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627B1 -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627B1
KR102156627B1 KR1020180166275A KR20180166275A KR102156627B1 KR 102156627 B1 KR102156627 B1 KR 102156627B1 KR 1020180166275 A KR1020180166275 A KR 1020180166275A KR 20180166275 A KR20180166275 A KR 20180166275A KR 102156627 B1 KR102156627 B1 KR 102156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extract
facial pain
composition
ac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7093A (ko
Inventor
이민경
최자형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6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627B1/ko
Publication of KR20200077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7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2Burseraceae (Frankincense family)
    • A61K36/324Boswellia, e.g. frankinc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 및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래의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면 급성 안면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relieving and improving acute facial pain containing boswellia extract and seabuckthorn extract}
본 발명은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 및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이 증가하여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성 안면통증은 급성 구강안면통증 또는 급성 얼굴 통증이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으로 약관절(턱관절), 약골(턱), 안면(얼굴), 입안(혀나 뺨), 머리, 목과 어깨 등의 악안면 부위에 일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급성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치주질환 등에 의한 만성통증과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안면부 통증은 치아, 치조골, 구강 연조직 및 악관절 손상에 따른 통증뿐 아니라, 삼차신경통, 편두통과 같이 신경 병증성 통증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증은 조직에 손상을 주거나 잠재적인 손상을 줄 수 있는 유해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일종의 경고성 감각인 통각(nociceptive pain), 손상된 조직과 그 주변조직으로부터 활성화되어 분비되는 IL-1β(인터류킨1) 등의 염증성 매개물들이 유해 감수기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염증성 통증(inflammatory pain), 그리고 말초와 중추 신경의 자체 손상으로 인해 유해하지 않은 자극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신경 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으로 구별될 수 있다.
염증성 통증은 통증 부위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더 이상의 손상을 방지하고 일정 기간 후 사라지지만 ‹š로는 해가 되는 방향으로 진행되어 신경 병증성 통증으로 발전되는 경우도 있어 염증성 통증의 조절이 중요하다고 보인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치과치료, 스켈링, 기타 치위생 시술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일정한 원인 없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급격한 통증을 동반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구체적으로,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 삼차신경통, 구강작열감 증후군, 긴장성 두통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이란 감각신경의 손상이나 염증이 있는 경우 민감화가 일어나 외적인 통증 유발 원인이 없어도 지속해서 통증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경우 치과치료나 스케링, 기타 가벼운 자극에 의해 갑작이 통증이 발생할 수 있고 작은 통증도 크게 느끼게 되며 때로는 통증 이외에 이상한 감각을 느끼기도 한다. 치과에서 이를 빼거나 신경치료나 잇몸치료를 받고 난 후에 치료받은 인접 부위에서 화끈거리거나 저리거나 따끔거리거나 둔하게 아픈 느낌이 드는 경우의 대부분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과 관계된 경우가 많다. 또한 상기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으로 동반된 급성 안면통증은 일반적인 진통제로는 잘 치료가 되지 않으며 항우울제와 항경련제를 많이 사용한다. 최근에는 캡사이신 크림이나 가바펜틴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삼차신경통은 일상생활시 얼굴이나 입안에서 갑자기 전기가 통하는 것과 같은 충격적인 통증이 발생해서 움직이지도 못하고, 그 순간이 지나면 통증이 곧 사라지지만, 얼굴이나 입안의 어느 부위를 건드리면 또다시 전기가 통하는 듯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환자의 대부분은 중년 이상에서 나타나며 통증은 얼굴이나 턱의 좌·우측 중에서 어느 한쪽 편에서만 나타난다. 양측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이러한 삼차신경통은 일반적인 진통제로는 거의 치료 효과를 볼 수 없으며 카바마제핀, 바크로펜, 아미트리프틸린 등의 약제를 단독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사용해야 한다. 약물을 장기간 사용해야 하므로 부작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정기적인 혈액검사를 받아야 한다. 약물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에는 수술을 고려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구강작열감 증후군은 특별한 원인 없이 혀나 구강의 점막부위에서 통증을 느끼는 것을 말하는데 주로 폐경기 이후의 여성들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 환자는 주로 혀의 앞쪽 2/3 부위, 입천장의 앞쪽, 입술 등에서 화끈거리는 느낌이나 쓰리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을 많이 호소하지만 때로는 구강건조감, 미각 이상과 같은 증상을 복합적으로 나타내기도 한다. 구강작열감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며, 단지 호르몬의 변화나 심리적 요인, 그리고 미각신경의 퇴행성 변화 등이 관계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미트리프틸린과 클로나제팜을 투여하거나 캡사이신 크림을 바르게 하여 증상을 경감시킬 수는 있으나 완치는 쉽지 않다. 구강 칸디다증과 관련된 경우에는 니스타틴이나 케토코나졸과 같은 항진균제를 사용해야 하고 구강건조감이 있으면 필로카르핀이나 인공타액을 처방한다.
