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538B1 -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 Google Patents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538B1
KR102151538B1 KR1020200065675A KR20200065675A KR102151538B1 KR 102151538 B1 KR102151538 B1 KR 102151538B1 KR 1020200065675 A KR1020200065675 A KR 1020200065675A KR 20200065675 A KR20200065675 A KR 20200065675A KR 102151538 B1 KR102151538 B1 KR 102151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door
windshield
window frame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동석
Original Assignee
함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동석 filed Critical 함동석
Priority to KR102020006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4Measures for draining-off condensed water or water leaking-in frame members for draining off condensation water, throats at the bottom of a sas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6Rain or draught deflectors, e.g. under sliding wings also protection against light f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에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게이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항상 폐쇄하되 상기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리는 바람막이도어;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람막이도어를 상기 게이트에서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수직프레임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힌지축이 측면에서 압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개구된 힌지축삽입구가 형성되고, 선단은 원주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날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날플랜지 내측의 내경은 선단 보다는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축공; 및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Window frame drainage hole windshield}
본 발명은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이 수압이나 부력 및 도어의 내외측에 전후진 접촉각을 형성시켜 물의 배수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실외의 바람이 배수구멍을 통해 실내로 역류하거나 해충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되는 창틀에는 창문을 닫는다고 하더라고 창틀을 구성하는 하부프레임 상의 레일홈에 빗물 등이 고이게 된다. 이처럼 창틀에 빗물이 고이게 되면 빗물을 배수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레일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창틀에 빗물이 고이게 되는 경우 얼룩이 져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이나 곤충들의 서식지가 되는 등 위생상으로도 좋지 않다. 이에 따라 창틀의 실외측 하부프레임에 배수구멍을 천공하여 창틀에 고이는 물이 배수구멍을 퉁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창틀에 유입된 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배수구멍은 항상 개방되어 있어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이 역류하는 문제가 있다. 이처럼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이 역류되면 창틀의 단열 효과가 급격히 저하되고, 바람과 함께 해충이나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도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창틀이 가지는 배수구멍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창틀의 레일홈이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기밀성을 향상시킨 특허등록 제10-1055326호 "레일 은폐형 창호장치" 등의 기술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창틀에 형성된 배수구멍을 통해 바람과 이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
또한, 배수구멍을 통한 빗물과 이물질 등의 실내 유입 차단을 위해 특허등록 제10-1238812호 "기밀성이 우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장치"와 같은 기술이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최외측에 위치한 창틀프레임의 배수구멍에 공기유입차단판을 삽입 장착하여 창틀에 고인 빗물이나 청소시 사용한 물을 실내측에서 실외측으로 배출시킬 때는 공기유입차단판을 개방하고, 그 외에는 폐쇄시켜서 실내측으로 빗물이나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은 공기유입차단판이 배수구멍을 개방하고 폐쇄하는 작동이 스스로 될 수 없어서 사람이 일일이 개폐시켜 주어야 하기 때문에 사람이 개폐시켜 주지 않으면 아물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053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519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094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3168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37358호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549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이나 부력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기의 유입도 방지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외기의 유입시 발생하는 소음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실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하단 내외면을 전진 접촉각과 후진 접촉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친수표면과 발수표면을 만들고, 친수표면과 발수표면 사이를 잇는 가로 유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창틀에 잔류한 미량의 물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도어가 회전되어 열릴 때, 힌지축이 축공에서 회전하게 되고, 오랜 시간 사용하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축공에 유입되어 축적됨으로써 끈끈해 지거나 굳어짐으로써 힌지축이 회전되지 않는 고착 상태에 빠질 수 있지만, 힌지축이 축공의 내면에 접촉되는 단면을 최소화 시키고, 축공에 유입된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힌지축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는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축이 둘 중 하나라도 고착되면 도어가 회전되지 않아 창틀에 고인 물을 배수할 수 없는데, 도어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힌지축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힌지축 둘 중 하나가 고착 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도어의 한쪽은 열리도록 하는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에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게이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항상 폐쇄하되 상기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리는 