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3718A -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3718A
KR20220053718A KR1020200137381A KR20200137381A KR20220053718A KR 20220053718 A KR20220053718 A KR 20220053718A KR 1020200137381 A KR1020200137381 A KR 1020200137381A KR 20200137381 A KR20200137381 A KR 20200137381A KR 20220053718 A KR20220053718 A KR 20220053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mple
communication device
infectious disease
container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7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445B1 (ko
Inventor
서정선
황상준
석지웅
목정훈
손창희
최나라
강병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크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크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크로젠
Priority to KR1020200137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45B1/ko
Publication of KR20220053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3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04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 A61B10/0051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ody liquids for taking saliva or sputum samp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7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rus or bacteriopha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08Hospitals, infirmaries, or the like; Schools; Pris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83Viru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0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viruses
    • G01N2333/08RNA viruses
    • G01N2333/165Coronaviridae, e.g. avian infectious bronchitis vir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Vir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개시된 기술은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진정보를 접수하는 접수단말기;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한 시료를 전처리하는 검체 전처리 장치; 및 상기 문진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검체 처리 구역; 상기 검체 처리 구역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처리된 시료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하고 검사하는 검사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 구역; 및 상기 검체 분석 구역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문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제 3 통신장치; 상기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감염병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 및 상기 문진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결과 분석 구역;을 포함한다. 따라서 검체 채취에 대한 안전성과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CONTAINER TYPE INFECTIOUS DISEASE DIAGNOSIS PLATFORM DEVICE}
개시된 기술은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는 DNA나 RNA를 유전체로 가지고 있으며 단백질로 둘러싸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바이러스는 혼자서는 증식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숙주를 통해 전파된다. 일 실시예로, 숙주 세포 내에서 스스로를 복제하며 세포 간 감염을 통해 증식할 수 있다.
최근 사스나 코로나와 같은 신종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병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신종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높거나 치사율이 높아서 전세계적으로 다수의 감염자가 발생하고 있고 감염에 따른 사망 사례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숙제를 통해 증식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람 간 접촉을 최소화하거나 전파 경로를 차단할 수 있는 마스크를 착용하여 감염병을 예방하고 있다.
한편, 감염병에 대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발열, 기침, 어지러움 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인 감기나 몸살 등의 가벼운 질환에서도 발생되는 증상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감염병을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감염병 진단키트를 이용하여 감염병 발생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진단키트의 성능에 따라 짧게는 수분 이내에서 길게는 몇시간 이내에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현재는 진료소나 보건소와 같이 정해진 일부 기관에서만 감염병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접근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진료 기관을 확장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나 도서지역과 같이 진료 기관이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한국 등록특허 제10-2152280호
개시된 기술은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개시된 기술의 제 1 측면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진정보를 접수하는 접수단말기,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한 시료를 전처리하는 검체 전처리 장치 및 상기 문진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검체 처리 구역, 상기 검체 처리 구역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처리된 시료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하고 검사하는 검사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 구역 및 상기 검체 분석 구역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문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제 3 통신장치 상기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감염병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 및 상기 판독에 대한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결과 분석 구역을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은 다음의 장점들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 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는 필요에 따라 설치 위치를 조정하여 감염병 검사를 위한 사용자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통해 컨테이너 부스에 대한 광고를 노출함으로써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감염병 검사를 홍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폐된 내부 공간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감염병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여 검체 채취에 대한 안전성과 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개시된 검체 처리 구역과 검체 분석 구역을 차폐하는 게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컨테이너 부스의 외벽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를 통해 설명되는 각 구성부들의 존재 여부는 기능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100)는 컨테이너형 부스의 내부에 탑재된다. 컨테이너 부스는 직육면체 형상이고 내부 공간을 용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간에 검체를 접수하고 분석하기 위한 복수의 장치들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110 영역은 검체 처리 구역이고 120 영역은 검체 분석 구역이고 130 영역은 결과 분석 구역일 수 있다.
