칼리 중성화 등 화학적인 작용에 의한 균열 등을 발생하였다.
KR 10-0951097 B1, 2010. 03. 29. KR 10-0718649 B1, 2007. 05. 09. JP 10-1995-90945 A, 1995. 04. 04.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조인트부의 누수 방지를 위해 그라우트와 같은 보강재를 간편하게 주입하여 시공성 및 경제성을 도모하는 한편, 동절기 작업시에도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이음면과 보강재 간의 접합특성을 개선하여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의 조인트부를 강화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일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a) 흙막이 벽체를 구축하는 과정; (b) 철골기둥을 지중에 설치하는 과정; (c) 지하 1층의 일부까지 부분 굴토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와 합벽되는 지하외벽의 내측선까지 데크플레이트를 위치시키고, 상기 내측선에 위치한 단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 1층의 상부 슬래브를 구축하는 과정; (d) 지하 2층의 일부까지 부분 굴토한 후 지하 2층의 상부 슬래브를 구축하는 과정; (e) 상기 거푸집의 내측에 복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된 관체를 설치하고, 상기 관체의 내부로 히터봉을 삽입시켜 상기 관통홀을 밀폐하는 한편, 상기 관체로 열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지하 1층 상부 슬래브에서 하부로 상기 철골기둥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 1층의 본 기둥의 상부를 구축하는 과정; (f) 차하층에 대한 굴토 및 슬래브 구축을 반복하여 최하층의 기초바닥 콘크리트를 구축하는 과정; (g) 상기 히터봉을 통해 상기 관체로 열을 제공하는 동시에 최하층으로부터 순타로 상기 철골기둥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나머지 지하층 본 기둥의 하부를 구축하는 과정; 및 (h) 상기 관체로부터 상기 히터봉을 인출시키고, 상기 관체의 내부로 주입노즐을 삽입시킨 후 상기 관체의 내부로 보강재를 충진시켜 상기 본 기둥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조인트를 구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터봉은 상기 관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관통홀을 안정적으로 밀폐하는 한편, 상기 본 기둥의 상부와 하부를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관체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외경이 상기 관체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1mm~0.5mm 정도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히터봉은 상기 관체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탄성볼이 형성되어 상기 관체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볼은 열에 강한 내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봉의 외면에 내열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관체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히터봉의 외주면으로부터 1mm~3mm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타설 콘크리트와 후타설 콘크리트 사이에 관체가 미리 매립되기 때문에 그라우팅 보강을 위한 천공홀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이 필요하지 않아 작업량이 감소하여 공기가 단축될 뿐 아니라, 천공작업에 의한 비산먼지가 발생할 소지가 전혀 없어 작업자의 작업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체에 아무런 충격을 주지 않으면서 그라우트재 주입홀을 형성시킬 뿐 아니라, 상기 그라우트재 주입홀을 조인트가 발생되는 지점에 정확하게 위치할 수 있게 하므로 콘크리트 구조체에 내력을 감소시키지 않고, 보다 정밀한 그라우팅 보강을 가능하게 한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기초 구조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시공함으로써 씽크홀 현상을 방지하여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 운전자나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공정별 과정을 순차적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에 적용된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의 각 공정별 과정을 순차적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가 이음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히터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을 도시한 공정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각 공정별 과정을 순차적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에 적용된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의 각 공정별 과정을 순차적으로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의 (a)와 같이, 흙막이 벽체(10)를 구축한다(S1). 이때, 흙막이 벽체(10)는 슬러리 공법 또는 CIP(Cast In Place Pile) 공법 등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이후, 도 1 및 도 2의 (b)와 같이, 흙막이 벽체(10)와 나란하게 철골기둥(21)을 설치한다(S2).
이때, 철골기둥(21)은 건축물의 본 기둥(20)이 위치하는 곳의 지중에 설치한다. 여기서, 철골기둥(21)은 H-형강 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소위 'CFT기둥'으로 불리는 콘크리트 충진강관 기둥까지도 포함하는 것으로서, 향후 그 주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시켜 본 기둥(20)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된다.
이후, 도 2의 (c)와 같이, 부분굴토 및 지하 1층 상부 슬래브(40)를 구축한다(S3).
즉, 지하 1층의 일부까지 부분 굴토를 시행한 후, 지하 1층의 상부 슬래브(40)(지상 1층의 바닥 슬래브(40))를 구축하여 철골보(30)와 함께 흙막이 벽체(10)의 지지구조를 형성시킨다. 그리고, 슬래브(40) 구축을 위한 데크플레이트(41)는 흙막이 벽체(10)와 합벽되는 지하외벽(50)의 내측선(51)까지만 위치시키고, 데크플레이트(4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 1층의 상부 슬래브(40)를 구축한다.
