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925B1 -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925B1
KR102155925B1 KR1020167010668A KR20167010668A KR102155925B1 KR 102155925 B1 KR102155925 B1 KR 102155925B1 KR 1020167010668 A KR1020167010668 A KR 1020167010668A KR 20167010668 A KR20167010668 A KR 20167010668A KR 102155925 B1 KR102155925 B1 KR 102155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inting
ink
inspection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0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876A (ko
Inventor
마사유키 이즈메
Original Assignee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니뽄 내셔날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96884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066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96880A external-priority patent/JP631066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9687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00741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니뽄 내셔날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머 플래닝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8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 B41F17/1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 B41F17/2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 B41F17/22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filamentary or elongated articles, or on articles with cylindrical surfaces on articles of finite length on articles of uniform cross-section, e.g. pencils, rulers, resistors by rolling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 B41F33/0045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for automatically regulating the ink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3/00Common details of rotary presses or machines
    • B41F13/08Cylinders
    • B41F13/10Forme cylinders
    • B41F13/12Registering devices
    • B41F13/14Registering devices with means for displacing the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10Applications of feed or duct rollers
    • B41F31/12Applications of feed or duct rollers adjustable for regulating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1/00Inking arrangements or devices
    • B41F31/02Ducts, containers, supply or metering devices
    • B41F31/14Applications of messenger or other moving transfe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36Devices for scanning or checking the printed matter for 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081Devices for scanning register ma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41F33/04Tripping devices or stop-motions
    • B41F33/14Automatic control of tripping devices by feelers, photoelectric devices, pneumatic devices, or other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in opaque containers or opaque container parts, e.g. cans, tins, caps, lab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6Inspect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3/00Arrangements for the operation of printing presses
    • B41P2233/10Starting-up the machine
    • B41P2233/13Pre-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3/00Arrangements for the operation of printing presses
    • B41P2233/50Marks on printed material
    • B41P2233/51Marks on printed material for colour quality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33/00Arrangements for the operation of printing presses
    • B41P2233/50Marks on printed material
    • B41P2233/52Marks on printed material for regis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ing, Control Or Cleaning Of Printing Machin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pectrometry And Color Measurement (AREA)

Abstract

인쇄기의 인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농도나 인쇄 어긋남값의 측정이 가능한 캔 검사 장치를 구비한 캔 인쇄 장치를 제공한다.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53)는, 제1 카메라로 촬영된 캔 전체의 화상을 사용하여, 마스터 화상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인쇄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화상 검사 수단(54)과, 상기 제1 카메라로 촬영된 캔 전체의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지정된 위치에 있어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수단(55)과, 제2 카메라로 촬영된 캔의 개구측 단부의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캔의 개구측 단부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CAN-PRINTING APPARATUS AND CAN INSPECTION DEVICE}
본 발명은,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 더 자세하게는,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하는 캔 검사 장치를 구비한 캔 인쇄 장치 및 캔 인쇄 장치에 부설되는 캔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캔에 대한 인쇄기로서, 캔을 공급하는 캔 공급 수단과, 각 색마다 잉크를 공급하는 복수의 잉크 공급 수단과, 각 잉크 공급 수단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잉크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잉크가 도착(塗着)되는 복수의 판동(版胴)과, 각 판동으로부터 순차로 잉크가 전사된 후, 상기 캔체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캔에 잉크를 전사하는 블랭킷을 구비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하는 검사 장치로서, 특허문헌 2에는, 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것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는, 마스터 화상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인쇄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화상 검사 수단을 갖고 있으며, 화상 검사 수단에 있어서, 인쇄의 누락이나 외관상의 얼룩 등이 검사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12996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평5-126762호 공보
상기한 종래의 캔에 대한 인쇄기 및 캔 검사 장치는, 각각 독립된 장치로서 사용되고 있고, 캔 검사 장치에서 얻어진 검사 결과는, 인쇄기의 제어에 반영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캔 검사 장치에 의한 검사에 있어서, 외관에 관해서 양품인지 불량품인지의 검사는 가능하지만, 인쇄기의 인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농도 및 인쇄 어긋남에 관해서는 검사되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농도 불량에 관해서는, 육안 검사로 불량품이 발견된 경우에, 인쇄기에 있어서의 잉크 공급량을 작업자가 변경하는 순으로 대응하게 되어, 농도 불량에 대한 대응이 지연되어 불량품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인쇄 어긋남 불량에 관해서는, 육안 검사로 불량품이 발견된 경우에, 인쇄기에 있어서의 위치 맞춤을 작업자가 행하는 순으로 대응하게 되어, 인쇄 어긋남 불량에 대한 대응이 지연되어 불량품이 많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농도 불량품, 인쇄 어긋남 불량품을 대폭 감소할 수 있는 캔 인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기의 인쇄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데에 필요한 농도나 인쇄 어긋남값의 측정이 가능한 캔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 인쇄 장치는, 상이한 색을 인쇄하기 위한 복수의 판동을 가지고 캔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와,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하는 캔 검사 장치와, 캔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기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통상,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는 육안 확인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인쇄 조건의 변경은 수작업으로 행해지고 있다. 육안 확인 대신에, 캔 검사 장치를 사용한 검사도 행해지고 있지만, 검사 결과를 즉석에서 피드백하여 인쇄기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는 것은 행해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의 캔 인쇄 장치에서는, 캔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사람의 손을 통하지 않고 인쇄기의 인쇄 조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인쇄 불량이 조기에 해소되어, 불량품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상기한 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기의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 포트(pot)를 구성하는 잉크 포트 롤러에 근접하여, 잉크 포트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잉크 호출 롤러가 배치되고, 각 잉크 호출 롤러가, 잉크 포트 롤러에 접촉하는 호출 위치와 잉크 포트 롤러로부터 떨어지는 비호출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둔 호출 타이밍마다, 소요의 잉크 호출 롤러의 위치를 전환하여 잉크를 호출하고, 잉크 호출 롤러마다, 잉크 포트 롤러에 접촉하고 나서 떨어지기까지의 잉크 포트 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잉크 호출 롤러와 잉크 포트 롤러의 접촉 길이를 제어하는 것이고, 캔 검사 장치는, 캔을 회전시키는 캔 회전 장치와,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캔에 인쇄된 화상의 농도를 각 색마다 또한 각 잉크 호출 롤러에 대응하는 소정 개소마다 측정하여,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농도 측정 수단을 갖고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캔 검사 장치의 농도 측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각 농도치에 기초하여 각 색마다 각 잉크 호출 롤러와 잉크 포트 롤러의 접촉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농도 측정 수단에서는, 사용되는 판동의 수와 사용되는 잉크 호출 롤러의 수의 곱의 수만큼 농도 측정 개소가 설정되어 있고, 각 농도 측정 개소에 있어서, 마스터 화상의 농도와의 농도차가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인쇄되는 색이 8색(판동의 수가 8개)이고 잉크 호출 롤러의 수가 7개(캔이 높이 방향으로 7개의 존으로 나누어져 있음)인 경우, 농도가 측정되는 개소는, 8×7 = 56개소(잉크 롤러의 수가 전부 56개)가 된다.
인쇄기의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에서는, 캔 검사 장치로부터의 출력에 따라, 농도가 옅은 개소에 대응하고 있는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는 잉크 포트 롤러와의 접촉 길이를 길게 하고, 농도가 짙은 개소에 대응하고 있는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는 잉크 포트 롤러와의 접촉 길이를 짧게 하는 변경을 행하여, 각 색의 농도가 모든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 동일해지도록 잉크 공급량을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캔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농도 측정 결과가 즉석에서 인쇄기에 피드백되고, 이에 따라, 농도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농도를 수정할 수 있어, 농도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캔 검사 장치는, 캔을 회전시키는 캔 회전 장치와,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캔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갖고 있고, 인쇄기는, 캔 검사 장치에 의해 측정된 인쇄 어긋남값에 기초하여, 판동의 위치 맞춤을 자동으로 행하는 위치 맞춤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의해 구해진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는 인쇄기에 피드백되고,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위치 맞춤 장치에 의해 자동적으로 판동의 위치가 조정된다. 이에 따라, 인쇄 어긋남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인쇄 어긋남값(인쇄기의 판동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위치 맞춤)할 수 있어, 양호한 인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캔 검사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가 즉석에서 인쇄기에 피드백되고, 이에 따라, 인쇄 어긋남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하고, 인쇄 어긋남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인쇄 어긋남을 수정할 수 있어, 인쇄 어긋남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인쇄기의 각 판동은, 각 판동의 인쇄 어긋남값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검사용 마크를 캔의 개구측의 단부에 인쇄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의 개구측 단부는, 덮개가 씌워지는 부분으로, 종래의 캔에서는 인쇄가 실시되어 있지 않아 검사할 필요가 없었던 개소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에서는, 캔의 개구측 단부에, 각 색마다,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가 인쇄된다.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는, 덮개가 씌워짐으로써 보이지 않게 되고, 음료가 충전되어 제품으로 된 상태에서는, 캔은 종래의 것과 외관상 전혀 다르지 않은 것이 된다.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는, 캔 검사 장치에 설치된 카메라로 촬영된다. 이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카메라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화상 검사용 카메라와는 별도로 설치된다.
