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2795B1 -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 Google Patents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2795B1
KR101822795B1 KR1020170105796A KR20170105796A KR101822795B1 KR 101822795 B1 KR101822795 B1 KR 101822795B1 KR 1020170105796 A KR1020170105796 A KR 1020170105796A KR 20170105796 A KR20170105796 A KR 20170105796A KR 101822795 B1 KR101822795 B1 KR 101822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llel
pipe
ceiling
extend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우
Original Assignee
최장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우 filed Critical 최장우
Priority to KR1020170105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16L3/102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the members being joined by quick ac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engaging it by snap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단과 타측단이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고리부 및 상기 천장에 고정되되,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천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일측단 및 상기 타측단이 상기 제2 고정부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가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는, 중심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중심부로부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분기부 및 제2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분기부의 끝단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배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1 이격거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배관의 수용을 위해 상기 배관과 접촉되는 경우,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배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이격거리가 복귀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Hanger assembly for piping}
본 발명은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각종 배관 또는 각종 전선 등을 고정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는 실내 냉난방을 위한 시스템에어컨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공기조화장치용 배관, 온수난방을 위한 난방용 배관, 급수와 배수를 위한 급배수장치용 배관, 조명기기 전원 공급을 위한 전선관 등의 배관들을 설치하고 있고, 이러한 배관들은 배관의 외주를 감싸서 결합하는 클램프 형태를 가지는 다수개의 행거를 통해 설치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0367호 '천정 배관용 행거'가 공지되어 있는데, 간략하게 건물의 천정부위에 배관되는 전선관이나 급수관 등의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해, "T"형의 체결홈이 형성된 "∩"형상의 고정부가 반원형의 안착부 상단에 일체로 성형된 고정테, 상기 고정테와 대향되는 반원형의 안착부에 대해 수직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와 접촉되는 가동리브를 구비하되, 여기에 전방의 폭이 넓고 후방의 폭이 좁은 체결편을 직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단부를 절곡하여 손잡이를 형성한 가동테, 상기 고정테에 마련된 고정부 상면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이에 나선봉과 치합되도록 한 고정너트, 상기 고정너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체결홈에 삽입되는 체결편의 탈착을 방지하는 탄성편으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종래 기술은 건물에 설치되는 배관을 결합한 상태에서 가동테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를 제어하기 어려운 것은 물론, 가동테는 일정 하중에도 소성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두께의 강판재로 형성하기 때문에 손잡이를 가압할 때 가압력에 대응하는 반작용점이 없어서 손잡이를 가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그 구조가 복잡하여, 잔고장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해체 작업이 난해하고 작업시간과 비용이 추가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고, 구성이 간단하여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한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단과 타측단이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고리부 및 상기 천장에 고정되되,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천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일측단 및 상기 타측단이 상기 제2 고정부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가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폐쇄될 수 있으며, 상기 고리부는, 중심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중심부로부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분기부 및 제2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분기부의 끝단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배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1 이격거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배관의 수용을 위해 상기 배관과 접촉되는 경우,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배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이격거리가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제1 분기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형부, 상기 제1 원형부의 끝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로부터 상기 제2 분기부를 향해 합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1 함입부로부터 상기 제2 분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형부, 상기 제2 원형부의 끝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로부터 상기 제1 분기부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로부터 상기 제1 분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확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인접한 일측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직선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평행부 및 상기 제1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인접한 일측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평행부 및 상기 제2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대응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입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경우, 상기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과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함입부는 상기 제1 대응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함입부는 상기 제2 대응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대응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평행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2 대응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평행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1 함입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2 함입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와 밀착되는 제4 위치로 회동되며,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2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5 위치에서 상기 제2 접촉부와 밀착되는 제6 위치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이 중첩되도록 상기 중심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연결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 방향이 변화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상기 천장에 고정되되,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고정부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상기 제2 고정부 또는 상기 제3 고정부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설치 및 분리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줄이고,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건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의 배열 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조작이 가능하여 배관의 배열 방향에 구애 받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가 설치된 건축물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2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가 설치된 건축물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1, 이하 조립체)는 건축물 내의 천장(C)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P)을 고정하는 조립체(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체(1)는 제1 고정부(10), 제1 연결부(20), 제2 연결부(30), 고리부(40) 및 제2 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10)는, 건축물의 천장(C) 또는 벽 등에 고정된다.