검체 처리 구역(110)은 사용자로부터 검체를 채취할 수 있다. 검체 채취를 위해서 검체 채취 도구가 구역(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로부터 문진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그리고 접수된 문진정보를 통신장치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검체 분석 구역(120)은 검체 처리 구역(110)의 일 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검체 분석 구역(120)에는 검체를 전처리한 시료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검사장치와 검사 결과를 전송하는 통신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결과 분석 구역(130)에는 문진정보와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장치가 구비되며 수신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감염병에 대한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판독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는 서버도 구비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는 통로(140)가 형성된다. 검사를 의뢰한 사용자는 통로를 통해 검사 결과를 수령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각 구역에는 시험자 또는 피시험자들이 출입할 수 있도록 게이트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문이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외부와 완전하게 차폐될 수 있다. 당연하게도 검체 처리 구역에서 피시험자의 검체를 체취할 때나 검체 분석 구역에서 검체를 검사할 때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도록 완전히 차폐된 공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구역의 게이트들은 평상시에는 내부 공간을 밀폐할 수 있도록 닫혀진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시험자나 피시험자가 게이트 출입을 요청하는 경우에만 차폐된 상태를 해제하고 게이트를 열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100)의 하부에는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감염병 발병 여부를 쉽게 확인하기 어려운 지역에 있는 피시험자의 편의를 위해서 컨테이너 부스를 직접 해당 지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컨테이너 부스를 이동시킬 수 있는 차량의 후미에 컨테이너 부스의 일 측을 연결하거나 차량에 실어서 목적지로 이동이 가능하다. 컨테이너 부스에 형성된 복수개의 바퀴는 목적지에 도착하면 스토퍼를 통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물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각 구역의 용도에 따라 특정 단말기 내지는 특정 장치가 배치된다. 예컨대, 검체 처리 구역(110)에는 사용자의 문진정보를 접수하는 접수단말기와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한 시료를 전처리하는 검체 전처리 장치 및 접수단말기로부터 문진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결과 분석 구역으로 전송하는 통신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검체 분석 구역(120)에는 전처리된 시료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시키고 일정 횟수의 검사를 반복해서 수행하는 검사장치와 검사 결과를 결과 분석 구역으로 전송하는 통신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결과 분석 구역에는 문진정보와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장치, 수신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감염병의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 및 사용자의 문진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확인하여 판독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200)는 검체 처리 구역(210), 검체 분석 구역(220) 및 결과 분석 구역(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진정보를 접수하는 접수단말기(210a),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한 시료를 전처리하는 검체 전처리 장치(210b) 및 문진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장치(210c)를 검체 처리 구역(210)에 포함한다. 그리고 전처리된 시료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하고 검사하는 검사장치(220a) 및 검사장치의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제 2 통신장치(220b)를 검체 분석 구역(220)에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통신장치로부터 문진정보를 수신하고 제 2 통신장치로부터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제 3 통신장치(230a),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감염병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230b) 및 문진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를 확인하고 판독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230c)를 결과 분석 구역(230)에 포함한다. 이하에는 각 구역별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체 처리 구역(210)에서 접수단말기(210a)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진정보를 접수한다. 문진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검사용지일 수 있고 내부의 각 영역마다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개인정보, 증상에 대한 정보, 이동거리 및 동선에 대한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를 의뢰하는 사용자에게 검사 동의서 또는 검사 의뢰서도 문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접수단말기(210a)에서 제공되는 검사용지를 수령하고 각 항목을 기재하는 것으로 문진정보를 작성할 수 있으며 작성이 완료된 검사용지를 접수단말기(210a)에 형성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하는 것으로 문진정보를 접수할 수 있다.
또는, 접수단말기(210a)가 화면에 문진정보의 각 항목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거나 별도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항목들에 대한 응답을 입력함으로써 문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접수단말기(210a)는 일종의 컴퓨터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화면을 통해 문진정보를 출력하고 각 항목들에 대한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자동으로 문진정보를 완성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문진정보를 접수한 것으로 판단하면 접수단말기(210a)는 사용자에게 검체 채취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을 통해 검체 채취를 위한 방법이나 순서 등에 대한 매뉴얼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매뉴얼에 따라 검체를 채취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시험자의 도움을 받아 검체를 체취할 수도 있다. 채취된 사용자의 검체는 검체 전처리 장치(210b)를 통해 전처리된다. 일반적으로 검사를 위한 시료를 정량화하거나 임상 관련 법규나 지침에 따라 검체를 처리함으로써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시약이나 약물 등을 검체에 인가하는 방식의 전처리도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전처리된 검체는 이송장치(210d)에 의해 검체 분석 구역(22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장치(210d)는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을 포함하며 사전에 정해진 방향 및 거리만큼만 왕복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검체를 이송할 수 있다. 물론 컨베이어가 아닌 다른 방식의 이송수단을 활용하여 진단키트를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검체 처리 구역(210)에서는 이와 같은 과정에 따라 검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할 준비과정을 마칠 수 있다.
