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5141B1 -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 Google Patents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5141B1
KR102155141B1 KR1020190000240A KR20190000240A KR102155141B1 KR 102155141 B1 KR102155141 B1 KR 102155141B1 KR 1020190000240 A KR1020190000240 A KR 1020190000240A KR 20190000240 A KR20190000240 A KR 20190000240A KR 102155141 B1 KR102155141 B1 KR 102155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em cell
parts
extract
c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170A (ko
Inventor
김영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라줄기세포연구소
Priority to KR1020190000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51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5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5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8Rubbing or scrubbing compositions; Peeling or abrasive compositions; Containing exfoli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화장품 베이스와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A Atopy Treating Scrab Washer Using A Stem Cell Crushed Extract(Free-Membrane Stem Cell) and A Coffee Beans Crushed Powder}
본 발명은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럽워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수득률을 높이고, 줄기세포 내의 유효성분 수득률을 높이고,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하여 스크럽이 가능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럽워셔에 관한 것이다.
줄기세포(stem cell)는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미분화 세포로, 다양한 조직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이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행해지고 있다. 줄기세포 중 성체 줄기세포는 지방, 골수, 제대혈 또는 태반 등과 같은 부위에서 쉽게 얻을 수 있으며, 배아 줄기세포에 비해 윤리적 문제가 적고, 사용자 본인의 세포를 이용하면 면역거부반응도 적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성체 줄기세포를 바로 주입하는 치료는 면역거부반응 등의 이유로 자가치료에 한정된다. 이 자가치료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서는 줄기세포를 파쇄하여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면역원성이 붙어 있는 세포막을 제거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발명자는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의 개념을 처음으로 정립하고 그 원천 특허를 출원한 바 있다. 그 원천 특허의 장점은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면역원성이 붙어 있는 세포막을 제거함으로써 누구나 사용이 가능한 범용성이 있기 때문에 대량배양을 할 이유가 성립되고, 그 결과 줄기세포의 대중화와 산업화를 이룰 수 있다.
그래서, 줄기세포의 대중화와 산업화를 이루기 위해서 줄기세포의 대량배양에 유용한 방법과 그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의 지속적인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 10-1561672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여, 세포의 수득을 높이고,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의 성장인자의 피부진정으로 인하여 피부과민반응이 감소되고 피부방어력이 증대되는 줄기세포파쇄추출물과, 피부결을 유연하게 만들어 피부에 보습력을 주는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럽워셔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및 커피원두파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셔에 관한 것으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포함하는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커피원두분쇄가루가 6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셔베이스는 전체 용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의 성분들인 각종 성장인자 및 펩타이드 등의 피부의 염증을 줄이고, 피부 조직을 재생시켜 아토피 피부염을 더욱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첨가하여 거칠어진 피부결을 유연하게 만들며, 피부에 보습력을 주어 아토피 피부염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유효성분 3저 추출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의 항 관절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연골세포의 특정마커인 CD44를 이용하여 연골세포임을 확인하는 도면.
도 3은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물질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하는 도면.
도 4는 연골세포에 IL-1α를 처리해 염증을 일으킨 후, 염증을 일으킨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여 염증매개 인자인 NO생성 억제를 확인한 도면.
도 5는 IL-1α 처리로 유도된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처리한 후 유도된 NO의 생성 억제 효과는 iNOS와 COX-2의 발현 억제와 연관을 확인한 도면.
도 6은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처리한 연골세포는 IL-1α에 의한 NF-κB 단백질이 핵 내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한 도면.
도 7은 IL-1α 에 의해 염증이 발생한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처리하여 iMAPKs 활성을 확인한 도면.
도 8은 유전학적 발현을 통해 본 줄기세포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하는 도면.
도 9는 연골 형성 발달에 관여하는 sox-9의 유전자를 통해 연골형성 효과를 확인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한 결과 유의한 세포 독성의 발현 유무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LPS와 동시에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의 발현유무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LPS와 처리한 결과 세포 형태의 변화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LPS와 처리한 결과 산화질소 농도의 변화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LPS와 처리한 결과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변화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LPS와 처리한 결과 TNFα의 변화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LPS와 처리한 결과 IL-1β의 변화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보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FGF-2)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VEGF)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TIMP-1)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1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보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FGF-2)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VEGF)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4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TIMP-1)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5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보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6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FGF-2)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7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VEGF)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8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TIMP-1)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29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보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0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FGF-2)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1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VEGF)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2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TIMP-1)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3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보습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4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FGF-2)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5는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VEGF)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6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함유된 