제1 연결부(20)는, 제1 고정부(1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하측 방향이란 천장(C)으로부터 바닥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연결부(30)는, 제1 연결부(20)와 연결된 채, 제1 연결부(2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제1 연결부(2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된다.
고리부(40)는, 제2 연결부(30)의 끝단에 연결되며, 배관(P)을 수용하는 수용공간(S)을 갖도록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단과 타측단이 이격되어 개구(H)를 형성한다.
제2 고정부(50)는, 천장(C)에 고정되되, 제1 고정부(10)와 이격되어 배치된다.
개구(H)는 제2 연결부(30)가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천장(C)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제2 연결부(30)가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천장(C)과 대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개구(H)가 천장(C)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은, 개구(H)의 형성 방향이 천장(C)과 나란하게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건축물 내의 측벽을 향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개구(H)가 천장(C)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것은, 개구(H)의 형성 방향이 천장(C)을 향하도록 배치된 경우를 의미한다.
고리부(40)는, 개구(H)가 천장(C)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일측단 및 타측단이 제2 고정부(50)에 접촉되어 개구(H)가 제2 고정부(50)에 의해 폐쇄된다.
구체적으로, 고리부(40)는, 제2 연결부(30)가 제1 연결부(20)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었을 때, 제2 고정부(50)에 의해 개구(H)가 폐쇄되어 폐곡선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조립체(1)의 고리부(40)는 중심부(43)로부터 분기되며, 중심부(43)로부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분기부(41) 및 제2 분기부(42)를 구비한다.
제1 분기부(41)의 끝단 및 제2 분기부(42)의 끝단의 이격 거리는 배관(P)의 지름보다 작은 제1 이격거리로 형성되며, 제1 이격거리로 형성된 구간이 상술한 개구(H)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개구(H)는 이격된 제1 분기부(41)의 끝단 및 제2 분기부(42)의 끝단에 의해 형성된다.
제1 분기부(41)는, 중심부(43)로부터 연장되어 배관(P)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형부(411), 제1 원형부(411)의 끝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413), 제1 직선부(413)로부터 제2 분기부(42)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415) 및 제1 함입부(415)로부터 제2 분기부(4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확장부(417)를 구비한다.
제2 분기부(42)는, 중심부(43)로부터 연장되어 배관(P)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형부(421), 제2 원형부(421)의 끝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423), 제2 직선부(423)로부터 제1 분기부(41)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425) 및 제2 함입부(425)로부터 제1 분기부(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확장부(427)를 구비한다.
중심부(43)는, 제1 분기부(41)와 제2 분기부(42)의 경계 영역으로, 제1 분기부(41) 및 제2 분기부(42)는 중심부(43)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1 분기부(41) 및 제2 분기부(42)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외력에 의해 중심부(43)를 기준으로 각각의 끝단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거나 감소하도록 위치 이동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분기부(41) 및 제2 분기부(42)는, 배관(P)의 수용을 위해 배관(P)과접촉되는 경우, 중심부(43)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제1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배관(P)이 수용공간(S)에 수용되도록 하며, 배관(P)의 수용공간(S)으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제1 이격거리가 복귀된다.
제1 확장부(417)와 제2 확장부(427)는 배관(P)의 수용공간(S) 내로의 위치 이동이 용이하도록 끝단으로부터 수용공간(S)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이격 거리가 감소하여, 배관(P)의 수용공간(S) 내로의 위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상기 제1 확장부(417)는 상기 제1 함입부(41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확장부(427)는 상기 제2 함입부(42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확장부(417)는, 개구(H)가 천장(C)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 측면(5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위치에서 후술할 제1 접촉부(515)와 밀착되는 제4 위치로 회동된다.
또한, 제2 확장부(427)는, 개구(H)가 천장(C)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2 측면(52)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5 위치에서 제2 접촉부(525)와 밀착되는 제6 위치로 회동된다.
이는, 고리부(40)가 제2 고정부(50)와 접촉된 채, 제2 고정부(50)에 체결되는 경우, 고리부(40)와 제2 고정부(50)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고리부(40)의 제2 고정부(50)에 의한 이탈 방지 효과가 향상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2 고정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2 고정부에 연결되는 고리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조립체(1)의 제2 고정부(50)는, 제1 측면(51), 제2 측면(52)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면(52) 및 제1 측면(51)과 제2 측면(52)을 연결하는 바닥면(53)을 구비한다.
