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197B1 -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 Google Patents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197B1
KR102155197B1 KR1020200028087A KR20200028087A KR102155197B1 KR 102155197 B1 KR102155197 B1 KR 102155197B1 KR 1020200028087 A KR1020200028087 A KR 1020200028087A KR 20200028087 A KR20200028087 A KR 20200028087A KR 102155197 B1 KR102155197 B1 KR 102155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saddle
fixing
pipe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트인공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트인공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트인공조
Priority to KR1020200028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1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7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joined with a hinge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hanging from a pend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건물의 천정면에 설치 가능하게 제공되는 새들 브라켓, 상기 새들 브라켓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홈부를 갖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 단부에 연결되고, 배관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배관 홀더를 포함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SADDLE COMBINED PIPE HANGER}
본 발명은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에 대한 것이다.
산업 시설, 주거 시설 등의 건축물에는 가스 배관, 상수도 및 하수도 배관, 냉난방용 배관, 각종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배관 등과 같은 다양한 배관이 설비된다. 이러한 배관은 건축물의 벽면 또는 천정을 따라서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는데, 특히 건축물의 천정에는 중력에 대항하여 배관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행거를 고정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배관 일정 길이와 하중을 갖는 배관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면 또는 천정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행거가 고정되며, 이 행거에 의하여 배관이 벽면 또는 천정에 지지됨으로써 배관은 최초 설비된 상태 및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배관 홀더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시 혹은 천정 배관작업시 설치가 어렵고 번거로운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으며,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설치시간과 함께 비용도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관 홀더는 전산볼트로 된 나사와 새들을 이용하여 행거를 천정면에 설치하도록 구성되었는데, 시공 현장마다 천정면의 높이와 배관의 직경, 천정 내부의 공간 등의 시공 환경이 천차만별이이므로, 새들과 행거 사이의 높이를 나사로서 조절해야 한다. 이렇다보니 행거와 새들 및 나사를 각각 규격별로 여러 개 마련하였다가 시공 현장에서 나사의 길이 등을 시공 환경에 맞게 재단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나사를 이용하여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여 설치해야 하였는데, 높은 위치에서 상측을 향해 작업을 해야 하는 작업 특성상 나사를 행거마다 일일이 돌려서 위치를 맞춰가며 시공을 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도 많이 걸려서 비효율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제조시 혹은 천정 배관작업시 설치가 용이하며, 원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배관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존의 나사를 이용하여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서, 새롭고 간편한 방식으로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새들과 행거가 하나의 세트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어 관리와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배관 홀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천정면에 설치 가능하게 제공되는 새들 브라켓; 상기 새들 브라켓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홈부를 갖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 단부에 연결되고, 배관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배관 홀더를 포함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배관의 둘레면 중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배관의 둘레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2 지지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고정부와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면에 형성된 삽통공으로 상기 고정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호 고정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상기 배관 홀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봉의 상기 홈부에 계합되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부재는, 상기 홈부에 계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반대측 단부를 구성하는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봉을 파지한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랜지; 및 상기 새들 브라켓의 상측에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브라켓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한 간섭에 의해 상기 새들 브라켓이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과 연결된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과 상기 연결부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연결봉이 상기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상기 홈부는 상기 연결봉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연결봉의 둘레를 따라 요입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원통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의 둘레면 중 일부에 요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과 연결된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입홈을 통과한 후 상기 연결봉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연결봉이 상기 삽입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합부재는, 상기 홈부에 계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파지부; 상기 조작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봉을 파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반대측 단부를 구성하는 접촉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봉을 파지한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를 파지하는 상태로 복원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새들 브라켓의 상측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새들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새들 