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6111B1 -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6111B1
KR102156111B1 KR1020190003628A KR20190003628A KR102156111B1 KR 102156111 B1 KR102156111 B1 KR 102156111B1 KR 1020190003628 A KR1020190003628 A KR 1020190003628A KR 20190003628 A KR20190003628 A KR 20190003628A KR 102156111 B1 KR102156111 B1 KR 10215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tep transfer
stick
plate
ic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7405A (ko
Inventor
이익재
Original Assignee
이익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익재 filed Critical 이익재
Priority to KR1020190003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11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 A23G9/26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producing frozen sweets on sticks for manipulating the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22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A23G9/24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 A23G9/245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insofar as not peculiar to a single one of the preceding groups for coating or filling the products for coating the produc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05B19/2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incremental digital measuring device
    • G05B19/2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incremental digital measuring device for point-to-point control
    • G05B19/231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incremental digital measuring device for point-to-point control the positional error is used to control continuously the servomotor according to its magnitude

Abstract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아이스바가 냉동된 몰드플레이트를 직결방식으로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방식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제1감지스텝이송부와,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로 잡아 픽업하도록 승강하는 분리승강부와, 분리승강부에서 분리되어 스틱을 잡은 그립퍼를 딥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 이송시키는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DIRECTCONNECTION TYPE STICK ICE-BAR STEP TRANSFER DEVICE}
본 발명은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몰드플레이트에서 냉동된 아이스바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1서보모터를 이용한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고,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분리승강부를 이용하여 분리 및 승강시킨 후 그립퍼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2서보모터를 이용한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여 딥핑 작업을 수행하므로 정확한 감지 이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빙과류 아이스 크림은 일정한 크기로 되는 플라스틱 용기에 아이스 크림이 충진되는 용기형 아이스크림과, 원형 형상의 봉체 막대기 또는 곧고 가는 형상의 판체 막대기에 빙수를 얼음처럼 결빙시켜 제조되는 스틱형 아이스 바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스틱형 아이스바는 한가지의 내용물을 그대로 얼려서 형성되는 일체타입과, 얼려진 아이스바를 초코 혹은 커피맛 등의 액상첨가물에 침액(浸液; 딥핑(Dipping))하여 외부에 별도의 층을 도포하므로 사용자에게 2가지 이상의 맛을 제공하는 딥핑타입이 있다.
종래의 딤핑된 스틱형 아이스바를 제조하는 공정은 우선 몰드(결빙기)에 빙수를 투입하여 저온으로 결빙시키면서 스틱을 공급하여 아이스바를 제조한 후,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로 이송한다.
그런데, 기곤의 아이스바 이송장치는 일시 정지하였다가 이송하는 과정을 거치기 위해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연결되는 걸림작동부재가 구비되어 스텝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걸림작동부재의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발생시 수리작업이 어려워 정비성이 현저하게 저하되고, 부품수 증가로 제조단가가 증가하였으며, 서보모터가 구동 및 피동기어를 통해 간접식으로 연결되므로 스텝작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는 그립퍼는 스텝 이송하는 것으로서, 감지센서의 감지 작동이 정확하지 않아 스텝이송이 정확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1999-013736호(고안의 명칭: 아이스크림자판기의 자동순환취출장치, 1999.04.26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몰드플레이트에서 냉동된 아이스바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1서보모터를 이용한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고,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분리승강부를 이용하여 분리 및 승강시킨 후 그립퍼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2서보모터를 이용한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여 딥핑 작업을 수행하므로 정확한 감지 이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는, 프레임에 구비되어 아이스바가 냉동된 몰드플레이트를 직결방식으로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방식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제1감지스텝이송부; 상기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로 잡아 픽업하도록 승강하는 분리승강부; 및 상기 분리승강부에서 분리되어 스틱을 잡은 상기 그립퍼를 딥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 이송시키는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스텝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체인부재를 기어치로 회전이송하는 한 쌍의 원판부재;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판부재를 지지하는 회전축;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축에 연결되어 제1감속기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1서보모터; 및 상기 제1서보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몰드플레이트에 스텝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제1감지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감지제어부는, 상기 회전축에 구비되고, 반경 외측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감지돌부가 형성되는 제1감지회전판; 상기 측면츨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감지회전판의 제1감지돌부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설치브라켓; 상기 제1설치브라켓에 구비되는 제1설치홀부; 상기 제1설치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감지돌부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감지돌부에 광을 조시하여 감지하는 제1센서부재;