나아가, 상기 긴장성 두통은 두통 중에서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서 머리가 조여들거나 무겁거나 욱신거리는 느낌으로 나타난다. 대개 머리의 양쪽에서 통증을 느끼며 오전보다는 오후에 더 심하다. 통증의 강도는 일정하지 않지만 극심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스트레스나 근육의 긴장이 긴장성 두통의 주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밖에 다른 원인도 관계된다. 이러한 긴장성 두통의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요법을 주로 사용하지만 행동요법과 물리치료를 함께 시행하는 경우에 더 좋은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최근에는 보톡스 주사가 긴장성 두통의 치료법으로 추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성 안면 통증은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 삼차신경통, 구강작열감 증후군, 긴장성 두통에 의한 급성 안면통증을 포함하며, 급격하게 그리고 일시적으로 동반되는 구강 안면 통증 현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일반적인 진통제를 사용하여도 급성 통증이 진정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효과가 있더라도 다른 통증에 비하여 그 정도가 미미하여 진통제의 복용량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급성 안면 통증은 일시적 증상에서 종료되는 경우보다 규칙적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으로 주기적으로 발생하여 고통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지만, 이에 특화된 진통제가 매우 제한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천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술한 급성 안면통증에 대한 완화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천연 조성물의 사용으로 복용량 및 복용기간에 따른 부작용의 문제가 없도록 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성 안면통증은 급성 악관절 안면통증인 것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 선행기술은 일반적인 진통 효과를 내기 위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발명의 대상으로 삼는 급성 안면 통증(급성 구강 안면 통증)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므로 급성 안면통증에 대한 진통효과가 없거나 복용량이 상당히 많아야 한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안면통증에 대한 선행기술도 만성 통증에 대한 기구 등이 다수이며, 이러한 기구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성 안면통증에 사용되어 효과를 내기 어렵다는 문제를 가진다. 나아가 급성 안면통증과 관련된 천연물을 이용한 것은 찾기 어려울 정도로 그 개발이 미미한 실정이다.
상기 천연물이 급성 안면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에는 포르말린 테스트가 있으며, 이는 염증성 통증 모델 중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흰쥐의 발바닥, 입술, 악관절, 안면부 피하 등으로 포르말린을 주입하면 주입 즉시 염증반응과 조직 손상에 의한 특징적인 이상성 통증행위반응을 나타내며, 이때 주입부위를 긁거나 문지르는 행위 또는 핥는 행위의 횟수나 시간 등을 통증행위반응의 지표로 간주한다.
상기 포르말린 주입 후 유해자극에 의한 말토 감작으로 0~10분간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반응을 1차 통증행위반응(first phase)이라 하고, 이후 유해자극이 사라짐에도 불구하고 중추 감작에 의해 11~45분간 지속되는 반응을 2차 통증행위반응(second phase)이라고 한다. 이때 1차 통증행위반응은 말초 감작으로 간주하며, 2차 행위반응은 중추 감작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말초 감작은 조직에 가해진 손상이 유해 수용기를 자극하면서 생성된 물질 P(substance P), 히스타민(histamine), 브래디키닌(bradykinin) 등의 여러 통증 유발 물질들이 서로 상승작용을 나타내어 구심성 Ad, C 섬유 말단의 통각 수용기의 역치를 낮추고 작은 자극에도 강력히 활성화됨으로써 통증이 증강되는 현상이다.
반면에, 중추 감작은 C 섬유를 통한 고빈도 자극과 Ad 섬유를 통한 저빈도 자극이 지속적인 경우 척수 후근에 있는 광범위 영역 신경세포(wide-dynamic range neuron)나 통각장애 뉴런(nociceptive neurons)의 흥분성이 증가하는 현상으로, 지속적인 글루탐산(glutamate)의 분비로 인한 시냅스 후 N-methyl-D-aspartate (NMDA) 수용기가 활성화되고 이로 인해 세포 내 유입된 Ca2+가 증가되면서 중추 감작이 일어나게 된다.
