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126B1 -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 Google Patents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126B1
KR102281126B1 KR1020190018288A KR20190018288A KR102281126B1 KR 102281126 B1 KR102281126 B1 KR 102281126B1 KR 1020190018288 A KR1020190018288 A KR 1020190018288A KR 20190018288 A KR20190018288 A KR 20190018288A KR 102281126 B1 KR102281126 B1 KR 102281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ound
absorbing
louver
fl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0263A (ko
Inventor
유병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90018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12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1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E04B2001/847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with non-planar interior transition surfaces between layers, e.g. faceted, corrug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학교 등의 공공건축물, 공동주택의 실내에 설치되어, 소음을 차단하고, 결로를 방지하는 루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곡된 단면을 가지도록 한 중공플레이트의 정면 및 후면에 시트가 접착된 흡음루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흡음루바를 목재 또는 합성수지판넬로 된 베이스플레이트 상에 배치하되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흡음루바의 측면의 통공이 개방되도록 하여, 소리의 흡음을 도모하고,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흡음루바 사이에 난연성의 베이스시트를 개재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THE LOUVAR FOR INTERIOR DECORATION AND CONSTRUCTION PANNEL USING THEREOF}
본원 발명은 건물의 실내 내벽에 설치되는 내장재용 루바에 관한 것으로서, 흡음, 결로방지, 더 나아가 난연성을 보강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곡된 중공플레이트의 정면 및 후면에 시트가 접착된 흡음루바이다.
본원 발명은 더 나아가 상기 루바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형성한 건축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목재 등의 후판을 베이스플레이트로 하는 패널에 흡음에 동일한 크기의 베이스시트가 접착되되, 상기 베이스시트의 정면에 상기 흡음모듈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상기 중공플레이트의 절곡부 사이로 통공이 형성되는 루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주택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건물, 그리고 나아가 공연장 등에서는 다양화된 요구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에 건축물의 실내디자인도 고급화, 다양화 그리고 차별화의 디자인으로 발전해 가면서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실내마감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실내마감재는 실내의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재의 역할이 필수적이고, 화재발생의 경우를 염두하여 불연 또는 난연소재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의무사항이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건축내장재의 흡음성능 개선을 위하여 일반적인 흡음패널의 경우 표면에 다수개의 타공을 구비하여 소리를 감소시키거나 일정한 패턴으로 돌출되어 돌출부위 사이로 소리가 반사되는 형상이 필요하다. 계란판과 같이 돌기부와 홈부가 구비된 형태로 만들어지는 것이 일반이다.
그러나, 이러한 흡음판의 경우 외관이 흉칙스럽거나 적어도 미려하지 못하여 건축내장재로 활용하기 적합하지 아니하며, 흡음성능을 좋게 하다보면, 오히려 표면에 형성된 흡음 통공을 통해서 화재시에 불길이 취약하게 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러한 문제점들을 일소에 해결할 수 있는 건축용 내장재가 개발되지 못한 상태였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74380호 (2015. 11. 27. 등록)에는 다수의 흡음공이 형성된 마이크로 공명층을 포함하는 흡음시트와 상기 흡음시트와 흡음시트 외면을 커버하는 흡음형 방음패널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에서도 흡음시트는 결로현상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화재의 취약한 구조이고, 통공이 외부에서 보이는 구조로 되어있어 미관상의 한계점이 있다는 문제점이 남아 있다.