이후, 도 2의 (d)와 같이, 부분굴토 및 지하 2층 상부 슬래브(40)를 구축한다. 즉, 지하 2층의 일부까지 부분 굴토한 후, 지하 2층의 상부 슬래브(40)를 구축한다. 이때, 슬래브(40)의 구축 및 관체(100)의 설치방법 역시 위의 전단계와 동일하다.
이후, 도 2의 (e)와 같이, 지하 1층의 본 기둥(20)의 일부(상부)를 구축한다(S5). 즉, 지하 2층의 상부 슬래브(40) 구축이 완료되면, 내측선(51)에 위치한 단부에는 거푸집(F)을 설치하고, 거푸집(F)의 내측에 그라우트재 주입홀을 형성하기 위해 관체(100)를 설치하고, 관체(100)의 내부에 히터봉(11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실시하여 지하 1층의 본 기둥(20)의 일부, 즉 선타설 콘크리트(C1)를 시공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관체가 이음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3, 도 4 및 도 5와 같이, 관체(100)는 복수 개의 관통홀(100a)이 형성된 강관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관체(100)는 도 5와 같이 결속선(140)이나 용접 체결방식을 이용하여 철근 등의 강재에 고정하거나 거푸집(F)에 임시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거푸집(F)이 제거되면 관체(100)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거푸집(F)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 3의 (a)와 같이, 관체(100)의 내부에 히터봉(110)을 삽입한다.
도 3의 (a) 및 (b)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터봉(110)은 관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체(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00a)을 밀폐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가 관체(10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본 기둥(20)의 상부(선타설 콘크리트(C1) 해당)와 본 기둥(20)의 하부(후타설 콘크리트(C2) 해당)를 형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과, 관체(100)의 내부로 그라우팅을 주입하는 보강재(130, 도 3의 (e) 참조) 주입시 관체(100)로 일정한 온도의 열을 공급하여 선 및 후타설 콘크리트(C1, C2)와 보강재(130) 간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즉, 비교적 추운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콘크리트가 얼어붙어 선 및 후타설 콘크리트(C1, C2)와 보강재(130) 간의 결합력이 저하될 수 있는데, 히터봉(110)을 이용하여 관체(100)를 일정 온도로 가열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을 시행하여 선 및 후타설 콘크리트(C1, C2)를 형성하는 한편, 보강재(130)를 주입하는 공정에서도, 관체(100)가 히터봉(110)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상태에서 실시하여 선 및 후타설 콘크리트(C1, C2)와 보강재(130) 간의 결합력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터봉(110)은 관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관체(100)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복수 개의 관통홀(100a)을 안정적으로 밀폐하는 한편, 콘크리트 타설 후 관체(100)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외경이 관체(10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1mm~0.5mm 정도 작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히터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히터봉(110)은 관체(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00a)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탄성볼(210a)이 형성된다.
탄성볼(210a)은 열에 강한 내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히터봉(110)의 외면에 내열성 접착제, 예를 들면 석탄산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부착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볼(210a)은 관통홀(100a)을 안정적으로 밀폐하는 한편, 히터봉(110)이 관체(100)의 내부로 쉽게 인입되도록 하는 한편, 인출될 수 있도록 히터봉(110)의 외주면으로부터 1mm~3mm 높이로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의 (f)와 같이, 차하층에 대한 부분굴토 및 각 슬래브(40)를 구축한다(S6).
즉, 지하 1, 2층에서와 마찬가지로 차하층에 대하여도 동일한 방법으로 부분굴토 및 각 층의 슬래브(40)에 대한 구축을 반복 실시하여 최하층의 기초바닥 콘크리트(60)까지 완성시킨다.
이후, 도 1 및 도 2의 (g)와 같이, 나머지 지하층 본 기둥(20)의 구축을 완료한다(S7).
즉, 단계 S7는, 상기 각 단계에 의해 굴토 및 슬래브(40) 등 수평구조체에 대한 구축이 완료되면, 다시 최하층의 기초바닥 콘크리트(60)에서부터 시작하여 순타로 철골기둥(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나머지 지하층에 대한 본 기둥(20)의 하부(후타설 콘크리트(C2))를 구축하여 시공을 완료한다. 물론 흙막이 벽체(10)와 합벽되는 지하외벽(50) 역시 순타에 의해 상부로 구축되면서 각 슬래브(40)와 일체가 된다.
단계 S7에서도, 도 3의 (b)와 같이, 히터봉(110)을 통해 관체(100)의 내부로 일정 온도를 갖는 열을 제공하고, 그리고, 관체(100)에 열이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동안 본 기둥(20)의 하부에 대응하는 철골기둥(21)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축한다.