바람막이도어;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수직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바람막이도어를 상기 게이트에서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수직프레임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힌지축이 측면에서 압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개구된 힌지축삽입구가 형성되고, 선단은 원주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날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날플랜지 내측의 내경은 선단 보다는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축공; 및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바람막이도어의 하단은 배수구멍과 접촉되는 내측은 친수표면을 이루도록 전진접촉각이 형성되고, 외측은 발수표면을 이루도록 후진접촉각이 형성하며, 상기 전진접촉각과 후진접촉각 사이를 연결하도록 바람막이도어의 하단의 내외면이 연통되도록 다수의 유로를 형성시켜 창틀에 바람막이도어의 자중 보다 작은 수압이나 부력을 갖는 미량의 물이 고여 바람막이도어를 열지 못하더라도 창틀에 고인 물을 유로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바람막이도어의 양쪽 측면에는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걸림편에 대응되는 회전제한편이 형성되어 상기 바람막이도어와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축공의 바닥에는 유입된 물이 바닥에 고이지 않고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틀의 하부프레임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에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 좌도어와 우도어로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게이트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을 항상 폐쇄하되 상기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리되, 상기 좌도어의 상단에는 힌지축이 형성되고, 좌도어의 우측 상단은 우도어에 결합되는 도어힌지축이 형성되며, 상기 우도어의 좌측 상단에는 상기 도어힌지축이 삽입되는 도어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우도어의 우측 상단에는 힌지축이 형성되는 바람막이도어;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수직프레임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바람막이도어의 힌지축이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측면에서 압입될 수 있도록 측면이 개구된 힌지축삽입구가 형성되고, 선단은 원주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날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날플랜지 내측의 내경은 선단 보다는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축공; 및 상기 게이트구조틀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창틀의 배수구멍 각각의 실외측 면에 부착되어 자중을 통해 배수구멍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물이 고이는 경우에는 물의 수압이나 부력에 의해 도어가 오픈되어 물의 배수가 바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외기의 유입도 방지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외기의 유입시 발생하는 소음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 배수구멍을 통해 유입되어 실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이 기술에 따르면, 도어의 하단 내외면을 전진 접촉각과 후진 접촉각이 발생할 수 있도록 친수표면과 발수표면을 만들고, 친수표면과 발수표면 사이를 잇는 가로 유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창틀에 잔류한 미량의 물도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도어가 회전되어 열릴 때, 힌지축이 축공에서 회전하게 되고, 오랜 시간 사용하면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축공에 유입되어 축적됨으로써 끈끈해 지거나 굳어짐으로써 힌지축이 회전되지 않는 고착 상태에 빠질 수 있지만, 힌지축이 축공의 내면에 접촉되는 단면을 최소화 시키고, 축공에 유입된 이물질이 축적되지 않고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힌지축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르면, 도어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축이 둘 중 하나라도 고착되면 도어가 회전되지 않아 창틀에 고인 물을 배수할 수 없는데, 도어를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힌지축에 의해 독립적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힌지축 둘 중 하나가 고착 되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힌지축에 의해 도어의 한쪽은 작동되면서 열리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게이트구조틀에서 바람막이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게이트구조틀에 바람막이도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게이트구조틀에 바람막이도어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 상세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배수 및 방풍시 바람막이도어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게이트구조틀에서 바람막이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바람막이도어의 하단에 직선형 유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바람막이도어의 하단에 일단 절곡형 유로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에 다수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멍(20) 실외측에 부착되어 자중 및 부력을 통해 항상 배수구멍(20)을 폐쇄하되 창틀의 하부 프레임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물의 수압과 부력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활한 배수는 물론, 배수구멍(20)을 통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키며, 외기의 유입시 발생하는 소음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 배수구멍(20)을 통해 유입되어 실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멍(20) 실외측으로 부착됨으로써 자중을 통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여 배수구멍(20)을 통한 해충의 유입을 방지함은 물론,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나 강풍을 동반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여 빗물이 실내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 구조틀(110), 수평프레임112)과 상단에 축공(120)이 형성된 두 개의 지지프레임(114)으로 구성된 게이트 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도어(130), 바람막이도어(120)를 게이트(116) 상에서 축공(12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바람막이도어(13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40) 및 게이트 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 접착제(14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게이트 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된 양면 접착제(150)를 통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 진다. 