안면부 통증 조절을 위해 임상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근육이완제, 항우울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오피오이드(opioid)계 약물 등 다양한 합성화학약물들이 처방되고 있으나, 일부는 의존성, 내성, 변비, 오심, 구토 등의 부작용을 야기하므로 최근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유래의 통증조절 약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허 문헌 1) KR 10-2003-0040201 A1
본 발명의 목적은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성 안면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의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사용하여 급성 안면통증에 효과적인 완화 효과를 내면서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는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규칙한 급성 안면통증에 주기적 또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 및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 줄기, 산자나무 열매, 산자나무 잎, 산자나무 뿌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 삼차신경통, 구강작열감 증후군, 긴장성 두통 및 급성 악관절 안면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재료로부터 추출한 조성물로서 과량 투여하여도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므로 추출물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된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급성 안면통증'은 급성 구강안면통증 또는 급성 얼굴 통증이라고도 부르며, 일반적으로 악관절(턱관절), 악골(턱), 안면(얼굴), 입안(혀나 뺨), 머리, 목과 어깨 등의 악안면 부위에 일시적 또는 주기적으로 급성통증이 나타나는 것을 말하며, 치주질환 등에 의한 만성통증과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치과치료, 스켈링, 기타 치위생 시술 중에 발생할 수 있으며, 때로는 일정한 원인 없이 규칙적으로 또는 불규칙적으로 급격한 통증을 동반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만성통증과 구별되며, 일반적인 진통제 또는 소염진통제로는 상기 급성 안면통증에 효과가 없거나 과잉 복용을 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는 점에서 특이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 및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스웰리아(Boswellia)는 감람나무과(橄科; Bruseraceae)에 속하는 식물로, 보스웰리아 세라타(Boswellia serrate) 나무에서 나온다. 주로 인도유향의 줄기 또는 가지에서 얻어진 수지(gum resin)를 약용으로 사용한다. 최근 20-30년간 인도유향 수지를 함유한 제제 또는 다른 유향속 식물을 복용하는 사례가 증가되고 있고, 2002년 European Medicines Agency는 인도유향 수지를 Peritumoral Brain Oedema의 치료에 대한 'orphan drug(희귀의약품)'로 분류했다. 보스웰리아의 대표적인 약리작용으로는 항바이러스 작용, 면역계에 대한 활성,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관절질환, 항-천식, 항암작용 등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동의보감에도 유향은 피부질환을 치료하는 약재로 소개되고 있어 동서양을 막론하고 널리 활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통증과 관련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안면부 통증의 발생과 예방에 있어서의 효과는 입증된 바가 거의 없다.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 급성 안면 통증에 특화되어, 상기 급성 안면 통증을 효과적으로 억제 또는 완화시키는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 외에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산자나무(Seabuckthorn)는 비타민이 풍부하여 비타민 나무라고도 불리운다. 밝은 오렌지색 열매를 맺는 이 뾰족뾰족한 식물은 북아시아와 유럽이 원산지이며, 빙하시대가 끝난 뒤 스칸디나비아 반도에 정착한 최초의 식물 중 하나이다. 추위에 잘 견디고 원기왕성한 이 나무는 개척정신이 투철한 종으로, 모래투성이 산지나 해안 지방 외에도 극단적인 기후에서도 잘 자란다. 상기 산자나무는 혹한에도 잘 견디며, 긴 가시로 덮여 있고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이 새콤달콤한 열매가 특별한 별미로 사용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비타민 A, B1, B6, C, E의 오메가-3/6/9지방산을 비록하여 엽산과 칼륨 및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 줄기, 산자나무 열매, 산자나무 잎, 산자나무 뿌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추출한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산자나무 줄기 및 산자나무 뿌리의 혼합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산자나무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갖고 있는데, 부위별로 살펴보면 우선 열매에는 굴로불린(globulin), 알부민(albumin)과 같은 단백질과 리놀레산(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과 같은 지방산의 함유량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잎과 종자 추출물에는 폴리페놀류(polyphenolics), 토코페롤(tocopherol),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잎에는 퀘르세틴(quercetin), 갈릭산(galic acid), 타닌(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질환, 상처, 염증치료의 효과와 세포보호 효과, 항노화, 항산화, 항암 등에 효과적인 연구결과가 보고되었다. 하지만 급성 안면통증경감 효과에 대한 연구결과는 매우 부족하며, 특히 이러한 산자나무 추출물의 부위별 물질은 급성 안면통증 예방에 있어서는 입증된 바가 거의 없다.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의 부위별 물질을 이용하는 경우 혼합상승 효과로 급성 안면통증이 보다 효과적으로 완화될 수 있어 보다 적은 용량으로 통증의 진정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의 혼합 사용에 따른 성분 간의 복합 작용으로 인해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만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시켜 사용하는 경우, 천연 추출물 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 효과가 더욱 상승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천연 추출물은 개비자나무 추출물, 음지궐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비자나무(Cephalotaxus koreana Nakai)는 산골짜기나 숲에 자라는 상록관목으로 높이가 3m에 달한다. 잎은 선형이고 2열로 배열하며 끝이 급히 뾰족해지고 앞면은 녹색이며 주맥이 뚜렷하다. 꽃은 이가화로 4월에 피고 수꽃은 편구형이며 암꽃은 2개씩 한곳에 달린다. 열매는 둥글며 다음해 8 내지 9월에 적색으로 익고 종자는 장타원이며 갈색이다.