브라켓을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둘레면 중 일부가 직선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탭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브라켓 상에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폭 길이는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탭부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제조시 혹은 천정 배관작업시 설치가 용이하며, 원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배관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나사를 이용하여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서, 새롭고 간편한 방식으로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들과 행거가 하나의 세트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어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배관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천정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의 상부 연결이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에 의해 배관이 지지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도 6의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연결봉과 새들 브라켓이 체결되는 모습을 상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고정',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1)는 천정면(W)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배관(P, 도 7)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시공 환경에 따라 천정면(W)으로부터 배관(P)까지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배관(P)의 설치 높이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개선되어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1)는 배관 홀더(10), 연결봉(20) 및 새들 브라켓(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관 홀더(10)는 연결봉(20)의 타 단부에 연결되고, 배관(P)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배관 홀더(10)는 일종의 클램프(clamp)로서 기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관(P)의 둘레면에 접촉되면서 압착되어 둘레면에 대하여 마찰력이 작용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배관(P)이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지 않게 잡아주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관 홀더(10)는 제1 지지부재(110) 및 제2 지지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110)는 배관(P)의 둘레면 중 일부와 접촉되어 배관(P)을 지지하도록 제공된다. 일반적인 배관(P)의 단면이 원형이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1 지지부재(110)는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호 형상의 일단 측에는 연결부(112)가 연장 형성되고, 타단 측에는 제2 지지부재(120)의 단부가 체결되는 체결구(11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관 홀더(10)는 제1 지지부재(110)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연결봉(20)과 연결되는 연결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112)는 일 예로 평판이 두 번 절곡되어 전체로서 'ㄷ'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112)의 중앙 부분에는 연결봉(20)이 삽입되는 삽입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2)의 일 면은 고정면(1122)으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면(1122)은 제2 지지부재(120)의 고정부(122)가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연결부(112)의 고정면(1122) 상에는 제2 지지부재(120)의 고정부(122)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체(124, 126)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삽통공(112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통공(1124)은 일 예로 일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면(1122)의 양 면 중 고정부(122)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 상에는 이탈 방지체(1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 방지체(114)는 삽통공(112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평판이 일 회 절곡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탈 방지체(114)는 'ㄱ'자 형상이 아닌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지지부재(120)는 배관(P)의 둘레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배관(P)을 지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부재(120)는 제1 지지부재(110)로부터 연장되는 호 형상으로 구비되어 제1 지지부재(110)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재(120)의 단부에는 제1 지지부재(110)의 체결구(116)에 삽입되어 체결 가능하도록 체결부(128)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22)는 제2 지지부재(120)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지지부재(110)의 연결부(112)의 고정면(1122)과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22)의 일면으로부터 고정체(124, 1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체(124, 126)는 일 예로 제1 고정체(124) 및 제2 고정체(126)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체(124, 126)는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 연결부(112)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종래의 배관 행거의 경우, 이러한 고정체가 행거의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이로 인해 시공 현장에서 타 물품들과의 간섭에 의해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체(124, 126)가 배관 홀더(10)의 내측으로 돌출되므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체(124)와 제2 고정체(126)는 각각 단부가 꺾인 쐐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고정체는 고리 형상의 단일 부재로서 구비될 수도 있으며, 셋 이상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부재(130)는 연결부(112)와 고정부(122)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130)는 일 예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고정부재(130)의 주요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30)는 고정면(1122)에 단부가 고정된 와이어 형상으로 구비되어, 와이어가 이탈 방지체(114)를 통과한 후 제1 고정체(124)와 제2 고정체(126) 사이로 통과되어 고정됨에 따라 고정면(1122)과 고정부(122)가 서로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지지부재(110)와 제2 지지부재(120)가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지지부재(120)의 체결부(128)가 제1 지지부재(110)의 체결구(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지지부재(120)가 제1 지지부재(110)를 향해 회전되면, 고정부(122)가 연결부(112)의 고정면(1122)에 접촉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고정부(122)에 돌출 형성된 고정체(124, 126)가 삽통공(1124)에 삽입되며, 이 상태에서 고정부재(130)가 이탈 방지체(114)와 고정체(124, 126)에 체결되어 연결부(112)와 고정부(122)가 상호 고정될 수 있다.