한편, 검체 전처리 장치(210b)는 검체를 수용하는 용기의 일 측에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를 기록할 수 있다. 바코드를 기록하기 위해서 검체 전처리 장치(210b)는 바코드가 기록된 스티커를 용기에 부착하거나 바코드를 용기에 직접 기록할 수 있다. 바코드의 내용은 접수단말기(210a)에서 접수한 문진정보 중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일부 항목의 값일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의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연락처 등의 개인정보가 바코드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 1 통신장치(210c)는 접수단말기에서 접수한 문진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된 문진정보는 결과 분석 구역(230)에 구비된 제 3 통신장치(230a)로 전송된다. 접수단말기(210a)는 사용자로부터 수기로 문진정보를 접수한 경우에는 이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 1 통신장치(210c)를 통해 제 3 통신장치(230a)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OCR 기술을 적용하여 작성된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로 추출하거나 문진데이터를 이미지로 스캔할 수 있다. 물론 화면에 출력되는 문진정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디지털 데이터가 기록된 것이므로 이를 제 3 통신장치(230a)에 바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체 분석 구역(220)은 검체 처리 구역(210)의 일 측으로 길이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검체 처리 구역(210)과 검체 분석 구역(220)는 서로 인접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검체 분석 구역(220)에는 검사장치(220a) 및 통신장치(220b)가 구비된다. 검체 처리 구역(210)에서 전처리된 검체가 이송되면 검사장치(220a)는 검체를 시료로 하여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시료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하고 이를 일정 비율로 분하하여 동일한 검사를 반복해서 일정 횟수 이상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검체를 검사하는데 있어서 종래에는 판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 RT-PCR, Lateral flow test, ELISA, Western blot, CRISPR과 같은 방법들이 이용되었으며 검사장치(220a) 또한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의 방법으로 사용자에 대한 감염병을 검사할 수 있다. 다만 보다 짧은 시간에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qRT-PCR 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판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은 현재 코로나 바이러스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 2019년 SARS-CoV-2의 검출에 응용되어 코로나바이러스 하위 분류 단계에 속하는 바이러스(HCoV-229E, HCoV-NL63, HCoV-OC43, HCOV-HKU1, SARS-Cov, MERS-Cov)를 모두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 유의심자 또는 환자에서 채취한 침이나 가래 샘플에서 유전자를 분리해 증폭한 후 6가지의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 비교하여 판정하는 것으로 검사 완료까지 약 1~2일이 소요된다.
RT-PCR 시스템에는 한 쌍의 primer, probe 및 DNA polymerase와 같은 중합효소가 필요하다. Probe는 Covid-19의 DNA에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단일 oligonucleotide이며, 양 끝에 형광 reporter 와 quencher 가 연결되어있다. Probe가 DNA에 결합한 직후에는 quencher에 의해 reporter의 형광이 소광되기 때문에 형광이 검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때 온도를 조절하여 primer가 제시한 부분에 결합한 DNA polymerase가 quencher 에서 reporter 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엑소뉴클라아제 활성을 기반으로 probe를 절단하고 분해하여 reporter와 quencher가 멀리 존재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근접해 있던 quencher에 의해 소광되어 있던 reporter가 형광을 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ARS-CoV-2의 cDNA에 비례하여 형광 강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reporter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여 환자 검체에 존재하는 SARS-CoV-2 cDNA를 고감도로 정량 할 수 있다.
한편, SARS-CoV-2가 인간에 유입되면 신체의 적응 면역 체계를 자극하게 되고, 감염 3-6일 후에 IgM 항체가, 감염 8일 후에 IgG 항체가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항체를 환자의 혈액에서 검출함으로써 감염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lateral flow 방법은 칩에 환자의 혈액을 투입하고 혈액이 칩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선의 강도(AuNP의 색)를 통하여 혈액 내부에 존재하는 IgM 및 IgG를 검출함으로써 감염병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이다.