이후, 도 3의 (c)와 같이, 히터봉(110)을 관체(100)로부터 인출시켜 관통홀(100a)을 개방하고, 도 3의 (d) 및 (e)와 같이, 히터봉(110)에 의해 일정 온도로 가열된 관체(100)가 식지 않도록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관체(100)의 일측부에 주입노즐(120)을 삽입시켜 관체(100)의 내부로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또는 시멘트계 슬러리 등과 같은 그라우트를 주입하여 관체(100)의 내부에 보강재(130)를 충진시킨다(S8).
이후, 보강재(130)의 투입이 완료되면, 주입노즐(120)을 제거한 후 관체(100)의 입구를 밀봉하여 마감함으로써 선타설 콘크리트(C1)에 해당하는 본 기둥(20)의 상부와 후타설 콘크리트(C2)에 해당하는 본 기둥(20)의 하부 사이에 보강재(130)가 충진되어 조인트(300)가 보강된다.
즉, 역타공법을 이용하여 지하 구조물을 시공할 때 일부만 구축된 본 기둥(20)의 상부는 향후 순타로 타설되는 본 기둥(20)의 하부와의 사이에 역타 조인트(31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선타설된 지하1층의 본 기둥(20) 상부와 본 단계에서 구축된 나머지 후타설의 본 기둥(20)의 하부 사이 및, 선타설된 각 층의 슬래브(40)와 본 단계에서 구축된 후타설의 지하외벽(50) 사이에는 그라우트재 주입홀을 형성시키기 위한 관체(100)가 매립된 상태의 역타 조인트(310)가 발생하게 되는 바, 관체(100)에 의해 형성된 그라우트재 주입홀에 그라우트 장치의 주입노즐(120)을 삽입하여 역타 조인트(310) 부분에 대한 보강작업을 완료시킴으로써 지하외벽(50) 및 본 기둥(20)의 구축작업을 완료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흙막이 벽체 20 : 본 기둥
21 : 철골기둥 30 : 철골보
40 : 슬래브(상부) 41 : 데크플레이트
50 : 지하외벽 51 : 내측선
60 : 기초바닥 콘크리트 100 : 관체
100a : 관통홀 110, 210 : 히터봉
210a : 탄성볼 120 : 주입노즐
140 : 철선 300 : 조인트
310 : 역타조인트 C1 : 선타설 콘크리트
C2 : 후타설 콘크리트 F : 거푸집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a) 흙막이 벽체(10)를 구축하는 과정(S1);
    (b) 흙막이 벽체(10)와 나란하게 철골기둥(21)을 지중에 설치하는 과정(S2);
    (c) 지하 1층의 일부까지 부분 굴토하고, 상기 흙막이 벽체(10)와 합벽되는 지하외벽(50)의 내측선(51)까지 데크플레이트(41)를 위치시키고, 상기 내측선(51)에 위치한 단부에 거푸집(F)을 설치하고, 상기 데크플레이트(41)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 1층의 상부 슬래브(40)를 구축하는 과정(S3);
    (d) 지하 2층의 일부까지 부분 굴토한 후 지하 2층의 상부 슬래브를(40) 구축하는 과정(S4);
    (e) 상기 거푸집(F)의 내측에 복수 개의 관통홀(100a)이 형성된 관체(100)를 설치하고, 상기 관체(100)의 내부로 히터봉(110)을 삽입시켜 상기 관통홀(100a)을 밀폐하는 한편, 상기 관체(100)로 열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지하 1층 상부 슬래브(40)에서 하부로 상기 철골기둥(21)의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지하 1층의 본 기둥(20)의 상부를 구축하는 과정(S5);
    (f) 차하층에 대한 굴토 및 슬래브 구축을 반복하여 최하층의 기초바닥 콘크리트(60)를 구축하는 과정(S6);
    (g) 상기 히터봉(110)을 통해 상기 관체(100)로 열을 제공하는 동시에 최하층으로부터 순타로 상기 철골기둥(21)의 하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나머지 지하층 본 기둥(20)의 하부를 구축하는 과정(S7); 및
    (h) 상기 관체(100)로부터 상기 히터봉(110)을 인출시키고, 상기 관체(100)의 내부로 주입노즐(120)을 삽입시킨 후 상기 관체(100)의 내부로 보강재(130)를 충진시켜 상기 본 기둥(20)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조인트(300)를 구축하는 과정(S8);을 포함하되,
    상기 히터봉(110)은 상기 관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체(100)의 내주면과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관통홀(100a)을 안정적으로 밀폐하는 한편, 상기 본 기둥(20)의 상부와 하부를 구축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후 상기 관체(100)로부터 쉽게 인출될 수 있도록 외경이 상기 관체(100)의 내경과 동일하거나, 0.1mm~0.5mm 정도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관체(1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홀(100a)에 대응하는 부위의 외주면에 탄성볼(210a)이 형성되어 상기 관체(10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홀(100a)을 밀폐하며,
    상기 탄성볼(210a)은 열에 강한 내열성 고분자로 이루어진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봉의 외면에 내열성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 고정되고, 상기 관체(100)의 내부 또는 외부로 인입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히터봉의 외주면으로부터 1mm~3mm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20190174583A 2019-12-24 2019-12-24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2156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83A KR102156793B1 (ko) 2019-12-24 2019-12-24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4583A KR102156793B1 (ko) 2019-12-24 2019-12-24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793B1 true KR102156793B1 (ko) 2020-09-16

Family