이때,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의 게이트(116)와 바람막이도어(130)는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바람막이도어(130)는 배수구멍(20) 전체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접착제(150)를 통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된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창틀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경우 물의 수압에 의해 실외측 방향으로 바람막이도어(130) 하단부가 열려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수압이 원인이 사라지면 바람막이도어(130)의 자중에 의해 하단이 실내측으로 회전되어 배수구멍(20)을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양면접착제(150)를 통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된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바람막이도어(130)의 자중에 의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강풍을 동반한 빗물이나 해충 또는 먼지와 같이 이물질 등이 외부로부터 배수구멍(20)으로 유입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다시 말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게이트구조틀(110)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116) 상에 힌지축(140)을 통해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를 하부 프레임(10) 상에 형성된 각각의 배수구멍(20) 실외측 방향에 부착 설치하게 되면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부 자중에 의해 바람막이도어(130)의 걸림편(132)이 회전제한편(134)에 접촉되어 걸리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배수구멍(20)을 폐쇄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게이트 구조틀(110)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116) 상에 힌지축(140)을 통해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이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형성되는 다수의 레일(12)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경우 수압과 부력의 발생으로 인하여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이 수압에 의해 실외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배수구멍(20)이 열려 물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게이트 구조틀(110)은 도어 틀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게이트 구조틀(11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로 구성되어 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게이트구조틀(110)의 보다 상세한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하게 형성된 일정 길이의 수평프레임(112), 수평프레임(112)의 양측 하단 각각에 상하 동일한 길이로 직립 형성된 수직프레임(114) 및 수평프레임(112)과 수직프레임(114)이 이루는 하부가 개구된 게이트(116)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게이트구조틀(110)의 게이트(116)는 대체적으로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게이트(116)의 크기는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게이트(116) 상에 설치되는 바람막이도어(130) 또한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배구수멍(20)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수구멍(20)을 완전하게 커버할 수 있도록 게이트(116)와 바람막이도어(130)의 크기가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수평프레임(112)과 수직프레임(114)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게이트구조틀(110)은 당연하게도 배수구멍(20)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바람막이도어(130)는 개폐를 통해 배수구멍(20)을 통해 실외측으로 물의 원활한 배수와 배수구멍(20)의 폐쇄를 통해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바람막이도어(130)는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바람막이도어(130)는 동일 두께의 판 상으로 이루어진다.
게이트구조틀(110)의 양쪽 수직프레임(114)에는 바람막이도어(130)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제한편(134)이 형성된다. 회전제한편(134)은 수직프레임(114)의 내측에 수직프레임 절반 두께로 수직프레임(114) 내측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바람막이도어(130)의 양측에는 회전제한편(134)에 대응되도록 바람막이도어(130) 절반 두께로 바람막이도어(130) 내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바락막이도어(130)의 걸림편(132)과 수직프레임(114)의 회전제한편(134)이 맞대어지면 바람막이도어(130)의 외면은 수직프레임(114) 외면과 동일 평면이 된다.
회전제한편(134)과 걸림편(132)이 없으면, 바람막이도어(130)의 양측단과 수직프레임(134) 사이에 미세한 틈이 생기고, 그 틈으로 바람이 유입되어 창틀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거나 소음이 발생한다. 하지만 회전방지편(134)과 걸림편(132)이 중첩되어 있으면, 그 틈이 생기지 않으므로 바람이 불어도 바람막이도어(130)와 수직프레임(114)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지도 않고 소음도 발생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바람막이도어(130)의 상단부 양측은 후술하는 힌지축(140)을 통해 게이트구조틀(110)의 게이트(116) 상단부 양측에 지지되기 때문에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부에는 자중을 통해 원위치로 회전하려는 성질이 있게 된다. 따라서, 바람막이도어(130)를 밀어 배수구멍(20)이 열리도록 하는 힘이 없는 상황에서 바람막이도어(130)는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걸림편(132)이 회전제한편(134)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걸리면서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게 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막이도어(130)는 자중에 의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는 상태에서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되는 레일(12) 사이의 공간에 물이 고여 수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압과 부력에 의해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부가 실외측 방향으로 밀려 배수구멍(20)이 열림으로써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수압에 의해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부가 실외측 방향으로 밀려 배수구멍(20)이 열림으로써 물의 배수가 이루어져 바람막이도어(130)를 미는 수압이 사라지면 바람막이도어(130)는 자중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하여 도어의 걸림편(132)이 회전제한편(134)에 걸림으로써 배수구멍(20)을 다시 폐쇄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힌지축(140)은 바람막이 도어(130)의 회전 중심을 이루는 것으로, 이러한 힌지축(140)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막이도어(130)를 게이트(11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도어(13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힌지축(130)은 게이트(116) 상단부 양측으로 가로지르는 구조로 설치되어 게이트(116) 내에 바람막이도어(130)의 상단부 양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힌지축(140)을 중심으로 바람막이도어(130)는 하단부측에 자중이 발생하여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 된다.