한편, ELISA의 경우 cytokine을 96-well plate에 도포한 후, cytokine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1차 항체를 첨가하고, 그 1차 항체에 결합하는 HRP 부착 2차 항체를 첨가한 다음 최종적으로 기질을 첨가하여 HRP 효소에 반응한 기질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서 cytokine을 정량할 수 있다. 또는 1차 항체를 바로 HRP이 부착된 항체를 사용함으로서 실험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이외에도 cytokine을 인식하는 두 가지 항체를 사용하는 sandwich ELISA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COVID-19를 진단하기 위하여 CRISPR (Clustered Regularly Interspaced Short Palindromic Repeats) 기술을 바탕으로 한 방법도 이용되고 있다. 제 2 제어장치는 이와 같은 다양한 감염병 검사 방법을 이용하여 짧게는 수 분에서 갈게는 며칠 이내에 사용자의 감염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일정 횟수 이상의 검사를 반복함으로써 감염병 판단에 대한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제 2 통신장치(220b)는 검사장치(220a)에서 처리된 검사 결과를 제 3 통신장치(230b)에 송신한다. 제 2 통신장치(220b) 또한 제 1 통신장치(210c)와 마찬가지로 제 3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통신 경로를 따라 검사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결과 분석 구역(230)은 검체 분석 구역(220)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된다. 즉, 검체 분석 구역(220)과 결과 분석 구역(230)은 서로 인접하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결과 분석 구역(230)에는 문진정보와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제 3 통신장치(230a), 검사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의 감염병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230b) 및 사용자의 단말기를 확인하여 판독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230c)를 포함한다.
제 3 통신장치(230a)는 제 1 통신장치(210c)에서 전송하는 문진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제 2 통신장치(220b)에서 전송하는 검사 결과를 수신한다. 개시된 기술에 있어서 제 1 내지 제 3 통신장치 및 서버는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된다. 제 1 통신장치 및 제 2 통신장치는 각각 제 3 통신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 3 통신장치는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부 영향을 받지 않고 컨테이너 부스의 내부에서 안전하고 정확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유선으로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 3 통신장치의 경우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230c)와 연결된 장치이므로 타 통신장치 대비 높은 권한이 부여될 수 있다. 가령, 제 3 통신장치를 메인 노드로 하고 제 1 통신장치 및 제 2 통신장치를 서브 노드로 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제 3 통신장치를 통해 각 구역 별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분석장치(230b)는 제 3 통신장치(230a)가 수신한 검사 결과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감염병 발병 여부를 판독한다. 분석장치(230b)는 다수의 바이러스 정보 및 감염병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검사 결과와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감염병을 판독할 수 있다.
서버(230c)는 수신된 문진정보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사용자의 단말기에 판독 결과를 전송한다. 예컨대, 문진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항목들 중 사용자의 연락처 항목을 참조하여 판독에 대한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230c)는 컨테이너 부스 외부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이고, 유무선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판독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30c)는 제 3 통신장치를 통해서 제 1 통신장치 및 제 2 통신장치에서 전송된 재고정보를 수신한다. 제 1 통신장치 및 제 2 통신장치는 각각 설치된 구역에서 사용되는 물품의 재고를 실시간으로 카운팅할 수 있다. 예컨대, 제 1 통신장치 및 제 2 통신장치는 카운터장치를 포함하고, 제 1 통신장치는 카운터장치를 이용하여 문진정보를 접수할 때마다 검체 용기의 재고를 하나씩 줄일 수 있고, 제 2 통신장치는 카운터장치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할 때마다 소모되는 장비의 개수만큼 재고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재고정보는 각 구역의 시험자들로부터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며 컨테이너 부스 내부에서 소모되는 각종 자재나 재화의 수량도 재고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 3 통신장치(230a)는 기 구축된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통신장치와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재고정보를 서버(230c)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는 재고정보를 토대로 컨테이너 부스에 설치된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대한 전사적 자원 관리(ERP)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서버(230c)를 중심으로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을 구축하여 자원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전산화할 수 있다. 만약, 제 1 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검체 용기의 재고정보가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제 2 제어장치에서 전송되는 검사 장비의 재고 정보가 임계값을 초과하면 서버가 관리자의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서버(230c)는 검사 결과를 결과용지에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의 경우 개인정보의 노출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으므로 문진정보를 입력할 때 개인 연락처의 노출은 원치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비하여 출력장치를 구비하고 검사가 완료되면 검사 결과를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로, 컨테이너 부스의 일 측에 형성된 통로에 출력장치를 배치하고, 검사 결과가 기록된 용지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컨테이너 부스의 외벽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230d)를 통해서도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30d)는 서버(230c)와 연결되어 있으며 서버에서 전송되는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시간이 정해질 수 있다. 