위치 맞춤 장치는, 판동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 방향 이동 수단과, 판동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축 방향 이동 수단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지지되어 판동축과 일체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축 방향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축 방향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축 방향 구동 수단은,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1 회전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제1 암나사 부재와, 제1 회전축을 구동하는 제1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둘레 방향 이동 수단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판동축에 부착됨과 동시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된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판동축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둘레 방향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구동 수단은,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2 회전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 회전축에 설치된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제2 암나사 부재와, 제2 회전축을 구동하는 제2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있어서의 캔의 높이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1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있어서의 캔의 둘레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2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치 맞춤 장치는, 종래, 수동식이고, 인쇄 어긋남의 상태를 기초로 판동 위치를 수정(위치 맞춤)하려면 숙련된 작업자가 필요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인쇄 장치에서는 위치 맞춤이 자동적으로 행해진다. 그리고, 제1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있어서의 캔의 높이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1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있어서의 캔의 둘레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2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정밀도가 양호한 자동 위치 맞춤이 실현된다.
캔 검사 장치는, 예컨대, 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하는 캔 검사 장치에 있어서, 촬영 장치는, 캔 전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캔의 개구측 단부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마스터 화상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인쇄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화상 검사 수단과,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지정된 위치에 있어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수단과, 제2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캔의 개구측 단부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된다.
제1 카메라는, 화상 검사를 행하기 위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화상 검사 및 농도 측정은, 이 제1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는, 캔의 개구측 단부만을 촬영하는 것이 된다.
화상 검사 수단에 의한 검사에서는, 마스터 화상과 촬영 화상이 1화소마다 비교되고, 화상의 부분적 누락이나 잉크 비산에 의한 얼룩 등이 검사된다.
상기한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캔 인쇄 장치에 있어서, 인쇄기의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 포트를 구성하는 잉크 포트 롤러에 근접하여, 잉크 포트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잉크 호출 롤러가 배치되고, 각 잉크 호출 롤러가, 잉크 포트 롤러에 접촉하는 호출 위치와 잉크 포트 롤러로부터 떨어지는 비호출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둔 호출 타이밍마다, 소요의 잉크 호출 롤러의 위치를 전환하여 잉크를 호출하고, 잉크 호출 롤러마다, 잉크 포트 롤러에 접촉하고 나서 떨어지기까지의 잉크 포트 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잉크 호출 롤러와 잉크 포트 롤러의 접촉 길이를 제어하는 것이고, 캔 검사 장치의 화상 처리 장치는, 캔에 인쇄된 화상의 농도를 각 색마다 또한 각 잉크 호출 롤러에 대응하는 소정 개소마다 측정하여,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농도 측정 수단을 더 갖고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캔 검사 장치의 농도 측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각 농도치에 기초하여 각 색마다 각 잉크 호출 롤러와 잉크 포트 롤러의 접촉 길이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캔 검사 장치의 농도 측정 수단에 의한 검사에서는, 각 색마다 지정된 개소(농도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농도가 측정된다. 농도 측정 결과는 인쇄기에 피드백되고, 이에 따라, 농도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농도를 수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인쇄 어긋남값뿐만 아니라 농도에 관해서도 수정되어, 보다 양호한 인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 검사 장치는, 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캔 인쇄 장치에 부설되어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함과 동시에, 검사 결과를 캔 인쇄 장치에 피드백하는 캔 검사 장치로서, 촬영 장치는, 캔 전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캔의 개구측 단부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마스터 화상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인쇄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화상 검사 수단과,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지정된 위치에 있어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수단과, 제2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캔의 개구측 단부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카메라는, 화상 검사를 행하기 위해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화상 검사 및 농도 측정은, 이 제1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제2 카메라는, 캔의 개구측 단부만을 촬영하는 것이 된다.
화상 검사 수단에 의한 검사에서는, 마스터 화상과 촬영 화상이 1화소마다 비교되고, 화상의 부분적 누락이나 잉크 비산에 의한 얼룩 등이 검사된다.
농도 측정 수단에 의한 검사에서는, 각 색마다 지정된 개소(농도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농도가 측정된다. 농도 측정 결과는 인쇄기에 피드백되고, 이에 따라, 농도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농도를 수정할 수 있어, 양호한 인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캔의 개구측 단부에는, 각 색마다,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가 인쇄되고, 이것이 제2 카메라로 촬영되어,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의해 인쇄 어긋남값이 구해진다.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는 인쇄기에 피드백되고, 이에 따라, 인쇄 어긋남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인쇄 어긋남값(인쇄기의 판동의 위치 어긋남)을 수정(위치 맞춤)할 수 있어, 양호한 인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회전 장치는, 모터로 구동되는 연직형의 구동측 회전축과, 구동측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연직형의 종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에 동심으로 부착되어 캔을 흡착 유지하는 원기둥형의 유지 부재와, 구동측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인코더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구동측 회전축의 하단부 및 종동측 회전축의 상단부에, 각각 흡인력을 서로 미치는 자석이 설치됨으로써, 구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의 촬영시에는, 캔을 정확히 1회전시키는 회전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한 회전 장치에서는, 구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이 자석끼리의 흡인력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캔을 정확히 1회전시킬 수 있다. 구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 사이에는, 약간의 간극이 있어도 좋지만, 흡착력을 크게 하기 위해 간극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캔 인쇄 장치에 의하면, 캔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기의 인쇄 조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인쇄 불량이 조기에 해소되어, 불량품을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캔 검사 장치에 의하면, 종래 측정하지 못했던 농도나 인쇄 어긋남값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것을 인쇄기의 인쇄 조건에 반영시킴으로써, 인쇄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캔 인쇄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캔 검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쇄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인쇄기의 주요부의 확대 측면도이다.
도 5는, 인쇄기의 잉크 공급 장치의 주요부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잉크 이동 롤러 유닛의 일부 절결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인쇄기의 위치 맞춤 장치의 종단면도로, 도 4의 VIII-VII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캔 검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I-XI 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캔 검사 장치의 회전 장치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캔 검사 장치에 의한 화상의 취득 스텝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캔 검사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농도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캔 검사 장치에 의해 얻어지는 인쇄 어긋남 데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캔 인쇄 장치(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캔 인쇄 장치(1)는, 캔(C)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2)와, 인쇄 후의 캔(C)의 인쇄면을 건조시키는 건조기(4)와, 인쇄면의 인쇄 상태를 검사하는 캔 검사 장치(5)와, 캔 검사 장치(5)의 검사 결과를 인쇄기(2)에 피드백하고, 캔 검사 장치(5)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기(2)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는 검사 결과 피드백용 제어 장치(49)와, 캔(C)을 반송하는 반송 장치(50)를 구비하고 있다.
인쇄기(2)는, 정상부가 개구되어 있는 원통형의 캔 본체(2피스 캔의 본체로, 이하에서는 이것을 간단히 캔(C)이라고 칭함)에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다.
캔(C)은, 인쇄기(2)에서 인쇄된 후, 건조기(4)를 거쳐, 후류로 이송되어 간다. 건조기(4)를 통과한 다수의 캔(C) 중의 일부는,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 그 인쇄 상태가 검사된다.
반송 장치(50)는, 캔(C)을 인쇄기(2)에 공급하고, 인쇄된 캔(C)을 후류로 이송하여 가는 주라인(50a)과, 건조기(4)를 통과한 다수의 캔(C) 중의 일부를 캔 검사 장치(5)로 이송하는 추출 라인(50b)과,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 양품이라고 여겨진 캔(C)을 주라인(50a)에 복귀시키는 복귀 라인(50c)을 갖고 있다.
캔 검사 장치(5)에서는, 도 2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 장치(51)에 의해 캔(C)이 회전되고, 회전 장치(51)의 구동측과 종동측의 캔(C)이 인코더(92)를 통해 동기되어, 촬영 장치(52)에 의해 화상이 촬영되고, 화상 처리 장치(53)에 있어서 화상이 처리된다.
캔 검사 장치(5)에는,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53)로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검사 수단(54), 농도 측정 수단(55) 및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이 설치되어 있다.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 양품이라고 여겨진 캔(C)은, 상기한 바와 같이 주라인(50a)에 복귀되고,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 검사 불합격품이라고 여겨진 캔(C')은, 검사 불합격품 보관부(57)로 배출된다.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의 농도 측정 수단(55)에 의해 얻어진 농도 및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에 의해 얻어진 인쇄 어긋남값은, 검사 결과 피드백용 제어 장치(49)에 의해 인쇄기(2)에 피드백된다. 인쇄기(2)에 있어서는, 농도에 따라, 제어 장치(34)에 의해 잉크 공급량이 조정되고,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자동 위치 맞춤 장치(58)에 의해 판동 위치가 조정된다.