상기 음지궐은 고사리삼(Sceptridium ternatum (Thunb.) Lyon)으로 햇볕이 잘 드는 숲이나 풀밭에 자라는 다년초로 굵은 육질의 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잎은 2개로 갈라져 영양엽과 실엽(實葉)으로 되며 나엽(裸葉)은 잎자루가 길며 3개로 갈라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포자엽은 나엽보다 길고 윗부분이 길게 갈라져 가지에 포자낭이 달린다.
상기 삼백초(Saururus chinensis (Lour.) Baill.)는 습지에 자라는 다년초로 높이 50 내지 100cm이며 근경은 백색이다. 잎은 호생하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상 이저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6 내지 8월에 백색으로 피고 수상화서는 잎과 대생한다. 열매는 둥글고 3 내지 5실로 되어 있으며, 종자는 각 실에 1개씩 들어 있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에 더하여, 개비자나무 추출물, 음지궐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급성 안면통증에 특화하여 급성 안면 통증의 완화 및 진정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보스웰리아 추출물과 산자나무 추출물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급성 안면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비자나무 추출물, 음지궐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천연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구성 성분간의 혼합 상승 작용으로 급성 안면통증에 대한 억제효과가 상당히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적은 함량으로도 급성 안면통증에 대하여 높은 억제 효과를 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를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된 시료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재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도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및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침출을 위해 1 내지 72 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스웰리아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산자나무 추출물 80 내지 120 중량부, 개비자나무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음지궐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및 삼백초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 시, 성분 간의 복합 작용으로 급성 안면 통증 개선 효과가 보다 상승할 수 있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 삼차신경통, 구강작열감 증후군, 긴장성 두통, 급성 악관절 안면통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식품은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외용제는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는 의약품 또는 의약 외품으로 급성 안면 통증을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는 외용제 조성물을 말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의약품은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추출물은 1일 0.01 mg/kg 내지 10 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1 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식품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래의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면 급성 안면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천연물 유래의 추출물을 사용하여 급성 안면통증에 효과적인 완화효과를 내면서도 부작용의 문제가 없으므로 불규칙한 급성 안면통증에 주기적 또는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악관절 통증모델 시험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악관절 통증모델 시험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안면부 피하 통증 모델 시험결과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안면부 피하 통증 모델 시험결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추출물의 제조]
1. 보스웰리아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보스웰리아를 분쇄하고, 상기 보스웰리아 분쇄물에 20배 부피비의 4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하여 건조하여 보스웰리아 추출물(V1)을 제조하였다.
2. 산자나무 추출물의 제조
산자나무 줄기 및 뿌리를 건조하고, 이를 분쇄하여 분쇄물을 제조한 이후, 혼합하였다. 혼합한 산자나무 분말은 20배 부피비의 4시간 동안 100℃에서 열수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한 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감압하여 건조하여 산자나무 추출물(V2)을 제조하였다.
3.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산자나무 잎 추출물(V3), 개비자나무 추출물(V4), 음지궐 추출물(V5) 및 삼백초 추출물(V6)을 제조하였다.