계합부재(140)는 연결봉(20)이 배관 홀더(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연결봉(20)의 홈부(210)에 계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계합부재(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형상이 복수 회 만곡된 형상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양 단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로서 만곡된 형상으로 인해 일 방향 조작에 대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계합부재(140)는 홈부(210)에 계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부(142), 조작부(142)와 연결되고 홈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결봉(2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파지부(144) 및 파지부(144)와 연결되고 조작부(142)의 반대측 단부를 구성하는 전환부(146)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42)는 계합부재(140)를 이루는 와이어의 양 단이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의 양 단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파지부(144)는 조작부(142)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와이어의 두 개 가닥이 홈부(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연결봉(20)에 밀착됨으로써 연결봉(20)을 파지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144)는 조작부(142)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의 두 가닥이 서로 교차되어 연장 형성되는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환부(146)는 파지부(144)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와이어를 180도 만곡시킴에 따라 와이어의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계합부재(140)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양 단, 즉 조작부(142)에 외력이 가해져서 와이어의 양 단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면, 파지부(144)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두 가닥은 전환부(146)를 중심으로 서로 멀어지게 되며, 홈부(210)를 이탈할 정도로 멀어지게 되면 연결봉(20)에 대한 파지 상태가 해제되고 연결봉(20)의 위치가 변경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조작부(142)의 조작에 의해 파지부(144)가 연결봉(20)을 파지한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42)에 작용하던 외력이 제거되면 전환부(146)에 의해 작용되는 탄성력에 의해 계합부재(140)는 외력이 작용하기 전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한편, 계합부재는 다른 형상으로 변형 실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합부재(150)의 조작부(152)와 파지부(156)는 탄성 연결부(154)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탄성 연결부(154)는 파지부(156)가 연결봉(20)을 파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연결부(154)는 일 예로 토션 스프링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계합부재(150)의 접촉단부(158)는 파지부(156)와 연결되고, 조작부(152)의 반대측 단부를 구성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접촉단부(158)는 파지부(156)로부터 연장되는 두 가닥이 서로 이격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계합부재(150)가 마치 집게와 같은 형상으로서 접촉단부(158)의 사이 공간으로 연결봉(20)이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작부(152)의 조작에 의해 파지부(156)가 연결봉(20)을 파지한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조작부(152)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연결부(154)에 의해 파지부(156)가 연결부(112)를 파지하는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연결봉(20)은 새들 브라켓(30)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홈부(21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봉(20)은 단면이 원형인 긴 바(bar)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연결봉(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홈부(21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부(210)는 연결봉(20)의 둘레를 따라 예컨대 링(ring) 형상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210)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면과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원통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합부재(140)를 홈부(210)에 삽입해서 연결봉(20)을 위치 고정시킬 때, 홈부(210)의 경사면 부근에 계합부재(140)의 파지부(144)가 접촉되기만 하면 경사면을 따라 파지부(144)가 슬라이딩되어 홈부(210)의 내측에 용이하게 