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2280B1 -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2280B1
KR102152280B1 KR1020200035590A KR20200035590A KR102152280B1 KR 102152280 B1 KR102152280 B1 KR 102152280B1 KR 1020200035590 A KR1020200035590 A KR 1020200035590A KR 20200035590 A KR20200035590 A KR 20200035590A KR 102152280 B1 KR102152280 B1 KR 102152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llection
glove
inspection
fastene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퓨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퓨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퓨어텍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04Dust-free rooms or en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1/00Enclosures; Chambers
    • B01L1/52Transportable laboratories; Field k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검사자가 머무는 공간과 의사가 머무는 공간을 분리하고, 글로브 월이 구비되어 피검사자로부터 의사에게 전염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안전하게 채취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검체 채취용 안전 검사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사방 및 상부가 완전 밀폐되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차폐출입구가 구비되어 피검사자가 머무는 검체 채취실; 사방 및 상부가 완전 밀폐되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차폐출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검체 채취실과 차단벽체에 의해 분리되어 사자가 상기 검체 채취실의 피검사자의 검체 채취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실; 상기 차단벽체에 소정의 폭으로 투명하게 구비되는 투명월; 상기 투명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 결합되는 검사용 글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의사와 피검사자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여 분리하면서도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사자로부터 의사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될 염려가 전혀 없다.

Description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Glove wall with safety system for injecting a specimen}
본 발명은 검체 채취용 안전 검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검사자가 머무는 공간과 의사가 머무는 공간을 분리하고, 글로브 월이 구비되어 피검사자로부터 의사에게 전염될 염려가 없으면서도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안전하게 채취하여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검체 채취용 안전 검사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들어 전세계적으로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예로서 사스(SARS), 에볼라(Ebola), 메르스(MERS), 웨스트나일열(Wsst Nile fever), 지카바이러스 감염증(Zika virus infection) 등은 물론, 최근 전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코로나 바이러스(Corona Virus)도 그 중 하나이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DIV 19)에 의한 새로운 인체 감염증인 전염성 폐렴이며, 전염성이 강해 국내는 물론 전세계적으로 많은 확진자와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코로나 증세가 의심되는 피검사자가 병원을 방문하여 진찰을 받는 동안 병원 전체가 바이러스에 노출되어 폐쇄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 피검사자를 검사한 의사와 간호사가 전염이 되는 등의 경우도 있었다.
따라서 코로나 증세가 의심되는 피검사자는 별도로 마련된 선별 진료소에서 별도의 검사와 검체 채취를 통해 코로나 감염 여부를 검사 받았다.
이때 검체를 채취하는 동안 피검사자가 재체기를 하면서 비말이 주변의 사람들에게 옮겨지면서 바이러스가 전염되기도 한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선별 진료소의 의사와 간호사는 전신방호복을 입고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고 있으나, 전신방호복을 벗고 입기가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전신방호복의 보급이 피검사자의 증가를 따라가지 못해 수급에도 어려움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1330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의사와 피검사자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여 분리하면서도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도록 하여, 의사를 바이러스로부터 보호 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데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사자가 머무는 공간의 바이러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다른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방 및 상부가 완전 밀폐되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차폐출입구가 구비되어 피검사자가 머무는 검체 채취실; 사방 및 상부가 완전 밀폐되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차폐출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검체 채취실과 차단벽체에 의해 분리되어 사자가 상기 검체 채취실의 피검사자의 검체 채취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실; 상기 차단벽체에 소정의 폭으로 투명하게 구비되는 투명월; 상기 투명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 결합되는 검사용 글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검체 채취실의 외측에는 음압기가 더 설치되어, 상기 검체 채취실의 외부보다 검체 채취실 내부의 압력이 더 낮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검체 채취실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고 검체 채취실 내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검사용 글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가 더 결합되고, 상기 고정대는,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종방향 일측 끝단에는 상기 투명월에 걸리도록 제1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1체결대와,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대의 제1관통에 삽입 결합되며 종방향 일측 끝단에는 상기 투명월에 걸리도록 제2걸림부가 돌출 형성되는 제2체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대와 투명월 및 제2체결대와 투명월 사이에는 차단오링이 체결되며, 상기 검사용 글로브는 상기 제1체결대 또는 제2체결대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검사용 글로브 외측에는 탄성이 있는 압착밴드가 더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체결대의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체결대의 제2관통공 입구에는 에어공급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검사용 글로브 속으로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에 의해 검사용 글로브 속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검사용 글로브를 부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의사와 피검사자의 공간을 완전히 차단하여 분리하면서도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기 때문에, 피검사자로부터 의사에게 바이러스가 전염될 염려가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피검사자가 머무는 공간의 바이러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안전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의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에서 투명월과 검사용 글로브를 일부 단면 처리한 예시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은 검체 채취실(100)과 작업실(200), 그리고 차단벽체(300)와 투명월(400) 및 검사용 글로브(50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체 채취실(100)은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피검사자가 머무는 공간으로서, 사방은 물론 상부까지 완전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벽에는 피검사자가 출입하도록 하되, 차단 시 완전한 차폐가 되는 차폐출입구(110)가 구비된다.
