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124B1 - 릴리프밸브 - Google Patents

릴리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124B1
KR102151124B1 KR1020180165520A KR20180165520A KR102151124B1 KR 102151124 B1 KR102151124 B1 KR 102151124B1 KR 1020180165520 A KR1020180165520 A KR 1020180165520A KR 20180165520 A KR20180165520 A KR 20180165520A KR 102151124 B1 KR102151124 B1 KR 10215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piston
flow path
chamber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6425A (ko
Inventor
오승환
황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102018016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1124B1/ko
Priority to CN201911310739.1A priority patent/CN111336290B/zh
Publication of KR20200076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6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4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50Pressure control
    • F15B2211/52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 F15B2211/521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mechanically
    • F15B2211/522Press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ion mechanically actuated by biasing means, e.g. spring-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릴리프밸브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내부에서 오일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이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메인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 플런저와, 내부가 중공형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 플러그, 그리고 내주면이 상기 플런저의 일영역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의 일영역이 상기 조절 플러그 내부를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구획하며 오일의 압력 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릴리프밸브{RELIEF VALVE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는 릴리프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스 내부에서 오일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리프밸브는 설정압력에 따라 유로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릴리프밸브는 유입구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내부에 형성된 유로를 통해 스프링을 가압하여 설정압력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연통되도록 해 릴리프밸브와 연결된 유로가 연통되도록 한다.
이러한 릴리프밸브는 건설기계는 유입을 이용해 구동되는 장치에 설치되어 유압회로 내의 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종래의 릴리프밸브는 내부가 복잡한 유로를 갖도록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부품의 정밀도 및 이에 형성된 유로의 가공에 정밀한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부품의 추가 구성 및 이에 정밀 가공되어 형성된 유로에 의해 밸브 자체의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품의 추가 구성 및 정밀 가공된 유로 등의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순한 유로를 통해서도 릴리프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릴리프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에서 오일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이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메인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 플런저와, 내부가 중공형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 플러그, 그리고 내주면이 상기 플런저의 일영역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의 일영역이 상기 조절 플러그 내부를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구획하며 오일의 압력 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일영역이 상기 조절 플러그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메인 플런저 유로와 상기 제1 챔버가 서로 연통 되도록 피스톤 연통홀이 형성된 조절 플러그 지지부, 그리고 상기 구획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절 플러그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 가능한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메인 플런저 유로와 상기 제2 챔버가 연통 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피스톤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피스톤 유로와 상기 메인 플런저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플런저의 일영역에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통 플런저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연통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일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일을 저유하는 저유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릴리프밸브는 단순한 유로구조를 통해 릴리프압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4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를 설명한다.
릴리프밸브(101)는 케이스(100) 내부에서 오일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500)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런저(600)와 조절 플러그(400) 그리고 피스톤(700)을 포함한다.
플런저(600)는 케이스(100)의 내측에 케이스(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또한, 플런저(600)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플런저(600) 내부에는 플런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메인 플런저 유로(610)가 형성된다. 케이스(100)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이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메인 플런저 유로(610)는 오일의 이동을 안내한다. 플런저(600)는 이러한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과한 오일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500)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 플러그(40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조절 플러그(400)는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된다.
내주면이 플런저(600)의 일영역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의 일영역이 조절 플러그(400) 내부를 제1 챔버(410)와 제2 챔버(420)로 구획하며 오일의 압력 또는 탄성부재(500)에 의해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제1 챔버(410)와 제2 챔버(420)는 피스톤(7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축상에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는 제1 챔버(410)와 제2 챔버(420)로 오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간단한 구조를 통해 효과적으로 릴리프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의 피스톤(700)은 구획부(710)와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 그리고 탄성부재 지지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획부(710)는 일영역이 조절 플러그(400)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제1 챔버(410)와 제2 챔버(420)를 구획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획부(710)는 피스톤(700)의 일영역의 외주면이 조절 플러그(400)의 내주면과 접촉 하도록 조절 플러그(400)의 외경이 확경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구획부(710)는 조절 플러그(400)의 길이방향의 조절 플러그(400)의 내주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제1 챔버(410)와 제2 챔버(420)를 구획하고 이들의 체적 또한 가변시킬 수 있다.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는 메인 플런저 유로(610)와 제1 챔버(410)가 서로 연통되도록 피스톤 연통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는 피스톤(700)의 일단에 형성되며, 피스톤(700)의 외주면이 구획부(710)의 외주면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의 일면은 케이스(100)의 일측에 설치된 플러그(300)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는 플러그(300)의 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 연통홀(721)은 피스톤(700)의 일단이 플러그(300)를 향해 돌출 형성된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에 형성 되어, 피스톤(700)의 내주면과 제1 챔버(410)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챔버(410)는 플러그(300)의 일면과 피스톤(700)의 일단 높이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챔버(410)는 플러그(300)의 일면과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와 이웃하는 구획부(710)의 측면(플러그(300)의 일면과 마주하는 구획부(710)의 일면) 사이의 영역일 수 있다.