수용되어 연결봉(20)이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봉(20)은 새들 브라켓(30)과 연결된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는 오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오링(220)과 연결부(112) 간의 간섭에 의해 연결봉(20)이 삽입홀(1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써, 연결봉(20)과 배관 홀더(10)가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서 배관 홀더(10)와 연결봉(20)과 새들 브라켓(30)이 하나의 모듈로서 제품화되어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종래에는 새들 브라켓과 배관 홀더에 각각 대응되는 부품들이 별도의 나사 등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었으므로, 작업자는 새들 브라켓과 배관 홀더 및 나사를 모두 별개로 지참하여 작업을 할 수밖에 없었다. 반면에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홀더(10)와 연결봉(20)과 새들 브라켓(30)이 모두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비되므로, 하나의 모듈화된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연결봉(20)과 새들 브라켓(30)은 후술할 헤드부(240)와 플랜지(230)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링(220)에 의해 연결봉(20)이 삽입홀(1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118)의 둘레면 중 일부에 요입홈(119)이 요입 형성되고, 새들 브라켓(30)과 연결된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는 돌출부(25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250)는 요입홈(119)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결봉(20)이 삽입홀(118)을 통과할 때 요입홈(119)으로 돌출부(250)가 통과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요입홈(119)을 돌출부(250)가 통과한 이후에 연결봉(20)이 소정 각도, 예컨대 90도로 회전되면, 돌출부(250)와 연결부(112) 간의 간섭에 의해 연결봉(20)이 삽입홀(118)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때, 계합부재(140)에 의해 연결봉(20)이 재차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12)는 새들 브라켓(30)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랜지(230) 및 새들 브라켓(30)의 상측에 형성되는 헤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랜지(230)와 헤드부(240)의 직경은 연결봉(20)의 최외곽 측 직경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230)와 헤드부(240)의 사이에 새들 브라켓(30)이 배치되어, 플랜지(230)와 헤드부(240)에 의한 간섭에 의해 새들 브라켓(30)이 연결봉(20)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새들 브라켓(30)은 건물의 천정면(W)에 설치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새들 브라켓(30)은 평판 형상이 총 네 번 절곡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중앙 부분에 연결봉(20)과 연결되는 중앙 연결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중앙 연결부(310)의 중앙 부분에 삽입홀(31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홀(312)을 통해 연결봉(2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새들 브라켓(30)의 양 단부에는 나사홀(302)이 형성되며, 나사홀(302)을 통해 고정나사(2)가 삽입되면서 천정면(W)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들 브라켓(30)이 천정면(W)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연결부(310)는 새들 브라켓(30)의 양 단부에 비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정면(W)과 연결봉(20)의 헤드부(240) 사이의 간섭 없이 새들 브라켓(30)을 천정면(W)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면(W)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배관 홀더(10)를 통해 배관(P)을 파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종래의 배관 행거의 경우 새들 브라켓과 배관 홀더를 나사 부재 등을 통해 연결하였고, 설치 공간의 높이, 배관의 위치, 직경 등 시공 환경에 따라 새들 브라켓과 배관 홀더 사이의 길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시공 현장에서 나사 부재를 재단하여 사용하였으며, 이는 많은 불편함을 야기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봉(20)을 고정시키는 계합부재(140)를 조작함으로써 배관 홀더(10)에 대한 연결봉(2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연결부(112)의 길이만큼 연결봉(20)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으므로, 시공 환경에 맞춰서 계합부재(140)를 조작하여 연결봉(20)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 만으로 손쉽게 배관(P)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였을 때 탄성부재와 탭부가 추가로 구비되고, 새들 브라켓에 개구부가 추가로 형성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하도록 한다.
