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170B1 -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170B1
KR102151170B1 KR1020200003765A KR20200003765A KR102151170B1 KR 102151170 B1 KR102151170 B1 KR 102151170B1 KR 1020200003765 A KR1020200003765 A KR 1020200003765A KR 20200003765 A KR20200003765 A KR 20200003765A KR 102151170 B1 KR102151170 B1 KR 102151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vertical steel
elastic body
facility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1037A (ko
Inventor
최우용
최우근
Original Assignee
최우용
최우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우용, 최우근 filed Critical 최우용
Priority to KR102020000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1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11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1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진 설계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시설물과 일반 중저층 건축물 등의 기존 시설물에 대하여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하기 위하여 기존 구조체와 비구조체에 고분자 탄성체, 수직 강재 및 보강 프레임에 의하여 기존 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은 상기 시설물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는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상기 건축물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상기 수직 강재 설치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상기 건축물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도포하는 제2차 탄성체 도포 단계로 구성되는 것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Description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Method for reinforcing seismic resistant of building}
본 발명은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내진 설계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시설물과 일반 중저층 건축물 등의 기존 시설물에 대하여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하기 위하여 기존 구조체와 비구조체에 고분자 탄성체, 수직 강재 및 보강 프레임에 의하여 기존 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구조물의 고강도화 및 환경문제로 인한 내구성능 저하에 따른 구조적 보수·보강뿐 아니라 구조물의 노후화나 내진규정의 강화에 따른 구조물의 내진보강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기존 가설된 구조물이나 건축되는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위한 방법으로 단면증대 공법이나 철판보강 공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공법은 공정이 복잡하여 공정의 진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공정에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단점과 함께 충분한 내진성능을 기대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간편한 공정으로 신속하게 시설물의 내진성능을 효과적으로 보강할 수 있는 공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1509호의 '구조물의 보강 방법, 보강 구조체 및 고연성재'가 제안되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공간을 나누고 있는 벽(17)의 한쪽 측면(15a)과 다른
쪽 측면(15b)의 쌍방에 고연성재(21)가 별도로 배치되며, 고연성재(21)를 서로 연결하기 위해서 필요한 연결용 끈재를 관통할 수 있는 구경이 부여된 관통 구멍(18)이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여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연성재(21)는 서로 관통 구멍(18)을 관통시켜 고착된 연결용 끈재를 거쳐서 확실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용 끈재는 각 관통 구멍(18)마다 고연성재(21)를 서로 개별적으로 연결하거나, 1개로 각 관통 구멍(18)을 순차적으로 관통시키면서 고연성재(21)를 서로 꿰매도록 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하여, 기둥과 화장용 위벽재 사이의 틈에 고연성 피복재를 설치한 경우에는 기둥의 인성한계를 넘지 않는 동안은 고연성 피복재에 부담이 걸리지 않고, 인성한계를 넘어 스트립 철근이 파단하거나 빠진 후에 비로소 고연성 피복재에 부담이 걸리지만, 구축물이 붕괴된 후라도 천장과 바닥 또는 상하의 바닥 상호간에 공간을 확보하면서 하중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인명 구제에 유효하게 기여할 수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지진에 의한 균열과 파괴시 콘크리트 조각이나 파편 부유물질로 인한 생명의 치명적 부상과 위험에 여전히 노출되어 있다.
또한, 내진 보강 방법중 하나인 철구조물 내진보강 방법은 일정 부분만 보강 하므로 전체적인 균형성과 힘의 분배를 가지지 못한다는 점과 시각적 및 심리적 문제를 고려할 때 효율적이지 못한 부분이 있다.