인쇄기(2)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이 상이한 색을 인쇄하기 위한 판을 구비한 복수(도시는 8개)의 판동(47)과, 판동(47)으로부터 잉크가 전사되어 캔에 인쇄를 행하는 블랭킷동(48)과, 각 판동(47)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공급 장치(3)와, 판동(47)의 위치 조정(위치 맞춤)을 행하는 위치 맞춤 장치(58)와, 복수의 캔 이송 롤러(59a) 및 캔 이송 슈트(59b)로 이루어지는 캔 이송 장치(59)를 갖고 있다.
위치 맞춤 장치(58)는, 판동(47)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 방향 이동 수단(96)과, 판동(47)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이동 수단(97)을 구비하고 있다. 위치 맞춤 장치(58)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이동 수단(96)(97)에 설치된 모터(109)(11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24)(125)가 설치되어 있다.
도 5부터 도 7까지 잉크 공급 장치를 나타낸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5의 우측(도 6의 하측)을 앞, 도 5의 좌측(도 6의 상측)을 뒤로 하고, 앞에서 보았을 때의 좌우를 좌우로 한다.
도 5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공급 장치(3)에 있어서는, 잉크 포트 부재(40)의 후단부에 근접하도록 잉크 포트 롤러(41)가 배치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잉크 포트(42)가 구성되고, 잉크 포트 부재(40)의 후단부와 잉크 포트 롤러(41)의 표면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갖는 잉크 통로(43)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포트 롤러(41)의 후방에, 복수의 잉크 반죽 롤러(44)(46) 중의 최초의 잉크 반죽 롤러(44)가 배치되고, 잉크 포트 롤러(41)와 이 잉크 반죽 롤러(44) 사이에, 양자에 근접하여, 잉크 호출 롤러 유닛(45)이 배치되어 있다. 롤러 유닛(45)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러(41)(44)의 축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도시는 7개)의 잉크 호출 롤러(15)의 집합체이고, 이들 잉크 호출 롤러(15)가 축 방향으로 작은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들 롤러(15)(41)(44)의 축은 서로 평행하고, 좌우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다. 잉크 포트 롤러(41)와 잉크 반죽 롤러(44)는, 인쇄기의 프레임(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구동 장치에 의해, 서로 동기한 소정의 회전 속도로 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연속 회전된다. 예컨대, 잉크 포트 롤러(41)의 회전 속도는, 잉크 반죽 롤러(44)의 그것의 1/10 정도이다.
호출 롤러 유닛(45)의 상세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롤러 유닛(45)의 부분 절결 평면도, 도 7은 도 6을 좌측으로부터 본 확대 횡단면도이다.
롤러(41)(44)와 평행한 직선형의 지지 부재(6)의 좌우 양단부가 프레임(7)에 고정되고, 지지 부재(6)의 주위에 복수의 가동 부재(8)가 부착되어 있다. 지지 부재(6)는, 상하폭보다 전후폭이 조금 큰 각기둥형을 이룬다. 가동 부재(8)는 짧은 원기둥형을 이루고, 가동 부재(8)에는 이것을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비교적 큰 각형의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7)에 대향형으로 고정되어 지지 부재(6)에 관통된 한쌍의 짧은 원기둥형의 고정 부재(10) 사이에 복수의 가동 부재(8)가 축 방향으로 배열되고, 이들 가동 부재(8)의 구멍(9)에 지지 부재(6)가 통과되어 있다.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상하폭은 지지 부재(6)의 상하폭과 거의 동일하고, 구멍(9)의 상하 양면이 지지 부재(6)의 상하 양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다. 또한, 구멍(9)의 전후폭은 지지 부재(6)의 전후폭보다 조금 크고, 가동 부재(8)는, 지지 부재(6)에 대하여, 구멍(9)의 후면이 지지 부재(6)의 후면에 접하는 전단 위치와, 구멍(9)의 전면이 지지 부재(6)의 전면에 접하는 후단 위치 사이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지지 부재(6)와 슬라이딩 접촉하는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상면에, 가동 부재(8)의 전체 길이에 걸치는 각진 홈(11)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동 부재(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부재(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고, 가동 부재(8) 상호간 및 양단의 고정 부재(10)와의 사이에는, 축 방향으로 약간의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가동 부재(8)는, 지지 부재(6)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각 가동 부재(8)의 외주에, 구름 베어링인 볼 베어링(12)의 내륜이 고정되어 있다. 각 볼 베어링(12)의 외륜의 외주에 금속제 슬리브(14)가 고정되고, 슬리브(14)의 외주에 고무제 후육 원통형의 잉크 호출 롤러(15)가 고정되어 있다.
인접하는 가동 부재(6)의 외주 상호간에, 짧은 원기둥형의 방진 부재(16)가 끼워 씌워져 있다. 방진 부재(16)는, 예컨대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합성 수지 등의 적당한 고무형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고, 그 양단부에 내측으로 조금 연장된 플랜지부(16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플랜지부(16a)가 가동 부재(8)의 좌우 양단 근처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된 환형 홈(17)에 끼워짐으로써, 방진 부재(16)가 가동 부재(8)에 고정되어 있다. 좌우 양단의 가동 부재(8)와 이들에 인접하는 고정 부재(10)의 외주 상호간에도, 동일한 방진 부재(16)가 끼워 씌워져 있다.
각 가동 부재(8)와 지지 부재(6) 사이의 지지 부재(6)측에, 다음과 같이, 잉크 호출 롤러(15)의 위치를 전환하는 롤러 위치 전환 장치(19)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 부재(8)의 축 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지지 부재(6)의 부분에, 전면으로부터 조금 후방까지 신장된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실린더부(20)가 형성됨과 동시에, 후면으로부터 조금 전방까지 신장된 스프링 수용 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20)의 중심과 스프링 수용 구멍(21)의 중심은, 가동 부재(8)의 상하 방향의 중심 근방에 있는 전후 방향의 하나의 직선 상에 있다. 실린더부(20) 내에, 짧은 원기둥형의 피스톤(22)이 O 링(23)을 통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스프링 수용 구멍(21) 내에, 압박 부재로서의 볼(24)이 전후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이것을 후방향으로 압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25)이 삽입되어 있다.
피스톤(22)의 중심에 대향하는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전면 및 볼(24)의 중심에 대향하는 구멍(9)의 후면에, 각각, 오목부(26)(27)가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26)(27)의 가동 부재(8) 축 방향의 폭은 일정하다. 가동 부재(8)의 축선과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의 각 오목부(26)(27)의 단면 형상은 일정하며, 상기 축선과 평행한 직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형을 이룬다. 오목부(26)에 대향하는 피스톤(22)의 단부면의 중심에 끝이 가는 테이퍼형의 돌기(22a)가 형성되고, 이 돌기(22a)가 오목부(26)에 끼워져 있다. 또, 피스톤(22)의 돌기(22a)를 제외한 부분의 길이는 실린더부(20)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피스톤(22)이 실린더부(20) 내로 가장 물러나 들어간 상태에서도, 돌기(22a)의 대부분이 지지 부재(6)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볼(24)의 외주의 일부가 오목부(27)에 끼워져 있다.
지지 부재(6)의 후방부에 있어서, 볼(24)은, 항상, 스프링(25)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후면에 압접되고, 볼(24)의 외주의 일부가, 오목부(27)에 끼워져, 오목부(27)의 전후의 가장자리에 압접되어 있다. 한편, 지지 부재(6)의 전방부에 있어서는, 지지 부재(6)의 전면 혹은 피스톤(22)이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전면에 압접되고, 피스톤(22)의 돌기(22a)의 대부분이 오목부(26)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피스톤(22)의 돌기(22a)의 대부분과 볼(24)의 일부가, 항상, 오목부(26)(27)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지지 부재(6)에 대한 가동 부재(8)의 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져 있다.
지지 부재(6)에, 그 좌단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신장되어 우단 부근에서 폐쇄된 횡단면 원형의 급기 구멍(28)이 형성되고, 이 구멍(28)의 좌단 개구단이 적당한 배관을 통해 압축 공기원(29)에 접속되어 있다.
가동 부재(8)의 홈(11)에 면하고 있는 지지 부재(6)의 상면에 전환 밸브(솔레노이드 밸브)(30)가 부착되고, 이 밸브(30)의 2개의 포트가 지지 부재(6)에 형성된 연통 구멍(31)(32)을 통해 급기 구멍(28)과 실린더부(20)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또한, 밸브(30)의 전선(33)이 홈(11)의 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고, 제어 장치(34)에 접속되어 있다.