일예로, 피스톤 연통홀(721)은 피스톤(700)의 일단이 일영역이 플러그(300)와 마주하는 일영역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이동된 오일은 피스톤 연통홀(721) 및 피스톤(700)의 개방된 일단의 중공부를 통해 제1 챔버(41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이동된 오일은 피스톤(700) 및 플런저(600)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탄성부재(500)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탄성부재 지지부(730)는 구획부(710)의 외경부도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도로 피스톤(700)의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지지부(730)는 조절 플러그(400)로부터 피스톤(700)의 타단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700)의 타단은 탄성부재 지지부(730)는 내부의 중공부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 조절 플러그(40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조절 플러그(400)의 타단으로부터 돌출 배치된 탄성부재 지지부(730)는 탄성부재(500)를 지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 지지부(730)에는 스프링 시트(800)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500)인 스프링이 플런저(600)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스프링 시트(800)는 이러한 스프링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700)은 제1 챔버(410)와 제2 챔버(420)를 구획하고 제1 챔버(410)로 오일이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의 피스톤(700)은 피스톤 유로(7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스톤 유로(740)는 메인 플런저 유로(610)와 제2 챔버(420)가 연통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 유로(740)는 피스톤(7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스톤 유로(740)는 제2 챔버(420)와 마주하는 피스톤(70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피스톤 유로(740)는 메인 플런저 유로(610)와 제2 챔버(420)가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제2 챔버(420)로 공급되도록 안내하거나, 제2 챔버(420)에 저유된 오일이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피스톤 유로(740)는 피스톤(700)의 중심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 유로(740)는 제2 챔버(420)와 메인 플런저 유로(610)과 효과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피스톤 유로(740)는 오리피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의 플런저(600)에는 연통 플런저 유로(630)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피스톤 유로(740)와 메인 플런저 유로(610)가 연통되도록 플런저(600)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피스톤(70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피스톤 유로(740)를 통해 제2 챔버(420)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700) 또는 플런저(600)의 이동에 따라 연통 플런저 유로(630)와 피스톤 유로(740)는 서로 중심축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피스톤(700)의 내주면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플런저(600)의 일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플런저(60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피스톤 유로(740)와 마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별도의 유로를 위한 구성 또는 피스톤(700) 및 플런저(600)의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 않아도 제2 챔버(420)로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피스톤 유로(740) 및 제2 챔버(420)로 연통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연통 플런저 유로(630)는 오리피스일 수 있다.
따라서, 연통 플런저 유로(630)인 연통 플런저 오리피스와 피스톤 유로(740)인 피스톤 오리피스의 유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어, 피스톤(700)의 이동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리프밸브(101)에 작용하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의 플런저(600)는 저유영역(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유영역(640)은 연통 플런저 유로(630)가 형성된 플런저(600)의 외주면 일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일을 저유할 수 있다. 저유영역(640)은 연통 플런저 유로(630)를 중심으로 플런저(600)의 외주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제2 챔버(420)로부터 피스톤 유로(740)를 통과한 오일을 저유하여 연통 플런저 유로(630)로 공급되도록 안내하거나,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과한 오일이 피스톤 유로(740)를 통해 제2 챔버(420)로 공급될 때 저유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연통 플런저 유로(630)와 피스톤 유로(740)가 동축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이들을 통과하는 오일이 제2 챔버(420) 또는 메인 플런저 유로(610)로 공급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릴리프밸브(10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00)와 플러그(300)와 조절 플러그(400)와 피스톤(700)과 스프링 시트(800)와 탄성부재(500)와 플런저(600) 그리고 밸브 시트(200)를 포함한다.
중공형으로 형성된 케이스(100)의 일측에는 중공형의 조절 플러그(400)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타측은 개방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타측에는 밸브 시트(200)가 설치되고, 밸브 시트(200)의 중심에는 유입구(11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타측과 인접한 케이스(100)의 외주면에는 유출구(120)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플런저(600)가 배치된다. 플런저(600)의 외주면은 탄성부재(500)가 배치된다. 유입구(110)와 유출구(120)는 플런저(600)의 타측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메인 플런저 유로(610) 중 유입구(110)와 인접한 영역에 플런저 오리피스(620)가 형성될 수 있다.
중공형의 조절 플러그(400) 일측에는 플러그(300)가 설치된다. 중공형의 조절 플러그(400) 타측에는 피스톤(700)의 일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 플러그(400) 타측 내부에는 조절 플러그 지지부(720)와 구획부(71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0)를 통해 메인 플런저 유로(610)로 오일이 유입된다. 이때,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600)는 플러그(3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탄성부재(500)를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플런저(600)의 일측의 일영역은 피스톤(700)의 내부를 따라 슬라이딩 되며 플러그(3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피스톤(700)의 일단은 플런저(6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이다. 이때, 릴리프밸브(101)는 1차 압력까지 상승하는 상태가 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과한 오일은 피스톤 연통홀(721)을 통해 제1 챔버(410)로 이동된다. 또한, 피스톤(700)의 중공부를 통해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과한 오일이 제1 챔버(410)로 이동된다. 따라서, 피스톤(700)은 제1 챔버(410)의 영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과한 오일은 메인 플런저 유로(610)를 통해 연통 플런저 유로(630) 및 피스톤 유로(740)를 통해 제2 챔버(420)로도 공급되나, 제1 챔버(410)로 공급되는 양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피스톤(700)은 플러그(3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챔버(410)의 영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피스톤(700)이 이동함에 따라 동일한 압력에 의해 플런저(600)도 플런저(600)의 타단이 밸브 시트(2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피스톤(700)의 타단이 조절 플러그(400)의 타단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이므로, 탄성부재(500)가 가압될 수 있다.
따라서, 플런저(600)의 타단은 밸브 시트(2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릴리프밸브(101)가 설정압력까지 상승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챔버(420)에 저유된 오일은, 피스톤 유로(740) 및 연통 플런저 유로(630)를 통해 메인 플런저 유로(610)로 유입된다. 또한, 이러한 오일은 제1 챔버(41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챔버(420)가 좁아지는 방향으로 피스톤(700)은 이동되며, 메인 플런저 유로(610)로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플런저(600)는 플러그(3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피스톤(700)과 플런저(600)의 이동방향은 반대상태이다.
제2 챔버(420)가 좁아짐에 따라, 제2 챔버(420)에 저유된 오일은 저유영역(640)에 저장되고, 저유영역(640)에 저장된 오일은 연통 플런저 유로(630)를 통해 메인 플런저 유로(610)로 공급될 수 있다. 즉, 연통 플런저 유로(630)와 피스톤 유로(740)가 동축상에 위치하지 않아도, 저유영역(640)은 저유영역(640)에 저장된 오일의 이동을 효과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피스톤(700)의 타단과 연결된 스프링 시트는 피스톤(700)이 압축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동되고, 플런저(600)는 플런저(600)의 타측이 밸브 시트(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릴리프밸브(101)가 설정압력을 유지하는 상태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구(110)를 통해 메인 플런저 유로(610)로 유입되는 오일의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플런저(600)는 플런저(600)의 타측이 밸브 시트(2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피스톤(700)도 탄성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챔버(410)의 영역이 줄어드는 방향으로 플러그(300)를 향해 이동된다. 이때, 릴리프밸브(101) 내측에 잔여하는 오일은 연통 플런저 유로(630)와 피스톤 유로(740)를 통해 제2 챔버(420)에 저유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프밸브(101)는 단순한 내부 유로를 통해 릴리프압력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 101: 릴리프밸브
400: 조절 플러그 410: 제1 챔버
420: 제2 챔버 500: 탄성부재
600: 플런저 610: 메인 플런저 유로
630: 연통 플런저 유로 640: 저유영역
700: 피스톤 710: 구획부
720: 조절 플러그 지지부 721: 피스톤 연통홀
730: 탄성부재 지지부 740: 피스톤 유로