상기 제1센서부재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1서보모터의 스텝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제1센서부재를 상기 제1설치홀부에 장착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승강부는, 상기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는 그립퍼를 지지하는 그립퍼부재; 상기 그립퍼부재의 양측을 지지하고, 나사봉부재의 회전을 통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블록; 상기 나사봉부재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부재; 상기 풀리부재에 감겨져 구동력을 상호 전달하는 동력벨트; 및 상기 풀리부재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서보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감지스텝이송부는,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를 지지하는 연결부재를 회전 이송하는 한 쌍의 회동판부재;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판부재를 지지하는 구동축;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의 축에 연결되어 제2감속기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2서보모터; 및 상기 제2서보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퍼에 스텝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제2감지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감지제어부는, 상기 구동축에 구비되고, 반경 외측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감지돌부가 형성되는 제2감지회전판;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감지회전판의 제2감지돌부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2설치브라켓; 상기 제2설치브라켓에 구비되는 제2설치홀부; 상기 제2설치홀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감지돌부에 광을 조시하거나 상기 제2감지돌부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재; 상기 제2센서부재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2서보모터의 스텝 회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2센서부재를 상기 제2설치홀부에 장착하는 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는, 몰드플레이트에서 냉동된 아이스바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1서보모터를 이용한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고,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분리승강부를 이용하여 분리 및 승강시킨 후 그립퍼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2서보모터를 이용한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여 딥핑 작업을 수행하므로 정확한 감지 이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제1감지스텝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제어부의 설치 상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제어부의 변형예로서, 근접센서 대신 광센서를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2감지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2감지제어부의 설치 상태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2감지제어부의 변형예로서, 광센서 대신 근접센서를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분리승강부의 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제1감지스텝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제어부의 설치 상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1감지제어부의 변형예로서, 근접센서 대신 광센서를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정면에서 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의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2감지제어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2감지제어부의 설치 상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제2감지제어부의 변형예로서, 광센서 대신 근접센서를 적용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에서 분리승강부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는,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아이스바가 냉동된 몰드플레이트(20)를 직결방식으로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방식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제1감지스텝이송부(100)와, 제1감지스텝이송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몰드플레이트(20)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312)로 잡아 픽업하도록 승강하는 분리승강부(200)와, 분리승강부(300)에서 분리되어 스틱을 잡은 상기 그립퍼(312)를 딥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 이송시키는 제2감지스텝이송부(400)를 포함한다.
제1감지스텝이송부(100)는, 프레임(10)에 지지된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몰드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체인부재(130)를 기어치(122)로 회전이송하는 한 쌍의 원판부재(120)와, 측면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원판부재(120)를 지지하는 회전축(140)과, 측면플레이트(110)에 측면에 설치되고, 회전축(140)의 축에 연결되어 제1감속기(150)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1서보모터(160)와, 제1서보모터(160)에 연결되어 몰드플레이트(20)에 스텝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제1감지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이때, 도 4를 참조하면, 제1감지제어부(200)는, 회전축(140)에 구비되고, 반경 외측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감지돌부(212)가 형성되는 제1감지회전판(210)과, 측면츨레이트(110)에 설치되고, 제1감지회전판(210)의 제1감지돌부(212)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설치브라켓(220)과, 제1설치브라켓(220)에 구비되는 제1설치홀부(230)와, 제1설치홀부(230)에 설치되어 제1감지돌부(212)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제1감지돌부(212)에 광을 조시하여 감지하는 제1센서부재(240)와, 제1센서부재(24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1서보모터(160)의 스텝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250)와, 제1센서부재(240)를 제1설치홀부(230)에 장착하는 장착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감지회전판(210)에는 제1감지돌부(212)에 대한 제1센서부재(2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위치조절장공(2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위치조절장공(222)은 상하로 배치되도록 도시하지만,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센서부재(240)는 근접센서 또는 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제1센서부재(240)가 근접센서인 것을 보이고 있고, 도 6에서는, 제1센서부재(240)가 광센서인 것을 보이고 있다.
제1설치홀부(230)는 제1감지회전판(210)의 가장자리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된다.