밸브(20)에 통전된 상태(온 상태)에서는 실린더부(20)가 밸브(30)를 통해 급기 구멍(28)에 연통되고, 통전을 정지한 상태(오프 상태)에서는 실린더부(20)가 밸브(30)를 통해 대기와 연통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34)로 각 전환 장치(19)의 밸브(30)의 통전 상태를 개별적으로 전환함으로써, 각 잉크 호출 롤러(15)의 전후 방향의 위치가 개별적으로 전환된다.
밸브(3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실린더부(20)가 대기와 연통되기 때문에, 피스톤(22)은 실린더부(20) 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가동 부재(8)는 스프링(25)에 의해 볼(24)을 통해 후측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가동 부재(8) 및 잉크 호출 롤러(15)는 후단 위치(비호출 위치)로 전환되고, 잉크 호출 롤러(15)가 잉크 포트원 롤러(41)로부터 떨어져 잉크 반죽 롤러(44)에 압접한다.
밸브(30)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실린더부(20)가 급기 구멍(28) 및 또한 이것을 통해 압축 공기원(29)에 연통되기 때문에, 실린더부(20)에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25)의 힘에 대항하여, 피스톤(22)이 지지 부재(6)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것에 의해 가동 부재(8)가 전측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가동 부재(8) 및 잉크 호출 롤러(15)는 전단 위치(호출 위치)로 전환되고, 잉크 호출 롤러(15)가 잉크 반죽 롤러(44)로부터 떨어져 잉크 포트 롤러(41)에 압접한다.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저벽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지지 부재(6)의 하면에, 자기 센서로 이루어지는 위치 전환 검지 센서(35)가 매립식으로 고정되고, 이것에 대향하는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저벽에, 영구 자석(36)이 매립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센서(35)의 하면은, 지지 부재(6)의 하면과 동일면이거나, 그것보다 조금 내측(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영구 자석(36)의 상면은, 가동 부재(8)의 구멍(9)의 저벽면과 동일면이거나, 그것보다 조금 내측(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가동 부재(8)가 후단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센서(35)는 영구 자석(36)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대향하고, 가동 부재(8)가 전단 위치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센서(35)는 영구 자석(36)으로부터 후방으로 벗어난다. 따라서, 가동 부재(8)의 위치에 따라 센서(35)의 출력이 변화되고, 센서(35)의 출력에 의해, 가동 부재(8) 즉 잉크 호출 롤러(15)가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잉크 포트(42) 내의 잉크는, 잉크 통로(43)를 통과하여 잉크 포트 롤러(41)의 외주 표면으로 나온다. 잉크 포트 롤러(41)의 표면으로 나오는 잉크의 막두께는 잉크 통로(43)의 간극의 크기에 대응하고, 잉크 통로(43)의 간극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잉크 포트 롤러(41)의 표면으로 나오는 잉크의 막두께가 조절된다. 통상은, 모든 잉크 호출 롤러(15)에 관해서 잉크의 막두께가 동일해지도록, 잉크 통로(43)의 간극의 크기가 조절된다. 잉크 포트 롤러(41)의 외주 표면으로 나온 잉크는, 잉크 호출 롤러(15)가 전단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동안에, 그 잉크 호출 롤러(15)로 옮겨지고, 각 잉크 호출 롤러(15)로 옮겨진 잉크는, 잉크 호출 롤러(15)가 후단 위치로 전환되어 있는 동안에 잉크 반죽 롤러(44)로 옮겨진다. 잉크 반죽 롤러(44)로 옮겨진 잉크는, 또한 도시하지 않은 다른 복수의 잉크 반죽 롤러를 거쳐 인쇄면에 공급된다. 또한, 센서(35)의 출력에 의해, 잉크 호출 롤러(15)의 위치의 전환이 정상인지 여부가 검지되고, 잉크 호출 롤러(15)가 정상적으로 전환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보가 발하여진다.
인쇄기(2)에서는, 제어 장치(34)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둔 호출 타이밍마다, 소요의 잉크 호출 롤러(15)의 위치를 전환하여 잉크를 호출하고, 잉크 호출 롤러(15)마다, 잉크 포트 롤러(41)에 접촉하고 나서 떨어지기까지의 잉크 포트 롤러의 회전 각도(접촉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잉크 포트 롤러(41)로부터 잉크 호출 롤러(15)에 호출되는 잉크의 둘레 길이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고, 그 결과, 인쇄면에 공급되는 잉크량이 그 폭 방향의 위치에 의해 조절된다.
접촉 회전 각도의 제어는, 잉크 호출 롤러(15)에 대한 호출 위치로의 전환 지령(접촉 지령)을 출력하고 나서 비호출 위치로의 전환 지령(비접촉 지령)을 출력하기까지의 시간(접촉 지령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행해진다.
8색의 색 중, 어느 색의 농도가 옅은 경우, 이 색의 잉크 공급 장치(3)에 있어서의 접촉 시간이 길어지고, 또한, 어느 색의 농도가 짙은 경우, 이 색의 잉크 공급 장치(3)에 있어서의 접촉 시간이 짧아짐으로써, 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에, 인쇄기(2)의 위치 맞춤 장치(58)를 나타낸다. 이 위치 맞춤 장치(58)의 설명에 있어서, 상하·좌우는, 도 8의 상하·좌우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동(47)을 좌우 방향(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 방향 이동 수단(96)은, 판동축(47a)과 일체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리브(원통형의 축 방향 이동 부재)(102)를 구비하고 있다. 슬리브(102)는, 원통형의 판동축 하우징(101)에,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판동축(47a)은, 베어링(103)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슬리브(102)에 지지되어 있다. 판동축(47a), 슬리브(102) 및 판동축 하우징(101)은, 동심형으로 배치되어 있다.
판동(47)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이동 수단(97)은, 판동(47)의 중앙부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신장되어 있는 판동축(47a)의 우단부에 설치된 스플라인 축부(47b)에 끼워 맞춰진 스플라인통(둘레 방향 이동 부재)(104)을 구비하고 있다. 스플라인통(104)의 외주에는 환형 홈이 형성되고, 이 환형 홈에, 헬리컬 기어(105)가 끼워 넣어져 고정되어 있다. 헬리컬 기어(105)는,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배치된 헬리컬 기어(106)와 맞물려 있다. 스플라인통(104)은, 스플라인 끼워맞춤에 의해, 스플라인 축부(47b) 즉 판동축(47a)에 대하여,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헬리컬 기어(105)(106)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스플라인통(104)의 축 방향 이동에 따라, 판동축(47a)이 둘레 방향으로 이동한다.
판동축 하우징(101)은, 판동축 하우징(101)에 직교하는 프레임(107)에 고정되어 있다. 프레임(107)에는, 판동축 하우징(101)의 상측에 판동축 하우징(101)과 평행하게 배치된 모터 하우징(108)의 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08)의 좌단부에는, 2개의 모터, 즉, 하측(판동(47)에 가까운 쪽)의 제1 모터(109)와, 상측(판동(47)으로부터 먼 쪽)의 제2 모터(110)가 배치되어 있다.
모터 하우징(108) 내에는, 제1 모터(109)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형의 외측 회전축(제1 회전축)(111)과, 외측 회전축(111)과 동심으로 배치되어 제2 모터(110)에 의해 회전되는 중실의 내측 회전축(제2 회전축)(112)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 모터(109)의 우측으로 신장되는 구동축(109a)의 우단부에는, 구동 기어(113)가 부착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113)와 외측 회전축(111)의 좌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종동 기어(114)가 맞물려 있다. 제2 모터(110)의 우측으로 신장되는 구동축(110a)의 우단부에는, 구동 기어(115)가 부착되어 있고, 이 구동 기어(115)와 내측 회전축(112)의 좌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종동 기어(116)가 맞물려 있다.
외측 회전축(111)은, 베어링(117)을 통해 모터 하우징(108)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측 회전축(112)은, 베어링(118)을 통해 외측 회전축(111)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회전축(111) 및 내측 회전축(112)은, 각각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외측 회전축(111)의 우단부에는, 수나사부(111a)가 설치되어, 이 수나사부(111a)에, 제1 암나사 부재(119)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내측 회전축(112)의 우단부는, 외측 회전축(111)의 우단보다 우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우단부에는, 수나사부(112a)가 설치되어, 이 수나사부(112a)에, 제2 암나사 부재(12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각 암나사 부재(119)(120)는, 프레임(107)에 고정되어 각 회전축(111)(112)과 평행하고 우측으로 신장되는 한쌍의 가이드 바(1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넣어져 있다. 이에 따라, 각 암나사 부재(119)(120)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고, 각 회전축(111)(112)의 회전에 따라, 좌우 방향(각 회전축(111)(112)의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외측 회전축(111)에 나사 결합된 제1 암나사 부재(119)에는, 슬리브(102)에 걸어 맞춰, 제1 암나사 부재(119)와 슬리브(102)를 연결하는 제1 연결 부재(122)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외측 회전축(111)의 회전에 따라, 제1 암나사 부재(119)와 슬리브(102)는, 축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내측 회전축(112)에 나사 결합된 제2 암나사 부재(120)에는, 스플라인통(104)에 걸어 맞춰, 제2 암나사 부재(120)와 스플라인통(104)을 연결하는 제2 연결 부재(123)가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 회전축(112)의 회전에 따라, 제2 암나사 부재(120)와 스플라인통(104)은, 축 방향으로 일체로 이동한다.