예컨대, 검사가 종료된 시점부터 10분 동안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30d)는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광도를 노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어신호에 따라 검사 결과를 출력하지 않을 때는 컨테이너 부스에 대한 광고를 출력하거나 검사를 대행하는 업체에 대한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전에 계약된 내용에 따라 광고를 노출하는 횟수 또는 기간이 결정될 수 있다. 서버(230c)는 광고 출력을 위한 정보를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값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광고를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개시된 검체 처리 구역과 검체 분석 구역을 차폐하는 게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검체 처리 구역과 검체 분석 구역 사이에는 두 공간을 연결하는 게이트(301)가 구비된다. 게이트(301)는 기본적으로 닫혀 있는 상태에서 두 공간을 완전하게 차폐시킬 수 있으며 검체 처리 구역 또는 검체 분석 구역 내부의 시험자의 제어에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시험자는 사용자로부터 획득한 진단키트를 게이트를 통해 직접 이송할 수 있다. 또는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검체를 이송하는 경우 게이트(301)를 일시적으로 개방하여 검체를 이송할 수도 있다.
도 4는 컨테이너 부스의 외벽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401)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401)는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검사 결과를 출력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부스에 대한 광고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로, 검사 결과를 출력하지 않을 때는 컨테이너 부스에 대한 광고를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401)는 컨테이너 부스에 대한 광고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부스를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업체에 대한 광고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업체와 계약된 기간 동안만 광고를 출력하고 기간이 종료되면 광고를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110 : 검체 처리 구역 120 : 검체 분석 구역
130 : 결과 분석 구역 140 : 통로

Claims (9)

  1. 사용자가 입력하는 문진정보를 접수하는 접수단말기;
    검체 채취 도구를 이용하여 수집한 시료를 전처리하는 검체 전처리 장치; 및
    상기 문진정보를 수신하는 제1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검체 처리 구역;
    상기 검체 처리 구역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전처리된 시료에 대한 유전자를 증폭하고 검사하는 검사장치; 및
    상기 검사장치의 검사 결과를 송신하는 제 2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검체 분석 구역; 및
    상기 검체 분석 구역의 일 길이 방향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문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검사 결과를 수신하는 제 3 통신장치;
    상기 제 2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한 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감염병 발병 여부를 판독하는 분석장치; 및
    상기 문진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를 확인하고 상기 판독에 대한 결과를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결과 분석 구역;을 포함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체 전처리 장치는 상기 검체가 수용된 용기의 일 측에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바코드를 기록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장치는 판코로나바이러스 검사법, RT-PCR, qRT-PCR, Lateral flow test, ELISA, Western blot, CRISPR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으로 상기 시료를 검사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검사 결과를 결과용지에 출력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결과 분석 구역의 일 측에 형성된 통로에 배치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통신장치는 상기 제 1 통신장치 및 상기 제 2 통신장치 및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형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 3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제 1 통신장치 및 상기 제 2 통신장치에서 전송된 재고정보를 토대로 상기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내 전사적 자원 관리(ERP)를 수행하는 실험실 정보 관리 시스템(Laborator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LIMS)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재고정보에 따라 검사에 소모되는 복수개의 물품들의 수량을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상기 복수개의 물품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물품의 재고가 임계값 미만이면 상기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의 관리자 단말기에 알림을 전송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의 하부에는 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의 외벽에는 상기 서버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되는 검사 결과를 출력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검사 결과를 일정 시간 동안 출력하고, 상기 검사 결과를 출력하지 않을 때는 상기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에 대한 광고를 출력하는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KR1020200137381A 2020-10-22 2020-10-22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KR102510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81A KR102510445B1 (ko) 2020-10-22 2020-10-22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7381A KR102510445B1 (ko) 2020-10-22 2020-10-22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3718A true KR20220053718A (ko) 2022-05-02
