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988B1 -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 Google Patents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988B1
KR102151988B1 KR1020200009435A KR20200009435A KR102151988B1 KR 102151988 B1 KR102151988 B1 KR 102151988B1 KR 1020200009435 A KR1020200009435 A KR 1020200009435A KR 20200009435 A KR20200009435 A KR 20200009435A KR 102151988 B1 KR102151988 B1 KR 10215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frame
absorbing
semi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철우
Original Assignee
박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철우 filed Critical 박철우
Priority to KR102020000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9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마감재로 사용되는 보드에 준불연 처리된 패브릭과 각목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실내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한 피해 저감 및 화염의 확산방지에 기여하고, 각목 사이에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을 제작함으로써 소음 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흡음 및 차음시켜 소음에 의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Sound absorption and sound insulation board using semi-non-combustible fabric and wood}
본 발명은 흡음 및 차음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마감재로 사용되는 보드에 준불연 처리된 패브릭(fabric)과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실내 화재시 화재피해 저감 및 확산 방지에 기여하고, 소음 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줄여 줄 수 있는,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 바탕면이 실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탕면에 마감재를 설치하여 마감처리 하고 있는데, 대부분 실내마감재를 시공하는 것을 보면, 각목 목재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벽체의 바탕면에 일정 간격으로 격자 형상의 기본틀을 고정 설치한 다음, 기본틀 표면에 석고보드 또는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등을 부착시킨 후에 석고보드나 MDF의 표면에 다시 벽지로 도배를 하거나 페인트 칠을 하여 마무리를 하고 있다. MDF 같은 경우에는 나무를 분쇄하여 접착제를 투입하여 집성한 목재판이므로 탈 때 독성이 배출될 뿐만 아니라 수분에 노출되면 수축과 팽창이 심하고 냄새가 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화재에 대비하기 위해 보드나 MDF의 표면에 방염필름을 부착한 경우도 있으나, 이는 화재 발생시 화재피해 저감 및 화염의 확산 방지에 전혀 역할을 못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한편, 합성수지로 제작한 건축내장재는 디자인의 다양화와 생산성은 우수하나, 자재의 이질감 등으로 인해 외관이 좋지 않고, 열팽창계수가 커서 시공후 뒤틀리는 경우가 많아서 연결부분에 틈새가 발생하게 되며, 대부분 악취가 나고 잔류 포름알데히드 등과 같은 독성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방출되므로 건강상 문제 뿐만 아니라 불쾌감을 느끼게 되어 기존 건축물에 실내 인테리어를 새로한 경우에도 새집증후군이 발생하여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건축물의 실내마감재에 대한 기술을 예로 들면, 특허등록 제1944242호와 제19944213호 "건축물 실내마감재 시공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접착제를 시용하여 벨크로를 벽체의 바탕면과 에코스톤의 후면에 각각 부착시킨 다음, 벨크로끼리 맞대어 결합시켜 에코스톤을 벽체의 바탕면에 부착시키도록 한 기술인데, 벨크로를 이용하여 부착하기 때문에 에코스톤을 벽체에 간편하고 정확하게 부착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벽체의 바탕면과 에코스톤에 각각 접착제를 도포하고 벨크로를 부착시켜야 하며, 석재(石材)인 에코스톤이 무겁기 때문에 무게를 견디기 위해서는 각 에코스톤마다 다수의 개소에 벨크로를 부착해야 하므로 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고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며, 석재이기 때문에 다양한 색상을 연출할 수 없고 소음에 대한 흡음 및 차음성능도 전혀 기대할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마감재로 사용되는 보드에 준불연 처리한 패브릭과 각목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실내 화재 발생시 화재로 인한 피해 저감 및 화염의 확산방지에 기여하고, 각목 목재 사이에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프레임을 제작하고 패브릭으로 프레임을 감싸서 소음 발생시 효율적으로 흡음 및 차음시켜 소음에 의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는, 단면(斷面)이 사각형이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인 각목 목재로 제작되어 전면(前面)의 양단(兩端)을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세로부재와, 세로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각목 목재로 제작되어 후면(後面)의 양단과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제2끼움홈이 형성된 가로부재를 구비하여,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이 끼워맞춰져서 결합되어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흡음스폰지; 상기 흡음스폰지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차음재; 상기 프레임의 전면(前面)을 완전히 덮으면서, 프레임의 후면에 배치된 차음재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덮도록 부착되는 패브릭(fabric);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프레임은 세로부재와 가로부재가 결합되면서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패브릭은 준불연 처리된 것이고, 프레임을 이루는 각목 목재는 준불연 또는 난연 처리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음스폰지는 측면이 점착이 가능한 난연재이다.