축 방향 이동 부재로서의 슬리브(102)를 이동시키는 축 방향 구동 수단(98)은, 제1 모터(109), 외측 회전축(111), 제1 암나사 부재(119) 및 제1 연결 부재(12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둘레 방향 이동 부재로서의 스플라인통(104)을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구동 수단(99)은, 제2 모터(110), 내측 회전축(112), 제2 암나사 부재(120) 및 제2 연결 부재(12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모터(109)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24)는, 캔 검사 장치(5)의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에 있어서의 캔(C)의 높이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1 모터(109)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47)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제2 모터(11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25)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에 있어서의 캔(C)의 둘레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2 모터(110)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캔 검사 장치(5)의 실시형태의 기계적 부분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9부터 도 12까지 나타낸다.
캔 검사 장치(5)는, 검사용의 캔(C)을 순차 반입하는 반입 컨베이어(61)와, 반입 컨베이어(61)의 종단부에 설치되어 검사용의 캔(C)을 반입 컨베이어(61)로부터 꺼내는 꺼냄 장치(62)와, 꺼냄 장치(62)로 꺼내어진 검사용의 캔(C)을 유지하여 회전시키는 캔 회전 장치(51)와, 캔(C)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52)와, 화상 처리 장치(53)의 논리 연산을 실행하는 CPU,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RAM, 화상 처리 결과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등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 제어부(도시 생략)와, 양품의 캔(C)을 반출하는 반출 컨베이어(63)와, 검사 불합격품의 캔(C')을 배출하는 배출 슈트(64)를 구비하고 있다.
꺼냄 장치(62)는, 반입 컨베이어(61)로 이송되어 와서 밀려나온 캔을 흡착하는 흡착부(65)와, 흡착부(65)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부(66)를 구비하고 있다. 흡착부(65)는, 캔(C)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반원기둥형의 오목부(65a)를 갖고 있다.
캔 회전 장치(51)는, 모터(72)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71)과, 주축(71)에 부착된 회전반(73)을 구비하고 있다. 모터(72)는, 하우징(70)의 정상벽 상면에 부착되어 있고, 주축(71)은, 하우징(70)의 정상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반(73)은, 주축(71)과 동심이고, 주축(71)과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반(73)의 외주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아암(73a)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회전반(73)의 각 아암(73a)에는, 연직형의 종동측 회전축(74)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축(74)에는, 종동측 회전축(74)과 동심으로 형성되어 캔(C)을 흡착 유지하는 유지 부재(75)가 부착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축(74)은, 회전반(73)의 회전에 따라, 꺼냄 장치(62)의 설치 위치, 촬영 장치(52)의 설치 위치, 반출 컨베이어(63)의 설치 위치 및 배출 슈트(64)의 설치 위치를 거쳐 꺼냄 장치(62)의 설치 위치에 복귀되도록, 주축(71)의 둘레를 공전한다.
촬영 장치(52)의 설치 위치에 위치하는 종동측 회전축(74)의 상측에는, 종동측 회전축(74)을 회전(자전)시키는 구동 장치(76)가 배치되어 하우징(70)의 정상벽에 지지되어 있다. 구동 장치(76)는, 연직형의 구동측 회전축(77)과, 구동측 회전축(77)과 동심으로 설치된 모터(78)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장치(52)로는, 캔 전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79)와, 캔의 개구측 단부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80)가 사용되고 있다. 제1 카메라(79)로 촬영된 화상은, 화상 검사 수단(54) 및 농도 측정 수단(55)으로 사용된다. 제2 카메라(80)로 촬영된 화상은,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으로 사용된다.
촬영 장치(52)의 설치 위치에 있어서, 구동측 회전축(77)과 종동측 회전축(74)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구동측 회전축(77)의 하단부 및 종동측 회전축(74)의 상단부에 각각 흡인력을 서로 미치는 자석(81)(82)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구동측 회전축(77)의 하단에 설치된 자석(81)의 하면과 종동측 회전축(74)의 상단에 설치된 자석(82)의 상면은, 자석(81)(82)끼리의 흡인력에 의해 흡착(일체화)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축(74)은, 회전반(73)의 각 아암(73a)에 설치된 원통형 케이싱(83)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측 회전축(77)은, 중실의 축부(85)와, 축부(85)와 동심으로 축부(85)와 스플라인 결합된 외통부(86)로 이루어진다. 축부(85)의 하단부는, 외통부(86)의 하단보다 약간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자석(81)은, 축부(85)의 하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축부(85)의 상부는, 외통부(86)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축부(85)의 상단에는, 구동측 회전축(77)의 회전수(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로터리 인코더(60)가 커플링(95)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외통부(86)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설치되어 있고, 외통부(86)의 하부에 나사 결합된 나사(87)와 외통부(86)의 상부에 나사 결합된 나사(88)가, 외통부(86)의 외주에 배치된 모터 로터(76a)를 상하 양측으로부터 협지하고 있고, 이에 따라, 외통부(86)는, 모터 로터(76a)와 일체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외통부(86)와 스플라인 결합된 축부(85)도 일체로 회전한다. 축부(85)는, 외통부(86)에 대하여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동측 회전축(74)은, 케이싱(83)에 베어링(84)을 통해 지지되어 있다. 구동측 회전축(77)과 종동측 회전축(74)은, 자석(81)(82)의 흡인력에 의해 결합(흡착)되어 있고, 구동측 회전축(77)의 회전에 따라, 종동측 회전축(74)이 일체로 회전한다.
구동측 회전축(77)의 축부(85)의 상단부 및 외통부(86)의 상단부에는, 각각 환형의 스프링 받침부(89)(90)가 고정되어 있고, 양스프링 받침부(89)(90)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91)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부(85)가 하측으로 이동하면, 압축 코일 스프링(91)은, 더욱 압축되어, 축부(85)를 상측으로 압박하고, 이에 따라, 축부(85)의 하측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따라서, 흡인력을 서로 미치는 자석(81)(82)끼리가 접촉하는 경우가 없어, 자석(81)(82)의 마모가 방지된다.
모터(78)로 구동됨으로써, 구동측 회전축(77)이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 종동측 회전축(74)에 유지된 캔(C)이 회전하고, 1회전분의 화상이 촬영 장치(52)에 취득된다. 이 때, 오차를 없애기 위해, 로터리 인코더(60)의 출력에 맞춰, 1화소분의 시간이 결정된다.
캔(C)의 회전과 로터리 인코더(60)의 회전(구동측 회전축(77)의 회전)은, 오차가 없도록 동기시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면, 로터리 인코더(60)의 출력(펄스)과 화상의 1화소분의 흐름이 동기하고, 측정되는 캔(C)마다 회전 불균일이 설령 발생했다 하더라도, 각 캔의 취득 화상이 신축되지 않고, 안정된 검사가 행해진다.
종동측 회전축(74)에는, 일단이 하단으로 개구되고, 타단이 상단부 근처의 외주로 개구되는 에어 배출 통로(92)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83)에는, 에어 배출 통로(92)를 진공 배기하기 위한 진공 배기용 배관(93)이 부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75)는, 수지제이고 원기둥형을 이루고 있으며, 유지 부재(75)의 하단부에는, 하측으로 개구되는 원기둥형의 흡인실(94)이 설치되어 있다. 흡인실(94)에는, 종동측 회전축(74)의 에어 배출 통로(92)가 통하여 있다. 진공 배기용 배관(93)을 통해, 도시 생략한 진공 펌프에 의해 진공 배기함으로써, 흡인실(94)이 부압(진공)이 되고, 유지 부재(75)에 캔(C)이 흡착 유지된다.
검사 장치(5)에 있어서는, 캔(C)의 인쇄면의 화상은, 캔(C)이 임의의 스피드로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 캔(C)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찍기 시작하는 것이 된다.
1주분의 인쇄에 있어서, 인쇄 종료 위치가 인쇄 개시 위치에 맞대어짐으로써 정확히 1주분의 인쇄가 되지만, 인쇄 종료 위치와 인쇄 개시 위치의 맞댐부에서는, 인쇄가 캔마다 미묘하게 어긋나기 때문에, 이 맞댐부가 화상 취득의 중간부에 있으면, 캔마다 큰 어긋남을 발생한다. 따라서, 지정 마크로부터 지정 마크까지를 1주분으로 하면, 인쇄의 맞댐부가 중간부에 포함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그래서, 화상을 취득할 때에는, 인쇄 개시 위치로부터 인쇄 종료 위치까지의 1주분의 화상이 취득된다. 지정 마크로는, 인쇄되어 있는 화상 중에서 찾아내기 쉬운 것, 예컨대 바코드가 사용된다.