혼합물이 피부재생인자(TIMP-1)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도 37은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 0.1중량부가 함유된 혼합물이 아토피 피부염 중증도 지수(스코라드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스크럽워셔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인 줄기세포 유효성분 추출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외부와 내부가 차단되는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 마련되고 상방이 개구되는 제 1용기부(12)와, 상기 제 1용기부(12)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1용기부(12) 내에 마련되며 상방이 개구되어 내부에 줄기세포가 투입되는 제 2용기부(14)와, 상기 제 2용기부(14) 내부의 줄기세포를 파쇄하는 파쇄부(16)와, 상기 몸체부(10) 내부로 공기의 유동을 단속하는 밸브(18)와, 상기 몸체부(10) 내부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펌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추출장치에는 몸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마련되어 외부와 내부가 차단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0) 내부에는, 제 1용기부(12)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용기부(12)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 1용기부(12)에는 얼음이 적재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제 2용기부(14) 내부의 줄기세포의 온도를 낮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용기부(12) 내부에는 제 2용기부(14)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용기부(14)는 상기 제 1용기부(12)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 2용기부(14)는 상기 제 1용기부(12) 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제 2용기부(14)는 상기 제 1용기부(12) 내부에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용기부(14)에는 줄기세포가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파쇄부(1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파쇄부(16)는 상기 제 2용기부(14) 내부에 적재되는 줄기세포를 초음파를 이용하여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외부와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마련되며, 상기 유로를 통한 공기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18)가 마련된다. 상기 유로의 타단에는 펌프(20)가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상기 몸체부(10)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용기부에 투입되는 줄기세포는 저장액에 넣어 상기 줄기세포가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줄기세포를 증류수 같은 저장액에 넣어 상기 줄기세포가 삼투압에 의하여 팽창되도록 하여 작은 충격으로 파쇄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대량배양용 배지조성물 및 의 배지조성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배지를 제조하여 세포수득량을 높이고, 세포를 파쇄하였을 때 유효성분을 더욱 많이 수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지는 기본 배지는 동물 세포의 배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의 배지들로서, 예컨대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 1640, F-10, F12, DMEM-F12, α-MEM(α-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MacCoy's 5A 배지, AmnioMax, AminoMaxⅡ complete Medium, Chang's Medium MesemCult-XF Medium 등일 수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배지에 첨가조성물을 추가한다. 상기 첨가조성물은 히알루론산, 글리신, 히스티딘, 이소류신, 메티오닌, 페닐알라닌, 프롤린, 히드록시프롤린, 세린, 트레오닌, 트립토판, 티로신, 발린, bFGF, EGF, VEGF, KGF, HGF, TGF, 비타민C, 비타민B1, 비타민B12, 비타민E, 셀레늄, 트랜스페린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첨가조성물 중 히알루론산이 포함된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세포배양시 스캐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0㎍/㎖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글리신이 포함된다. 상기 글리신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히스티딘이 포함된다 상기 히스티딘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이소류신이 포함된다 상기 이소류신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메티오닌이 포함된다 상기 메티오닌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페닐알라닌이 포함된다 상기 페닐알라닌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프롤린 포함된다 상기 프롤린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0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히드록시프롤린이 포함된다 상기 히드록시프롤린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5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세린이 포함된다 상기 세린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트레오닌이 포함된다 상기 트레오닌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트립토판이 포함된다 상기 트립토판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티로신이 포함된다 상기 티로신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발린이 포함된다 상기 발린은 아미노산으로 세포의 성장에 영양성분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2ng/㎖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bFGF가 포함된다. 상기 bFGF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9㎍/㎖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EGF가 포함된다. 상기 EGF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5㎍/㎖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VEGF가 포함된다. 상기 VEGF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KGF가 포함된다. 상기 KGF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2㎍/㎖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HGF가 포함된다. 상기 HGF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0.5㎍/㎖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TGF가 포함된다. 상기 TGF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0.5㎍/㎖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비타민C가 포함된다. 상기 비타민C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2㎍/㎖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비타민B1가 포함된다. 상기 비타민B1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0.5㎍/㎖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비타민B12가 포함된다. 상기 비타민B12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3㎍/㎖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비타민E가 포함된다. 상기 비타민E는 배양되는 세포의 성장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500㎍/㎖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셀레늄이 포함된다. 상기 셀레늄은 세포의 활성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8㎍/㎖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첨가조성물에는 트랜스페린이 포함된다. 상기 트랜스페린은 세포의 활성을 돕는 것으로, 상기 배지조성물에 대하여 12㎍/㎖의 농도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유효성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세포배양용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 및 세포배양용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과 줄기세포 유효성분 3저 추출법을 이용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1단계: 줄기세포를 인체의 지방, 골수, 제대혈 또는 태반 중 어느 하나에서 추출한다. 본원발명에서는 지방흡입술로 지방을 수거한 후 효소처리와 여러번 원심분리를 통하여 정제하여 지방줄기세포를 분리한다.
제 2단계: 상기 분리된 줄기세포를 상술한 본원발명의 대량배양용 배지조성물을 사용하여 만든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한다. 상기 줄기세포 대량배양용 배지조성물을 이용하게 되면 줄기세포의 성장속도를 높여 줄기세포의 수득율이 높아진다.
제 3단계; 줄기세포가 배양된 배양액을 제거한 다음 줄기세포를 분리하고 세포부유액을 수득하여 계대배양한다.
제 4단계: 세포가 충분한 밀도로 자라면 세포를 플레이트에서 분리한다. 줄기세포를 분리한 후 생리식염수 또는 PBS(phosphate buffer saline)를 이용하여 수차례 세척한다. Cell counting 기로 세포수를 측정하여 항상 일정한 농도의 부유액을 만든다.
제 5단계; 줄기세포막의 파쇄가 가능하도록 상등액을 제거하고 증량제를 첨가한다. 초음파를 가하여 줄기세포 유효성분 3저 추출법으로 세포를 파쇄한다. 현미경을 통해 줄기세포가 전부 파쇄된 것이 확인되면 파쇄를 종료한다. 상기 3저 추출법의 과정을 거치면 단시간 내 효과적인 세포막 파쇄를 하여 줄기세포 내부의 성장인자와 세포활성물질 등 유효성분의 대부분이 유지된다.