힌지축(140)은 단면이 원형으로서 바람막이도어(130)의 양측단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양쪽 수직프레임(114)의 상부에 힌지축(140)이 삽입될 수 있는 축공(120)이 형성된다. 축공(120)의 측면에는 힌지축이 압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삽입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삽입구(122)는 압입된 힌지축(140)이 사용도중 빠지지 않아야 하므로 힌지축(140)의 직경 보다는 개구된 폭이 좁지만 힌지축(140)을 힌지축삽입구(122)에 대고 강하게 누르면 재료의 탄성에 의해 힌지축삽입구(122)가 벌어지면서 억지로 압입 된다.
바람막이도어(130)의 힌지축(140)이 축공(120)에 삽입되면 바람막이도어(130)가 힌지축(140)을 축으로 회전된다. 축공(120)은 힌지축(140) 직경 보다는 최소한 약간이라도 내경이 커야 하므로 힌지축(140)이 축공(120)에 결합되면 힌지축(140)과 축공(120) 사이에 틈이 생기고 그 틈으로 미세 먼지와 물이 유입된다. 특히 힌지축(140)과 축공(120) 사이의 간격이 아주 작아 모세관 현상이 발생하여 축공(120)의 안쪽까지 물의 유입을 촉진하게 된다. 축공(120)에 유입되는 물은 비가 오지 않아도 온도 차이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이 이슬처럼 응결되어 힌지축(140)과 축공(120) 주위에 항상 존재한다.
바람막이도어(130)는 창틀에 물이 고였을 때에만 열리므로 창틀에 물이 고이지 않으면 수일 내지 수십일 까지도 배수구멍(20)을 폐쇄한 상태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 바람막이도어가 장기간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있으면 축공(120)에 유입된 미세먼지와 물이 섞이면서 끈적끈적한 혼합물이 되고, 혼합물은 건조한 상태에서 말라붙어 힌지축(140)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착시킨다. 다시 말해 혼합물이 말라 붙으면서 접척제 기능을 하여 힌지축(140)이 축공(120)의 내면에 달라 붙는다. 힌지축(140)은 길이가 있으므로 그 길이 만큼 축공(120)의 내면과 접촉되어 있어 힌지축(140)과 축공(120) 내면과의 접착력은 그만큼 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축(140)이 축공(120) 내면과 혼합물에 의해 의도하지 않게 접착된 상태에서 창틀에 물이 고이면 수압이나 부력이 작용하여도 그 접착력이 수압이나 부력 보다 더 커서 바람막이도어(130)가 회전되지 않아 배수구멍(20)을 개방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축공(120)으로 유입된 물이 축공(120) 안에 고이지 않고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축공(120)의 바닥면에 외부와 연통되는 배수홈(124)을 형성한다.
또한, 축공(120)의 선단은 단면이 직삼각뿔 형태로 돌출된 날플랜지(122) 형성하여 힌지축(140)과 축공(120) 선단과의 접촉을 선접촉 하게 한다. 축공(120)의 선단에 힌지축(140)이 접촉할 때 뽀족하여 거의 면이 없는 부분에 접촉하므로 점성 있는 혼합물이 선단에 묻어 있더라도 그 접착력이 약하여 수압이나 부력이 바람막이도어(130)를 통해 힌지축(140)에 작용하는 힘 보다는 작으므로 바람막이도어(130)의 고착이 방지된다.
여기서 바람막이도어(130)에 작용하는 부력의 의미는 바람막이도어(130)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중이 물보다 작으므로 바람막이도어(130)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바람막이도어(130) 저면에 물이 고여 있으면 부력에 의해 바람막이도어(130)가 들뜨면서 바람막이도어(130)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축공(120) 선단은 힌지축(140)이 회전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유격만 있도록 하지만, 선단에서 축공(120) 안쪽 끝부분까지의 내경은 선단 보다는 좀 더 큰 내경을 갖도록 하여 축공(120)의 내경 면과 힌지축 (140)사이의 간격을 크게 함으로써 축공(120) 내면에 먼지와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진 점성 있는 혼합물이 고이더라도 힌지축(140)이 점성 있는 혼합물과 접촉되지 않게 한다.