본원 발명의 발명자는 최고의 건축용 내장재를 개발한다는 사명감가운데, 흡음성능, 결로방지성능, 난연성능, 미려한 외관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복합기능의 건축내장재를 개발하게 되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1574380호 (2015. 11. 27. 등록)
본원 발명은 실내의 벽 등에 설치하는 루바에 있어서, 흡음성능, 결로방지성능, 난연성능이 뛰어난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실내 벽체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건축내장재용 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흡음성능, 결로방지성능, 난연성능이 뛰어난 건축내장재용 판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는,
건축물의 실내 벽체에 설치되는 루바에 있어서,
소정 측면 두께와 공간을 연속적으로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플레이트(12);
상기 중공플레이트(12)의 일면과 타면 및 후면에 상기 중공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의 시트인 전면시트(11) 및 후면시트(13)를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시트(11), 후면시트(13)는 난연성 질석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건축내장재용 판넬은,
건축물의 실내 벽체에 설치되는 판넬에 있어서,
소정 측면 두께와 공간을 연속적으로 가지도록 형성된 중공플레이트(12)와
상기 중공플레이트(12)의 일면과 타면 및 후면에 상기 중공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로 부착된 전면시트(11) 및 후면시트(13)로 이루어진 루바;
상기 루바가 베이스플레이트에 부착되되, 루바의 측면이 인접한 루바의 측면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면시트(11), 후면시트(13), 및 베이스시트는 난연성 질석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은 실내에 장착되어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사이에 접착된 중공플레이트의 측면통공으로 소리가 흡수되어 소리를 흡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뛰어난 흡음성능을 가지며, 또한 결로방지성능을 가진다. 즉, 본 발명의 루바는 흡음통공이 소리가 전달되는 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 즉 보드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하고, 화재발생시에 화염의 접촉방향에 수직하게 되므로, 화염의 전파를 지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흡음통공이 판넬 전면이 아닌 측면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화염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개선하고, 난연시트를 구비함으로써 난연성을 개선하였고, 표면에 흡음을 위한 통공이나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아서 외관이 미려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원 발명의 건축내장재용 판넬은 난연성 질석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루바를 일정간격 이격시킨 상태로 배치함으로써 소리가 측면 통공을 통해서 흡음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판넬 중앙부에 공기층이 형성됨으로 인해서 결로방지효과를 동시에 가지게 된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흡음플레이트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원 발명의 흡음플레이트로 흡음루바를 제조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원 발명의 절단된 복수개의 흡음루바가 베이스플레이트에 부착된 도면
도 5는 본원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원 발명의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사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원 발명은 소음 저감을 위해 실내에 장착되는 건축자재인 루바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에 따른 루바의 바람직한 구현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속된 톱니모양, 물결모양, 격자모양 등으로 절곡되거나 프레임이 구비된 형태의 중공플레이트(12)의 정면 및 후면에 상기 중공플레이트와 동일한 크기의 시트인 전면시트(11) 및 후면시트(13)를 접착한 흡음플레이트(10)을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전면시트(11)의 전면에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코팅시트를 접착한다. 그러나, 전면시트(11) 자체가 미적인 효과를 가지는 것이라면 굳이 코팅시트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에서와 같은 접착된 흡음플레이트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절단하여 루바모양으로 만든다. 본원 발명의 루바는 실내내장재로서 많이 사용되는 모양으로서 바닥재 또는 벽체 내장재 및 천장 내장재로도 활용이 가능한 흡음루바이다.
목재 또는 금속재질의 베이스플레이트(30)에 동일한 크기의 시트인 베이스시트(20)를 접착하되, 베이스시트(20)의 정면에 상기 흡음모듈(10)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면시트(11)와 후면시트(13)의 사이에 구비되는 중공플레이트(12)의 절곡부에 통공(121)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으로 음파가 통과할 때 음파를 빨아들임으로써, 소리 에너지가 감소되는 흡음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흡음모듈(10)의 제작 분해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중공플레이트(12)는, 물결모양 또는 갈지(之)자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정면 및 후면이 시트로 인하여 막힐 때 통공(121)이 형성되며, 자체적으로 통공을 형성한 일정두께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 형성된 통공(121)으로 음파가 통과할 때 음파를 빨아들임으로써 소리에너지가 감소되는 흡음효과를 얻으며, 통공자체에 공기층을 가짐으로써 온도차이로 발생하는 결로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중공플레이트(12)의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며, 난연성을 위하여 알루미늄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플레이트(12)의 정면 및 후면에 접착되는 전면시트(11)와 후면시트(12)의 경우 합성수지를 재질로 할 수 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난연시트인 질석시트인 것이다.