제 6단계: 저장성 증량제와 줄기세포 파쇄 혼합물에는 줄기세포 내용물인 다양한 성장인자, 세포활성물질과 함께 세포막 잔여물이 존재한다. 그 중 필요하지 않은 세포막 잔여물을 원심분리 및 미세필터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이 때 세포막에 붙어있는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는 면역원성이 제거되어 누구나 사용 가능한 줄기세포 유효성분이 추출된다.
제 7단계; 상기를 거쳐 만든 줄기세포 파쇄추출물을 냉동 보관하거나 동결 건조하여 보관하고, 활용한다.
상기 단계를 거쳐 얻은 유효성분들을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라 하며 일명 쉘드줄기세포(Shelled Stem Cell)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첨가조성물에 의한 줄기세포 대량배양용 배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줄기세포의 파쇄추출물 유효성분 추출하여 실험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 비교예 1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혈청으로 FBS가 11,12중량부 첨가되고, 항생제로 penicillin이 0.6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2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혈청이 포함되지 않고 영양성분들이 함유된 세럼(serum) 20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3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5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4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10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5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15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6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20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7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25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8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30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9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35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10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40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11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45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12 ]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um) 100중량부에 표 1에 나타난 본 발명의 첨가조성물을 50중량부 혼합한 배지에 줄기세포를 배양하고, 이를 상술한 과정을 따라 성장시키고, 유효인자를 추출하였다.
분류 종류 농도
스캐폴드 히알루론산 10 ㎍/㎖
아미노산 글리신 1 ng/㎖
히스티딘 1 ng/㎖
이소류신 1 ng/㎖
메티오닌 1 ng/㎖
페닐알라닌 1 ng/㎖
프롤린 10 ng/㎖
히드록시프롤린 5 ng/㎖
세린 1 ng/㎖
트레오닌 1 ng/㎖
트립토판 1 ng/㎖
티로신 1 ng/㎖
발린 2 ng/㎖
성장인자 bFGF 9 ㎍/㎖
EGF 1.5 ㎍/㎖
VEGF 1 ㎍/㎖
KGF 1.2 ㎍/㎖
HGF 0.5 ㎍/㎖
TGF 0.5 ㎍/㎖
비타민 비타민C 2 ㎍/㎖
비타민B1 0.5 ㎍/㎖
비타민B12 3 ㎍/㎖
비타민E 500 ㎍/㎖
미량원소 셀레늄 1.8 ng/㎖
트랜스페린 12 ㎍/㎖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의한 세포를 배양한 결과 세포가 수득된 양을 비교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측정형태 세포파쇄 전 수득
검출량(평균)0 세포수득량(개/ml)
대조군 1.1x10^4
비교예 1 2.3x10^5
실시예 1 8.7x10^5
실시예 2 8.6x10^5
실시예 3 8.9x10^5
실시예 4 9.3x10^5
실시예 5 9.7x10^5
실시예 6 1.2x10^6
실시예 7 1.5x10^6
실시예 8 1.8x10^6
실시예 9 2.1x10^6
실시예10 2.4x10^6
실시예11 2.5x10^6
실시예12 2.5x10^6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12의 결과 세포의 수득량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 2의 경우 혈청을 투입하는 실시예 1과 근사하며,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는 증가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수득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세포 배양용 배지 조성물에 의한 세포를 배양한 결과 수득된 세포를 파쇄한 결과 유효성분의 검출량을 비교한 실험결과를 설명한다. 특히,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첨가조성물의 추가량이 동일한 실시예 6을 비교하였다.
측정형태 검출량 (평균)
대조군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6
세포파쇄 후 총단백 (mg/ml) 50.48 ±1.07 181.12 ±1.45 961.53 ±2.03 2002.13±2.82
세포파쇄 후 TGF(pg/ml) 13.06±1.85 113.76±2.22 124.84±2.01 230.90±2.24
세포파쇄 후 VEGF(pg/ml) 110.01±3.52 350.07±2.68 721.04±4.27 1902.35±3.59
세포파쇄 후 KGF(pg/ml) 9.37±0.25 55.63±0.47 105.97±0.49 460.04±0.52
세포파쇄 후 프로콜라겐(ng/ml) 83.10±1.43 261.26±4.61 451.10±2.08 1498.66±16.42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6의 결과 세포의 유효성분의 검출량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수득량이 유사하거나 큰 실시예 3 내지 실시예 10의 경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비하여 검출량이 높을 것임을 예상할 수 있다.
이하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연골세포에 작용하여 항 관절염 및 연골 재생 효과를 확인하는 시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1. 관절연골세포의 분리 및 배양
시험 전, Wistar rat 계 암컷 흰쥐의 연골을 재취하여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서 배양 후, 연골세포의 특정마커인 CD44를 이용해 연골세포 임을 확인한다.(배양조건 37°5% CO2 )
1-2. 결과
연골세포의 특정마커인 CD44를 이용하여 연골세포임을 확인하였다.
2-1. 세포독성 및 NO생성 억제효과
1)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 세포생존율을 측정하여 물질의 세포에 대한 독성을 확인한다.
2) 연골세포에 IL-1α를 처리해 염증을 일으킨다.