3. 복합 추출물의 제조
상기 보스웰리아 추출물(V1), 산자나무 추출물(V2), 산자나무 잎 추출물(V3), 개비자나무 추출물(V4), 음지궐 추출물(V5) 및 삼백초 추출물(V6)은 하기 표 1과 같은 중량 범위내로 혼합하여 급성 안면 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BOS1 BOS2 BOS3 BOS4 BOS5 BOS6 BOS7
V1 100 100 100 100 100 100 100
V2 100 - 100 100 100 100 100
V3 - 100 60 80 100 120 140
V4 - - 30 40 50 60 70
V5 - - 30 40 50 60 70
V6 - - 30 40 50 60 7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포르말린 통증 모델 시험]
1. TMJ(temporomandibular joint) model(악관절 통증모델)
TMJ(temporomandibular joint) model(악관절 통증모델, Won KA, Kang YM, Lee MK, Park MK, Ju JS, Bae YC, et al. Participation of microglial p38 MAPK in formalin-induced temporomandibular joint nociception in rats. J Orofac Pain 2012; 26(2): 132-141.)을 이용하여 BOS1에 대한 급성 악관절 통증 완화 효과 실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을 설명하면, 실험동물을 통증반응 평가 전에 실험용 플라스틱 통에서 10분 이상 적응시켰다. 인슐린 주사기(0.25 × 8 mm)를 이용하여 30 ㎕의 5% 포르말린을 주입하였고, 포르말린 주입 후 수 초 내에 의식을 회복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관골궁의 후하방 경계면과 하악과두 부위를 촉지에 의해 관절강의 위치를 유추하였고, 해당부위에 주사바늘이 관절낭을 뚫고 하악와의 닿는 부위를 관절강 내로 인지하였다. 예비실험을 통하여 포르말린과 동일양의 1w% evans blue dye를 별도의 동물에 주입함으로써 악관절강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포르말린 주입 후 TMJ 부위와 안면부를를 문지르거나 긁는 행위반응을 통증지표로 간주하여 5분 간격으로 9회 연속하여 45분간 누적 기록하고, 1차 통증행위반응(0 내지 10분)과 2차 통증행위반응(11 내지 45분)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하기의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동물(Rat)를 이용한 실험에서 악관절에 투여한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급성통증모델에서 BOS1의 투여에 따른 통증행위 반응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BOS1 투여 시 1차 통증행위 반응은 포르말린 주입군, 대조군(veh + 포르말린 주입군) 그리고 약물주입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 통증행위 반응에서는 포르말린 주입군에 비해 약물 주입군(Bos1 15mg/kg, 30mg/kg, V1) 모두 통증행위 반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이러한 통증행위 반응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로 확인하였을 때, BOS1 30mg/kg 투여군에서 역시 2차 통증행위 반응에 해당하는 20 내지 35분 경과시점에서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BOS1의 악관절 급성통증조절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2. SC(subcutaneous) model(안면부 피하 통증모델)
SC(subcutaneous) model(안면부 피하 통증모델, Won KA, Park SH, Kim BK, Baek KS, Yoon DH, Ahn DK. Intracisternal Administration of Voltage Dependent Calcium Channel Blockers Attenuates Orofacial Inflammatory Nociceptive Behavior in Rats. Int J Oral Biol 2011; 36(2): 43-50.;Choi HS, Ju JS, Lee HJ, Kim BC, Park JS, Ahn DK. Effects of intracisternal injection of interleukin-6 on nociceptive jaw opening reflex and orofacial formalin test in freely moving rats. Brain Res Bull 2003; 59(5): 365-370.)을 이용하여 BOS1에 대한 안면부 피하 통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실험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도 3 및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을 설명하면, 실험동물을 통증반응 평가 전에 실험용 플라스틱 통에서 10분 이상 적응시켰다. 실험동물의 오른쪽 수염부 피하에 5% formalin(50㎕)을 인슐린주사기(0.25m(31G)m × mm)를 이용하여 주입하였고, 안면를 문지르거나 긁는 행위를 통증 지표로 간주하였다. 주입 직 후부터 5분단위로 누적하여 총 45분간 행위반응을 관찰하였으며, 1차 통증행위반응(0 내지 10분, first phase)과 2차 통증행위반응(11 내지 45분, second phase)으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하기의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동물(Rat)를 이용한 실험에서 수염부에 투여한 포르말린으로 유도된 급성통증모델에서 BOS1의 투여에 따른 통증행위 반응의 변화를 나타낸 그림이다. BOS1 투여 시 1차 통증행위 반응은 포르말린 주입군, 대조군(veh + 포르말린 주입군) 그리고 약물주입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2차 통증행위 반응에서는 포르말린 주입군에 비해 약물 주입군(BOS1 15mg/kg, 30mg/kg) 모두 통증행위 반응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이러한 통증행위 반응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로 확인하였을 때, Bos1 15mg/kg 투여 시에는 약물 주입 15~35분 시점에서 효과적으로 통증행위 반응이 감소되었고, BOS1 30mg/kg 투여군에서 역시 2차 통증행위 반응에 해당하는 15 내지 35분 경과시점에서 통증 조절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BOS1가 안면부 급성통증조절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 복합 추출물의 대한 통증 모델 실험 결과 비교
상기 BOS1에 대한 악관절 통증모델 및 안면부 피하 통증모델의 실험을 통해 안면부 급성통증 조절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BOS2 내지 BOS7에 대한 동일 실험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상대적인 비교를 진행하기 위해, BOS1과 지수로 기재하였다. BOS1의 효과 정도를 지수 5로 놓고, BOS2 내지 6에 대한 효과 정도를 1 내지 10의 지수로 기재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통증 조절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
