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382B1 -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 Google Patents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382B1
KR102151382B1 KR1020200078865A KR20200078865A KR102151382B1 KR 102151382 B1 KR102151382 B1 KR 102151382B1 KR 1020200078865 A KR1020200078865 A KR 1020200078865A KR 20200078865 A KR20200078865 A KR 20200078865A KR 102151382 B1 KR102151382 B1 KR 102151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ghtening
hole
ring
disposed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균
Original Assignee
김호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균 filed Critical 김호균
Priority to KR1020200078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죌 안전줄 걸이는 전신주 삽입홀에 조임너트(210) 및 볼트를 삽입하되, 조임너트(210) 상에 배치된 제1링(203)와 일부가 절단된 형상인 조임볼트(201), 밴딩된 구조인 플레이트(100)를 포함하여 전신주 삽입홀에 걸이를 삽입하여 강한 결속력, 결속 용이성을 통해 작업자의 안전, 작업 용이성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SAFTY HANGER FOR TELEGRAPH POLE WORK}
본 발명은 전신주 작업시 전신주와 작업자의 신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줄을 지탱하는 보조죔 안전줄 걸이에 관한 것이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하면 추락할 위험이 있는 높이 2미터 이상의 장소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에게 안전대를 착용시킨 경우 안전대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설비 등을 설치해야하며, 이러한 안전대 부착 설비로서 지지로프 등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처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생명줄 또는 구명줄 고정 장치 등의 조치를 해야한다.
예를 들어, 전신주와 같이 높이가 2미터 이상의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들은 케이블 로프와 같은 생명줄을 사용하며, 생명줄을 지지하기 위해 생명줄 줄걸이, 즉 보조죔 안전줄 걸이에 생명줄을 걸고 전신주에 줄걸이를 고정 또는 삽입하여 안전을 확보한다.
이를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264호는 지지대, 양측이 개구되고, 전방이 개폐될 수 있도록 후방이 상기 지지대 일측벽에 힌지조립되는 한 쌍의 덮개, 반원형상으로 개구된 수요부를 갖는 프레임이 상기 지지대 타측벽에 고정되고, 이 프레임의 수용부 일단부에 상기 수용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수용부 내부에 건축물 시공용 파이프를 고정 및 해제하는 파지부재, 작업자의 신체와 연결되고, 그 내부에 와이어를 착탈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는 와이어 걸이대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파지부재를 건축물 시공용 파이프에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파이프에 고정된 와이어를 덮개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걸이대를 착용한 작업자가 파이프부분을 통과할 때 덮개개폐수단에 의해 덮개가 열리면서 와이어 걸이대가 덮개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명줄 걸이대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은 건축물 시공시 비계용 파이프에 설치하여 파이프에서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며, 이는 전신주 상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경우 전신주를 오르내릴 때에 작업자의 신체를 보호할 안전대 걸이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30호는 로프고정용 안전 연결고리로서, 로프를 끼워 매듭 연결될 수 있도록 U자형 고리부, 고리부의 개구된 양단부를 연결하는 축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리부는 양단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관통홀의 내주면에 나선부가 형성되어 축핀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부가 관통홀의 나선부에 나사조립되면서 축핀 고리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보조걸이부가 형성되면서 보조걸이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이탈방지벽에 의하여 보조걸이부가 내입되게 형성되어 로프를 걸어 고정하면서도 로프가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되고, 보조걸이부는 이탈방지벽이 형성된 내측으로 고리부의 외면과 밀착되게 가압벽이 형성되어 고리부의 축핀의 나사조임 결합시 가압벽이 고리부와 밀착되어 마찰면적을 늘리면서 고리부와 축핀이 결합된 상태에서 로프를 반복적으로 고정함에도 촉핀이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안전연결고리를 개시한다.