3) 염증을 일으킨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을 농도별 처리하여 염증매개 인자인 NO생성 억제를 확인한다.(*NO;Nitric Oxide)
2-2. 결과
1) 농도별 처리하여 세포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20 ng까지의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농도 0,5,10,20 ng/ml)
2) 염증유도물질인 IL-1α를 처리한 세포에서는 NO가 증가함 확인하였다. 염증을 유도한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20ng/ml의 농도에서 약 30%의 염증억제 반응을 확인하였다.(농도 염증유도안한세포, 염증유도한세포, 5,10,20ng)
3-1. iNOS, COX-2 및 NF-kB 발현 변화
1) IL-1α 처리한 연골세포에 양성대조군인 Carprofen(비스테로이드성 물질)과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의 적용하여 NO생성과 COX-2, NF-kB 발현의 연관성을 확인한다.
NO: 염증이 발생하였을 때 증가하는 수치
COX-2 : 일종의 단백질, 염증인자에 의해 활성이 증가했다가 염증이 사라짐에 따라 감소하는 물질
2) 염증을 일으킨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의 처리가 NF-κB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3-2. 결과
1) IL-1α 처리로 유도된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IL-1α 처리로 유도된 NO의 생성 억제 효과는 iNOS와 COX-2의 발현 억제와 연관이 있음을 의미한다.
2)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추물을 처리한 연골세포는 IL-1α에 의한 NF-κB 단백질이 핵 내로 이동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IL-1α에 의해 유도되는 주요 염증 신호전달 경로인 NF-κB pathway를 차단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 iMAPKs 활성에 미치는 영향
1) IL-1α 에 의해 염증이 발생한 연골세포에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을 처리하여 iMAPKs 활성을 확인한다.
1)항염증 기전확인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의 항염증 효능이 p38 MAPK 신호전달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5-1. 연골형성 및 발달에 관여하는 인자 qPCR 측정
1) 유전학적 발현을 통해 본 줄기세포성분추출물의 항염즘 효과 확인한다.
2)연골 형성 발달에 관여하는 sox-9의 유전자를 통해 연골형성을 확인한다.
5-2. 결과
1) MMPs는 연골조직의 이화작용에 관여하는 주요 단백질로서, IL-1α(염증유발물질)를 처리했을 때 MMP-13의 유전자 발현이 크게 증가되었으나,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의 처리 시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연골 형성 및 발달에 관여하는 SOX-9의 유전자도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라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하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항염증 작용 효과를 확인하는 시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1. 세포독성평가
1) 줄기세포파쇄추출물(T-stem)을 0.1㎍/ml부터 3㎍/ml의 농도로 마우스 대식세포 (RAW 246.7)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2) 줄기세포파쇄추출물과 LPS 동시에 처리하였다.
1-2. 결과
1)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단독으로 농도별 처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우스 대식세포의 염증반응 유발물질인 Lipopolysaccharide (LPS) 1㎍/ml과 함께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2-1. 세포형태변화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2㎍/ml을 마우스 대식세포 (RAW 246.7)에 24시간 처리한 후, 세포형태 변화를 확인하였다.
2-2. 결과
염증유발인자인 LPS 1㎍/ml을 처리한 그룹에서 대조군 그룹에 비해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비교적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기세포파쇄추출물과 LPS 1㎍/ml을 함께 처리한 세포에서 LPS 1㎍/ml를 단독으로 처리한 그룹에 비해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비교적 적게 발생하였다.
3-1. 산화질소
생성염증유발인자인 LPS 1㎍/ml를 전처리한 마우스 대식세포(RAW 246.7)에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0.4㎍/ml에서 2㎍/ml까지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griess assay를 통해 세포의 산화질소농도를 확인하였다.
3-2. 결과
LPS 자극에 의해 산화질소의 생성이 증가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S만 처리한 그룹에 비해 LPS와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같이 처리한 그룹에서 산화질소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확인하였다.
4-1. iNOS 및 COX-2 단백질 발현 변화
염증유발인자인 LPS 1㎍/ml를 전처리한 마우스 대식세포(RAW 246.7)에 시험물질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1㎍/ml과 2㎍/ml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western blot 분석을 통해 염증성 효소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을 확인하였다.
4-2. 결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PS만 처리한 그룹에 비해 시험물질 T-STEM을 같이 처리한 그룹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iNOS와 COX-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5-1.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염증유발인자인 LPS 1㎍/ml를 전처리한 마우스 대식세포(RAW 246.7)에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1㎍/ml과 2㎍/ml의 농도로 24시간 처리한 후, ELISA 분석법을 통해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TNFα, IL-1β)을 확인하였다.
5-2. 결과
LPS 자극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물질 줄기세포파쇄추출물 처리에 의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감소를 관찰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파쇄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치매의 원인은 베타아밀로이드 독성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변성으로 발생되는데, 제대혈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알츠하이머병 생쥐의 양쪽 해마에 반복 이식했을 때 기억력 향상, 뇌 내 베타 아밀로이드의 양을 감소시키며, 생쥐의 뇌조직에서 베타 아밀로이드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β -secretase1의 양이 감소되고, 미세아교세포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분비가 억제되고 항염증 시토카인의 분비가 증가됨을 확인된다. 위 결과들로 인해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도 억제된다.