작업실(200)은 의사 또는 간호사(이하 검사자라 한다)가 검체 채취실(100)에 들어온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한 작업 공간이다. 이를 위한 작업실(200)도 검체 채취실(100)과 마찬가지로 사방은 물론 상부까지 완전 밀폐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실(200)의 일측벽에도 검사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되, 차단 시 완전한 차폐가 되는 차폐출입구(210)가 구비된다.
검체 채취실(100)과 작업실(200) 사이에는 차단벽체(300)가 구비되어 양측의 공간을 완전 분리 차단시킨다.
여기서 차단벽체(300)에 의해 하나의 작업실(200)과 복수의 검체 채취실(100)이 서로 접하면서 분리 구획될 수도 있다.
투명월(400)은 아크릴 등 투명재질로 차단벽체(300)의 중도부에 소정의 폭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검체 채취실(100)의 피검사자와 작업실(200)의 검사자가 서로 얼굴을 확인하고 검체 채취 과정을 볼 수 있도록 한다.
투명월(400)에는 관통부(410)가 관통 형성된다. 관통부(410)는 2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사용 글로브(500)는 투명월(400)의 관통부(41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 관통부(410)에는 고정대(700)가 끼움 결합되고, 고정대(700)에 검사용 글로브(50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부(410) 외측에는 차단오링(420)이 결합되고, 그 외측에 다시 고정대(700)가 더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고정대(700)는 제1체결대(710)와 제2체결대(720)가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제1체결대(710)는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제1관통공(711)이 관통 형성되고, 종방향 일측 끝단에는 투명월(400)의 관통부(41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는 형태의 제1걸림부(712)가 돌출 형성되고, 제1걸림홈(71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제2체결대(720)도 길이방향으로 중앙에 제2관통공(721)이 관통 형성되고, 종방향 일측 끝단에는 제2걸림부(722)가 돌출 형성되고, 제2걸림홈(72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제1체결대(710)의 제1관통공(711)에 제2체결대(720)가 끼움 결합되거나, 아니면 그 반대로 강제 끼움 결합될 수 있다(도면에서는 제1체결대(710)의 내측으로 제2체결대(720)가 끼움 결합되어 도시됨).
그리고 고정대(700)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검사용 글로브(500)의 외측을 고정하기 위해, 제1체결대(710)와 제2체결대(720)의 제1,2걸림홈(713)(723)에는 각각 탄성이 있는 압착밴드가(510)가 밀착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검사용 글로브(500)는 일반적으로는 작업실(200) 측 고정대(700)의 제2체결대(720) 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시에는 검체 채취실(100) 측 고정대(700)의 제1체결대(710) 측에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검체 채취실(100)의 외측에는 음압기(6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이는 검체 채취실(100) 내부의 압력이 외부의 압력보다 더 낮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검체 채취실(100) 내부의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검체 채취실(100) 내부에 존재할 수도 있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주게 된다.
또한, 고정대(700)의 제1체결대(710)에 형성되는 제1관통공(711)과 제2체결대(720)에 형성되는 제2관통공(721)의 입구에는 고압의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공급부(8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는 검사용 글로브(500) 속으로 검사자가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고자 할 시, 검사용 글로브(500)가 잘 펼쳐지지 않아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기에 불편한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에어공급부(800)에 의해 고압의 에어를 제1체결대(710)의 제1관통공(711) 또는 제2체결대(720)의 제2관통공(721)을 통해 검사용 글로브(500) 속으로 공급하여 줌으로써, 검사용 글로브(500)가 부풀려져 검사자의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기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검체 채취실(100)과 작업실(200)에는 각각 마이크 및 스피커 시설을 설치하고, 각각의 마이크와 스피커를 연결하는 통신망을 더 설치한다. 따라서 검체 채취실(100)의 피검사자와, 작업실(200)의 검사자는 서로 분리되어 밀폐된 공간에서도 서로 의사 소통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검체 채취 안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한다.