장착부(260)는 제1센서부재(240)의 둘레에 형성되는 나사산부(262)와, 나사산부(262)에 체결되고, 제1감지회전판(2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외측조임부재(264)와, 나사산부(262)에 체결되고, 제1감지회전판(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측조임부재(2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분리승강부(300)는, 몰드플레이트(20)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잡는 그립퍼(312)를 지지하는 그립퍼부재(310)와, 그립퍼부재(310)의 양측을 지지하고, 나사봉부재(330)의 회전을 통해 승강하는 한 쌍의 승강블록(320)와, 나사봉부재(330)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는 풀리부재(340)와, 풀리부재(340)에 감겨져 구동력을 상호 전달하는 동력벨트(350)와, 풀리부재(350) 중 어느 하나의 상측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서보모터(360)를 포함한다.
그립퍼부재(310)는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대에 몰드플레이트(20)의 어비방향으로 형성된 제빙 공간부의 개수만큼 형성 설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치된다.
승강블록(320)은 사각형 블록 형태로 이루어진다.
분리승강부(300)는 동력벨트(35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롤러(370)를 더 구비한다.
장력조절롤러(370)는 동력벨트(350)의 직교하는 연결부재(430)의 길이 방향으로 장력조절롤러(370)의 축이 이동할 수 있는 간격조절장공(372)을 구비할 수 있다.
장력조절롤러(370)의 축은 너트를 풀어준 후 장력조절장공(372)를 따라 동력벨트(350) 측으로 밀어주거나 동력벨트(350) 측에서 벗어나면서 장력이 조절되고, 동력벨트(350)의 장력 조절이 이루어진 후 너트를 조이므로 장력조절롤러(37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제2감지스텝이송부(400)는, 프레임(10)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0)에 설치되어 그립퍼(312)를 지지하는 연결부재(430)를 회전 이송하는 한 쌍의 회동판부재(420)와, 지지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동판부재(420)를 지지하는 구동축(440)과, 지지플레이트(410)에 측면에 설치되고, 구동축(440)의 축에 연결되어 제2감속기(450)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2서보모터(460)와, 제2서보모터(460)에 연결되어 그립퍼(312)에 스텝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제2감지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제2감지제어부(500)는, 구동축(440)에 구비되고, 반경 외측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감지돌부(512)가 형성되는 제2감지회전판(510)과, 지지플레이트(410)에 설치되고, 제2감지회전판(510)의 제2감지돌부(512)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2설치브라켓(520)과, 제2설치브라켓(520)에 구비되는 제2설치홀부(530)와, 제2설치홀부(530)에 설치되어 제2감지돌부(512)에 광을 조사하여 감지하거나 제2감지돌부(512)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재(540)와, 제2센서부재(54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2서보모터(460)의 스텝 회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550)와, 제2센서부재(540)를 제2설치홀부(630)에 장착하는 설치부(560)를 포함한다.
제2감지회전판(510)에는 제2감지돌부(512)에 대한 제2센서부재(540)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고정위치장공(52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고정위치장공(522)은 상하로 배치되도록 도시하지만,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센서부재(540)는 광센서 또는 근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 7 내지 도 10에서는, 제2센서부재(540)가 광센서인 것을 보이고 있고, 도 11에서는, 제2센서부재(540)가 근접센서인 것을 보이고 있다.
제2설치홀부(530)는 제2감지회전판(510)의 가장자리 원주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설치부(560)는 제2센서부재(540)의 둘레에 설치되는 설치플레이트(562)와, 설치플레이트(562)에 제2센서부재(54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결속부재(564)와, 제2감지회전판(510)의 외측에서 제2설치홀부(530)를 관통하여 제2센서부재(540)에 체결되어 고정하는 고정부재(56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566)에는 제2설치홀부(530)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와셔부재(567)가 더 구부될 수 있다.
설치플레이트(510)는 직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된다. 물론, 설치플레이트(562)는 원형 즐록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센서부재(540)는 직육면체 블록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광이 조사되는 광조사투명커버부(568)가 구비된다. 광조사투명커버부(568)는 내부에서 감지대상물인 제2감지돌부(512)로 빛이 조사되지만, 주위의 빛이 유입되어 오감지가 발생되지 않도록 반투명재질의 플라스틱 또는 강화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부재(564)는 한 쌍 구비되고 나사 또는 볼트를 포함한다.
고정부재(566)는 제2센서부재(540)의 중심부위에 형성된 나사홀에 체결되어 고정된다.
설치플레이트(562)와 제2센서부재(540)는 일측면이 동일한 면적은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장착에 유리하다.
제2감지스텝이송부(400)에는 아이스바를 딥핑하기 위해 승강하는 하나 이상의 딥핑용승강부재(610)가 구비된다, 딥핑용승강부재(610)는 실린더(620)에 의해 승강한다.