다만 상술한 선행문헌은 건물 외부 표면의 도색작업 등의 보수, 청소작업을 위해 건물 옥상으로부터 로프를 연결하여 내린 작업용 좌판의 상승, 하강을 용이하게 할 수는 있으나, 옥상을 형성하지 못하는 전신주와 같은 기둥은 전신주의 최상단에 안전대 걸이를 고정한 채 승하강을 하면서 작업을 하는 경우 전신주에 이미 설치되어 돌출된 설비들이 작업자의 신체와 충돌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지 못할 뿐 아니라 전신주의 최상단의 면적이 좁아 안전대 걸이를 견고하게 고정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낙상 위험등의 문제를 초래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836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830호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전신주와 같이 높은 기둥 상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는 플레이트(100); 및 전신주의 삽입홀에 결속되는 조임부(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레이트(100)는, 중앙부가 120~140도로 밴딩되어 밴딩선(L)을 중심으로 제1부(2) 및 제2부(3)로 구분되되, 상기 제1부(2) 및 상기 제2부(3)의 일부에는 각 한 개의 제1관통홀(20) 및 제2관통홀(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20)의 타면에는 상기 조임부(200)의 조임볼트(201)가 삽입되는 조임너트(210)가 배치되며 상기 제2관통홀(30)은 안전줄이 삽입관통되되, 상기 조임너트(210)는 전신주 삽입홀의 사이즈에 맞추어 조임볼트(201)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말단부(B)로부터 제1관통홀(20)의 타면방향으로 일부가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임부(200)는, 조임볼트(201), 결속조절부(202), 네개 이상의 제1링(203), 한 개 이상의 제2링(204) 및 조임쇠(2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볼트(201)는 제1관통홀(20)의 상기 타면에 배치된 조임너트(210)와 결속되는 결속부(B), 조임너트(210)를 통과하여 일부가 제1관통홀(20)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부(B)의 말단은 조임너트(210)의 말단보다 길게 형성되고 조임너트(210)의 말단 지점부터 외측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말단부(B)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조절부(202)는 상기 제1관통홀(20)을 일면을 통과한 조임너트(210)에 삽입되되, 상기 제1관통홀(20)의 상단에 배치되는 링의 형상이고 상기 조임쇠(205)의 조임정도를 수용하여 결속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링의 일측부가 절단되어 교차된 것이고, 상기 제1링(203)은, 적어도 네개 이상이고,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며, 상기 결속조절부(202)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경부터 외경까지 절곡선을 형성하여 일면이 볼록한 제1면(203a), 타면이 오목한 제2면(203b)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조절부(202) 상에 배치될 때 제1면(203a), 제2면(203b), 제2면(203b), 제1면(203a)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제2링(204)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고,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1링(203)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링(203) 제1면(203a)의 오목한 면의 흔들림을 차단하고, 상기 조임쇠(205)는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2링(204) 상에 배치되며 말단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는 전신주에 배치된 삽입홀에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일부를 삽입하되, 걸이에 배치된 고리를 회전시키며 삽입할 수 있어 삽입홀의 구멍에 맞추어 걸이를 전신주에 완벽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의 신체와 연결된 케이블 등의 로프를 걸이의 구멍에 걸어 전신주 작업시 작업자의 낙상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전신주 작업시 해당 높이에 따라 필요한 작업시, 전신주에 이미 삽입되어 돌출된 철근, 배전반, 전신주 측면에 배치된 파이프 등을 회피한 채, 삽입 위치를 선택하여 걸이를 설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걸이를 전신주의 삽입홀에 결속시 걸이로부터 연장된 로프 삽임홀부가 일정한 각도를 갖는 플레이트(100) 형상으로 이루어졌는바, 전신주 삽입홀에 걸이를 삽입 후에도 작업자의 작업 반경이 넓어져 작업자의 작업 용이성, 전신주에 설치된 각종 설비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사용중인 콘크리트 삽입용 안전줄 걸이에 대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에 대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각 구성을 나열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구성을 사진으로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구성 중 a)제1링(203), b)제1링(203)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조임볼트(201)에 삽입되어 적층되는 구조 c) 적층되는 순서에 대한 사진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를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각 구성을 나열한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를 상세히 나타낸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구성 중 제1링(203)에 대한 사진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전신주와 같이 높이가 2M 이상인 콘크리트 기둥에 작업자가 직접 승하강하며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와 기둥을 연결하는 안전줄 및 안전줄을 기둥에 고정하는 안전줄 걸이가 사용된다. 이때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전신주는는 작업의 편의성을 위하여 기둥의 상하로 이격된 거리를 두고 삽입홀을 배치하고, 삽입홀에 안전줄 걸이의 일부를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종래 사용 중인 콘크리트 재질의 전신주 안전줄 걸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 1의 안전줄 걸이는 전신주의 삽입홀에 삽입하여 끼우고, 걸이 구멍에 작업자와 연결된 걸이를 건 채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 작업자의 작업 공구 등의 무게에 따라 삽입홀과의 결속력이 결정되고, 장시간 작업을 하거나 작업자가 걸이에 매달린채 좌우로 이동하는 경우 결속력이 저하되어 작업자의 안전성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이동 반경이 제한적이고, 이동시 위험을 감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안전줄 걸이와 전신주 삽입홀의 결속력을 보다 강화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작업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안전줄 걸이에 조임부(200)에 결속조절부(202), 결속부(B) 등을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는 거시적으로 플레이트(100) 및 조임부(200)로 구성되며 플레이트(100)는 도 2와 같이 밴딩되어 제1부(2) 및 제2부(3)로 구성되고, 제1부(2)의 일단에는 관통홀이, 타단에는 조임너트(210)가 배치된다.