검체 채취실(100)에 들어온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 작업실(200)의 검사자는 마이크를 통해 피검사자에게 검체 과정 설명 및 행동을 지시한다.
그리고, 에어공급부(800)에 의해 검사용 글로브(500) 속으로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게 되면, 검사용 글로브(500)는 검사자의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펼쳐지게 된다.
검사자는 검사용 글로브(500) 속으로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여 착용하게 되고, 검사자의 신체는 작업실(200)에 위치하지만 검사자의 팔은 차단벽체(300)를 지나 검체 채취실(100) 측에 위치하게 된다.
검사자는 검사용 글로브(500)에 끼워진 손을 움직이면서 별도의 검체 도구를 이용하여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한다. 이때 검사자는 마이크를 이용하여 피검사자와 의사소통을 하면서 피검사자의 자세와 위치를 잡고 검체를 채취할 수도 있다.
즉, 검사자는 피검사자가 있는 검체 채취실(100)로 이동할 필요없이 작업실(200)에서 피검사자의 검체를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혹시라도 피검사자가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었을지라도 검사자에게 전염이 될 염려가 전혀 없으며, 검사자가 피검사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하기 위해 별도의 장소로 이동할 필요도 없다.
또한 피검사자가 머물렀던 공간인 검체 채취실(100)의 공기도 음압기(600)와 별도의 헤파필터 등의 장비에 의해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주므로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주게 된다.
100 : 검체 채취실 200 : 작업실
300 : 차단벽체 400 : 투명월
410 : 관통부 500 : 검사용 글로브
600 : 음압기 700 : 고정대
710 : 제1체결대 720 : 제2체결대
800 : 에어공급부

Claims (4)

  1. 사방 및 상부가 완전 밀폐되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차단 시 완전한 차폐가 되는 차폐출입구가 구비되어 피검사자가 머무는 검체 채취실;
    사방 및 상부가 완전 밀폐되어 형성되고 일측벽에는 차폐출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검체 채취실과 차단벽체에 의해 분리되어 검사자가 상기 검체 채취실의 피검사자의 검체 채취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실;
    상기 검체 채취실과 작업실에 각각 설치되어 통신망에 의해 연결되는 마이크 및 스피커;
    상기 검체 채취실의 외부보다 검체 채취실 내부의 압력이 더 낮게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검체 채취실 내부의 오염을 방지하고 검체 채취실 내부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하여 주기 위해 상기 검체 채취실의 외측에 설치되는 음압기;
    상기 차단벽체에 소정의 폭으로 투명하게 구비되는 투명월;
    상기 투명월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 및
    상기 관통부에 결합되는 검사용 글로브;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부에는,
    상기 검사용 글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가 더 결합되며,
    상기 고정대는,
    중앙에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종방향 일측 끝단에는 상기 투명월에 걸리도록 제1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1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체결대와,
    중앙에 제2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체결대의 제1관통에 삽입 결합되며 종방향 일측 끝단에는 상기 투명월에 걸리도록 제2걸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걸림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2체결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체결대와 투명월 및 제2체결대와 투명월 사이에는 차단오링이 체결되며,
    상기 검사용 글로브는 상기 제1체결대 또는 제2체결대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검사용 글로브 외측인 상기 제1체결대와 제2체결대의 제1,2걸림홈에는 탄성이 있는 압착밴드가 더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대의 제1관통공 및 상기 제2체결대의 제2관통공 입구에는 에어공급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검사용 글로브 속으로 팔과 손가락을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에어공급부에 의해 제1체결대의 제1관통공 또는 제2체결대의 제2관통공을 통해 검사용 글로브 속으로 에어를 공급하여 검사용 글로브를 부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35590A 2020-03-19 2020-03-24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KR102152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33508 2020-03-19
KR1020200033508 2020-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280B1 true KR102152280B1 (ko) 2020-09-04

Family

ID=72471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590A KR102152280B1 (ko) 2020-03-19 2020-03-24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2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88A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조립이 용이한 검체 채취용 부스 및 그 제작방법