실린더(620)를 통해 딥핑용승강부재(610)가 하강 및 상승할 때에는 제2감지스텝이송부(400)는 제2서보모터(460)를 일시 정지한다. 그리고, 딥핑용승강부재(610)의 승싱이 완료되면, 제2서보모터(460)를 작동하여 그립퍼(312)에 스틱이 잡혀 있는 아이스바를 다시 이송시킨다.
또한, 제2감지스텝이송부(400)의 배출 측에는 그립퍼부재(310)의 그립퍼(312)가 벌려지면서 스틱을 높아주어 가이드배출통로를 통해 아이스바를 후속 포장작업을 위해 배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는, 몰드플레이트에서 냉동된 아이스바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1서보모터를 이용한 제1감지스텝이송부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고, 몰드플레이트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분리승강부를 이용하여 분리 및 승강시킨 후 그립퍼를 직결식으로 연결된 제2서보모터를 이용한 제2감지스텝이송부를 이용하여 스텝 이송하여 딥핑 작업을 수행하므로 정확한 감지 이송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몰드플레이트
100 : 제1감지스텝이송부 110 : 측면플레이트
120 : 원판부재 122 : 기어치
130 : 체인부재 140 : 회전축
150 : 제1감속기 160 : 제1서보모터
200 : 제1감지제어부 210 : 제1감지회전판
212 : 제1감지돌부 220 : 제1설치브라켓
222 : 위치조절장공 230 : 제1설치홀부
240 : 제1센서부재 250 : 제1제어부
260 : 장착부 262 : 나사산부
264 : 외측조임부재 266 : 내측조임부재
300 : 분리승강부 310 : 그립퍼부재
312 : 그립퍼 320 : 승강블록
330 : 나사봉부재 340 : 풀리부재
350 : 동력벨트 360 : 승강서보모터
370 : 장력조절롤러 372 : 장력조절장공
400 : 제2감지스텝이송부 410 : 지지플레이트
520 : 회동판부재 430 : 연결부재
440 : 구동축 450 :제2감속기
460 : 제2서보모터 500 : 제2감지제어부
510 : 제2감지회전판 512 : 제2감지돌부
520 : 제2설치브라켓 522 : 고정위치장공
530 : 제2설치홀부 540 : 제2센서부재
550 : 제2제어부 560 : 설치부
562 : 설치플레이트 564 : 결속부재
566 : 고정부재 567 : 와셔부재
568 : 굉조사투명커버부 610 : 딥핑용승강부재
620 : 실린더

Claims (5)

  1. 프레임(10)에 구비되어 아이스바가 냉동된 몰드플레이트(20)를 직결방식으로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방식으로 회전 이송시키는 제1감지스텝이송부(100);
    상기 제1감지스텝이송부(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몰드플레이트(20)에 수용된 아이스바의 스틱을 그립퍼(312)로 잡아 픽업하도록 승강하는 분리승강부(300); 및
    상기 분리승강부(300)에서 분리되어 스틱을 잡은 상기 그립퍼(312)를 딥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연결되어 감지를 통해 스텝 이송시키는 제2감지스텝이송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스텝이송부(100)는,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된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110)에 설치되어 상기 몰드플레이트(20)를 지지하는 체인부재(130)를 기어치(122)로 회전이송하는 한 쌍의 원판부재(120);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원판부재(120)를 지지하는 회전축(140);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140)의 축에 연결되어 제1감속기(150)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1서보모터(160); 및
    상기 제1서보모터(160)에 연결되어 상기 몰드플레이트(20)에 스텝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제1감지제어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제2감지스텝이송부(400)는,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된 한 쌍의 지지플레이트(410)에 설치되어 상기 그립퍼(312)를 지지하는 연결부재(430)를 회전 이송하는 한 쌍의 회동판부재(420);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회동판부재(420)를 지지하는 구동축(440);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440)의 축에 연결되어 제2감속기(450)를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제2서보모터(460); 및
    상기 제2서보모터(460)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퍼(312)에 스텝 이송력을 제공하도록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제2감지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제어부(200)는,
    상기 회전축(140)에 구비되고, 반경 외측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감지돌부(212)가 형성되는 제1감지회전판(210);
    상기 측면플레이트(1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감지회전판(210)의 제1감지돌부(212)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1설치브라켓(220);
    상기 제1설치브라켓(220)에 구비되는 제1설치홀부(230);
    상기 제1설치홀부(2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감지돌부(212)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상기 제1감지돌부(212)에 광을 조사하여 감지하는 제1센서부재(240);