한편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737557호는 연성의 내진 섬유와 무독성의 무기난연제를 조합한 복합부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부착하고, 난연 마감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내진 및 난연 복합 보강공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746933호는 시멘트 콘크리트, 복층의 에폭시 퍼티 및 슈퍼 섬유 그리고 폴레아 수지를 차례로 도포하는 구조물의 내진 보강 시공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117204호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1기둥과 제2기둥 사이의 평면벽에 "X" 형상의 브레이싱(5')을 설치하여 내진을 보강하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04679호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존의 RC지주(5')에 H형강 지주(4')를 보강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문헌은 다층 구조의 공간을 가지는 건축물 전체에 대하여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특허 제10-2013-0117204호의 브레이싱(5')은 창과 창 사이의 수평벽에만 설치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해당 수평벽에 대한 내진 효과는 기대할 수 있지만 건축물 전체에 대하여 종합적인 내진 효과를 발휘하기는 어렵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3104679호는 H형강 지주(4')를 더 설치하여 소정의 내진 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H형강 지주(4')에 어떠한 내진 재료를 더 부가하여 내진 효과를 상승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으며, 이 구조만으로는 건축물 전체에 대하여 효과적인 내진 기능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내진 설계가 반영되어 있지 않은 시설물과 일반 중저층 건축물 등의 기존 시설물에 대하여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하기 위하여 기존 구조체 및 비구조체에 고분자 탄성체, 수직 강재 및 보강 프레임에 의하여 기존 시설물의 내진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재난시 화재발생시에도 난연재를 추가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 프레임을 바닥, 천정 및 벽체 부분에 "X"자 형상으로 보강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보다 강화하고 지진 발생 시 천정의 붕괴를 막아 골든 타임을 학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1개의 층에 하나의 공간이 아닌 층간 연결수단에 의하여 다층으로 연결함으로써 건축물 붕괴시 상층의 콘크리트 하중으로 인한 붕괴 및 건축물 전복시 내진 성능이 보강된 구조물에 대피한 인명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는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상기 건축물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상기 수직 강재 설치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상기 건축물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도포하는 제2차 탄성체 도포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단위 공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에 있어서, (가) (a) 건축물을 이루는 단위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는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b) 상기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 단계; (c) 상기 수직 강재 설치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상기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도포하는 제2차 탄성체 도포 단계로 구성되며, (d) 상기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도료이며, (e) 상기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이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 상부에 난연제 도료가 도포하는 난연제 도포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은 안에서부터 차례로 제1차 탄성체, 난연제 도료, 수직 강재 및 제2차 탄성체의 순으로 적층되어 보강되며, (f) 상기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이후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수직 강재의 상단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천정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강선 또는 보강 강재로 연결되는 프레임 보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단위 공간 내부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단계; (나) (가)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단위 공간을 수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구축하고 수직으로 배열된 각각의 수직 강재를 층간 연결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단위 공간의 수직 강재와 프레임 보강 부재가 다른 단위 공간의 각각의 수직 강재 및 프레임 보강 부재와 구조적으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높이 방향으로 건축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단계 및 (다) (나)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높이 방향의 건축물을 수평으로 연이어 복수 층으로 구축하여 길이 방향으로 건축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수직 강재의 상단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천정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와이어 로프로 연결되는 프레임 보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단위 공간 내부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내진 보강을 완성하고, 보강 와이어 로프는 천정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수직 강재에 연결되어 지진 발생 시 천정이 붕괴되는 힘을 분산하여 천정의 붕괴를 지연시킴으로써 대피 시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조물 내진 보강 방법은 1차 탄성체 도포, 수직 강재 설치 및 2차 탄성체 도포에 의하여 내진 설계가 되어 있지 않은 구조물에 대하여 시공이 용이한 내진 보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진 등의 재난시 화재발생시에도 난연재를 추가적으로 도포함으로써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 보강재로서 바닥, 천정 및 벽체 부분을 "X"자 형상으로 보강함으로써 내진 성능을 보다 강화하고 지진 발생 시 천정의 붕괴를 막아 골든 타임을 학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히 1개의 층에 하나의 공간이 아닌 층간 연결수단에 의하여 다층으로 연결함으로써 건축물 붕괴시 상층의 콘크리트 하중으로 인한 붕괴 및 건축물 전복시 내진 성능이 보강된 구조물에 대피한 인명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구조물의 보강 방법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내진 보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보강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 다층 구조의 시설물 내진 보강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시설물 내진 보강 구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완성한 시설물 내진 보강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선행기술의 내진 보강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선행기술의 네진 보강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진 설계가 반영되어 있지 않거나 설계가 반영되어 있는 경우에는 내진 설계 성능이 요구하는 수준이 이르지 못한 시설물의 내진 보강을 위한 것으로, 시설물 전체에 대하여 시공하는 것도 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지진의 발생 등 유사시에 시설물 외부로의 대피가 어려운 경우 일시적인 대피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대피하기 위한 동선이 짧아지도록 시설물의 중앙부체 복층의 대피공간이 형성되도록 시공하는 것이 시공에 따른 예산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은 시설물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1차로 도포한다(S100).