바람직하게는, 흡음 및 차음보드는 L자형 앵글을 사용하여 벽체의 바탕면에 직접 부착시켜서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및 차음보드는, 실내마감재로 사용되는 보드의 프레임을 준불연 처리한 각목 목재로 다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작하고 프레임의 표면에 준불연 처리한 패브릭을 부착하여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보드가 준불연재로 제작되므로 실내 화재 발생시 연기 흡입에 따른 피해 및 화염의 이동 등 화재피해 저감 및 확산방지에 크게 기여하고, 프레임에 형성된 다수의 공간부가 패브릭의 후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실내는 물론 실외에서 발생하는 각종 소음을 효율적으로 흡음 및 차음시켜 소음에 의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패브릭의 색상과 문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프레임도 다양한 형상으로 할 수 있어서 다양하고 색다른 디자인을 연출할 수 있으며, 보드 자체가 인테리어 자재 역할을 하므로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 앵글을 사용하여 벽체의 바탕면에 보드를 직접 고정시킬 수도 있고, 벽체에 각목 목재로 기본틀을 설치하고 기본틀에 보드를 부착 설치할 수도 있으며, 보드 표면에 부착된 패브릭이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구비하고 있어서 보드 표면에 별도로 벽지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비용과 기간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 기본틀 사이에 단열재를 충전시키고 그 위에 본 발명의 보드를 부착할 경우에는 단열성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보드에 사용되는 프레임은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작하기 위해 각목을 가로 세로로 배치하여 결합시킬 때, 접착제나 못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끼워맞춤 방식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시공후 접착제에 의한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못 등이 부식되어 프레임이 변형되거나 하자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내 환경개선 및 유지 관리면에서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보드의 앞면과 뒷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b는 보드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1c는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보드를 절단하여 단면이 보이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L자형 앵글을 사용하여 보드를 벽체에 부착시키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벽체에 설치한 기본틀에 보드를 설치하는 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및 차음보드의 기술적 특징은, 실내마감재로 사용되는 보드를 준불연 처리한 패브릭과 각목 목재를 사용하고 각목 사이에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제작함으로써 실내 화재 발생시 화재 피해를 저감시킴은 물론 화염의 확산방지에 기여하고, 소음 발생시 이를 효율적으로 흡음 및 차음시켜 소음에 의한 피해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흡음 및 차음보드(10)는 각목 목재로 제작된 프레임(11)과, 프레임(11) 후면에 부착되는 흡음스폰지(13) 및 차음재(14), 프레임(11)의 전면(前面) 전체를 덮으면서 측면과 후면(後面)의 가장자리까지 덮는 패브릭(fabric)(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전면(前面)'이란 보드(10)를 벽체(20)에 부착했을 때 벽체의 전면(前面)에서 보이는 실내방향 쪽을 말하고, '후면(後面)'이란 벽체와 접하게 되어 벽체의 전면(前面)에서 보이지 않게 되는 벽체방향 쪽을 말한다.
프레임(11)은, 단면(斷面)이 사각형이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인 각목 목재로 제작되어 전면(前面)의 양단(兩端)을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111a)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세로부재(111)와, 세로부재(111)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각목 목재로 제작되어 후면(後面)의 양단과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제2끼움홈(112a)이 형성된 가로부재(112)를 구비하여, 가로부재(112)와 세로부재(111)가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제1끼움홈(111a)과 제2끼움홈(112a)이 끼워 맞춰져서 결합되어 형성된 구성이다. 세로부재(111)의 양단에 형성된 제1끼움홈(111a)과, 가로부재(112)의 양단에 형성된 제2끼움홈(112a)은 일측면이 개방되어 있다(도 1 참조). 물론 프레임(11)의 크기에 따라 가로부재(112)에 형성된 제2끼움홈(112a)의 개수는 더 늘어날 수 있다.