즉, 축공(120) 안쪽 부분의 내경을 선단 보다 크게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공 내경면과 힌지축(140) 사이의 간격(D)이 커져 축공(120) 안으로 물이 흡입되는 모세관 현상도 방지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을 구성하는 양면 접착제(150)는 게이트 구조틀(110)을 배수구멍(20)의 실외측 전면에 부착시켜 바람막이 도어(130)를 통해 배수구멍(20)의 폐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양면 접착제(150)는 도 1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된 양면접착제(140)는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를 배수구멍(20)의 실외측 전면에 설치시 양면접착제(150)의 보호를 위한 이형지를 제거한 상태에서 배수구멍(20)의 실외측 전면에 부착하여 게이트 구조틀(110)이 창틀을 구성하는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110), 축공(120), 바람막이 도어(130), 힌지축(140) 및 양면 접착제(1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는 바람막이도어(130)의 자중을 통해 상시 배수구멍(20)을 폐쇄하되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고이는 물의 수압에 의해 열릴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도 9 은 본 발명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장치(100) 역시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2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110), 게이트 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도어(130), 바람막이도어(130)를 게이트(21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도어(13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40) 및 게이트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1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에서 바람막이도어(130)의 구성은 하단면을 전진 접촉각과 후진접촉각을 형성시키고 전진접촉각과 후진접촉각 사이를 연통시키는 유로(136)를 형성하여 창틀에 미량으로 고인물도 신속히 배수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체 표면 위 액체 방울이 표면과 이루는 각을 접촉각이라 한다. 접촉각은 기체, 액체, 고체 간의 표면 에너지가 열역학적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형성되며, 고체 표면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균일할 경우, 같은 종류의 액체는 그 고체 표면 어디에서나 동일한 접촉각을 가진다.
접촉각이 작을수록 표면은 액체에 의해 젖고, 접촉각이 클수록 표면에 잘 젖지 않고 흘러내리는 경향을 가진다.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에 이와 같은 접촉각 이론을 적용하여 창틀의 외면에 밀착되는 바람막이도어(130)의 내측 하단은 물방울이 앞으로 진행하려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최대의 전진접촉각을 형성시키고, 바람막이도어(130)의 외측은 최대의 후진접촉각을 형성시켜 물방울을 흡인하려는 성질을 갖도록 한 후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유로(136)를 형성시킨다. 따라서 전진접촉각이 형성된 바람막이도어(130)의 내측 하단면에 물이 유입되면 물을 전진시키려는 성질이 작용하여 물을 유로(136)를 통해 외측으로 강제로 보내고, 유로(136)에 유입된 물을 빨아 들이려는 후진접촉각이 형성된 바람막이도어(130)의 외측 하단면에 의해 흡인되어 바람막이도어(130)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유로(136)를 절곡시켜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외부에서 유로(136)를 통해 바람이 유입되는 바람의 속도를 줄여 바람 통과음인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창틀에 물이 미량으로 고이면 바람막이도어(130)를 밀어낼 수 있는 수압이 약하고 바람막이도어(130)를 들어 올릴 수 있는 부력도 약하여 바람막이도어(130)가 회전되지 않아서 물이 배수되지 않지만,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에 전진접촉각과 후진접촉각이 형성되어 있으면 미량의 물도 접촉각 이론에 의한 물리적 성질을 이용하여 유로(136)를 통해 바람막이도어(130)의 외부로 배수 시킬 수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 역시 도 1 내지 도 5 의 실시 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창틀의 하부 프레임(10) 상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110), 게이트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배수구멍(20)을 상시 폐쇄하되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열리는 바람막이도어(130), 바람막이도어(130)를 게이트(116)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막이도어(130) 하단이 전후로 일정 범위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40) 및 게이트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1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100)에서 바람막이도어(130)를 두 부분인 좌도어(130a) 와 우도어(130b)로 분리하였다. 바람막이도어(130)가 좌도어(130a)와 우도어(130b)로 분리된 후 좌도어(130a)의 우측 상단에 힌지축(140)을 형성하고 우도어(130b)의 좌측 상단에 힌지축(140)에 대응되는 축공(120)을 형성하여 좌도어(130a)의 힌지축(140)이 우도어(130b)의 축공(120)에 삽입된다. 따라서 좌도어(130a)는 수직프레임(114)의 축공(120)에 삽입된 힌지축(140)과 우도어(130b)의 축공(120)에 삽입된 힌지축(140)에 의해 게이트(116) 내에서 회전되면서 개폐되고, 우도어(130b)는 수직프레임(114)의 축공(120)에 삽입된 힌지축(140)과 우도어(130b)의 축공(120)에 삽입된 좌도어(130a)의 힌지축(140)에 의해 게이트(116) 내에서 회전된다.