여기게 사용되는 바람직한 질석시트는 다음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면 섬유재를 비터(beater)가 설치된 수조탱크 내에서 비팅(beating)연마하여곤죽상태의 면섬유재를 획득하는 공정(S10);
상기 곤죽상태의 면 섬유재를 다공성 광물 그래뉼로서 팽창질석, 펄라이트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입하고 면 섬유재와 일체가 되도록 혼합하여 곤죽상태의 혼합조성물로 형성하는 다공성 광물 그래뉼 투입 및 혼합 공정(S20);
상기 혼합조성물을 망(mesh)위에 토출하고 물을 탈수하는 광물시트재 획득공정(S30);
상기 획득된 광물시트재를 열경화성수지 및 난연액이 혼합된 함침액에 함침한 후 건조하는 공정(S40);
상기 광물시트재를 프레스에 투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압축함으로써 광물 시트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는 평면 성형공정(S50);에 의해서 제조되며, 상기 평면 성형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난연시트는 추가공정을 통해서 표면을 미려하게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전면시트(11)의 정면에 접착되는 코팅시트(40)는 표면이 매끄럽고 다채로운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실내에 설치되는 건축자재인 루바의 미관을 미려하게 한다.
도 2는 상기 접착되어 구성된 흡음모듈(10)의 절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중공플레이트(12)의 전면 및 후면에 전면시트(11) 및 후면시트(13)가 접착되고, 전면시트(11)의 정면에 코팅시트(40)가 접착되어 구성되는 흡음루바(10)은, 최종적인 흡음루바의 길이비를 고려하여 절단한다. 도 7과 같이 길이가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길이가 짧은 루바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길이가 길게 형성할수록 외관이 더 미려하다.
도 4는 상기 흡음루바(10)를 베이스플레이트에 부착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장방형의 베이스플레이트(30)에 상기 전면시트(11) 또는 후면시트(13)와 동일한 재질의 시트로 베이스플레이트(30)의 전체를 덮는 베이스시트(20)를 접착한다. 전면시트와 후면시트, 베이스시트는 질석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와 같이, 상기 절단된 흡음푸바(10)을 다수개 부착하되,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측면의 통공(121)이 개방되도록 형성함으로써, 흡음성을 갖도록 하고 통공이 앞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앞에서 바라볼 때 통공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흡음루바의 이격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어떤 방향에서도 통공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록 앞면에서 통공이 보이지 않아서 외관이 미려하고, 측면에 형성된 통공으로 인해서 화재시에 화염이 진입하기 곤란하여 난연성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흡음효과는 저감되지 않는 것이다.
도 6은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상기 중공플레이트(12)는 플레이트를 웨이브를 형성하도록 절곡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사각으로 절곡하여 통공(121)을 생성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만큼 중공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레임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 발명의 흡음루바를 베이스플레이트에 이격하여 부착함으로써 건축내장재용 판넬을 만든 것이다.
