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750B1 -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750B1
KR102152750B1 KR1020130073440A KR20130073440A KR102152750B1 KR 102152750 B1 KR102152750 B1 KR 102152750B1 KR 1020130073440 A KR1020130073440 A KR 1020130073440A KR 20130073440 A KR20130073440 A KR 20130073440A KR 102152750 B1 KR102152750 B1 KR 10215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malassezia
extract
appropriate amount
rose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977A (ko
Inventor
김정환
정윤혁
이현기
김아름
정연수
이창근
신홍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30073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7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0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8Rosa (ro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일측면에서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일측면에서, 장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루성 두피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일측면에서는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ROSE EX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술은 지루성 피부염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에서는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염(dermatitis)은 피부에 발생하는 염증을 의미하며, 보통 습진(eczema)과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크게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및 지루성 피부염(seborrhoeic dermatitis)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지루성 피부염은 장기간 지속되는 습진의 일종으로, 주로 피지샘의 활동이 증가되어 피지 분비가 왕성한 두피와 얼굴, 그 중에서도 눈썹, 코, 입술 주위, 귀, 겨드랑이, 가슴, 서혜부(사타구니) 등에 발생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이다.
지루성 피부염 중 지루성 두피염은 30~60대 성인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며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피지, 말라세지아속(Malassezia sp .) 진균 2가지가 주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남성 호르몬에 의해 피지 발생이 증가하면 말라세지아(Malassezia)속 진균이 여기에 증식하면서 불포화 지방산 (unsaturated fatty acid) 등을 만들어 내고 이 물질에 감수성이 약한 사람에게 염증이 유발된다.
한국 특허 출원 제2001-0013445호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은 일측면에서, 말라세지아 속 진균의 억제를 통해서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억제,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은 다른 일측면에서,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의 억제를 통해서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억제,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은 또 다른 일측면에서, 열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액을 이용한 장미 추출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측면에서,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루성 피부염 또는 지루성 두피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일측면에서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며, 열수,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물인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일측면에서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에 의한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은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제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모발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지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 또는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으며,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와 지루성 피부염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 가장 발생 빈도와 양이 높은 종인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에 대한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지루성 피부 염증이 유도된 세포에 장미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장미 추출물의 염증성 사이토카인(IL-8)에 대한 효과(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지루성 피부 염증이 유도된 세포에 장미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장미 추출물의 피지 생성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지루성 피부염이 두피에 발생하는 경우 지루성 두피염으로 한정하며 증상이 흔하면서 경미한 경우 비듬으로 지칭한다. 병변 특징은 분홍빛의 부종이 동반되며 황갈색의 인설과 가피가 있다. 비듬(dandruff)은 두부의 피부 즉, 두피의 각질층의 세포가 단순히 염증없이 떨어져 나온 것으로 건성 또는 습기나 기름기가 있는 상태의 인설로 나타난다. 상기 비듬이 병적으로 많은 경우를 비듬증이라 하며, 의학적으로 건성지루라 한다. 건성지루가 악화되는 경우, 지루성 피부염(dermatitis seborrheica)이 될 수 있다. 또한 건성지루로 인한 비듬이 만성적으로 심한 경우, 발생하는 탈모증을 지루성 탈모증(alopecia seborrheica)이라고 한다.