KR20220053718A (ko) 2020-10-22 2022-05-02 주식회사 마크로젠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KR20220068280A (ko) * 2020-11-17 2022-05-26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모듈형 검체채취부스
KR20230097325A (ko) 2021-12-24 2023-07-03 박성철 설거지용 오염 방지 아크릴케이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47A (ja) * 1996-02-16 1997-08-26 Sanki Eng Co Ltd 無菌治療室ユニット
JP2017006405A (ja) * 2015-06-23 2017-01-12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内面除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内面除染方法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KR20190010530A (ko) * 2016-05-23 2019-01-30 가부시키가이샤 나라기카이세이사쿠쇼 컨테인먼트 장치의 포트 구조, 컨테인먼트 장치의 포트 작성용 키트 및 컨테인먼트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47A (ja) * 1996-02-16 1997-08-26 Sanki Eng Co Ltd 無菌治療室ユニット
JP2017006405A (ja) * 2015-06-23 2017-01-12 株式会社エアレックス 内面除染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内面除染方法
KR20190010530A (ko) * 2016-05-23 2019-01-30 가부시키가이샤 나라기카이세이사쿠쇼 컨테인먼트 장치의 포트 구조, 컨테인먼트 장치의 포트 작성용 키트 및 컨테인먼트 장치
KR20170133088A (ko) 2016-05-25 2017-12-05 주식회사 엠아이티에스 호흡기 감염증 환자의 검체채취용 부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88A (ko) 2020-09-24 2022-03-31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조립이 용이한 검체 채취용 부스 및 그 제작방법
KR102579845B1 (ko) * 2020-09-24 2023-09-15 주식회사 티에스디글로벌 조립이 용이한 검체 채취용 부스 및 그 제작방법
KR20220053718A (ko) 2020-10-22 2022-05-02 주식회사 마크로젠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KR20220068280A (ko) * 2020-11-17 2022-05-26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모듈형 검체채취부스
KR102541278B1 (ko) * 2020-11-17 2023-06-12 주식회사 하나지엔씨 모듈형 검체채취부스
KR20230097325A (ko) 2021-12-24 2023-07-03 박성철 설거지용 오염 방지 아크릴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2280B1 (ko)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Gralton et al. Protecting healthcare workers from pandemic influenza: N95 or surgical masks?
KR102180927B1 (ko) 검체 채취 장치
WO2022019732A2 (ko) 검체채취도구 밀착삽입형 검진창을 갖는 바이러스 검체채취용 검사부스
Cole et al. Glove perforation during plastic surgery
Karligkiotis et al. How to obtain a nasopharyngeal swab specimen
Dawood Transmission of SARS CoV-2 virus through the ocular mucosa worth taking precautions
WO2021215665A1 (ko) 감염증 환자의 검체 채취 시스템
WO2021206010A1 (ja) 鼻咽頭検体採取時に用いる感染防止袋
Michael et al. Monkeypox mathematical model with surveillance as control
KR102426366B1 (ko) 바이러스 검사를 위한 피검사자용 검체도구
Fantin The effect of wearing an FFP3 mask (3M \text()^TM Aura \text()^TM) with an exhalation valve on gas exchange in medical staff
US20230173309A1 (en) Negative pressure procedure mask
KR102461823B1 (ko) 글로브 박스
KR102423484B1 (ko) 비접촉식 검체채취가 가능한 간이 채담부스
RU2740137C1 (ru) МАСКА ЗАЩИТНАЯ (варианты)
De Santis et al. Design of a wearable device for physiological parameter monitoring in a COVID setting
KR101775534B1 (ko) 설진시스템을 동반한 날숨 폐 기능 체크와 맥진 시스템
JP2021188146A (ja) ガード具及びガード具の組立方法
Caoili et al. Fit testing of KN95 masks
Christopher et al. The PPE pandemic: Sex-related discrepancies of N95 mask fit
Gupta et a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Health care workers donning for COVID-19 areas: Walking a tight rope between safety and comfort!
KR20210138246A (ko) 바이러스 감염 진단 겸용 마스크
TW202200081A (zh) 隔離採檢用之護套結構
Mazur et al. The role of nursing stuff in the early identification,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sepsis in the light of the new definition of sep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