세로부재(111)와 가로부재(112)가 결합될 때, 접착제나 못 등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끼워맞춤 방식으로만 결합되기 때문에 시공후 접착제에 의한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고, 못 등과 같은 금속재의 체결수단을 전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식되어 프레임(11)이 변형되거나 하자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실내 환경개선 및 유지 관리면에서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프레임(11)은 평면 형상이 정사각형으로만 제작되는 것이 아니고 그 형상과 크기는 아무런 기술적 어려움 없이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11)을 이루는 각목 목재는 준불연 또는 난연 처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재를 준불연 또는 난연 처리하는 방법은 본 발명만의 특징적인 기술이 아니고 널리 알려져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흡음스폰지(13)는 프레임(11)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프레임(11)의 세로부재(111)와 가로부재(112)가 결합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들어오는 소음을 흡수해서 소리가 울리는 현상을 없애주는 구성으로, 계란판스폰지나 유공판스폰지 뿐만 아니라 아트보드 등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흡음스폰지(13)는 측면에 점착제가 도포 또는 부착되어 있어서 프레임(11)에 점착이 가능한 난연재이다.
차음재(14)는 흡음스폰지(13)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 흡음스폰지(13)의 점착면에 부착되어 설치되며, 세로부재(111)와 가로부재(112)가 결합하여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들어오는 소음을 차단해 주는 구성으로, 차음재료는 암면(巖綿), 차음시트 등 차음이 가능한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패브릭(fabric)(12)은 직물, 편물, 부직포 등 다양한 섬유제품을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색상과 문양이 형성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패브릭(12)은 프레임(11)의 전면(前面)을 완전히 덮으면서, 프레임(11)의 측면을 감싸면서 프레임(11)의 후면에 배치된 차음재(14)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덮도록 부착된다. 패브릭(12)의 색상과 문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프레임(11)의 형태도 여러 형상으로 할 수 있어서 다양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보드(10) 자체가 인테리어 자재 역할을 하여 인테리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보드(10) 표면에 별도로 벽지를 부착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시공비용과 기간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패브릭(12)은 준불연 처리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패브릭을 준불연 처리하는 방법은 본 발명만의 특징적인 기술이 아니고 널리 알려져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하고 있는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패브릭(12)과 프레임(11)을 구성하는 각목 목재가 준불연 또는 난연처리한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연기 흡입에 따른 피해 및 화염의 이동 등 화재피해 저감 및 확산방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흡음 및 차음보드를 벽체(20)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첫번째 방법은 보드(10)를 벽체의 바탕면에 직접 부착시켜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드(10)의 상면과 하면에 L자형 앵글(15)을 위치시키고, L자형 앵글(15)의 일변은 벽체(20)의 바탕면에 고정시키고 앵글의 절곡된 타변을 보드(10)의 측면에 고정시켜서 보드(10)를 고정 설치한다. 또한, 앵글 사이에 실리콘으로 마감처리를 하면 화재 발생시 보드(10) 배면으로 화염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서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음성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두번째 방식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존에 벽체(20)에 각목 목재로 기본틀(21)이 설치되고 그 위에 석고보드 등을 부착했던 경우에는, 석고보드만 제거하고 기본틀(21)을 그대로 활용하여 본 발명의 보드(10)를 부착시켜 시공할 수 있고, 벽체(20)에 새로 기본틀(21)을 설치하여 보드를 시공할 경우에도 기본틀(21)을 이루는 사각 형상 내에 보드(10)를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기본틀(21)을 이루는 각목 목재의 표면에 보드(10)를 부착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세번째 방식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본틀(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단열재를 충전시키고 그 위에 본 발명의 보드(10)를 부착하여 시공하는 방식인데, 이 경우에는 단열성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보드(10)를 부착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드 11 : 프레임
111 : 세로부재 111a : 제1끼움홈
112 : 가로부재 112a : 제끼움홈
12 : 패브릭(fabric) 13 : 흡음스폰지