검사 장치(5)에 이송되어 온 캔(C)의 위치는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캔(C)의 카메라(79)(80)에 대향하는 위치는 랜덤이 된다. 따라서, 1주분의 화상을 취득하려면, 인쇄 개시 위치를 찾아내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화상의 취득 조작에 있어서는, 도 13에 있어서, 지정 마크(M)로부터 인쇄 개시 위치(S1)(S2)까지의 거리(각도)는 미리 알고 있기 때문에, 우선, 지정 마크(M)를 찾아내고, 지정 마크(M)를 찾아낸 후에는, 이 각도에 대응하는 분만큼 역방향으로 a 이동한 위치를 인쇄 개시 위치(S1) 즉 화상 취득 개시 위치로 하면 된다. 또한, 정방향으로 b 이동한 위치를 인쇄 개시 위치(S2) 즉 화상 취득 개시 위치로 해도 좋다. 이에 따라, L1 또는 L2로 나타내는 인쇄 개시 위치(S1)(S2)로부터 인쇄 종료 위치(E1)(E2)까지의 정확히 1주분의 화상을 취득할 수 있다.
검사 장치(5)의 화상 검사 수단(54)에 의한 화상 검사는, 종래부터 행해지고 있는 것으로, 화상 검사 수단(54)에 의해, 마스터 화상과 촬영 화상이 1화소마다 비교되고, 화상의 부분적 누락이나 잉크 비산에 의한 얼룩 등이 검사된다. 화상 검사 수단(54)에서는, 소정의 크기를 초과한 결함이 검사 불합격품이 되고, 또한, 마스터 화상에 대한 어긋남 허용치를 초과한 것도 검사 불합격품이 된다.
검사 장치(5)의 농도 측정 수단(55)에 의한 검사는, 단색 솔리드부에 대하여 행해진다. 즉, 복수의 색이 겹쳐진 개소에서는 농도의 측정이 곤란하기 때문에, 미리, 각 색마다, 단색 솔리드부가 있는 개소를 지정해 두고, 지정된 개소(농도 측정 개소)에 있어서의 농도를 측정한다. 농도치는, 농도 측정 개소가 된 화소의 RGB 성분의 상가 평균치로서 구할 수 있고, 각 개소에서 마스터 화상의 농도와의 농도차로서 얻을 수 있다. 단색 솔리드부가 예컨대 0.8 mm×0.8 mm의 크기가 있으면, 농도 측정은 가능하고, 이 크기를 확보할 수 없는 등의 이유로 정확한 농도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마스터 화상과의 농도차가 기준 내인지 여부만이 판정된다. 농도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색에 대하여, 잉크 호출 롤러(15)의 수(7개)만큼 얻어진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색의 수(판동의 수)가 8개이기 때문에, 8×7의 농도 측정치가 얻어진다. 도 14에 나타내는 농도 측정 결과는, 검사 장치(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농도 측정 결과는, 검사 결과 피드백용 제어 장치(49)에 의해, 사람의 손을 통하지 않고 인쇄기(2)에 피드백되고, 이에 따라, 잉크 공급 장치(3)의 제어 장치(34)에 의해 각 잉크 호출 롤러(15)의 위치가 제어되어 공급되는 잉크량이 변화된다. 이렇게 하여, 농도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농도를 수정함으로써, 인쇄기(2)에 있어서 양호한 인쇄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화상 검사 수단(54) 및 농도 측정 수단(55)이 제1 카메라(79)로 촬영된 캔 전체의 화상을 사용하여 행해지는 반면,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56)은, 캔의 개구측 단부를 촬영하는 제2 카메라(80)에 의해 얻어진 화상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캔(C)의 개구측 단부는, 덮개가 씌워지는 부분으로, 종래의 캔에서는 인쇄가 실시되고 있지 않아 검사할 필요가 없었던 개소이다. 이 실시형태의 검사 장치(5)로 검사되는 캔(C)에 관해서는, 캔(C)의 개구측 단부에, 각 색마다,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가 인쇄된다. 즉, 캔(C)의 인쇄면에는,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품명, 회사명, 성분, 바코드 등의 종래부터 있는 사항에 더하여, A로 나타내는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가 추가되어 있다.
인쇄 어긋남값 검사용 마크(A)는, 도 15의 (b)에 확대하여 나타내는 바와 같이, 1부터 8까지의 전체 8색분 형성되어 있다. 동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는 기준 위치(마스터 화상에 있어서의 지정 마크의 위치)이고, 동도면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가 촬영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각 색의 위치이다. 동도면으로부터, 예컨대, No.7의 색에 관해서는 인쇄 어긋남이 매우 작고, No.3의 색에 관해서는 캔(C)의 높이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이 크고, No.6의 색에 관해서는 캔(C)의 둘레 방향으로의 인쇄 어긋남값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인쇄 어긋남값은, 마스터 화상에 있어서의 지정 마크의 위치와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지정 마크의 위치가 몇 화소분(또는 몇 mm) 어긋나 있는가라고 하는 값으로 구해지고, 이 수치가 도 15의 (c)와 같이 하여 검사 장치(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어긋남량은, 캔 높이 방향(판동(47)의 축 방향) 및 캔 원주 방향(판동(47)의 둘레 방향)의 각각에 관해서 구해진다.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는, 검사 결과 피드백용 제어 장치(49)에 의해, 사람의 손을 통하지 않고 인쇄기(2)에 피드백된다. 또,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는, 검사 결과 피드백용 제어 장치(49)에 의하지 않고 (사람의 손에 의해서도) 인쇄기(2)에 피드백할 수 있다.
잉크 공급 장치(3)의 제어 장치(34)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농도 목표치에 기초하여, 잉크 공급 장치(3)에 있어서의 접촉 시간을 제어하고 있으며, 캔 검사 장치(5)의 농도 측정 수단(55)에 의해 얻어진 농도 측정 결과가 이 제어에 부가된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개소에서 어느 색의 농도가 목표치보다 옅은 경우, 이 개소에 이 색을 공급하고 있는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 잉크 포트 롤러와의 접촉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농도를 짙게 하고, 어느 개소의 어느 색의 농도가 목표치보다 짙은 경우, 이 개소에 이 색을 공급하고 있는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 잉크 포트 롤러와의 접촉 길이를 짧게 한다.
도 14에 표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예컨대, 1색째에 관해서는, No.4의 개소에서 상대적으로 짙고, No.7의 개소에서 상대적으로 옅게 되어 있다. 그리고, 2색째에 관해서는, No.4의 개소에서 상대적으로 짙고, No.2의 개소에서 상대적으로 옅게 되어 있다. 이러한 농도 측정 결과가 인쇄기(2)에 출력되면, 인쇄기(2)의 잉크 공급 장치(39)의 제어 장치(34)에서는, 이 농도 측정 결과의 입력에 기초하여, 예컨대, 1색째의 판동에 잉크를 공급하고 있는 No.4의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 잉크 포트 롤러와의 접촉 길이를 짧게 하고, 1색째의 판동에 잉크를 공급하고 있는 No.7의 잉크 호출 롤러에 관해서 잉크 포트 롤러와의 접촉 길이를 하는 변경을 행한다. 이에 따라, 1색째의 농도가 전체적으로 균일하도록 변화된다. 다른 색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이렇게 하여,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의 농도 측정 결과가 즉석에서 인쇄기(2)에 피드백되고, 잉크 공급 장치(3)의 제어 장치(34)에 의해 각 잉크 호출 롤러(15)의 위치가 제어되어 공급되는 잉크량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농도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농도를 수정할 수 있어, 농도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캔(C)의 높이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은, 위치 맞춤 장치(58)의 제1 모터(109)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24)에 이송되고, 제어 장치(124)는, 이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1 모터(109)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판동(47)의 축 방향 위치가 자동 조정된다. 캔(C)의 둘레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은, 위치 맞춤 장치(58)의 제2 모터(110)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125)에 이송되고, 제어 장치(125)는, 이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2 모터(110)를 구동시키고, 이에 따라, 판동(47)의 둘레 방향 위치가 자동 조정된다.
이렇게 하여, 검사 결과 피드백용 제어 장치(49)에 의해, 캔 검사 장치(5)에 있어서의 인쇄 어긋남값 측정 결과가 즉석에서 인쇄기(2)에 피드백되고, 위치 맞춤 장치(58)에 의해 판동(47)의 위치 조정(위치 맞춤)이 행해진다. 이에 따라, 인쇄 어긋남 불량품이 나오기 전에 인쇄 어긋남값을 수정할 수 있어, 인쇄 어긋남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캔 인쇄 장치에 의하면, 캔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기의 인쇄 조건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인쇄 불량이 조기에 해소되기 때문에, 인쇄 정밀도의 향상 및 인쇄기에 있어서의 인력 절감화에 기여할 수 있다.