도 2를 참고하면 플레이트(100)는 중앙부가 90~140도로 밴딩되어 밴딩선(L)을 중심으로 제1부(2) 및 제2부(3)로 구분되고, 상기 제1부(2) 및 상기 제2부(3)의 일부에는 각 한 개의 제1관통홀(20) 및 제2관통홀(30)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00)는 120~140도로 밴딩되어 제1부(2) 및 제2부(3)로 구분되며 제1부(2)에는 제1관통홀(20)을 배치하여 제1면(203a)의 타면은 삽입홀이 배치되는 콘크리트 전신주의 일면과 접촉된다. 제2면(203b)은 안전줄 걸이가 관통하는 제2관통홀(30)이 배치되며, 제1면(203a)의 타면이 콘크리트 전신주의 일면에 접촉되어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120~140도로 밴딩된다. 즉 제1부(2)로부터 밴딩된 제2부(3)의 제2관통홀(30)에 작업자와 연결된 안전줄 걸이를 걸고 작업자는 전신주 상에서 작업을 진행한다. 따라서 밴딩이 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게는 140도를 초과하여 밴딩이 되는 경우 일반적인 케이블선 두께의 안전줄 걸이가 전신주의 일면과 플레이트(100)의 일면에 끼게되어 작업자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나아가 120도 미만으로 밴딩이 되는 경우 단면이 원형인 일반적인 케이블선 안전줄 걸이와 제2관통홀(30)의 내면은, 작업자의 이동 및 이동반경에 커질수록 마찰강도가 증가하여 작업자 및 작업공구의 무게에 따라 제2면(203b)이 휘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자의 이동 반경이 감소되어 작업 용이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제1관통홀(20)의 타면에는 상기 조임부(200)의 조임볼트(201)가 삽입되는 조임너트(210)가 배치되며 상기 제2관통홀(30)은 안전줄이 삽입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임부(200)는 조임볼트(201), 결속조절부(202), 네개 이상의 제1링(203), 한 개 이상의 제2링(204) 및 조임쇠(205)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조임볼트(201)는 제1관통홀(20)의 상기 타면에 배치된 조임너트(210)와 결속되는 결속부(B), 조임너트(210)를 통과하여 일부가 제1관통홀(20)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부(B)의 말단은 조임너트(210)의 말단보다 길게 형성되고 조임너트(210)의 말단 지점부터 외측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말단부(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210)는 도 3과 같이 전신주 삽입홀의 사이즈에 맞추어 조임볼트(201)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말단부(B)로부터 제1관통홀(20)의 타면방향으로 일부가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결속조절부(202)는 도 3과 같이 상기 제1관통홀(20)의 일면을 통과한 조임너트(210)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속조절부(202)는 제1관통홀(20)의 상단에 배치되는 링의 형상이다. 다만 상기 조임쇠(205)의 조임정도를 수용하여 결속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링의 일측부가 절단되어 교차된 것이다
나아가 상기 제1링(203)은, 적어도 네개 이상이고,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며, 상기 결속조절부(202)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링(203)은 내경부터 외경까지 절곡선을 형성하여 일면이 볼록한 제1면(203a), 타면이 오목한 제2면(203b)을 포함한다. 상기 제1면(203a)과 제2면(203b)으로 이루어진 제1링(203)은 상기 결속조절부(202) 상에 배치될 때 제1면(203a), 제2면(203b), 제2면(203b), 제1면(203a) 순서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2링(204)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고,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1링(203)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제2링(204)은 상기 제1링(203)과 다르게 단면이 편평한 링형상인바, 상기 제1링(203)의 제1면(203a) 상에 배치되는 경우 조임쇠(205)의 조임에 의해 제1면(203a)의 오목한 면을 고정할 수 있어, 제1링(203)에 의한 흔들림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조임쇠(205)는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2링(204) 상에 배치되며 말단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사용상태를 설명한다.
제1플레이트(100)의 타면에 형성된 조임너트(210)와 조임볼트(201)를 체결시키면 조임볼트(201)의 돌출부(P)가 제1플레이트(100)의 일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된 조임볼트(201)에 결속조절부(202), 제1링(203), 제2링(204)을 적층하고 조임쇠(205)로 체결한다. 이때 상기 제1링(203)은 총 4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총 4개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1링(203)은 도 3에서와 같이 결속조절부(202) 상에 배치된다. 나아가 결속조절부(202) 상에 볼록한 제1면(203a)이 배치되고, 제1면(203a)상에 오목한 제2면(203b)이 마주오도록 적층한다. 이후 그 위에 제2면(203b)을 적층하고, 그 위에 볼록한 제1면(203a)이 마주오도로 적층한다. 이후 제2링(204)을 적층한후, 조임쇠(205)를 조임볼트(201)에 체결시킨다.