KR102510445B1 KR102510445B1 (ko) 2023-03-17

Family

ID=81593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7381A KR102510445B1 (ko) 2020-10-22 2020-10-22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44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47A (ja) * 1996-02-16 1997-08-26 Sanki Eng Co Ltd 無菌治療室ユニット
KR20090002942A (ko) * 2007-07-05 2009-01-09 종 신 김 자동 소변분석 시스템 및 그 장치
KR20120025580A (ko) * 2009-06-04 2012-03-15 유니바사루 바이오 리사치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36292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녹십자랩셀 검사 관리 장치 및 검사 관리 방법
WO2017081739A1 (ja) * 2015-11-10 2017-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在庫解析装置および在庫解析方法
KR102152280B1 (ko) 2020-03-19 2020-09-04 주식회사 그린퓨어텍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247A (ja) * 1996-02-16 1997-08-26 Sanki Eng Co Ltd 無菌治療室ユニット
KR20090002942A (ko) * 2007-07-05 2009-01-09 종 신 김 자동 소변분석 시스템 및 그 장치
KR20120025580A (ko) * 2009-06-04 2012-03-15 유니바사루 바이오 리사치 가부시키가이샤 검체 검사장치 및 그 방법
KR20130136292A (ko) * 2012-06-04 2013-12-12 주식회사 녹십자랩셀 검사 관리 장치 및 검사 관리 방법
WO2017081739A1 (ja) * 2015-11-10 2017-05-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在庫解析装置および在庫解析方法
KR102152280B1 (ko) 2020-03-19 2020-09-04 주식회사 그린퓨어텍 글로브 월이 구비되는 검체 채취용 안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445B1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Vehik et al. Methods, quality control and specimen management in an international multicentre investigation of type 1 diabetes: TEDDY
Barnett et al. Validation of cell‐based fluorescence assays: Practice guidelines from the ICSH and ICCS–part IV–postanalytic considerations
Sommer et al. High‐sensitivity flow cytometric assays: considerations for design control and analytical validation for identification of rare events
Purkayastha et al. Does serum procalcitonin have a role in evaluating the severity of acute pancreatitis? A question revisited
US6653139B1 (en) On-site drug testing method
Zobrist et al. Evaluation of a point-of-care diagnostic to identify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deficiency in Brazil
Rohrig et al. Roadside drug testing: An evaluation of the Alere DDS® 2 mobile test system
Kepczynski et al. A systematic review comparing at-home diagnostic tests for SARS-CoV-2: Key points for pharmacy practice, including regulatory information
Srivastava et al. Computer-vision-based technology for fast, accurate and cost effective diagnosis of malaria
Chileshe et al. A commercial ELISA for detection of interferon gamma in white rhinoceros
Van Loveren et al. Report of the Bilthoven Symposium: Advancement of epidemiological studies in assessing the human health effects of immunotoxic agents in the environment and the workplace
Omana-Zapata et al. Accurate and reproducible enumeration of T-, B-, and NK lymphocytes using the BD FACSLyric 10-color system: a multisite clinical evaluation
de Wit et al.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ed from the real-world implementation of an HIV recent infection testing algorithm in three routine service-delivery settings in Kenya and Zimbabwe
McDade et al. Beyond serosurveys: Human biology and the measurement of SARS‐Cov‐2 antibodies
van Drongelen et al. The impact of the new European IVD-classification rules on the notified body involvement; a study on the IVDs registered in the Netherlands
Walker et al. SARS-CoV-2 antibody seroprevalence among maintenance dialysis patients in the United States
Dimech et al. Time to address quality control processes applied to antibody testing for infectious diseases
Zeh et al. Laboratory-based performance evaluation of PIMA CD4+ T-lymphocyte count point-of-care by lay-counselors in Kenya
Sims et al. Dried blood spots are a valid alternative to venipuncture for COVID-19 antibody testing
Cochrane Infectious Diseases Group et al. Diagnosis of SARS‐CoV‐2 infection and COVID‐19: accuracy of signs and symptoms; molecular, antigen, and antibody tests; and routine laboratory markers
KR102510445B1 (ko) 컨테이너형 감염병 진단 플랫폼 장치
US20090093995A1 (en) Method for evaluating a diagnostic test
Kalou et al.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Chembio dual path platform HIV-Syphilis assay
Selliah et al. Flow Cytometry Method Validation Protocols
Tianyi et al. Audit of HIV counselling and testing services among primary healthcare facilities in Cameroon: a protocol for a multicentre national cross-sectional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