1차로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S100)한 후 시설물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S200)하며, 수직 강재는 시설물의 모서리 구조물에 앵커 등의 수단에 의하여 결합된다.
수직 강재 설치 이후 고분자 탄성체를 건축물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2차로 도포한다(S300).
여기서, 2차 고분자 탄성체 도포는 지진에 의한 충격 발생시 수직 강재(200) 또는 후술하는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강선 또는 보강 강재 등의 프레임 보강재(300)가 내진 보강 구조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보강 강선은 일반적인 강선 또는 와이어 로프와 같은 일정한 수준의 형상 변경이 가능한 선재를 의미하며, 보강 강재는 본 발명에서 수직 강재로 사용되는 H형강, T형강 등의 형상의 고정되어 있는 강재를 의미하며, 외부 충격이나 지진발생시 프레임 보강재(300)의 자체 하중에 의한 2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다 경량화가 가능한 보강 강선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프레임 보강재(300)는 외부 충격이나 지진 발생시 시설물의 콘크리트 등의 균열이 진행되어 이들 조각들이 하부로의 하중을 가하는 경우 1차적으로는 도포되어 경화된 고분자 탄성체가 지지하지만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여기서, 1차 및 2차 도포되어 경화되는 고분자 탄성체는 경화후 탄성을 갖는 소재로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도료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난연 성능을 보강하기 위해서는 제1차 고분자 탄성체 도포를 한 이후 고분자 탄성체 상부에 난연제 도료를 추가로 도포(S110)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 강재는 T형강 또는 H형강 등 강한 구조를 갖는 강재라면 무관하나 H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 내진 보강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건축물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후 제1 고분자 탄성체층(100), 난연 성능을 보강하기 위한 난연제 도료(110)를 도포하여 경화하여 난연제층(200)을 형성하며, 이후 수직 강재(200)를 설치한 후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여 경화하여 제2 고분자 탄성체층(120)을 형성함으로써 시설물 내진 보강 구조를 형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보강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에는 도포된 탄성체 및 난연제와 관련된 도시는 생략하며, 프레임 보강 구조만을 명확하게 도시하였다.
도 4에서는 시설물의 모서리 부분에 수직 강재 설치한 이후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이 각각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강선 또는 보강 강재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 보강재(300)를 결합한다.
삭제
일반적으로 프레임 보강재(300)로서는 T형강 또는 H형강을 프레임 보강을 위한 강재로 사용하는 경우 변형이 적어 이를 그대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나, 보강 강선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강 강선의 길이를 조절하여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보강 강선의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여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 보강재(300)는 보강 강선, 예를 들어 와이어로 이루어진 로프가 바람직하다. 보강 와이어 로프는 도 4에서 유추할 수 있는 것과 같이 시공 단계에서는 시설물 천정의 내부로는 매입되지 않으며, 천정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그러면, 특히 지진 발생 시 "X"자의 구조에 의하여 천정이 붕괴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천정이 붕괴되는 시간을 지연시켜 가장 중요한 골든 타임을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수직 강재(200)는 보강 와이어 로프를 견고하게 지지하는 지주의 역할을 하며, 보강 와이어 로프는, 로프의 성격상 당연하지만, 수직 강재(200)를 지주 삼아 어느 정도 상하 움직임이 가능한 탄력성을 가지게 된다. 이 점에서 수직 강재(200)는 단독으로 내진 기능을 제공하기 보다는 보강 와이어 로프를 위한 서브 부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보강한 이후 수직 강재(200)에는 시설물의 하층과 상층을 상하로 연결하기 위한 층간 연결수단(미도시)이 결합되도록 하며, 이러한 층간 연결수단은 하층과 상층의 수직 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이면 충분하나 볼트와 너트에 의한 연결 또는 연결핀에 의한 연결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이상의 도 4는 단위 공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도 4의 단계를 반복하여, 구체적으로 건축물을 이루는 단위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는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상기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상기 수직 강재 설치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상기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도포하는 제2차 탄성체 도포 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도료이며, 상기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이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 상부에 난연제 도료가 도포하는 난연제 도포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은 안에서부터 차례로 제1차 탄성체, 난연제 도료, 수직 강재 및 제2차 탄성체의 순으로 적층되어 보강되며, 상기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이후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수직 강재의 