지루성 피부염 또는 비듬증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말라세지아속 진균의 종은 13종류가 현재 보고되어 있으며 지역별, 나라별로 환자에서 우세하게 나타나는 종에 차이를 보이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말라세지아속 진균"은 말라세지아속에 속하는 모든 진균을 의미하며, 일례로 말라세지아속 진균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 말라세지아 오브투사(Malassezia obtusa), 말라세지아 슬로오피애(Malassezia slooffiae), 말라세지아 심포디알리스(Malassezia sympodialis), 및 말라세지아 파키더마티스(Malassezia pachydermati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말라세지아(Malassezia) 종 중 아시아 지역 (한국, 일본, 중국)에서 가장 발생 빈도와 양이 높은 종은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이다.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는 다른 말라세지아 종과는 달리 (대표적으로 말라세지아 글로보사) 리파아제(lipase) 활성이 없어 불포화 지방산을 만들어내지 못하므로 불포화 지방산에 의해 지루성 피부염을 일으키지 않는다. 대신 인돌 유도체(indole derivatives)를 생산하여 이로 하여금 지루성 피부염을 일으킨다. 또한 내성 등의 원인으로 기존의 항진균제로 치료가 잘 되지 않는 환자들이 존재하여 새로운 항균제에 대한 필요성이 항상 존재해왔다. 따라서,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에 대한 항진균 활성이나 억제 효과 등을 갖는 조성물로서, 부작용이 없거나 거의 없는 조성물을 개발하는 것은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억제,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에서, 장미(Rosa spp .)는 쌍떡잎 식물군, 장미목, 장미과, 및 장미속에 속하는 식물을 총칭하며, 야생종과 개량을 가한 원예종을 모두 포함한다. 장미는 관목성의 화목(花木)이며, 아름다운 꽃과 향기로 관상용과 향료용으로 많이 재배되어 있다. 장미는, 그리스·로마시대에 서아시아에서 유럽지역의 야생종과 이들의 자연교잡에 의한 변종이 재배되고 있었으며, 르네상스시대에 걸쳐 주로 유럽 남부에서 많이 재배되었다. 현재는 북반구의 한대, 아한대, 온대, 및 아열대 등 넓은 지역에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다. 관상, 원예용으로서 장미 이외에 유럽에서는 예로부터 장미꽃잎을 홍차에 띄워 그 맛과 향을 즐기는 습관이 있다. 일측면에서 장미( Rose centifolia )는 식용과 향료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미 종이다.
일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발명은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루성 피부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으며, 일측면에서는 지루성 두피염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고 또 다른 일측면에서는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장미 추출물은 장미 꽃잎을 잘 씻어 건조한 뒤 열수,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이들의 혼합액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는 장미 추출물을 유기 용매 예를 들어,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디클로로메탄, 에탄올, 메탄올 등의 알콜류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동물은 식물에 대응하는 생물군으로 주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섭취하며, 소화나 배설 및 호흡기관이 분화되어 있는 것을 말하고, 포유류, 또는 인간일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단독으로 포함할 수 있고, 이외 제형, 사용방법 및 사용목적에 따라 추가성분 즉, 약제학적으로 허용되거나 영양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희석제 또는 부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외에 추가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중진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이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 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류, 덱스트린, 칼슘 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생리식염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성분들은 유효성분인 장미 추출물에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일측면에서 0.0001 내지 99.99 중량%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성물의 사용방법, 사용목적, 최종 생성물의 제형 등에 따라 유효성분의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일측면에서 장미 추출물은 고체 파우더 형태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10.00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세정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거나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모발"은 체모와 두발의 총칭으로 사람의 털을 의미하며, 머리의 모근, 모낭, 머리카락 및 모낭 근처의 두피를 포함할 수 있다. "두피"는 머리 부위를 덮고 있는 피부를 의미하며, 통상 모발(머리털)이 나 있는 부위를 의미한다.