제1 측면(51)은 바닥면(53)과 인접한 일측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1 직선부(41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평행부(511), 제1 평행부(511)로부터 제2 측면(52)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되, 제1 함입부(41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대응부(513) 및 제1 대응부(513)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2 평행부(52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촉부(525)를 구비한다.
또한, 제2 측면(52)은 바닥면(53)과 인접한 일측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제2 직선부(423)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평행부(521), 제2 평행부(521)로부터 제1 측면(51)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되, 제2 함입부(425)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대응부(523) 및 제2 대응부(523)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제2 평행부(521)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촉부(525)를 구비한다.
제2 연결부(3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고리부(40)는 제2 고정부(50)와 접촉되게 된다.
이 때, 고리부(40)의 제1 확장부(417)와 제2 확장부(427)가 형성하는 공간은 제2 고정부(5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고리부(40)의 제1 확장부(417) 및 제2 확장부(427)에 의한 제2 고정부(50)로의 접근은 방해되지 않는다.
제2 연결부(3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제1 분기부(41)의 제1 함입부(415)는 제1 측면(51)의 제1 평행부(511)와 접촉된 채, 제1 평행부(511)를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제1 측면(51)의 제1 대응부(513)에 삽입된다.
제1 분기부(41)는, 중심부(43)를 기준으로 제2 분기부(42)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제1 함입부(415)의 제1 평행부(511)의 슬라이딩 중에, 제1 분기부(41)는 제2 분기부(42)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함입부(415)의 제1 대응부(513)로의 삽입은 제1 분기부(41)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제1 대응부(513)에 삽입된 제1 함입부(415)는, 제1 분기부(41)의 중심부(43)를 기준으로 한 탄성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함입부(415)를 제1 대응부(513)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제1 분기부(41)의 중심부(43)를 기준으로 한 탄성력을 상회하는 외력이 인가되어 한다.
제1 함입부(415)가 제1 대응부(513)에 삽입되면, 제1 직선부(413)는 제1 평행부(511)와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는, 고리부(40)와 제2 고정부(50)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고리부(40)의 제2 고정부(50)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1 함입부(415)가 제1 대응부(513)에 삽입된 후, 제1 확장부(417)는 제3 위치에서 제4 위치로 회동되어 제1 측면(51)에 밀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분기부(41)는 제1 측면(51)에 밀착되어 제2 고정부(5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제2 연결부(3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 중에, 제2 분기부(42)의 제2 함입부(425)는 제2 측면(52)의 제2 평행부(521)와 접촉된 채, 제2 평행부(521)를 따라 슬라이딩되다가 제2 측면(52)의 제2 대응부(523)에 삽입된다.
제2 분기부(42)는, 중심부(43)를 기준으로 제2 분기부(42)와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므로, 제2 함입부(425)의 제2 평행부(521)의 슬라이딩 중에, 제2 분기부(42)는 제1 분기부(4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함입부(425)의 제2 대응부(523)로의 삽입은 제2 분기부(42)의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즉, 제2 대응부(523)에 삽입된 제2 함입부(425)는, 제2 분기부(42)의 중심부(43)를 기준으로 한 탄성력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함입부(425)를 제2 대응부(523)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제2 분기부(42)의 중심부(43)를 기준으로 한 탄성력을 상회하는 외력이 인가되어 한다.
제2 함입부(425)가 제2 대응부(523)에 삽입되면, 제2 직선부(423)는 제2 평행부(521)와 밀착한 상태가 된다. 이는, 고리부(40)와 제2 고정부(50)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고리부(40)의 제2 고정부(50)와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한, 제2 함입부(425)가 제2 대응부(523)에 삽입된 후, 제2 확장부(427)는 제5 위치에서 제6 위치로 회동되어 제2 측면(52)에 밀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 분기부(42)는 제2 측면(52)에 밀착되어 제2 고정부(50)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제2 고정부(50)의 바닥면(53)은 배관(P)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입되어 배관(P)이 수용공간(S)에 수용된 경우, 배관(P)의 적어도 일부분과 밀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배관(P)이 고리부(40)의 수용공간(S)에 수용된 채, 제2 연결부(30)가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면, 고리부(40)는 제2 고정부(50)에 고정되게 되며, 이 때, 제2 고정부(50)의 바닥면(53)은 수용공간(S)과 대향하게 된다.