상단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천정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강선 또는 보강 강재로 연결되는 프레임 보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단위 공간 내부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단위 공간을 수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 층으로 구축하고 수직으로 배열된 각각의 수직 강재를 층간 연결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단위 공간의 수직 강재와 프레임 보강 부재가 다른 단위 공간의 각각의 수직 강재 및 프레임 보강 부재와 마치 한붓 그리기처럼 구조적으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높이 방향으로 건축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설물은 길이 또는 좌우 방향으로 수평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도 5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높이 방향의 건축물을 수평으로 연이어 복수 열 구축하여 길이 방향으로 시설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것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단위 공간의 네 모서리가 복합 내진층 및 난연층이 도포된 수직 강재에 의해 보강될 뿐만 아니라 각 단위 공간의 수직 강재와 프레임 보강부재가 단락되지 않고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서로 일체로 연결되므로 시설물 전체의 내진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제1 고분자 탄성체층 110 : 난연재층
120 : 제2 고분자 탄성체층 200 : 수직 강재
300 : 프레임 보강재

Claims (2)

  1. 단위 공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에 있어서,
    (가) (a) 시설물을 이루는 단위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는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b) 상기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 단계;
    (c) 상기 수직 강재 설치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상기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도포하는 제2차 탄성체 도포 단계로 구성되며,
    (d) 상기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도료이며,
    (e) 상기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이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 상부에 난연제 도료가 도포하는 난연제 도포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은 안에서부터 차례로 제1차 탄성체, 난연제 도료, 수직 강재 및 제2차 탄성체의 순으로 적층되어 보강되며,
    (f) 상기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이후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수직 강재의 상단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천정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와이어 로프로 연결되는 프레임 보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단위 공간 내부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내진 보강을 완성하고, 상기 보강 와이어 로프는 천정의 하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이 있도록 수직 강재에 연결되어 지진 발생 시 천정이 붕괴되는 힘을 분산하여 천정의 붕괴를 지연시킴으로써 대피 시간을 확보하도록 시공하는 단계;
    (나) (가)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단위 공간을 수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 층 구축하고 수직으로 배열된 각각의 수직 강재를 층간 연결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단위 공간의 수직 강재와 프레임 보강 부재가 다른 단위 공간의 각각의 수직 강재 및 프레임 보강 부재와 구조적으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높이 방향으로 시설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고, 시설물의 각각의 천정이 X자형의 탄성을 가지는 보강 와이어 루프로 지지되어 지진 발생 시 천정이 붕괴되는 힘을 분산하여 천정의 붕괴를 지연시킴으로써 대피 시간을 확보하도록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2. 단위 공간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에 있어서,
    (가) (a) 시설물을 이루는 단위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고분자 탄성체를 도포하는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b) 상기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에 수직으로 강재를 설치하는 수직 강재 설치 단계;
    (c) 상기 수직 강재 설치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를 상기 공간 내의 바닥, 천정 및 벽체부분에 도포하는 제2차 탄성체 도포 단계로 구성되며,
    (d) 상기 고분자 탄성체는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아를 포함하는 도료이며,
    (e) 상기 제1차 탄성체 도포 단계 이후 상기 고분자 탄성체 상부에 난연제 도료가 도포하는 난연제 도포 단계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공간 내부의 네 모서리 부분은 안에서부터 차례로 제1차 탄성체, 난연제 도료, 수직 강재 및 제2차 탄성체의 순으로 적층되어 보강되며,
    (f) 상기 수직 강재 설치 단계 이후 대각선으로 마주보는 수직 강재의 상단들 각각을 서로 연결하여 천정이 "X"자 형상을 이루도록 양 끝단에 텐션 바를 구비하는 보강 와이어 로프로 연결되는 프레임 보강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여 단위 공간 내부의 수평 및 수직 방향 내진 보강을 완성하고, 상기 보강 와이어 로프는 천정의 하면을 지지하고 탄성력이 있도록 수직 강재에 연결되어 지진 발생 시 천정이 붕괴되는 힘을 분산하여 천정의 붕괴를 지연시킴으로써 대피 시간을 확보하도록 시공하는 단계;