세정제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 외에 그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 세정보조기제, pH 조정제, 천연보습성분 및 천연 식물성 오일 등의 보습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 봉쇄제, 방부제, 용제, 착향료 및 색소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정제 조성물은 유효성분의 효과를 유지하고, 인체에 자극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인 항균 물질 또는 살균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세정제 조성물"이란 냉수 및 온수에서 적당한 기포력을 가지며, 피부 표면에 부착된 유성 및 수성 오염이나 노폐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조성물로서, 최근에는 피부에 수분을 공급함과 동시에 수분이 증발되지 않도록 보습효과를 부여하거나, 피부 유연성을 증대시키거나, 피지 제거능을 증대시키는 등의 추가적인 기능을 가질 수 있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일 예로 암모늄 라우릴 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 예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솔베이트 80,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일 예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또는 디알칼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일예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또는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일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일 예로 시트르산, 숙신산, 타르타르산, 락트산, 말산, 푸마르산, 말레산, 글리콜산 등의 유기산, 염산, 황산, 인산, 질산 등이거나 이들 산의 나트륨염, 칼륨염 또는 암모늄염 등을 조합한 것일 수 있으며, 트리에탄올아민, 소듐클로라이드, 수산화나트륨 또는 수산화칼륨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보습용도로 사용되는 통상의 오일, 일 예로 식물성 오일 또는 유동파라핀이나,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솔비톨, 콜라겐 등일 수 있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로 함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방부제는 일 예로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메틸파라벤, 에틸파라벤 또는 프로필파라벤 등일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일 예로 정제수, 에탄올, 트윈(tween)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또는 디메치콘일 수 있고, 상기 착항제 및 색소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는 일반적인 세정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액상, 고형의 비누 또는 분말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모발 및 두피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세정제 조성물은 일측면에서, 샴푸, 린스, 샴푸와 린스 혼합형, 트리트먼트, 비누, 피부를 세정하기에 적합한 바 또는 타블렛, 비누 바 또는 비누 타블렛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세정제 조성물을 모발 및 두피 클렌징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설페이트 또는 알킬에테르설페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베타인 또는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일 수 있고,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카놀아미드 또는 알킬아민옥사이드일 수 있으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혼합하여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발 및 두피 클렌징용 세정제 조성물은 추가로 샴푸 등의 클렌징 용도의 기본적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성분으로는 진주박 보조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또는 염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모발 및/또는 두피에 적용하거나 피부에 적용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또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면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며, 그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구체적으로 0.01 내지 3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이 모발 화장료 조성물인 경우에는 일측면에서 헤어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 페이스, 헤어 겔, 헤어 팩, 헤어 마사지, 헤어리퀴드, 헤어스프레이, 헤어 무스,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에어로졸 스프레이, 파마제, 탈색제, 수 분산액, 파우더 또는 오일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상기 유효성분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선정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타,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락토스, 탈크, 실라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형이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르히드록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약제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항응집제, 윤할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일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산제, 환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장미 추출물 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형제 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 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있으며, 통상 사용되는 단순희석제로는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이 있으며,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로는 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의 국소 투여제 등이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형태인 비경구 제제로 제제화할 경우,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될 수 있다. 비수성 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또는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크림 또는 연고의 경우,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질환의 환부나 그 주위에 직접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분무제의 경우, 통상의 분무제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압축용기나 기타 분무용기에 충전 포장되어 질환의 환부나 그 주위에 수시로 분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일측면에서, 상기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일측면에서 0.0001 mg/kg 내지 1000 mg/kg, 다른 일측면에서 0.01 mg/kg 내지 100 mg/kg 투여될 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일측면에서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두피염 또는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기호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등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식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일반적으로 건강식품 조성물인 경우에는 전체 식품의 0.001 내지 5 중량%를 포함할 수 있고,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ml를 기준으로 0.001 내지 10g, 일측면에서는 0.01 내지 1g을 포함할 수 있다.
식품 조성물이 음료인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유효성분 외에 함유할 수 있는 액체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로는 모노사카라이드,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의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 등이 있다. 상기의 향미제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예를 들어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성물 100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일측면에서 약 5 내지 12g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조성물은 일측면에서 장미 추출물 외에 공지의 지루성 피부염, 지루성 비듬염 또는 비듬증의 억제활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장미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성물의 효과를 유지하고, 첨가되는 성분에 의한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유효성분 외에 말라세지아속 진균의 살균 목적을 위하여 다양한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피부병학의 첨가제, 예를 들어 통상의 비듬 방지 성분인 케토코나졸(ketoconazole), 아연 피리티온(zinc pyrithion), 이트라코나졸(itraconazole), 피록톤 올아민(piroctone olamine), 셀레늄 설파이드, 타르, 유황 또는 살리실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지를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또 다른 일측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 또는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에 대한 항균 효과가 있으며, 비듬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 효과와 지루성 피부염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다. 일측면에서, 장미(Rose centifolia)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에 대한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장미 추출물 제조
장미 꽃잎을 잘 씻어 건조한 뒤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액에 대하여, 감압농축 및 분무건조(spray drying)을 반복하였다. 감압농축 및 분무건조는, 잔류용매가 완전히 제거되어 분말상태가 될 때까지 반복하여, 장미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Cell) 배양 조건
5 주령의 수컷 골든 햄스터 귀의 피지선으로부터 햄스터 피지선 세포(sebocyte)를 적출하였다. 구체적인 적출방법은, 사토(Sato) 등의 논문(J Invest Dermatol 2001, 117:965-70)을 참고하였다. 상기에 개시된 문헌의 내용은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적출된 피지선 세포를 배양 플라스크에서 배양하여, 2.35 x 104 개/cm2가 되도록 하였다.