따라서, 중간엽 줄기세포가 알츠하이며 치매의 진행을 억제시키고, 치매의 원인이 되는 베타아밀로이드 독성단백질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있어,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쉘드줄기세포)은 면역거부반응을 제거한 줄기세포 유효성분이 밀집되어있는 물질로 치매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잇몸병은 치아뿌리와 잇몸의 뼈, 잇몸 등에 염증이 생김으로 인해 발병되는데, 본 발명의 줄기세포의 파쇄추출물이 잇몸, 잇몸뼈를 재생할 수 있도록 줄기세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줄기세포 성장인자들이 염증억제, 뼈, 연골, 잇몸세포 재생, 상처치유재생 촉진 도움을 주므로 잇몸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프로콜라겐, 그물망처럼 생긴 콜라겐 네트워크가 세포와 세포를 서로 단단하게 접착시켜주며, 세포가 만들어지고 혈관, 뼈, 관절 등 인체의 많은 부분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도와주는 환경 제공을 제공하므로 잇몸병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절 및 관절주위염은 노화, 부상 등 관절주위 염증으로 인해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줄기세포 파쇄추출물이 염증억제, 뼈, 연골, 잇몸세포 재생, 상처치유재생 촉진 도움을 주므로 잇몸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콜라겐 그물망처럼 생긴 콜라겐 네트워크가 세포와 세포를 서로 단단하게 접착시켜주며, 세포가 만들어지고 혈관, 뼈, 관절 등 인체의 많은 부분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도와주는 환경 제공을 제공하므로, 관절염 및 관절주위염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탈모의 원인은 환경적요인, 유전적요인 등 다양한데,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파쇄추출물 중 VEGF 성장인자가 모낭성장에 도움을 주고, KGF 및 모근을 자극하여 모발 강화에 도움을 주므로 탈모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피부노화의 원인은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데, 본 발명인 줄기세포 파쇄추출물 중 KGF, 새로운 세포생성(콜라겐)기능을 통해 주름방지, 회복, 피부보호, 젊은피부유지 및 UV자극방어하는데 도움을 주고, 그물망처럼 생긴 콜라겐 네트워크가 세포와 세포를 서로 단단하게 접착시켜주어,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므로 피부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포함하는 워셔베이스가 아토피 피부염 개선효과를 확인하는 시험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워셔베이스 조성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포함되는 워셔베이스조성을 위한 베이스로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OCAMIDE DEA), 디소듐코모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LAURAMIDE DEA), 티이에이-라우릴설페이트(TEA-LAURYL SULFATE), 정제수(WATER), 베타인(BETAINE), 시트릭애씨드(CTRIC ACID), 알란토인(ALLANTOIN),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개똥쑥수(Artemisia Annua L. Water), 정제수(WATER)에 혼합한 카올린(KAOLIN), 정제수(WATER)에 혼합한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수(WATER)와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판테놀(PANTHENOL), 정제수(WATER)에 혼합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1,2-헥사다이올(1,2-HEXANEDIOL),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소듐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글리세린(GLYCERIN),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듐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줄기세포파쇄추출물(HUMAN STEM CELL CONDITIONED MEDIA), 로즈마리잎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 라벤더꽃오일(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OIL), 레몬껍질오일(CITRUS MEDICA LIMONUM (LEMON) PEEL OIL), 아세틱애씨드(ACETIC ACI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워셔베이스 조성물은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26.391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COCAMIDOPROPYL BETAINE) 5중량부, 코카마이드디이에이(COCAMIDE DEA) 1.8중량부, 디소듐코모암포디아세테이트(DISODIUM COCOAMPHODIACETATE) 4.5중량부,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GLYCOL DISTEARATE) 1중량부, 라우라마이드디이에이(LAURAMIDE DEA) 0.9중량부, 티이에이-라우릴설페이트(TEA-LAURYL SULFATE) 4.5중량부, 정제수(WATER) 31.769 내지 34.669중량부, 베타인(BETAINE) 0.45중량부, 시트릭애씨드(CTRIC ACID) 0.5중량부, 알란토인(ALLANTOIN) 0.05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EDTA) 0.04중량부, 개똥쑥수(Artemisia Annua L. Water) 1중량부, 정제수(WATER)에 혼합한 카올린(KAOLIN) 2중량부, 정제수(WATER)에 혼합한 알로에베라잎즙(ALOE BARBADENSIS LEAF JUICE)수(WATER)와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5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1중량부, 판테놀(PANTHENOL) 1중량부, 정제수(WATER)에 혼합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0.1중량부, 1,2-헥사다이올(1,2-HEXANEDIOL) 1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CAPRYLYL GLYCOL) 0.5중량부, 소듐클로라이드(SODIUM CHLORIDE) 0.45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1중량부, 구아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듐클로라이드(GUAR HYDROXYPROPYLTRIMONIUM CHLORIDE) 0.5중량부, 줄기세포파쇄추출물(HUMAN STEM CELL CONDITIONED MEDIA) 0.1 내지 3중량부, 로즈마리잎오일(ROSMARINUS OFFICINALIS (ROSEMARY) LEAF OIL) 0.1중량부, 라벤더꽃오일(LAVANDULA ANGUSTIFOLIA (LAVENDER) OIL) 0.05중량부, 레몬껍질오일(CITRUS MEDICA LIMONUM (LEMON) PEEL OIL) 0.4중량부, 아세틱애씨드(ACETIC ACID) 0.5중량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에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혼합하여 본 발명인 스크럽워셔의 베이스의 조성물을 조성할 수 있다.