BOS1 BOS2 BOS3 BOS4 BOS5 BOS6 BOS7
악관절 통증모델 5 3 4 6 8 7 6
안면부 피하 통증모델 5 3 5 7 9 7 5
상기 표 2는 BOS1과 비교하여 BOS2 내지 7의 통증 조절 효과를 상대적으로 비교한 결과이다. BOS1과 비교하여 BOS3 및 BOS7은 동등한 정도의 통증 조절 효과를 나타낸 반면, BOS4 내지 6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통증 조절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BOS2는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이용한 것으로, 산자나무의 부위에 따라 통증 조절 효과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보스웰리아(Boswellia) 추출물 및 산자나무(Seabuckthorn) 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산자나무 줄기, 산자나무 열매, 산자나무 잎, 산자나무 뿌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추출한 것이며,
    개비자나무 추출물, 음지궐 추출물 및 삼백초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성 안면통증은 구심로차단동통 증후군, 삼차신경통, 구강작열감 증후군, 긴장성 두통 및 급성 악관절 안면통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4. 제 1항 및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5. 제 1항 및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6. 제 1항 및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의약품.
KR1020180166275A 2018-12-20 2018-12-20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56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75A KR102156627B1 (ko) 2018-12-20 2018-12-20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6275A KR102156627B1 (ko) 2018-12-20 2018-12-20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93A KR20200077093A (ko) 2020-06-30
KR102156627B1 true KR102156627B1 (ko) 2020-09-16

Family

ID=7112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6275A KR102156627B1 (ko) 2018-12-20 2018-12-20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6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50B1 (ko) * 2017-06-27 2018-07-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오밥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36943A1 (en) 2000-04-07 2001-11-01 Coe Jotham W.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acute, chronic pain and/or neuropathic pain and migrain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250B1 (ko) * 2017-06-27 2018-07-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오밥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치위생과학회지, 2017, 17(6), pp. 495-500
한국실험동물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7, pp. 14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7093A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4156B2 (ja) 深部体温上昇剤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20160009330A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759828B1 (ko) 치주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48047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141623B1 (ko) 계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56627B1 (ko) 보스웰리아 추출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74250B1 (ko) 바오밥 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318032B1 (ko) 염증 및 신경병증성 통증의 예방 및 완화용 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1838B1 (ko)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44113B1 (ko)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08944B1 (ko) 생강 추출물의 비극성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월경통 및 조기분만진통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850503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성기능 개선용조성물
KR102163889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80058997A (ko) 백발생성 억제 또는 흑모생성 촉진용 약학 조성물,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56438B1 (ko) 급성 안면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10019977A (ko) 스트레스 및 공황장애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04147375A (zh) 一种治疗牙龈出血的口含片
KR102433007B1 (ko) 산골취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경병증성 통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2278766B1 (ko) 고구마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이명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07726B1 (ko) 백지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약물 중독 및 금단증상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14738B1 (ko) 흑삼 꽃봉오리 및 흑삼 지근의 고형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20170015142A (ko)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약학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