    상기 제1센서부재(24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1서보모터(160)의 스텝 회전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250); 및
    상기 제1센서부재(240)를 상기 제1설치홀부(230)에 장착하는 장착부(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제어부(500)는,
    상기 구동축(440)에 구비되고, 반경 외측에 설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감지돌부(512)가 형성되는 제2감지회전판(510);
    상기 지지플레이트(410)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감지회전판(510)의 제2감지돌부(512) 측으로 연장 설치되는 제2설치브라켓(520);
    상기 제2설치브라켓(520)에 구비되는 제2설치홀부(530);
    상기 제2설치홀부(530)에 설치되어 상기 제2감지돌부(512)에 광을 조사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제2감지돌부(512)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2센서부재(540);
    상기 제2센서부재(540)의 감지신호를 통해 제2서보모터(460)의 스텝 회전을 제어하는 제2제어부(550); 및
    상기 제2센서부재(540)를 상기 제2설치홀부(530)에 장착하는 설치부(5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KR1020190003628A 2019-01-11 2019-01-11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KR10215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28A KR102156111B1 (ko) 2019-01-11 2019-01-11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628A KR102156111B1 (ko) 2019-01-11 2019-01-11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05A KR20200087405A (ko) 2020-07-21
KR102156111B1 true KR102156111B1 (ko) 2020-09-15

Family

ID=71832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628A KR102156111B1 (ko) 2019-01-11 2019-01-11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11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5830A1 (en) 2003-01-30 2006-07-27 Klaus Korndorfer Device for inserting sticks into moulds for producing confectionery on a stick
JP2017099374A (ja) 2015-12-04 2017-06-08 サイトー機械金属株式会社 スティック付き冷菓抜取方法、及び抜取装置
KR101771952B1 (ko) * 2015-10-19 2017-08-28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2110B1 (ko) * 2004-05-03 2006-01-11 이익재 빙과류용 스틱 공급장치
KR100958085B1 (ko) * 2008-10-31 2010-06-08 (주)바라 아이스크림 스푼 자동 접이장치
KR101122119B1 (ko) * 2009-06-04 2012-03-16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딥핑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5830A1 (en) 2003-01-30 2006-07-27 Klaus Korndorfer Device for inserting sticks into moulds for producing confectionery on a stick
KR101771952B1 (ko) * 2015-10-19 2017-08-28 이익재 스틱형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JP2017099374A (ja) 2015-12-04 2017-06-08 サイトー機械金属株式会社 スティック付き冷菓抜取方法、及び抜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7405A (ko)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43542B (zh) 用于浸胶手套生产线的胶池系统及浸胶手套生产线
KR102156111B1 (ko) 직결식 스틱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CN110541194A (zh) 一种用于半导体设备单晶炉内石英坩埚的高度调节装置
KR101771952B1 (ko) 스틱형 아이스바 스텝 이송장치
US6165405A (en) Press for encapsula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methods for use of the press
CN215318895U (zh) 一种天麻片加工用切片装置
CN213939602U (zh) 一种冰激凌月饼自动成型机
CN210655095U (zh) 一种自动托盘翻转装置
KR101529707B1 (ko) 컵 제품 제조용 회전식 동력장치
CN106665920A (zh) 茶叶杀青理条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0050820A (ja) 米飯自動盛付機における飯起こし装置
CN210746914U (zh) 一种蜂蜜槽子糕烘烤装置
CN212502492U (zh) 一种螺杆输送机进料装置
CN215491434U (zh) 一种注塑成型成品质检装置
CN216037744U (zh) 一种装饰纸剁对齐装置
CN216795674U (zh) 一种玉米种子自动包衣装置
CN219077669U (zh) 有机复混肥生产过程中具备自动报警的承载装置
CN209633344U (zh) 一种混泥土小预制构件生产中的高效精准下料、出料机构
CN219859517U (zh) 一种空注塑盒自动上料机构
CN114179289B (zh) 一种配装全自动智能控制机械臂的射骨机
CN214566743U (zh) 一种贴标升降固定装置
CN220660999U (zh) 一种包装印刷用的切割装置
CN217199133U (zh) 一种空调生产用贴标机
CN219728636U (zh) 一种伺服糖果机上料输送机
CN218297332U (zh) 一种药物称重精度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