탄성부재(260)는 플랜지(230)와 새들 브라켓(30') 사이에 제공되어 플랜지(230)와 새들 브라켓(30')을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60)는 일 예로 스프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봉(20)의 플랜지(230)와 헤드부(240)의 사이에는 탭부(270)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탭부(270)는 연결봉(20)의 플랜지(230)와 헤드부(240) 사이의 둘레면 중 일부에서 직선 방향으로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탭부(270)는 연결봉(20)의 지름 방향 양 끝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새들 브라켓(30') 상에 연결봉(20)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삽입홀(312)의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는 개구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개구부(314)는 삽입홀(312)로부터 직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되는 개구부(314)의 폭 길이는 삽입홀(312)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탭부(270)는 개구부(314)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봉(20)을 새들 브라켓(30')에 최초로 조립할 때, 탄성부재(260)가 외력에 의해 플랜지(230) 측으로 최대한 압축된 상태에서 탭부(270)가 개구부(314)를 통과하여 삽입홀(312)에 연결봉(20)이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탭부(270)가 개구부(314)를 통과함으로써 삽입홀(312)에 연결봉(20)이 삽입되면, 탄성부재(260)에 가해지던 외력이 제거된 후 탄성부재(260)의 상단이 새들 브라켓(30')의 저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해 새들 브라켓(30')이 헤드부(240)에 밀착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탭부(270)와 개구부(314)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되어 연결봉(20)이 개구부(314)를 통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연결봉(20)을 새들 브라켓(30')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연결봉(20)을 새들 브라켓(30')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성이 복잡하지 않고, 제조시 혹은 천정 배관작업시 설치가 용이하며, 원가 및 설치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배관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나사를 이용하여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서, 새롭고 간편한 방식으로 새들과 행거를 연결하도록 하여, 시공이 용이하고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배관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들과 행거가 하나의 세트로서 일체로 제공될 수 있어 운반이 간편하고 사용이 용이한 배관 홀더가 제공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10: 배관 홀더
110: 제1 지지부재 112: 연결부
1122: 고정면 1124: 삽통공
114: 이탈 방지체 116: 체결구
118: 삽입홀 120: 제2 지지부재
122: 고정부 124: 제1 고정체
126: 제2 고정체 128: 체결부
130: 고정부재 140, 150: 계합부재
142, 152: 조작부 144, 156: 파지부
146: 전환부 20: 연결봉
210: 홈부 220: 오링
230: 플랜지 240: 헤드부
30, 30': 새들 브라켓 302: 나사홀
310: 중앙 연결부 312: 삽입홀
250: 돌출부 154: 탄성 연결부
158: 접촉단부 260: 탄성부재
270: 탭부 314: 개구부

Claims (12)

  1. 건물의 천정면에 설치 가능하게 제공되는 새들 브라켓;
    상기 새들 브라켓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홈부를 갖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 단부에 연결되고, 배관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배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의 하측에 형성되는 플랜지;
    상기 새들 브라켓의 상측에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플랜지와 상기 새들 브라켓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새들 브라켓을 서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형성되고, 둘레면 중 일부가 직선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는 탭부를 포함하고,
    상기 새들 브라켓 상에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홀 및 상기 삽입홀의 일측이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폭 길이는 상기 삽입홀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고,
    상기 탭부는 상기 개구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배관의 둘레면 중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배관의 둘레면의 나머지 중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과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2 지지부재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의 일면과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고정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고정부와 접촉되어 고정되는 고정면에 형성된 삽통공으로 상기 고정체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가 상기 고정체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고정부가 상호 고정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상기 배관 홀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봉의 상기 홈부에 계합되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부재는,
    상기 홈부에 계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파지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반대측 단부를 구성하는 전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봉을 파지한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 브라켓은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와 상기 헤드부에 의한 간섭에 의해 상기 새들 브라켓이 상기 연결봉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과 연결된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제공되는 오링을 포함하고,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링과 상기 연결부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연결봉이 상기 삽입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8. 제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홈부는 상기 연결봉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홈부는,
    상기 연결봉의 둘레를 따라 요입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단부로부터 일정한 직경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는 원통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홀의 둘레면 중 일부에 요입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은,