(1) 캔 인쇄 장치 (2) 인쇄기
(3) 잉크 공급 장치 (5) 캔 검사 장치
(47) 판동 (47a) 판동축
(51) 회전 장치 (52) 촬영 장치
(53) 화상 처리 장치 (54) 화상 검사 수단
(55) 농도 측정 수단 (56)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
(74) 종동측 회전축 (75) 유지 부재
(77) 구동측 회전축 (78) 모터
(77)(78) 자석 (79) 제1 카메라
(80) 제2 카메라 (96) 축 방향 이동 수단
(97) 둘레 방향 이동 수단 (98) 축 방향 구동 수단
(99) 둘레 방향 구동 수단 (101) 하우징
(102) 슬리브(축 방향 이동 부재)
(104) 스플라인통(둘레 방향 이동 부재)
(106) 헬리컬 기어 (109) 제1 모터
(110) 제2 모터 (111) 외측 회전축(제1 회전축)
(111a) 수나사부 (112) 내측 회전축(제2 회전축)
(112a) 수나사부 (119) 제1 암나사 부재
(120) 제2 암나사 부재 (124) 제1 모터 제어 장치
(125) 제2 모터 제어 장치

Claims (10)

  1. 상이한 색을 인쇄하기 위한 복수의 판동(版胴)을 가지고 캔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와,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하는 캔 검사 장치와, 캔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기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인쇄기의 잉크 공급 장치는, 잉크 포트(pot)를 구성하는 잉크 포트 롤러에 근접하여, 잉크 포트 롤러의 길이 방향으로 분할된 복수의 잉크 호출 롤러가 배치되고, 각 잉크 호출 롤러가, 잉크 포트 롤러에 접촉하는 호출 위치와 잉크 포트 롤러로부터 떨어지는 비호출 위치로 개별적으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둔 호출 타이밍마다, 소요의 잉크 호출 롤러의 위치를 전환하여 잉크를 호출하고, 잉크 호출 롤러마다, 잉크 포트 롤러에 접촉하고 나서 떨어지기까지의 잉크 포트 롤러의 회전 각도를 제어함으로써, 잉크 호출 롤러와 잉크 포트 롤러의 접촉 길이를 제어하는 것이고, 캔 검사 장치는, 캔을 회전시키는 캔 회전 장치와,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캔에 인쇄된 화상의 농도를 각 색마다 또한 각 잉크 호출 롤러에 대응하는 소정 개소마다 측정하여,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농도 측정 수단을 갖고 있고, 잉크 공급 장치의 제어 장치는, 캔 검사 장치의 농도 측정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각 농도치에 기초하여 각 색마다 각 잉크 호출 롤러와 잉크 포트 롤러의 접촉 길이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인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농도 측정 수단에서는, 사용되는 판동의 수와 사용되는 잉크 호출 롤러의 수의 곱의 수만큼 농도 측정 개소가 설정되어 있고, 각 농도 측정 개소에 있어서, 마스터 화상의 농도와의 농도차가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인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캔 검사 장치는, 캔을 회전시키는 캔 회전 장치와,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화상 처리 장치는, 캔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갖고 있고,
    인쇄기는, 캔 검사 장치에 의해 측정된 인쇄 어긋남값에 기초하여, 판동의 위치 맞춤을 자동으로 행하는 위치 맞춤 장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인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인쇄기의 각 판동은, 각 판동의 인쇄 어긋남값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검사용 마크를 캔의 개구측의 단부에 인쇄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인쇄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위치 맞춤 장치는, 판동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축 방향 이동 수단과, 판동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이동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축 방향 이동 수단은,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지지되어 판동축과 일체로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축 방향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축 방향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축 방향 구동 수단은,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1 회전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제1 회전축에 설치된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제1 암나사 부재와, 제1 회전축을 구동하는 제1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둘레 방향 이동 수단은, 일체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게 판동축에 부착됨과 동시에, 축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설치된 헬리컬 기어와 맞물리고, 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판동축을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이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둘레 방향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둘레 방향 구동 수단은, 축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지지된 제2 회전축과,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 회전축에 설치된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된 제2 암나사 부재와, 제2 회전축을 구동하는 제2 모터를 구비하고 있고,
    제1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있어서의 캔의 높이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1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제2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에 있어서의 캔의 둘레 방향의 인쇄 어긋남값에 따라 제2 모터를 구동시킴으로써 판동의 둘레 방향 위치를 조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인쇄 장치.
  7. 상이한 색을 인쇄하기 위한 복수의 판동(版胴)을 가지고 캔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인쇄기와,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하는 캔 검사 장치와, 캔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기의 인쇄 조건을 변경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캔 인쇄 장치로서,
    상기 캔 검사 장치는 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캔 인쇄 장치에 부설되어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함과 동시에, 검사 결과를 캔 인쇄 장치에 피드백하고,
    촬영 장치는, 캔 전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캔의 개구측 단부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마스터 화상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인쇄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화상 검사 수단과,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지정된 위치에 있어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수단과, 제2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캔의 개구측 단부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인쇄 장치.
  8. 캔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와, 회전하는 캔의 화상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와, 촬영한 화상을 처리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캔 인쇄 장치에 부설되어 캔의 인쇄 상태의 검사를 행함과 동시에, 검사 결과를 캔 인쇄 장치에 피드백하는 캔 검사 장치로서,
    촬영 장치는, 캔 전체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캔의 개구측 단부의 화상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고,
    화상 처리 장치는,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마스터 화상과 비교하여 정확하게 인쇄되어 있는지를 검사하는 화상 검사 수단과, 제1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지정된 위치에 있어서의 농도를 측정하는 농도 측정 수단과, 제2 카메라로 촬영된 화상을 사용하여, 각 색마다 캔의 개구측 단부에 인쇄된 인쇄 어긋남 검사용 마크의 설정 위치에 대한 어긋남값을 측정하는 인쇄 어긋남값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검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회전 장치는, 모터로 구동되는 연직형의 구동측 회전축과, 구동측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연직형의 종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에 동심으로 부착되어 캔을 흡착 유지하는 원기둥형의 유지 부재와, 구동측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하는 인코더를 구비하고 있고, 구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은, 상하 방향으로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구동측 회전축의 하단부 및 종동측 회전축의 상단부에, 각각 흡인력을 서로 미치는 자석이 설치됨으로써, 구동측 회전축과 종동측 회전축이 일체로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검사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촬영 장치는, 지정 마크와 이 지정 마크로부터 화상 취득 개시 위치까지의 각도를 미리 설정해 두고, 캔을 회전시켜 지정 마크 위치를 찾아내고, 찾아낸 지정 마크를 기준으로 하여 화상 취득 개시 위치를 구하고, 화상 취득 개시 위치로부터 1주분의 화상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 검사 장치.
KR1020167010668A 2013-09-24 2014-09-22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 KR102155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6878 2013-09-24
JPJP-P-2013-196880 2013-09-24
JPJP-P-2013-196884 2013-09-24
JP2013196884A JP6310666B2 (ja) 2013-09-24 2013-09-24 缶印刷装置
JP2013196880A JP6310665B2 (ja) 2013-09-24 2013-09-24 缶印刷装置
JP2013196878A JP6200741B2 (ja) 2013-09-24 2013-09-24 缶検査装置
PCT/JP2014/075021 WO2015046119A1 (ja) 2013-09-24 2014-09-22 缶印刷装置および缶検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876A KR20160067876A (ko) 2016-06-14
KR102155925B1 true KR102155925B1 (ko) 2020-09-14

Family

ID=5274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0668A KR102155925B1 (ko) 2013-09-24 2014-09-22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862204B2 (ko)
EP (1) EP3050705A4 (ko)
KR (1) KR102155925B1 (ko)
CN (1) CN105764692B (ko)
BR (1) BR122020021072B1 (ko)
MX (2) MX2016003808A (ko)
MY (1) MY176041A (ko)
RU (1) RU2676791C2 (ko)
WO (1) WO20150461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143B1 (ko) * 2022-04-26 2022-09-02 (주)세호 컬러바를 이용한 인쇄물의 불량 검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2306B2 (en) 2010-10-19 2021-01-05 Pres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corator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selected adjustment thereof
FR2993191B1 (fr) 2012-07-16 2015-01-16 Snecma Procedes et systeme de decoupe
US9555616B2 (en) 2013-06-11 2017-01-31 Ball Corporation Variable printing process using soft secondary plates and specialty inks
PL3028856T3 (pl) 2014-12-04 2019-10-31 Ball Beverage Packaging Europe Ltd Urządzenie drukujące
DE102015100334A1 (de) * 2015-01-12 2016-07-14 Khs Gmbh Erfassungseinheit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druckung von Behältern
EP3756891B1 (en) 2015-08-05 2023-03-01 ALTEMIRA Co., Ltd. Printing apparatus
JP6637266B2 (ja) * 2015-08-05 2020-01-29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印刷装置
JP6587210B2 (ja) * 2015-11-18 2019-10-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49921B2 (en) 2016-05-19 2020-02-04 Rexam Beverage Can Company Beverage container body decorator inspection apparatus
JP6696641B2 (ja) * 2016-06-24 2020-05-20 アイマー・プランニング株式会社 印刷装置における印刷ズレ修正方法
US11203208B2 (en) * 2016-07-08 2021-12-21 Showa Aluminum Can Corporation Printing apparatus and can body manufacturing system
CA3029021A1 (en) * 2016-07-11 2018-01-18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Decorator drive and printing plate cylinder automation
US11034145B2 (en) * 2016-07-20 2021-06-15 Bal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a decorator for containers
MX2019000614A (es) 2016-07-20 2019-07-04 Ball Corp Sistema y metodo para alinear un entintador de un decorador.