상기 완성된 보조죔 안전줄 걸이의 플레이트(100) 제1면(203a) 타면의 조임볼트(201) 및 조임너트(210)의 결합부위를 전신주 삽입홀에 삽입하고, 조임쇠(205)가 회전하지 않을 때까지 조인 후 강하게 당겨 인출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조임볼트(201)와 조임너트(210)의 결합부위를 전신주 삽입홀에 삽입하고, 조임쇠(205)를 조이는 경우, 제1부(2)의 타면이 전신주의 일면과 접촉되고 제1부(2)의 타면은 조임쇠(205)를 회전시키며 누르는 힘 및 조이는 힘에 의해 조임볼트(201) 및 조임너트(210)의 결합부위가 삽입홀에 삽입된다. 이때 조임볼트(201)의 말단부(B)가 조임너트(210)의 말단 길이에 비하여 길고, 그 직경이 조임볼트(201)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는 구조인 바, 삽입되는 과정에서 조임너트(210)는 조임볼트(201)가 끼워진 상태에서 벌어지며 조임너트(210) 및 조임볼트(201)의 결합부위의 전체 직경이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삽입홀과 조임너트(210), 조임볼트(201)의 결합부위가 강하게 끼는 결합이 형성되어 조임쇠(205) 조일수록 삽입홀과 조임너트(210), 조임볼트(201)의 결합부위의 결합력이 증가한다.
이때 조임쇠(205)가 조이는 경우 결속조절부(202) 및 제1링(203)의 결합구조에 의해 플레이트(100)의 일면의 조임너트(210)와 조임볼트(201)의 결합력이 더 상승할 수 있다. 이는 도 3과 같이 결속조절부(202)의 말단이 교차된 링형상, 도 5의 c)와 같이 그 위에 볼록한 제1링(203)의 제1면(203a), 그 위에 오목한 면이 마주오도록 제2면(203b)을 배치, 그 위에 다시 제2면(203b)이 마주오도록 배치, 그 위에 제1면(203a)이 오도록 배치하여 조임쇠(205)가 조이는 과정에서 결속조절부(202) 및 제1링(203)이 조여지되, 탄성에 의해 더욱 강한 조임이 가능다는 의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는 콘크리트 재질의 전신주의 삽입홀에 안전줄 걸이의 일부를 삽입하되, 그 결합력을 극대화시켜 높이 2m 이상의 고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자가 전신주에서 좌우로 이동하여도 결속이 저하될 염려가 없어 작업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번 첨언한다.
1: 보조죔 안전줄 걸이
100: 플레이트
200: 조임부
201: 조임볼트
202: 결속조절부
203: 제1링
203a: 제1면
203b: 제2면
204: 제2링
205: 조임쇠
210: 조임너트
2: 제1부
3: 제2부
20: 제1관통홀
21: 타면
30: 제2관통홀
L: 밴딩선
C: 절단부
B: 결속부
P: 돌출부
E: 말단부

Claims (1)

  1. 플레이트(100); 및 전신주의 삽입홀에 결속되는 조임부(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레이트(100)는,
    중앙부가 120~140도로 밴딩되어 밴딩선(L)을 중심으로 제1부(2) 및 제2부(3)로 구분되되, 상기 제1부(2) 및 상기 제2부(3)의 일부에는 각 한 개의 제1관통홀(20) 및 제2관통홀(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관통홀(20)의 타면에는 조임부(200)의 조임볼트(201)가 삽입되는 조임너트(210)가 배치되며 상기 제2관통홀(30)은 안전줄이 삽입관통되되, 상기 조임너트(210)는 전신주 삽입홀의 사이즈에 맞추어 조임볼트(201)를 결속시킬 수 있도록 말단부(B)로부터 제1관통홀(20)의 타면방향으로 일부가 절단된 절단부(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조임부(200)는,
    조임볼트(201), 결속조절부(202), 네개 이상의 제1링(203), 한 개 이상의 제2링(204) 및 조임쇠(2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임볼트(201)는 제1관통홀(20)의 상기 타면에 배치된 조임너트(210)와 결속되는 결속부(B), 조임너트(210)를 통과하여 일부가 제1관통홀(20)의 일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P)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속부(B)의 말단은 조임너트(210)의 말단보다 길게 형성되고 조임너트(210)의 말단 지점부터 외측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말단부(B)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조절부(202)는 상기 제1관통홀(20)을 일면을 통과한 조임너트(210)에 삽입되되, 상기 제1관통홀(20)의 상단에 배치되는 링의 형상이고 상기 조임쇠(205)의 조임정도를 수용하여 결속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링의 일측부가 절단되어 교차된 것이고,
    상기 제1링(203)은, 적어도 네개 이상이고,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며, 상기 결속조절부(202)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되, 결속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내경부터 외경까지 절곡선을 형성하여 일면이 볼록한 제1면(203a), 타면이 오목한 제2면(203b)을 형성하여 상기 결속조절부(202) 상에 배치될 때 제1면(203a), 제2면(203b), 제2면(203b), 제1면(203a) 순서로 적층되며,
    상기 제2링(204)은 적어도 한 개 이상이고,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1링(203)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링(203) 제1면(203a)의 오목한 면의 흔들림을 차단하고,