2. 실험
본 발명에 의한 워셔베이스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의 실험을 하였고, 실험은 상술한 워셔베이스 조성물에 혼합되는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의 양 즉 농도를 달리하여 각각의 실험을 하였다.
[ 실시예 13 ]
상기 워셔베이스 100 중량부에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0.1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34.669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 ]
상기 워셔베이스 100 중량부에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정제수를 34.269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 ]
상기 워셔베이스 100 중량부에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1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정제수를 33.769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 ]
상기 워셔베이스 100 중량부에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2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정제수를 32.769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 ]
상기 워셔베이스 100 중량부에 상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3중량부를 혼합하고, 상기 정제수를 31.769중량부를 혼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예 13 내지 실시예 17과 같이 제조된 워셔베이스에 각각 포함되는 커피원두분쇄가루의 양을 달리하여 본 발명인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여 아래에 같이 실험하였다.
[ 실시예 13-1 ]
실시예 13의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6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2 ]
실시예 13의 워셔베이스 5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5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3 ]
실시예 13의 워셔베이스 6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4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4 ]
실시예 13의 워셔베이스 7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3-5 ]
실시예 13의 워셔베이스 8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2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2-1. 피부보습도에 대한 실험
실험군 피부보습도(%)
0(hr) 1(hr) 3(hr)
실시예 13-1 29 35 32
실시예 13-2 30 34 32
실시예 13-3 30 35 33
실시예 13-4 30 37 36
실시예 13-5 30 38 36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4와 실시예 13-5의 보습효과의 결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7:3 내지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2-2.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FGF-2(pg/ml)
실시예 13-1 430
실시예 13-2 436
실시예 13-3 440
실시예 13-4 440
실시예 13-5 442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2-3.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VEGF(pg/ml)
실시예 13-1 160
실시예 13-2 166
실시예 13-3 167
실시예 13-4 167
실시예 13-5 169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2-4.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이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TIMP-1(ng/ml)
실시예 13-1 1790
실시예 13-2 1810
실시예 13-3 1815
실시예 13-4 1820
실시예 13-5 1821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3-4 또는 실시예 13-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7:3 내지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14-1 ]
실시예 14의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6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2 ]
실시예 14의 워셔베이스 5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5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3 ]
실시예 14의 워셔베이스 6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4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4 ]
실시예 14의 워셔베이스 7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4-5 ]
실시예 14의 워셔베이스 8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2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3-1. 피부보습도에 대한 실험
실험군 피부보습도(%)
0(hr) 1(hr) 3(hr)
실시예 14-1 29 34 33
실시예 14-2 30 34 32
실시예 14-3 30 35 33
실시예 13-4 30 37 35
실시예 13-5 30 36 36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4와 실시예 14-5의 보습효과의 결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7:3 내지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3-2.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FGF-2(pg/ml)
실시예 14-1 440
실시예 14-2 443
실시예 14-3 444
실시예 14-4 445
실시예 14-5 450
표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3-3.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VEGF(pg/ml)
실시예 14-1 178
실시예 14-2 180
실시예 14-3 183
실시예 14-4 184
실시예 14-5 190
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3-4.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이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TIMP-1(ng/ml)
실시예 14-1 1850
실시예 14-2 1885
실시예 14-3 1910
실시예 14-4 1922
실시예 14-5 1925
표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4-4 또는 실시예 14-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의 증가율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0.5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7:3 내지 8:2가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15-1 ]
실시예 15의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6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2 ]
실시예 15의 워셔베이스 5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5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3 ]
실시예 15의 워셔베이스 6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4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4 ]
실시예 15의 워셔베이스 7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5-5 ]
실시예 15의 워셔베이스 8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2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4-1. 피부보습도에 대한 실험
실험군 피부보습도(%)
0(hr) 1(hr) 3(hr)
실시예 15-1 29 52 48
실시예 15-2 30 34 32
실시예 15-3 30 35 33
실시예 15-4 30 37 36
실시예 15-5 30 35 36
표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1의 보습효과의 결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4:6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4-2.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FGF-2(pg/ml)
실시예 15-1 570
실시예 15-2 570
실시예 15-3 570
실시예 15-4 570
실시예 15-5 570
표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1 내지 실시예 15-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증가율은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4-3.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VEGF(pg/ml)
실시예 15-1 250
실시예 15-2 250
실시예 15-3 250
실시예 15-4 250
실시예 15-5 250
표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1 내지 실시예 15-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증가율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4-4.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이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TIMP-1(ng/ml)
실시예 15-1 2100
실시예 15-2 2100
실시예 15-3 2100
실시예 15-4 2100
실시예 15-5 2100
표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1 내지 실시예 15-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의 증가율이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16-1 ]
실시예 16의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6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2 ]
실시예 16의 워셔베이스 5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5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3 ]
실시예 16의 워셔베이스 6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4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4 ]
실시예 16의 워셔베이스 7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6-5 ]
실시예 16의 워셔베이스 8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2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5-1. 피부보습도에 대한 실험
실험군 피부보습도(%)
0(hr) 1(hr) 3(hr)
실시예 16-1 29 40 38
실시예 16-2 30 42 36
실시예 16-3 30 41 35
실시예 16-4 30 40 36
실시예 16-5 30 42 36
표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6-1의 보습효과의 결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4:6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5-2.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FGF-2(pg/ml)
실시예 16-1 570
실시예 16-2 570
실시예 16-3 570
실시예 16-4 570
실시예 16-5 570
표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6-1 내지 실시예 16-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증가율은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5-3.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VEGF(pg/ml)
실시예 16-1 250
실시예 16-2 250
실시예 16-3 250
실시예 16-4 250
실시예 16-5 250
표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6-1 내지 실시예 16-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증가율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5-4.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이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TIMP-1(ng/ml)
실시예 16-1 2100
실시예 16-2 2100
실시예 16-3 2100
실시예 16-4 2100
실시예 16-5 2100
표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6-1 내지 실시예 16-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의 증가율이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2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실시예 17-1 ]
실시예 17의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6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2 ]
실시예 17의 워셔베이스 5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5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3 ]
실시예 17의 워셔베이스 6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4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4 ]
실시예 17의 워셔베이스 7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3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17-5 ]
실시예 17의 워셔베이스 8중량부에 커피원두분쇄가루를 2중량부를 혼합하여 스크럽워시를 제조하였다.