GB2558183B (en) * 2016-07-29 2020-11-25 Crown Packaging Technology Inc Image registration in a can decorator
US10154158B2 (en) * 2017-04-03 2018-12-11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applying a mark to an object in an object holder of a direct-to-object printer
CN108802062B (zh) * 2017-04-27 2020-12-18 珠海汇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检测盖章图像印油情况的检测方法及盖章设备
EP3684626B1 (en) 2017-09-19 2024-02-07 Ball Corporation Container decor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19117897A1 (en) * 2017-12-13 2019-06-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uffer unit
CN108016640A (zh) * 2017-12-29 2018-05-11 江苏仅联合智造有限公司 视觉定位压盖机
WO2019143832A1 (en) * 2018-01-19 2019-07-25 Bal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adjusting a decorator for containers
US11571912B2 (en) 2018-03-16 2023-02-07 Vinventions Usa, Llc Tiltable mounting device, printing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cylindrical objects
CN108909180B (zh) * 2018-06-28 2023-10-17 河南宝钢制罐有限公司 金属罐印刷机的油墨单元用传墨分割辊测试系统及方法
JP2020033030A (ja) 2018-08-27 2020-03-05 昭和アルミニウム缶株式会社 缶体製造システム
CN110893725B (zh) 2018-09-12 2021-08-17 海德堡印刷机械股份公司 具有圆形测量标记的对版-套准测量
JP2022506480A (ja) * 2018-10-31 2022-01-17 クラウン パッケイジング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缶デコレータ用の印刷見当合わせシステム
WO2020097451A1 (en) 2018-11-09 2020-05-14 Ball Corporation A metering roller for an ink station assembly of a decorator and a method of decorating a container with the decoration
KR101990750B1 (ko) * 2018-12-13 2019-06-18 유광룡 회전을 이용한 검사 장치
US11338566B2 (en) * 2019-12-10 2022-05-24 Stolle Machinery Company, Llc Image control system and can decorator employing same
JP7136271B1 (ja) * 2021-05-13 2022-09-13 東洋製罐株式会社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WO2024008474A1 (en) * 2022-07-07 2024-01-1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A. Inspection apparatus for a packaging machine and packaging machine having an inspection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1855A (ja) * 2003-02-21 2004-09-09 Toyo Seikan Kaisha Ltd 缶外面の検査方法
EP1162064B1 (en) 2000-06-07 2008-01-30 Kabushiki Kaisha Tokyo Kikai Seisakusho Apparatus for fine positional adjustment of a plate cylinder for multicolor image registration
JP2011073415A (ja) 2009-10-02 2011-04-14 Aimaa Planning Kk 印刷機のインキ供給装置
WO2012054655A1 (en) * 2010-10-19 2012-04-26 Pressco Technology Inc. A method and system for decorator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selected adjustment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9256A (ja) 1981-09-18 1983-03-23 Shin Nippon Koki Kk 円筒状物品胴部外周面の多色印刷機械における自動見当合せ装置
JP3027453B2 (ja) * 1991-10-30 2000-04-04 大和製罐株式会社 マルチ処理型円筒缶検査装置
JP2566895B2 (ja) * 1992-03-10 1996-12-25 株式会社東京機械製作所 多色刷平版印刷機
JPH0731137B2 (ja) * 1992-12-07 1995-04-10 株式会社ヒューブレイン 缶内外面検査装置
EP0870274A4 (en) * 1995-06-07 1998-11-25 Pressco Tech Inc SYSTEM FOR INSPECTING THE OUTSIDE SURFACES OF OBJECTS
JPH09295396A (ja) * 1996-04-30 1997-11-18 Mitsubishi Materials Corp 缶の印刷装置
JP3794825B2 (ja) * 1998-05-21 2006-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印刷品質管理方法及び装置
US6519356B1 (en) * 1999-08-03 2003-02-11 Intelligent Machine Concept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cans
JP2001129968A (ja) 1999-11-05 2001-05-15 Mitsubishi Heavy Ind Ltd 枚葉紙用処理装置の用紙反転くわえ替え装置及び用紙反転くわえ替え方法
US6525333B1 (en) 2000-07-18 2003-02-25 Intelligent Machine Concept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containers with openings with pipeline image processing
WO2003080342A1 (fr) * 2002-03-25 2003-10-02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Defaut de cadrage lors du changement de la vitesse d'impression, suppression du defaut de cadrage, ou imprimante dans laquelle la variation de la densite d'impression peut etre controlee
JP2004151025A (ja) * 2002-10-31 2004-05-27 Teruaki Ito 試験管種類判別装置
PL3028856T3 (pl) * 2014-12-04 2019-10-31 Ball Beverage Packaging Europe Ltd Urządzenie drukują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62064B1 (en) 2000-06-07 2008-01-30 Kabushiki Kaisha Tokyo Kikai Seisakusho Apparatus for fine positional adjustment of a plate cylinder for multicolor image registration
JP2004251855A (ja) * 2003-02-21 2004-09-09 Toyo Seikan Kaisha Ltd 缶外面の検査方法
JP2011073415A (ja) 2009-10-02 2011-04-14 Aimaa Planning Kk 印刷機のインキ供給装置
WO2012054655A1 (en) * 2010-10-19 2012-04-26 Pressco Technology Inc. A method and system for decorator component identification and selected adjustment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143B1 (ko) * 2022-04-26 2022-09-02 (주)세호 컬러바를 이용한 인쇄물의 불량 검지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 팩토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6115899A3 (ko) 2018-05-30
MX2019015394A (es) 2020-02-20
US20160229198A1 (en) 2016-08-11
KR20160067876A (ko) 2016-06-14
CN105764692B (zh) 2018-04-24
BR122020021072A8 (pt) 2022-07-19
CN105764692A (zh) 2016-07-13
BR122020021072B1 (pt) 2024-02-15
US20180093496A1 (en) 2018-04-05
MY176041A (en) 2020-07-22
EP3050705A4 (en) 2017-04-05
US10507672B2 (en) 2019-12-17
EP3050705A1 (en) 2016-08-03
RU2016115899A (ru) 2017-10-30
RU2676791C2 (ru) 2019-01-11
BR112016006410A2 (pt) 2017-08-01
BR122020021072A2 (ko) 2017-08-01
WO2015046119A1 (ja) 2015-04-02
US9862204B2 (en) 2018-01-09
MX2016003808A (es) 2017-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925B1 (ko) 캔 인쇄 장치 및 캔 검사 장치
KR102265160B1 (ko) 캔 인쇄 장치
JP6200741B2 (ja) 缶検査装置
KR102257662B1 (ko) 인쇄 장치에 있어서의 인쇄 어긋남 수정 방법
CN109396051B (zh) 一种活塞销检测机和检测方法
WO2016026358A1 (zh) 滚子外观缺陷360度检测装置及检测方法
JP5680494B2 (ja) 円筒部材の検査法および検査装置
KR101479857B1 (ko) 자동차 부품용 자동화 검사장치
KR20100121508A (ko) 워크검사반송장치
JP6310666B2 (ja) 缶印刷装置
JP6343509B2 (ja) 検査装置
CN112371554A (zh) 一种马达检测机
JP6310665B2 (ja) 缶印刷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CN217237796U (zh) 一种透明产品检测设备
BR112016006410B1 (pt) Aparelho de impressão em lata
JP2010060500A (ja) 円筒体の表面検査装置
JP2005233901A (ja) 外観検査装置
KR20130014198A (ko) 쇼크 업쇼버 로드의 표면 불량 검사 시스템
KR20110012038A (ko) 모바일 키패드 부품소자 검사 알고리즘과 장비개발 및 그 사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