    상기 조임쇠(205)는 상기 조임볼트(201) 상에 끼워지고, 상기 제2링(204) 상에 배치되며 말단은 회전이 용이하도록 손잡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KR1020200078865A 2020-06-28 2020-06-28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KR10215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65A KR102151382B1 (ko) 2020-06-28 2020-06-28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865A KR102151382B1 (ko) 2020-06-28 2020-06-28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1382B1 true KR102151382B1 (ko) 2020-09-02

Family

ID=7246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865A KR102151382B1 (ko) 2020-06-28 2020-06-28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3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46A (ko) 2022-07-18 2024-01-25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구명줄 설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919U (ko) * 1998-08-19 2000-03-15 이처술 케이블 인입걸이밴드
US20020106256A1 (en) * 2001-02-07 2002-08-08 Werner Kaibach Expandable anchorage
KR200288364Y1 (ko)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KR200437676Y1 (ko)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KR200457436Y1 (ko) * 2010-09-29 2011-12-20 한국전력공사 주상 안전 유닛
KR20140000435U (ko) * 2012-07-11 2014-01-21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로프고정용 안전 연결고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919U (ko) * 1998-08-19 2000-03-15 이처술 케이블 인입걸이밴드
US20020106256A1 (en) * 2001-02-07 2002-08-08 Werner Kaibach Expandable anchorage
KR200288364Y1 (ko) 2002-06-10 2002-09-09 인해식 생명줄 걸이대장치
KR200437676Y1 (ko) * 2007-02-15 2007-12-17 최승연 전주용 디딤쇠 지지구
KR200457436Y1 (ko) * 2010-09-29 2011-12-20 한국전력공사 주상 안전 유닛
KR20140000435U (ko) * 2012-07-11 2014-01-21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로프고정용 안전 연결고리
KR200471830Y1 (ko) 2012-07-11 2014-03-19 주식회사 보흥클레온 로프고정용 안전 연결고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946A (ko) 2022-07-18 2024-01-25 한국전력공사 전주용 구명줄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7884Y1 (ko) 중장비용 고리의 안전장치
EP2906770A1 (en) Ladder securing apparatuses, ladders incorporating same and related methods
KR102151382B1 (ko) 전신주 작업용 보조죔 안전줄 걸이
KR101232227B1 (ko) 안전네트 유닛
EP2401039A1 (en) Pole safety assembly
KR102118794B1 (ko)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5108139A (en) Device for remotely actuating the safety latch of a hoist hook
KR102115818B1 (ko) 철근 격자망 양중용 클램프 장치
KR200288364Y1 (ko) 생명줄 걸이대장치
KR20170000701U (ko) 건축용 수직형 안전방망
EP4019092A1 (en) Anchorage device
KR100726467B1 (ko) 낙하방지 망 고정부재
GB2437291A (en) Clamp with releasable handle
US10744353B2 (en) Roof anchor and safety syste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917048B2 (ja) 介錯アーム、および介錯アームを備えたクレーンアーム
KR101254502B1 (ko) 반자동 샤클
CN219041233U (zh) 一种导线防跑绳
KR102558801B1 (ko) 건축공사용 안전망 시스템
KR102633365B1 (ko)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KR102633363B1 (ko)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KR200317483Y1 (ko) 낙하방지용 방호틀
WO2019171266A1 (en) Clamp for lifting pipework and scaffold tubes
KR102667172B1 (ko)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KR200233096Y1 (ko) 크레인용 훅의 스토퍼 구조
JP2017137750A (ja) 荷降ろし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