ID=72669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4583A KR102156793B1 (ko) 2019-12-24 2019-12-24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7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373A (zh) * 2020-12-15 2021-04-20 中铁十一局集团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悬挑板回填逆作施工方法
KR20230041536A (ko) * 2021-09-17 2023-03-24 (주)하나 지하 구조물의 탑다운 시공용 들름 거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649B1 (ko) 2006-08-28 2007-05-15 삼성물산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체의 누수균열보수공법
KR20090129139A (ko) * 2008-06-12 2009-12-16 이균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보일러
KR100951097B1 (ko) 2009-03-13 2010-04-07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JP2015140597A (ja) * 2014-01-29 2015-08-03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7031599A (ja) * 2015-07-30 2017-02-09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温度制御装置、コンクリートの温度制御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の構築方法
KR20190091397A (ko) * 2018-01-27 2019-08-06 양병진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649B1 (ko) 2006-08-28 2007-05-15 삼성물산 주식회사 콘크리트 구체의 누수균열보수공법
KR20090129139A (ko) * 2008-06-12 2009-12-16 이균 탄소 섬유를 이용한 발열체 및 이를 적용한 보일러
KR100951097B1 (ko) 2009-03-13 2010-04-07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및 합벽 구조물과 시공 방법, 그리고 받침브라켓
JP2015140597A (ja) * 2014-01-29 2015-08-03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JP2017031599A (ja) * 2015-07-30 2017-02-09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の温度制御装置、コンクリートの温度制御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の構築方法
KR20190091397A (ko) * 2018-01-27 2019-08-06 양병진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81373A (zh) * 2020-12-15 2021-04-20 中铁十一局集团建筑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地下室悬挑板回填逆作施工方法
KR20230041536A (ko) * 2021-09-17 2023-03-24 (주)하나 지하 구조물의 탑다운 시공용 들름 거더
KR102535321B1 (ko) 2021-09-17 2023-05-26 (주)하나 지하 구조물의 탑다운 시공용 들름 거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US7500807B2 (en) Method of construction using sheet piling sections
KR101331261B1 (ko) 피씨 지중연속벽을 활용하여 스트럿구조나 어스앙카 구조에서 시공가능한 지하조립식 피씨 저류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0788623B1 (ko) Pc기둥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
KR20190091397A (ko)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KR101928054B1 (ko) 협소한 테두리 여유공간을 갖는 지하 구조물의 흙막이벽 구축공법
JP2011122386A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地下構造物、並びにそのための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側壁又は中間壁/柱
CN109914472B (zh) 一种软土地区装配式综合管廊及其施工方法
KR102156793B1 (ko) 씽크홀 방지를 위한 지하 구조물의 역타공법
KR101925598B1 (ko) 지하연속벽 그라우팅 차수공법
KR102126647B1 (ko) H형강 지보재의 합일체에 따라 강성 및 전단력을 강화시킨 비개착식 터널의 방수 구조물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0832490B1 (ko) 오버랩원통관과 충진용호스를 이용한 주열식차수벽의 설치공법
KR100914158B1 (ko) 무지보형의 차수벽 흙막이공법
CN111501772A (zh) Smw工法桩结合注浆钢管支撑支护施工方法
KR102431393B1 (ko)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JP4881555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296857B1 (ko) 토압 지지력이 강화된 바닥보를 구비하는 지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7326932A (zh) 一种地下车库的准半逆作施工方法
KR102156800B1 (ko) 씽크홀 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조인트 그라우팅 공법
CN111827705A (zh) 既有地下车库内扩建井桶状地下车库的方法
JP5773755B2 (ja) 外構構造物の杭基礎構造、及び外構構造物の杭基礎構造の施工方法
KR100722198B1 (ko)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 및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 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200428941Y1 (ko) 지하 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흙막이벽의 역타 지지구조
JP2009068203A (ja) 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構造、及び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構築方法、並びに親杭横矢板からなる土留め壁の止水工法
KR100327547B1 (ko)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