표면에는 코팅시트를 부착하여 미려함을 더욱 증가시켰으며, 흡음루바의 길이는 사용목적에 따라서 길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흡음루바
11 : 전면시트
12 : 중공플레이트
121 : 통공
13 : 후면시트
20 : 베이스시트
30 : 베이스플레이트
40 : 코팅시트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소정 측면 두께와 공간을 연속적으로 가지도록 절곡형성됨으로써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플레이트(12);
    상기 중공플레이트(12)의 정면과 후면에 각각 접착되는 전면시트(11) 및 후면시트(13)가 구비되어, 양 측면에 상기 중공플레이트의 개방된 공간과 개방되며,
    상기 전면시트(11), 후면시트(13)는 난연성 질석시트로 제조되는 흡음 루바(10);
    상기 흡음루바(10)가 부착되는 베이스시트(20);
    상기 베이스시트(20)의 후면에 부착되는 베이스플레이트(30);를 포함하되, 상기 흡음루바(10)는 개방측면이 인접한 흡음루바(10)의 개방측면과 일정간격으로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건축내장재용 흡음판넬에 있어서,

    상기 전면시트(11), 후면시트(13) 및 베이스시트(20)는 난연성 질석시트로 제조되되,

    상기 난연성 질석시트는,
    면 섬유재를 비터(beater)가 설치된 수조탱크 내에서 비팅(beating)연마하여 곤죽상태의 면섬유재를 획득하는 공정(S10);
    상기 곤죽상태의 면 섬유재를 다공성 광물 그래뉼로서 팽창질석, 펄라이트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투입하고 면 섬유재와 일체가 되도록 혼합하여 곤죽상태의 혼합조성물로 형성하는 다공성 광물 그래뉼 투입 및 혼합 공정(S20);
    상기 혼합조성물을 망(mesh)위에 토출하고 물을 탈수하는 광물시트재 획득공정(S30);
    상기 획득된 광물시트재를 열경화성수지 및 난연액이 혼합된 함침액에 함침한 후 건조하는 공정(S40);
    상기 광물시트재를 프레스에 투입하고 열과 압력을 가하여 압축함으로써 광물 시트재의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는 평면 성형공정(S50);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4. 삭제
KR1020190018288A 2019-02-16 2019-02-16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KR102281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88A KR102281126B1 (ko) 2019-02-16 2019-02-16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288A KR102281126B1 (ko) 2019-02-16 2019-02-16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63A KR20200100263A (ko) 2020-08-26
KR102281126B1 true KR102281126B1 (ko) 2021-07-27

Family

ID=72242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288A KR102281126B1 (ko) 2019-02-16 2019-02-16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1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064A (ja) * 2007-10-11 2009-04-30 Yamaha Corp 吸音構造および音響室
KR200466813Y1 (ko) * 2011-04-19 2013-05-08 대신메라민산업(주) 방화 방음 판넬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4380B1 (ko) 2012-07-05 2015-12-03 (주)엘지하우시스 인테리어성 흡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흡음형 방음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064A (ja) * 2007-10-11 2009-04-30 Yamaha Corp 吸音構造および音響室
KR200466813Y1 (ko) * 2011-04-19 2013-05-08 대신메라민산업(주) 방화 방음 판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63A (ko)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13221A (en) Accoustic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4641726A (en)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US20190127972A1 (en) Acoustic tile frame and method of production
JP2019516890A (ja) 吸音装置および防音部屋
KR101523577B1 (ko) 직물 마감된 목재 흡음판
KR200397710Y1 (ko) 실내 벽면마감용 판넬구조
KR102281126B1 (ko) 건축내장재용 흡음루바를 이용한 건축내장재용 판넬
JP2011017236A (ja) 遮音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て形成さした遮音室
KR200431159Y1 (ko) 건축내장용 방음패널
KR20210065400A (ko) 흡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사무용 파티션
KR200420763Y1 (ko) 조립식 건축용 패널
KR200332657Y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JPS6153494B2 (ko)
KR100555129B1 (ko)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KR100672831B1 (ko) 건축내장용 조립식 우드 흡음 패널
JP2015010450A (ja) 防音断熱パネル構造、防音断熱パネル及び防音断熱構造体
KR102556344B1 (ko) 준불연 성능이 강화된 사이딩패널 제조방법
CN216690054U (zh) 一种防火隔音外墙板
JP2000179125A (ja) 目地構造
KR20100093715A (ko) 방음 및 단열성을 갖는 내장재
JP3306818B2 (ja) 多重空気層断熱壁体
JP7042727B2 (ja) 屋根構造
AU2018363745B2 (en) Sound-absorbing roof construction of a hall having reduced reverberation time
KR20230045693A (ko) 실내외 장식용 하이브리드 단열판넬
KR101054334B1 (ko) 기능성강화 하니콤 알루미늄 판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