배양 배지는, DMEM/함스 F12 배지(DMEM/Ham's F12 medium; (1:1) (DMEM/F12) (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0.68 mM의 L-글루타민(L-glutamine; Invitrogen), 10 nM의 rhEGF(recombinant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Progen Biotechnik GmbH, Heidelberg, Germany)를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항생제로는 페니실린(penicillin)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mg/ml (all from GIBCO, Milan, Italy)를 함께 사용하였다. 햄스터 피지선 세포는 배양 플라스크에 완전히 부착되는데 24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사람 유래의 각질 세포(keratinocyte) 셀라인인 HaCaT은, DMEM 배지(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페니실린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g/ml(all from GIBCO, Milan, Italy)을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C57BL/6J 마우스 유래의 멜라닌 형성 세포(melanocyte)인 멜란-a(melan-a)는, RPMI-1640(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TPA(tetradecanoyl phorbol acetate) 200nM, 페니실린 100 mg/ml, 및 스트렙토마이신 100 mg/ml(all from GIBCO, Milan, Italy)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여, 37℃, 10% CO2 조건에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지루성 피부 염증억제 효과 in vitro 평가
장미 추출물의 지루성 피부 염증 억제효과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피지선 세포와 각질 세포를 함께 사용하여, 사람의 모피지선과 유사한 환경의 in vitro 모델을 사용하였다. 24 웰(well)의 배양 플레이트에 HaCaT 각질 세포와 골든 햄스터 피지선 세포를 각각 3.75x104 개와 6.0x104 개씩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배양 플레이트 바닥에 세포가 붙을 수 있도록 하루 동안 기다렸다. 이 때 배지는 DMEM/함스 F12 배지(DMEM/Ham's F12 medium; (1:1) (DMEM/F12) (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페니실린(penicillin)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mg/ml (all from GIBCO, Milan, Italy)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하루 지난 세포에 지루성 피부 염증을 일으키기 위한 자극원으로 리놀레산(linoleic acid) 50 μM,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50 μM,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10 nM, 말라세지아속 진균 5 ppm를 처리하였다. 동시에 실험군에 장미 추출물을 처리하여 자극원에 의한 염증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비처리군은 DMSO를 사용하였다. 하루가 경과한 후, 배양액에 녹아 나온 염증성 사이토카인(post-inflammatory cytokine)인 IL-8(interleukin-8)의 농도를 ELISA를 통해 5μl의 배지에서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과정을 실행하였다: 미리 세척 버퍼를 사용해 적셔둔 96-웰 필터 플레이트 안의 용액을 진공 펌프를 이용해 모두 빨아내었다. 다음으로, 셀(cell) 배양액을 30 분간 항체-콘쥬게이트된 비드(antibody-conjugated bead)와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되면 검출항체(detection antibody)를 첨가하여 30 분 더 반응시켰다. 그런 다음, 스트렙타비딘-피코에리트린(Streptavidin-PE; streptavidin-phycoerythrin)를 각 웰(well)에 넣고 30 분간 기다렸다. 