6-1. 피부보습도에 대한 실험
실험군 피부보습도(%)
0(hr) 1(hr) 3(hr)
실시예 17-1 29 45 43
실시예 17-2 30 36 32
실시예 17-3 30 40 33
실시예 17-4 30 42 36
실시예 17-5 30 44 35
표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7-1의 보습효과의 결과가 가장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4:6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6-2.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FGF-2(pg/ml)
실시예 17-1 570
실시예 17-2 570
실시예 17-3 570
실시예 17-4 570
실시예 17-5 570
표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7-1 내지 실시예 17-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FGF-2의 증가율은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6-3.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VEGF(pg/ml)
실시예 17-1 250
실시예 17-2 250
실시예 17-3 250
실시예 17-4 250
실시예 17-5 250
표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7-1 내지 실시예 17-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VEGF의 증가율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6-4.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이 변화에 대한 실험
실험군 TIMP-1(ng/ml)
실시예 17-1 2100
실시예 17-2 2100
실시예 17-3 2100
실시예 17-4 2100
실시예 17-5 2100
표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7-1 내지 실시예 17-5의 경우 피부재생인자인 TIMP-1의 증가율이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3중량부 혼합되는 경우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의미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7-1. 아토피 피부염의 심한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척도(아토피 피부염 중증도 지수인 스코라드 지수)를 이용한 실험
상술한 실시예들 중 가장 효과가 큰 것이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가 혼합되는 워셔베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 혼합된 실시예 15를 기초로 실험을 하였다.

실험군
스코라드지수
(SCORAD Index)
0 week 1 week 4 week
실시예 15-1 65 50 35
실시예 15-2 66 52 48
실시예 15-3 66 56 42
실시예 15-4 65 53 42
실시예 15-5 65 54 44
스코라드지수의 수치가 낮을수록 피부염이 호전되는 것을 의미한다. 표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5-1의 경우 스코라드 지수가 가장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2중량부 혼합되는 경우로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의 비율이 4:6이 가장 좋은 비율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파쇄추출물의 유효성분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치매의 원인은 베타아밀로이드 독성단백질과 타우 단백질의 변성으로 발생되는데, 제대혈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를 알츠하이머병 생쥐의 양쪽 해마에 반복 이식했을 때 기억력 향상, 뇌 내 베타 아밀로이드의 양을 감소시키며, 생쥐의 뇌조직에서 베타 아밀로이드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β -secretase1의 양이 감소되고, 미세아교세포의 염증성 시토카인의 분비가 억제되고 항염증 시토카인의 분비가 증가됨을 확인된다. 위 결과들로 인해 타우 단백질의 과인산화도 억제된다.