    (나) (가)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단위 공간을 수직으로 상하 방향으로 복수 층 구축하고 수직으로 배열된 각각의 수직 강재를 층간 연결수단으로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단위 공간의 수직 강재와 프레임 보강 부재가 다른 단위 공간의 각각의 수직 강재 및 프레임 보강 부재와 구조적으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높이 방향으로 시설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고 시설물의 각각의 천정이 X자형의 보강 와이어 루프로 탄력성 있게 지지되어 지진 발생 시 천정이 붕괴되는 힘을 분산하여 천정의 붕괴를 지연시킴으로써 대피 시간을 확보하도록 시공하는 단계; 및
    (다) (나)의 단계를 반복하여 완성된 높이 방향의 시설물을 수평으로 연이어 복수 열 구축하여 길이 방향으로 시설물 내진 보강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
KR1020200003765A 2020-01-10 2020-01-10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KR102151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65A KR102151170B1 (ko) 2020-01-10 2020-01-10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3765A KR102151170B1 (ko) 2020-01-10 2020-01-10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693A Division KR20190020570A (ko) 2017-08-21 2017-08-21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037A KR20200011037A (ko) 2020-01-31
KR102151170B1 true KR102151170B1 (ko) 2020-09-02

Family

ID=6936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3765A KR102151170B1 (ko) 2020-01-10 2020-01-10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11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714B1 (ko) * 2020-06-12 2022-05-26 이기덕 고분자 탄성체 도포를 통한 터널 내부의 다중 코팅 보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679B2 (ja) * 1998-05-29 2000-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icパッケージ
JP2015051732A (ja) * 2013-09-09 2015-03-19 好己 田口 水上浮遊型シェルター
KR101737557B1 (ko) * 2016-10-13 2017-05-19 주식회사 대산이앤지 콘크리트 구조물용 내진 및 난연 복합 보강공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679U (ja) * 2004-04-16 2004-10-07 今井 克彦 ブレースレス耐震補強鉄筋コンクリート造
KR101090354B1 (ko) * 2009-04-23 2011-12-07 (주)대우건설 강판을 이용한 기존 벽체의 내진 성능 개선 방법
KR20120083689A (ko) * 2011-01-18 2012-07-2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방폭 rc 구조물의 제조방법, rc 구조물의 방폭 보강방법 및 방폭 rc 패널
KR20130117204A (ko) * 2012-04-18 2013-10-25 이경언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내진 보강 공법
KR101746933B1 (ko) * 2015-07-29 2017-06-14 주식회사 제이투이앤씨 구조물의 내진보강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4679B2 (ja) * 1998-05-29 2000-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icパッケージ
JP2015051732A (ja) * 2013-09-09 2015-03-19 好己 田口 水上浮遊型シェルター
KR101737557B1 (ko) * 2016-10-13 2017-05-19 주식회사 대산이앤지 콘크리트 구조물용 내진 및 난연 복합 보강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1037A (ko) 202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Exploration of the multidirectional stability and response of prefabricated volumetric modular steel structures
CA2659536C (en) Reinforced masonry panel structures
CN110306660B (zh) 用于钢结构建筑的装配式抗震钢骨架及抗震墙体
KR101767677B1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KR101027393B1 (ko) 양방향 및 일방향 조적벽 내진 보강방법
JP4247496B2 (ja) 耐震補強構造
US20180347221A1 (en) A method of constructing earthquake resistant structure with reinforced foundation and wall structure
JP2016216900A (ja) 構造物
CN110805144B (zh) 全装配式高层/超高层混凝土框支结构体系及其施工方法
KR102151170B1 (ko) 시설물 내진 보강 방법
KR101027378B1 (ko) 블록과 강선을 이용한 내진벽 및 시공방법
JPH10331477A (ja) 制振架構
JP4873981B2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102046573B1 (ko) 기존 조적벽체의 합성 보강을 통해 내진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보강구조 시스템
JP2018003556A (ja) 耐火構造
KR102181416B1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102249999B1 (ko) 모듈러 교실용 바닥조인트
KR200450899Y1 (ko) 지진대피시설
KR20190020570A (ko) 건축물 내진 보강 방법
CN109707089B (zh) Grc空心箱体组合板构成的楼盖体系及其施工方法
KR101531785B1 (ko)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날개벽을 기둥에 증설하는 내진 보강 방법
KR100581224B1 (ko) X형 까치발 기둥머리
KR101952318B1 (ko) 내진용 alc 주택 시공방법
KR101038291B1 (ko) 슬림플로어형 철골보 및 이를 이용한 합성보
CN218643416U (zh) 一种用于人防地下室的钢筋混凝土预制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