세척 버퍼를 사용해서 붙지 않은 Streptavidin-PE를 제거한 뒤 사이토카인에 붙은 비드의 양을 바이오-플렉스 200(Bio-plex 200) 장치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지루성 피부 염증을 일으킨 후, 장미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음성 대조군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에 비해 장미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농도는 약 53% 정도로 낮아졌고, DMSO를 사용한 비처리군보다 더 낮은 IL-8의 농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미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
[실험예 3] 피지생성 억제 효과 in vitro 평가
장미 추출물의 피지생성 억제 효과를 효율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 피지선 세포와 각질 세포를 함께 사용하여, 사람의 모피지선과 유사한 환경의 in vitro 모델을 사용하였다. 24 웰(well)의 배양 플레이트에 HaCaT 각질 세포와 골든 햄스터 피지선 세포를 각각 3.75x104 개와 6.0x104 개씩 접종하였다. 접종 후, 배양 플레이트 바닥에 세포가 붙을 수 있도록 하루 동안 기다렸다. 이 때 배지는 DMEM/함스 F12 배지(DMEM/Ham's F12 medium; (1:1) (DMEM/F12) (Invitrogen, Carlsbad, CA))에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 JRH Bioscience, Tokyo, Japan)을 10% 첨가하고, 페니실린(penicillin) 100 m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100 mg/ml (all from GIBCO, Milan, Italy)를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하루 지난 세포에 지루성 피부 염증을 일으키기 위한 자극원으로 리놀레산(linoleic acid) 50 μM,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50 μM,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10 nM, 말라세지아속 진균 5 ppm를 처리하였다. 동시에 실험군에 장미 추출물을 처리하여 자극원에 의한 염증 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비처리군은 DMSO를 사용하였다. 하루 경과한 후, 세포 안에 생성된 중성 지방의 양을 오일 레드 오(Oil Red O) 염색법을 사용해 측정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과정을 실행하였다: PBS로 세척한 세포를 30 분간 3.7% 포름알데히드(formaldehyde)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고정된 세포는 PBS로 3 회, 70% 에탄올로 1 회 세척하고 0.4% 오일 레드 오(Oil Red O) 용액으로 30 분간 염색하였다. 염색된 세포는 70% 에탄올로 1 회, PBS로 3 회 세척하였다. 그런 다음, 이소프로판올로 염색된 오일 레드 오(Oil Red O) 용액을 다시 녹여내어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정량한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지루성 피부 염증을 일으킨 후, 장미 추출물을 처리하지 아니한 음성 대조군의 세포 안에 생성된 중성 지방의 양을 100%로 하면, 장미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은 세포 내 중성 지방의 양이 약 80%로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장미 추출물은 피지억제 효능이 있다.
[실험예 4] 말라세지아속 진균의 항균 효과 평가
장미추출물의 말라세지아속 진균의 항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루성 두피염 환자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발견되는 말라세지아속 진균 중 3가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ATCC 12087), 말라세지아 글로보사(Malassezia globosa) (ATCC 96807),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 (KCTC 7848) 를 사용하여 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을 측정하였다. 각 말라세지아속 진균은 아래 표 1의 조성의 P.O. 배지를 사용해 32℃, 2일간 진탕 배양한다.