14 : 차음재 15 : L자형 앵글
20 : 벽체 21 : 기본틀

Claims (5)

  1. 단면(斷面)이 사각형이고 일정 길이를 갖는 직육면체 형상인 각목 목재로 제작되어 전면(前面)의 양단(兩端)을 포함하여 길이방향을 따라 제1끼움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세로부재와, 세로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각목 목재로 제작되어 후면(後面)의 양단과 길이방향의 중간부분에 제2끼움홈이 형성된 가로부재를 구비하여,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수직으로 배열되면서 제1끼움홈과 제2끼움홈이 끼워맞춰져서 결합되고, 세로부재와 가로부재가 결합되면서 다수의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프레임의 후면에 점착시켜 설치되며, 프레임의 가로부재와 세로부재가 결합하면서 형성된 공간부로 들어오는 소음을 흡수해서 소리가 반사되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흡음스폰지;
    상기 흡음스폰지의 후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는 차음재;
    상기 프레임의 전면(前面)을 완전히 덮으면서, 프레임의 후면에 배치된 차음재의 가장자리 부분까지 덮도록 부착되는 패브릭(fabric);
    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패브릭은 준불연 처리된 것이고, 상기 프레임을 이루는 각목 목재는 준불연 또는 난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스폰지는 측면이 점착이 가능한 난연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및 차음보드는 L자형 앵글을 사용하여 벽체의 바탕면에 직접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KR1020200009435A 2020-01-23 2020-01-23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KR102151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35A KR102151988B1 (ko) 2020-01-23 2020-01-23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435A KR102151988B1 (ko) 2020-01-23 2020-01-23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988B1 true KR102151988B1 (ko) 2020-09-04

Family

ID=72470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435A KR102151988B1 (ko) 2020-01-23 2020-01-23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9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71U (ja) * 1993-05-17 1995-06-16 弼律 許 室内の内壁構造
KR100768520B1 (ko) * 2007-01-31 2007-10-18 하종호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KR20160108651A (ko) * 2015-03-04 2016-09-20 윤병성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건물용 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071U (ja) * 1993-05-17 1995-06-16 弼律 許 室内の内壁構造
KR100768520B1 (ko) * 2007-01-31 2007-10-18 하종호 방음패널의 시공구조
KR20160108651A (ko) * 2015-03-04 2016-09-20 윤병성 친환경 재료를 이용한 건물용 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677B2 (en) Gypsum-panel acoustical monolithic ceiling
RU2572864C1 (ru) Гипсовая панель для акустического монолитного потолка
DK2971391T3 (en) Gypsum panel for monolithic acoustic ceilings
CA2576770A1 (en) Methods of providing water protection to wall structures and wall structures formed by the same
JP4049564B2 (ja) 耐火間仕切壁及びその施工方法
RU2721615C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звукоизолированное помещение
KR102151988B1 (ko) 준불연 패브릭과 목재를 사용한 흡음 및 차음보드
US8084379B2 (en) Wall panel system
US4583342A (en) Securement of glass in fire doors and the like
KR200488126Y1 (ko)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US9903153B2 (en) Acoustic mullion plug
CA2888793A1 (en) Insulated battens for installation of exterior wall insulation at corners and architectural trim
DE4319073A1 (de) Wand- und Deckenverkleidung für Schießanlagen
KR200412515Y1 (ko) 방음문 설치구조
CN211257377U (zh) 一种组合式吸音板
KR20160017572A (ko) 타공형 불연흡음패널
KR101643457B1 (ko) 고흡음 성능을 갖는 건축용 인테리어 마감재
CN210685034U (zh) 穿孔铝棉吸声板
CN213741746U (zh) 一种组合式静音房隔音环保型外墙结构
KR102281126B1 (ko)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JP3109580U (ja) パネル、該パネルを使用した室内用建材および家具
KR20110029843A (ko) 흡음재를 포함하는 친환경 텍스
KR200369524Y1 (ko) 건축내장용 조립식우드 흡음패널.
US20200270860A1 (en) Sound-absorbing roof construction of a hall having reduced reverberation time
KR20160017573A (ko) 불연 흡음패널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