    상기 새들 브라켓과 연결된 일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요입홈을 통과한 후 상기 연결봉이 소정 각도로 회전되면, 상기 돌출부와 상기 연결부 간의 간섭에 의해 상기 연결봉이 상기 삽입홀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10. 건물의 천정면에 설치 가능하게 제공되는 새들 브라켓;
    상기 새들 브라켓에 일 단부가 연결되고, 둘레면에 복수의 홈부를 갖는 연결봉; 및
    상기 연결봉의 타 단부에 연결되고, 배관을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배관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배관 홀더는,
    상기 연결봉이 상기 배관 홀더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봉의 상기 홈부에 계합되는 계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계합부재는,
    상기 홈부에 계합된 상태를 선택적으로 해제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와 연결되고, 상기 홈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파지부;
    상기 조작부와 상기 파지부를 연결하고,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봉을 파지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연결부; 및
    상기 파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조작부의 반대측 단부를 구성하는 접촉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봉을 파지한 상태가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 연결부에 의해 상기 파지부가 상기 연결부를 파지하는 상태로 복원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11. 삭제
  12.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서로 체결되었을 때 상기 연결부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고정부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KR1020200028087A 2020-03-06 2020-03-06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KR102155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87A KR102155197B1 (ko) 2020-03-06 2020-03-06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087A KR102155197B1 (ko) 2020-03-06 2020-03-06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5197B1 true KR102155197B1 (ko) 2020-09-11

Family

ID=72472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087A KR102155197B1 (ko) 2020-03-06 2020-03-06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1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26936A (zh) * 2022-06-20 2022-09-3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可减缓晃动幅度的机电管道安装用支吊架
KR102510145B1 (ko) 2022-06-07 2023-03-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클램프
KR102573970B1 (ko)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KR102672915B1 (ko) 2023-04-24 2024-06-10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클램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16Y1 (ko) * 2001-10-22 2002-02-19 이호철 오수관 고정구
KR20100119072A (ko) * 2009-04-30 2010-11-09 구성회 건물의 파이프 및 구조물용 행거
KR20110011808U (ko) * 2010-06-16 2011-12-22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가스 보일러용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JP2013231467A (ja) * 2012-04-27 2013-11-14 Tokkyokiki Corp 減震インサートアンカー
KR20190099696A (ko) * 2018-02-19 2019-08-28 김학응 행거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316Y1 (ko) * 2001-10-22 2002-02-19 이호철 오수관 고정구
KR20100119072A (ko) * 2009-04-30 2010-11-09 구성회 건물의 파이프 및 구조물용 행거
KR20110011808U (ko) * 2010-06-16 2011-12-22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가스 보일러용 배관 파이프 연결장치
JP2013231467A (ja) * 2012-04-27 2013-11-14 Tokkyokiki Corp 減震インサートアンカー
KR20190099696A (ko) * 2018-02-19 2019-08-28 김학응 행거 잠금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145B1 (ko) 2022-06-07 2023-03-15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클램프
KR102573970B1 (ko) 2022-06-07 2023-09-06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달대볼트용 배관행거
CN115126936A (zh) * 2022-06-20 2022-09-30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可减缓晃动幅度的机电管道安装用支吊架
KR102672915B1 (ko) 2023-04-24 2024-06-10 (주)이가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파이프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197B1 (ko)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US666641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guiding and supporting an elongated flexible member
US6572057B1 (en) Hanger system for conduits and channel members
US6508440B2 (en) One-piece conduit hanger
CN101016962A (zh) 管线悬挂器
US6390421B1 (en) Hanger for multiple pipes
US20040056156A1 (en) Pipe hanger and pipe hanger assembly
KR20090006003U (ko) 파이프 행거
US8158882B1 (en) Electrical box hanger
KR200381958Y1 (ko) 원터치 행거
US8220757B2 (en) Conduit hanger
JP6640493B2 (ja) 配線・配管材支持具及び配設装置
US5564659A (en) Conduit hanging apparatus
JP5439094B2 (ja) ボルト体への取着体及びナット体
GB2583780A (en) A mounting mechanism for use with plasterboard, drywall or similar
US20080203242A1 (en) Spacer Assembly
JP7130583B2 (ja) 配線・配管材支持装置、配線・配管材の配設構造、支持バー固定装置、及び支持バー台座
JP7015620B2 (ja) 配管支持具用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配管支持具並びに配管支持具取付構造。
KR20022391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1822795B1 (ko)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KR20150098503A (ko) 전선관 원터치 고정 장치 및 고정 방법
KR200290814Y1 (ko) 파이프 행거
JP3241636U (ja) クランプ
EP2550473B1 (en) Clamp
KR102274229B1 (ko) 천장 가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