박테리오라지컬 펩톤(Bacteriological peptone) 10g
글루코오스 (Glucose) 5g
효모 추출물 (Yeast extract) 0.1g
Ox bile, 건조(desiccated) 4g
글리세롤 (Glycerol) 1m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0.5g
트윈 60 (Tween 60) 0.5ml
Whole fat cow's milk (10%) 10ml
정제수 To 1L
장미 추출물은 1.0%의 농도로 P.O. 배지에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한다.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 1번 행에 시료 희석액 200ul씩을 넣는다. 나머지 웰(well)들에는 P.O. 배지 100ul씩을 넣는다.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u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주고 다시 100ul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희석을 행한다. 모든 웰에 각 말라세지아속 진균을 105~106이 되도록 넣는다. 말라세지아속 진균 배양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배양한 후 현탁이 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값으로 결정한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한다. MIC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를 참조하면, 장미추출물은 특히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에 대한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M. furfur M. globosa M. restricta
MIC (%) 0.25 >1 <0.0078125
[실험예 5] 사용감 평가
하기 표 3의 조성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는 계면활성제로서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를 함유한 것이다. (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구아 하이드록시 트리모니움클로라이드 0.1 0.1 0.1 0.1 0.1 0.1
디소듐 이디티에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테트라소듐 이디티에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듐 살리실레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소듐 시트레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암모늄 라우레스 설페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클림바졸 0.45 0.45 0.45 0.45 0.45 0.45
1,3-비스(N-(2-히드록시에칠)-팔미토일아미노)-2-히드록시프로판 0.5 0.5 0.5 0.5 0.5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5%액(정제수*폴록사머235*에톡시디글라이콜*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글리세린*부틸렌글라이콜*토코페솔란*폴록사머338) 0.005 0.005 0.005 0.005
징크 피리치온 0.3 0.3 0.3
장미추출물 0.01 0.05
실리콘 1.5 1.5 1.5 1.5 1.5
코카마이드 엠이에이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세틸 알코올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라이 하이드록시 스테아린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방부제 0.23 0.23 0.23 0.23 0.23 0.23
pH 조절제 0.1 0.1 0.1 0.1 0.1 0.1
점도 조절제 0.1 0.1 0.1 0.1 0.1 0.1
실시예 2~7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관능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전문평가요원 10명으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2~7로 제조된 샴푸를 사용하게 한 후, 하기의 표 4에 나타난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테스트를 하도록 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5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항목 두피 가려움 두피 자극감 모발 부드러움/매끄러움
실시예 2 2 1 4
실시예 3 1 2 3
실시예 4 2 2 5
실시예 5 1 1 4
실시예 6 2 1 5
실시예 7 1 1 5
상기 표 4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인 실시예 2~7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였을 경우, 두피의 가려움과 자극감이 1에서 2의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모발 부드러움/매끄러움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세정제 조성물(샴푸)의 제조
성분 함량 (g)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미 추출물 3
95% 에탄올 30
계면활성제 1 (알킬에테르 설페이트) 0.5
계면활성제 2 (소듐라우릴에테르 설페이트, 2.2EQ) 0.5
코실베타인 2.4
gs 100
[제조예 2] 세정제 조성물(린스)의 제조
성분 함량 (g)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장미 추출물 1
95% 에탄올 30
gs 100
[제조예 3]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말 20mg, 유당 100mg, 탈크 10mg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말 10mg, 옥수수전분 100mg, 유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캅셀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말 10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mg, 락토오스 14.8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mg을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6] 주사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말 10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mg, Na2HPO4 ·12H2O 26mg을 통상의 주사제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조예 7]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말 20mg,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을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8] 식품 조성물인 건강식품의 제조
성분 함량
실시예 1의 분말 1000 mg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μg
비타민 E 1.0mg
비타민 B1 0.13mg
비타민 B2 0.15mg
비타민 B6 0.5mg
비타민 B12 0.2μg
비타민 C 10mg
비오틴 10μg
니코틴산아미드 1.7mg
엽산 50μg
판토텐산 칼슘 0.5mg
황산 제1철 1.75mg
산화아연 0.82mg
탄산마그네슘 25.3mg
제1인산칼륨 15mg
제2인산칼슘 55mg
구연산칼륨 90mg
탄산칼슘 100mg
염화마그네슘 24.8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건강식품의 일 실시예이며,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해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9] 식품 조성물인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분말 1000mg, 구연산 1000mg, 올리고당 100g, 매실농축액 2g, 타우린 1g에 전체 900ml가 되도록 정제수를 가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다. 제조된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리터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제조예 10] 연고의 제조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0.2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1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1.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세테아릴 알코올 1.0
밀납 4.0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11] 유연화장수(스킨로션)의 제조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추출물 0.2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12] 영양화장수(밀크로션)의 제조
배합 성분 함량 (중량 %)
실시예 1의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0
스쿠알란 5.0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세테아릴 알코올 1.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13] 영양크림의 제조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2.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유동파라핀 7.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스쿠알란 5.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2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14] 마사지 크림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3.0
글리세린 8.0
부틸렌글리콜 4.0
유동파라핀 45.0
베타글루칸 7.0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밀납 4.0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0.9
바세린 3.0
파라핀 1.5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제조예 15] 팩
배합 성분 함량(중량%)
실시예 1의 추출물 0.2
글리세린 4.0
폴리비닐알콜 15.0
히알루론산 추출물 5.0
베타글루칸 7.0
알란토인 0.1
노닐 페닐에테르 0.4
폴리솔베이트 60 1.2
에탄올 방부제 6.0적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Claims (16)

  1.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은 수용성이며,
    상기 조성물은 지루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고,
    상기 지루성 피부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두피염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물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모발 화장료 조성물인 조성물.