여기서, 고리부(40)의 수용공간(S)에 수용된 배관(P)의 일부분은 제2 고정부(50)의 바닥면(53)과 접촉되게 되며, 배관(P)의 표면적은 굴곡지게 형성되므로, 고리부(40)의 제2 고정부(50)에 대한 밀착을 위해 제2 고정부(50)의 바닥면(53)은 배관(P)의 표면적과 대응되는 굴곡지게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고리부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고리부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P)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20)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제1 연결부(120)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개구 방향이 변화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P)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천장(C)에 고정되되, 제1 고정부(110)를 기준으로 제2 고정부(150)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 고정부(160)를 더 포함한다.
또한, 고리부(140)는 제2 연결부(130)의 제1 연결부(120)에 대한 회전 위치에 따라, 제2 연결부(130)의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제2 고정부(150) 또는 제3 고정부(160)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 여부가 결정된다.
제2 연결부(130)의 제1 연결부(120)를 기준으로 한 회전은 제1 연결부(120)와 제2 연결부(130) 사이에 개재된 회전부재(125)에 의해 구현된다.
다시 말해, 제2 연결부(130)는 제1 연결부(120)와 회전부재(125)를 통해 연결된 채, 회전부재(125)의 회전에 따라 제1 연결부(12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연결부(130)에 연결된 고리부(140)는 제1 연결부(120)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된 제2 고정부(150) 또는 제1 연결부(120)를 기준으로 타측에 배치된 제3 고정부(16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천장(C)에 고정되는 배관(P)은 천장(C) 상에서 여러 경로로 배치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배관(P)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천장(C)에 고정된 고정부의 위치에 따라 배관(P)의 다양한 경로로 배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는 중심부를 제외하고는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이하 중심부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의 제1 분기부(241) 및 제2 분기부(242)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이 중첩되도록 중심부(243)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킨다.
이를 위해, 제1 분기부(241)와 제2 분기부(242) 사이의 중심부(243)는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분기부(241)와 제2 분기부(242)를 연결하여, 제1 분기부(241) 또는 제2 분기부(242)가 슬라이딩되는 일종의 버클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기부(241) 또는 제2 분기부(242)는 중심부(243)를 따라 위치 이동되어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되도록 한다.
수용공간의 크기가 변화됨에 따라, 고리부(240)에 수용되는 배관의 크기에 따라 고리부(240)의 수용공간을 변화시켜 다양한 직경의 배관을 천장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P: 배관
C: 천장
S: 수용공간
10: 제1 고정부
20: 제1 연결부
30: 제2 연결부
40: 고리부
H: 개구
50: 제2 고정부
60: 제3 고정부

Claims (9)

  1.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상기 건축물 내에 설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제1 연결부와 연결된 채,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외력에 의해 회동되어 상기 제1 연결부와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위치로 위치 이동되는 제2 연결부;
    상기 제2 연결부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배관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갖도록 원형의 고리 형태로 형성되되, 일측단과 타측단이 이격되어 개구를 형성하는 고리부; 및
    상기 천장에 고정되되, 상기 제1 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천장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한 경우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일측단 및 상기 타측단이 상기 제2 고정부에 접촉되어 상기 개구가 상기 제2 고정부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고리부는,
    중심부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중심부로부터 거울상으로 배치되는 제1 분기부 및 제2 분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분기부의 끝단 및 상기 제2 분기부의 끝단의 이격 거리는 상기 배관의 지름보다 작은 제1 이격거리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배관의 수용을 위해 상기 배관과 접촉되는 경우,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제1 이격거리가 증가하도록 위치 이동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하며, 상기 배관의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제1 이격거리가 복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형부, 상기 제1 원형부의 끝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로부터 상기 제2 분기부를 향해 합입되어 형성되는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1 함입부로부터 상기 제2 분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분기부는,
    상기 중심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배관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형부, 상기 제2 원형부의 끝단으로부터 직선으로 연장되는 제2 직선부, 상기 제2 직선부로부터 상기 제1 분기부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는 제2 함입부 및 상기 제2함입부로부터 상기 제1분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확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측면 및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는 바닥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인접한 일측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직선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평행부 및 상기 제1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2 측면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대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바닥면과 인접한 일측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직선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평행부 및 상기 제2 평행부로부터 상기 제1 측면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 함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대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배관의 외측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함입되어 상기 배관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경우, 상기 배관의 적어도 일부분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함입부는 상기 제1 대응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2 함입부는 상기 제2 대응부와 접촉되어 상기 제2 고정부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은,