이와 같이 좌도어(130a)와 우도어(130b)는 각각 작동한다. 좌도어(130a)와 우도어(130b)가 별도로 작동하면 양쪽 수직프레임(114)의 축공(120)에 삽입된 힌지축(140) 중 하나가 고착되더라도 좌도어(130a)나 우도어(130b) 중 하나는 작동한다. 즉 좌도어(130a)의 힌지축(140)이 고착되면 우도어(130b)는 작동하고, 우도어(130b)의 힌지축(140)이 고착되면 좌도어(130a)는 작동한다. 좌도어(130a)나 우도어(130b) 한쪽이 고착되어 둘 중 하나만 작동하면 배수구멍(20)의 절반만 개폐시킬 수밖에 없지만, 그래도 창틀에 고인 물은 모두 배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바람막이도어(130)를 분리하고 분리된 좌도어(130a)와 우도어(130b)를 각각 별도로 작동하게 하면 힌지축(140) 고착에 의한 바람막이도어(130)의 회전 작동이 안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다.
100 : 바람막이장치 110 : 게이트구조틀
112 : 수평프레임 114 : 수직프레임
116 : 게이트 120 : 축공
122 : 날플랜지 122 : 힌지축삽입구
126 : 배수홈 130 : 바람막이도어
132 : 걸림편 134 : 회전제한편
136 : 유로 140 : 힌지축
150 : 양면접착제

Claims (5)

  1. 창틀의 하부프레임(10)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에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14)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110);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20)을 항상 폐쇄하되 상기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리는 바람막이도어(130);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수직프레임(114)에 결합되어 상기 바람막이도어(130)를 상기 게이트(116)에서 전후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하는 힌지축(140);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수직프레임(114)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힌지축(140)이 측면에서 압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개구된 힌지축삽입구(122)가 형성되고, 선단은 원주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날플랜지(124)가 형성되며, 상기 날플랜지(124) 내측의 내경은 선단 보다는 내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바닥에는 유입된 물이 바닥에 고이지 않고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홈(126)이 형성된 축공(120); 및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은 배수구멍(20)과 접촉되는 내측은 친수표면을 이루도록 전진접촉각이 형성되고, 외측은 발수표면을 이루도록 후진접촉각이 형성하며, 상기 전진접촉각과 후진접촉각 사이를 연결하도록 바람막이도어(130)의 하단의 내외면이 연통되도록 다수의 유로(136)를 형성시켜 창틀에 바람막이도어(130)의 자중 보다 작은 수압이나 부력을 갖는 미량의 물이 고여 바람막이도어(130)를 열지 못하더라도 창틀에 고인 물을 유로(136)를 통해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막이도어(130)의 양쪽 측면에는 걸림편(132)이 형성되고,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수직프레임(114)에는 상기 걸림편(132)에 대응되는 회전제한편(136)이 형성되어 상기 바람막이도어(130)와 상기 수직프레임(114)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4. 삭제
  5. 창틀의 하부프레임(10)에 다수 형성된 배수구멍(20)에 각각의 실외측에 부착되어지되 수평프레임(112)과 상기 수평프레임(112)의 양단에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14)으로 이루어져, 하부가 개구된 형태의 게이트(116)가 형성된 테두리 구조의 게이트구조틀(110);
    좌도어(130a)와 우도어(130b)로 이루어져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게이트(116)에 대응되는 크기로 설치되어 자중에 의해 상기 배수구멍(20)을 항상 폐쇄하되 상기 창틀에 고이는 물의 배수시에는 하단부가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열리되, 상기 좌도어(130a)의 상단에는 힌지축(140)이 형성되고, 좌도어(130a)의 우측 상단은 우도어(130b)에 결합되는 도어힌지축(140a)이 형성되며, 상기 우도어(130b)의 좌측 상단에는 상기 도어힌지축(140a)이 삽입되는 도어축공(120b)이 형성되고, 상기 우도어(130b)의 우측 상단에는 힌지축(140)이 형성되는 바람막이도어(130);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수직프레임(114)의 상단 내측에는 상기 바람막이도어(130)의 힌지축(140)이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측면에서 압입될 수 있도록 측면이 개구된 힌지축삽입구(122)가 형성되고, 선단은 원주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전체적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날플랜지(124)가 형성되며, 상기 날플랜지(124) 내측의 내경은 선단 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는 축공(120); 및