따라서, 중간엽 줄기세포가 알츠하이며 치매의 진행을 억제시키고, 치매의 원인이 되는 베타아밀로이드 독성단백질의 양을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있어, 줄기세포파쇄성분추출물(쉘드줄기세포)은 면역거부반응을 제거한 줄기세포 유효성분이 밀집되어있는 물질로 치매치료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잇몸병은 치아뿌리와 잇몸의 뼈, 잇몸 등에 염증이 생김으로 인해 발병되는데, 본 발명의 줄기세포의 파쇄추출물이 잇몸, 잇몸뼈를 재생할 수 있도록 줄기세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즉, 줄기세포 성장인자들이 염증억제, 뼈, 연골, 잇몸세포 재생, 상처치유재생 촉진 도움을 주므로 잇몸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프로콜라겐, 그물망처럼 생긴 콜라겐 네트워크가 세포와 세포를 서로 단단하게 접착시켜주며, 세포가 만들어지고 혈관, 뼈, 관절 등 인체의 많은 부분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도와주는 환경 제공을 제공하므로 잇몸병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관절 및 관절주위염은 노화, 부상 등 관절주위 염증으로 인해 발생되는데, 본 발명의 줄기세포 파쇄추출물이 염증억제, 뼈, 연골, 잇몸세포 재생, 상처치유재생 촉진 도움을 주므로 잇몸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콜라겐 그물망처럼 생긴 콜라겐 네트워크가 세포와 세포를 서로 단단하게 접착시켜주며, 세포가 만들어지고 혈관, 뼈, 관절 등 인체의 많은 부분이 제 기능을 하도록 도와주는 환경 제공을 제공하므로, 관절염 및 관절주위염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탈모의 원인은 환경적요인, 유전적요인 등 다양한데, 본 발명에 의한 줄기세포 파쇄추출물 중 VEGF 성장인자가 모낭성장에 도움을 주고, KGF 및 모근을 자극하여 모발 강화에 도움을 주므로 탈모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피부노화의 원인은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데, 본 발명인 줄기세포 파쇄추출물 중 KGF, 새로운 세포생성(콜라겐)기능을 통해 주름방지, 회복, 피부보호, 젊은피부유지 및 UV자극방어하는데 도움을 주고, 그물망처럼 생긴 콜라겐 네트워크가 세포와 세포를 서로 단단하게 접착시켜주어, 피부탄력에 도움을 주므로 피부치료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세포 수득률,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높였으므로, 기존 줄기세포 자체를 사용하는 것보다 위험성이 적고 효과가 뛰어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에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몸체부 12: 제 1용기부
14: 제 2용기부 16: 파쇄부
18: 밸브 20: 펌프

Claims (3)

  1. 지방줄기세포파쇄추출물을 포함하는 워셔베이스와 커피원두분쇄가루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워셔베이스 4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커피원두분쇄가루가 6중량부를 혼합하며,
    상기 워셔베이스는 전체 용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지방줄기세포파쇄추출물이 1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기세포파쇄추출물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셔.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0240A 2019-01-02 2019-01-02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KR102155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40A KR102155141B1 (ko) 2019-01-02 2019-01-02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240A KR102155141B1 (ko) 2019-01-02 2019-01-02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70A KR20200084170A (ko) 2020-07-10
KR102155141B1 true KR102155141B1 (ko) 2020-09-11

Family

ID=71604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240A KR102155141B1 (ko) 2019-01-02 2019-01-02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5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7669A (ko) * 2021-12-09 2023-06-19 주식회사 티스템 무막줄기세포추출물을 이용한 동물의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87668A (ko) * 2021-12-09 2023-06-19 주식회사 티스템 무막줄기세포를 이용한 동물의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911B1 (ko) * 2007-06-28 2009-04-02 강경아 스크럽제 조성물
KR101694482B1 (ko) * 2009-09-21 2017-01-10 (주)아모레퍼시픽 녹차의 줄기세포를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IN2014DN07174A (ko) * 2012-02-10 2015-04-24 Japanic Corp
KR101561672B1 (ko) 2012-12-21 2015-10-20 김영실 줄기세포 성장인자 및 세포활성물질의 성분추출물 제조방법
KR101885501B1 (ko) * 2017-11-16 2018-08-06 (주)프로스테믹스 녹용 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기능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170A (ko) 2020-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53382B1 (en) Composition including stem cell-derived exosome for skin whitening or wrinkle improvement
JP5981947B2 (ja) スキンクリーム
CN108721200A (zh) 一种人间充质干细胞来源的外泌体美容制剂的制备方法及应用
KR101793899B1 (ko) 성체 줄기세포와 분화된 세포의 혼합 배양액 및 이의 용도
KR20000054394A (ko) 구성약제의 골다공증과 퇴행성 골질환 및 류마티스 관절염치료를 위한 물추출물 및 추출방법
KR102155141B1 (ko) 줄기세포파쇄추출물(무막줄기세포) 및 커피원두분쇄가루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스크럽워시
KR100950437B1 (ko) 발모, 양모 촉진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생약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150044607A (ko) 만능 줄기세포의 유도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만능줄기세포
KR20070081776A (ko) 노각나무 추출물 및 그 용도
US20210147797A1 (en) Cell line consecutively expressing hla g protei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KR101646236B1 (ko)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면역 반응 억제용 조성물
KR20150088374A (ko) 인체 지방-유래 줄기세포를 이용한 주요 세포성장인자를 포함하는 줄기세포 배양액 및 아토피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00096447A (ko) 돼지 태반 조직 유래 줄기세포의 배양물 및 그 추출 단백질을 함유한 화장료용 조성물
JP6843425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KR102121602B1 (ko) 지방줄기세포배양용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 지방줄기세포배양용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과 줄기세포 유효성분 3저 추출법을 이용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쉘드줄기세포)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항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염증억제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세포재생 효과를 갖는 조성물
CN111840330A (zh) 一种防脱发修复组合物及应用
KR102059411B1 (ko) 줄기세포파쇄추출물(논쉘줄기세포) 및 쑥추출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155121B1 (ko) 세포배양용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 세포배양용 배지 조성물 제조방법과 줄기세포 유효성분 3저 추출법을 이용한 줄기세포파쇄추출물(쉘드줄기세포)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항관절염 치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염증 치료용 조성물 및 세포재생 치료용 조성물
EP4349348A1 (en) Cancer cachexia ameliorating agent and cancer cachexia amelioration method
CN109876012B (zh) 一种药用组合物及其在促进皮肤伤口愈合中的应用
JP6411778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JP2020164473A (ja) 歯髄幹細胞培養上清と毛乳頭幹細胞培養上清とを含む育毛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23189B1 (ko)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직 재생용 조성물
KR101658333B1 (ko) Bca 복합 발효물 및 모낭줄기세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JP7178087B2 (ja) 幹細胞の未分化状態維持剤及び増殖促進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