    상기 제1 대응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평행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1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측면은,
    상기 제2 대응부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평행부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는 제2 접촉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제1 함입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제2 함입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확장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1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위치에서 상기 제1 접촉부와 밀착되는 제4 위치로 회동되며,
    상기 제2 확장부는, 상기 개구가 상기 천장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경우, 제2 측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5 위치에서 상기 제2 접촉부와 밀착되는 제6 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기부 및 상기 제2 분기부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이 중첩되도록 상기 중심부를 따라 슬라이딩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제1 연결부와 평행하게 배치된 채, 상기 제1 연결부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개구 방향이 변화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에 고정되되, 상기 제1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기 제2 고정부와 대칭되게 배치되는 제3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리부는,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1 연결부에 대한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2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른 상기 제2 고정부 또는 상기 제3 고정부 중 어느 하나와의 접촉 여부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20170105796A 2017-08-22 2017-08-22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KR101822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96A KR101822795B1 (ko) 2017-08-22 2017-08-22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796A KR101822795B1 (ko) 2017-08-22 2017-08-22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2795B1 true KR101822795B1 (ko) 2018-03-14

Family

ID=61660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796A KR101822795B1 (ko) 2017-08-22 2017-08-22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2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677B1 (ko) 2018-02-20 2018-06-25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 제어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6576A1 (en) 2002-08-06 2004-02-12 Seiji Shibuya Fastener for laying pipes
JP2009287615A (ja) 2008-05-27 2009-12-10 Nichiei Intec Co Ltd 垂直及び斜め吊り自在のジョイント金具
JP2011017357A (ja) 2009-07-07 2011-01-27 Nichiei Intec Co Ltd 吊り角度自在のジョイント金具
JP6096235B2 (ja) 2015-03-26 2017-03-15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放射空調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6576A1 (en) 2002-08-06 2004-02-12 Seiji Shibuya Fastener for laying pipes
JP2009287615A (ja) 2008-05-27 2009-12-10 Nichiei Intec Co Ltd 垂直及び斜め吊り自在のジョイント金具
JP2011017357A (ja) 2009-07-07 2011-01-27 Nichiei Intec Co Ltd 吊り角度自在のジョイント金具
JP6096235B2 (ja) 2015-03-26 2017-03-15 株式会社クボタケミックス 放射空調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6677B1 (ko) 2018-02-20 2018-06-25 (주)산이앤씨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소방 용수 자동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197B1 (ko) 새들 일체형 배관 행거
KR101822795B1 (ko) 배관 설치용 행거 조립체
KR20100112243A (ko) 파이프용 행거
KR101766601B1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KR101500456B1 (ko) 스틸 스터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시스템
KR200444230Y1 (ko) 배관 파이프 지지용 행거
US5564659A (en) Conduit hanging apparatus
US10731829B2 (en) Retention devices for recessed luminaires
KR200371633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1660124B1 (ko) 덕트 고정 장치
KR20180048283A (ko) 파이프용 지지장치
JPH04347085A (ja) 配管支持具
KR200339745Y1 (ko) 배관결착지지구
KR101325711B1 (ko) 전선 트레이 결합구
KR200365974Y1 (ko) 파티션 연결장치
EP3584510B1 (en) A terminal device to be connected to a venthole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terminal device to a venthole
AU2417801A (en) Lead-through device for a pipeline in a building element e.g. a wall and a procedure for such a lead-through
KR100592662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KR102587313B1 (ko) 전선관 연결구
KR20130000795U (ko) 파이프 배관 고정구
JP2015031321A (ja) 天井配管構造及び管継手
CN108916508B (zh) 一种多功能三通管件
WO2022106752A1 (en) A system for attaching to a socket box inside a wall
JP2006132585A (ja) エアーダクト用吊りバンド
JP3187430U (ja) 管継手連結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