    상기 게이트구조틀(110)의 배면에 접착되어 이형지를 통해 커버되는 양면접착제(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KR1020200065675A 2020-06-01 2020-06-01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KR102151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675A KR102151538B1 (ko) 2020-06-01 2020-06-01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5675A KR102151538B1 (ko) 2020-06-01 2020-06-01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538B1 true KR102151538B1 (ko) 2020-09-03

Family

ID=7245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5675A KR102151538B1 (ko) 2020-06-01 2020-06-01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5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348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제우 창호 배수공 커버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7358B1 (ko) 2009-04-30 2010-01-19 이봉학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20100010549U (ko) 2009-04-17 2010-10-27 민경국 샤시 레일용 배수구망
KR101531686B1 (ko) 2014-02-20 2015-06-25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60009438A (ko) 2014-07-16 2016-01-26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70055191A (ko) 2015-11-11 2017-05-19 김순석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JP6449037B2 (ja) * 2015-02-04 2019-01-09 Ykk Ap株式会社 建具
KR20190105316A (ko) 2018-03-05 2019-09-17 함동석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549U (ko) 2009-04-17 2010-10-27 민경국 샤시 레일용 배수구망
KR100937358B1 (ko) 2009-04-30 2010-01-19 이봉학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KR101531686B1 (ko) 2014-02-20 2015-06-25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KR20160009438A (ko) 2014-07-16 2016-01-26 박은애 창틀 물구멍용 차단장치
JP6449037B2 (ja) * 2015-02-04 2019-01-09 Ykk Ap株式会社 建具
KR20170055191A (ko) 2015-11-11 2017-05-19 김순석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KR20190105316A (ko) 2018-03-05 2019-09-17 함동석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69348A (ko) * 2021-06-18 2022-12-27 주식회사제우 창호 배수공 커버
KR102604784B1 (ko) * 2021-06-18 2023-11-21 주식회사제우 창호 배수공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83574B2 (ja) 水平スライドする閉鎖アセンブリ用の排水システム
US11519217B2 (en) Water management systems for fenestration products
KR102151538B1 (ko)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US20110139379A1 (en) Door assembly
US20170183896A1 (en) Drain track devices, assemblies and systems
KR100937358B1 (ko) 창호용 기능성 배출관
JP2021059922A (ja) 排水装置及び建具
KR100849515B1 (ko) 창틀 장착용 배출관
CN101446162A (zh) 平面窗的底框架
JP7050567B2 (ja) 折れ戸
JP6839009B2 (ja) 換気装置及び建具
KR20190105316A (ko) 창틀 배수구멍 바람막이 장치
KR20170055191A (ko) 미서기창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배수구멍의 차폐구조
JP3840428B2 (ja) サッシ用排水弁
KR102573981B1 (ko) 건축용 누수방지 창틀
CN214035349U (zh) 一种易于排水的铝合金门窗
FR3083815A1 (fr) Dispositif de ventilation de batiment
KR102088646B1 (ko) 창틀 물구멍 차단장치
CN218912741U (zh) 一种实木复合窗的排水结构
JP3785174B2 (ja) 窓ガラス結露水滴の排水用パネル部材
JP2000186472A (ja) 排出路を備えた建具
TWI762225B (zh) 防洪百葉通風窗
KR20200000428A (ko) 창틀프레임의 원활한 배수 및 외풍 차단이 가능한 배수 및 방풍구조
JP2018150702A (ja) 建具
CN204899700U (zh) 一种带排水系统的内平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