  7.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은 수용성이며,
    상기 조성물은 지루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이고,
    상기 지루성 피부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두피염인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물인 조성물.
  12. 조성물로서,
    상기 조성물은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상기 추출물은 수용성이며,
    상기 조성물은 지루성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이고,
    상기 지루성 피부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에 의한 것인,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염은 두피염인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퍼퍼(Malassezia furfur) 및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말라세지아 레스트릭타(Malassezia restricta)의 증식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열수, 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액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추출물인 조성물.
KR1020130073440A 2013-06-26 2013-06-26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5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440A KR102152750B1 (ko) 2013-06-26 2013-06-26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3440A KR102152750B1 (ko) 2013-06-26 2013-06-26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77A KR20150000977A (ko) 2015-01-06
KR102152750B1 true KR102152750B1 (ko) 2020-09-07

Family

ID=5247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440A KR102152750B1 (ko) 2013-06-26 2013-06-26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06A (ko) 2020-11-20 2022-05-27 박정숙 로즈(장미)와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9828A1 (de) * 2019-04-12 2020-10-15 Biodermic Health & Beauty GmbH & Co KG Zusammensetzung zur topischen Anwendung auf der Haut
KR102237512B1 (ko) * 2019-09-25 2021-04-07 주식회사 케이바이오랩 상승효과를 갖는 장미 추출물 및 목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칸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93798Y1 (ko) 2019-10-02 2021-06-04 임소영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KR102420544B1 (ko) * 2019-11-01 2022-07-13 한국식품연구원 장미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102281387B1 (ko) * 2019-11-08 2021-07-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장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알레르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1246684A1 (ko) 2020-06-04 2021-12-09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장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상처 치료 또는 상처 치료 촉진용 조성물
KR102490105B1 (ko) 2020-09-21 2023-01-17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장미 꽃잎 추출물을 포함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61434B1 (ko) 2020-11-16 2021-06-07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장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230171388A (ko) 2022-06-10 2023-12-20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장미 줄기세포 유래의 엑소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촉진 또는 탈모방지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6153A1 (en) 2008-03-28 2009-10-01 Nu Skin International, Inc.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64372B1 (fr) 1997-06-04 1999-09-24 Moving Magnet Tech Capteur magnetique de position
KR101075006B1 (ko) * 2009-01-21 2011-10-20 권상철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6153A1 (en) 2008-03-28 2009-10-01 Nu Skin International, Inc. Cosmetic compositions for the inhibi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정현, 광주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9506A (ko) 2020-11-20 2022-05-27 박정숙 로즈(장미)와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977A (ko) 2015-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750B1 (ko)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48042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39407B1 (ko) 개다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JP5577443B2 (ja) バラ胎座組織培養物の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16056781A1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0846356B1 (ko) 파래 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US20200078290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s As Active Ingredient
KR102209663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14133B1 (ko) 알피나 골무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80047227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KR101907850B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863117B1 (ko) 봄맞이 추출물, 정금나무 추출물 및 많첩빈도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 활성 조성물
KR101189794B1 (ko) 양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51106B1 (ko) 참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01448B1 (ko) 구상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20100042090A (ko) 자스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KR20110069541A (ko) 락톤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275552B1 (ko) 유색 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100852204B1 (ko) 산호말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KR102564361B1 (ko) 진세노사이드 f5를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262362B1 (ko) 참외 줄기 또는 오이 줄기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209664B1 (ko) 회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