Claims (5)

  1. 케이스 내부에서 오일의 압력에 따라 탄성부재를 가압하여 릴리프압력을 조절하는 릴리프밸브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오일이 이동 가능하도록 내부에 메인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 플런저;
    내부가 중공형으로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된 조절 플러그; 및
    내주면이 상기 플런저의 일영역의 외주면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외주면의 일영역이 상기 조절 플러그 내부를 제1 챔버와 제2 챔버로 구획하며 오일의 압력 또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메인 플런저 유로와 상기 제2 챔버가 연통 가능하게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피스톤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피스톤 유로와 상기 메인 플런저 유로가 연통되도록 상기 플런저의 일영역에 상기 피스톤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연통 플런저 유로를 포함하는 릴리프밸브.
  2. 제1항에서,
    상기 피스톤은,
    일영역이 상기 조절 플러그의 내주면과 마주하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챔버와 상기 제2 챔버를 구획하는 구획부;
    상기 메인 플런저 유로와 상기 제1 챔버가 서로 연통 되도록 피스톤 연통홀이 형성된 조절 플러그 지지부; 및
    상기 구획부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절 플러그로부터 돌출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지지 가능한 탄성부재 지지부
    를 더 포함하는 릴리프밸브.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연통 플런저 유로가 형성된 상기 플런저의 외주면 일영역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일을 저유하는 저유영역을 더 포함하는 릴리프밸브.
KR1020180165520A 2018-12-19 2018-12-19 릴리프밸브 KR10215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20A KR102151124B1 (ko) 2018-12-19 2018-12-19 릴리프밸브
CN201911310739.1A CN111336290B (zh) 2018-12-19 2019-12-18 安全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5520A KR102151124B1 (ko) 2018-12-19 2018-12-19 릴리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6425A KR20200076425A (ko) 2020-06-29
KR102151124B1 true KR102151124B1 (ko) 2020-09-02

Family

ID=7118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5520A KR102151124B1 (ko) 2018-12-19 2018-12-19 릴리프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1124B1 (ko)
CN (1) CN1113362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42602B2 (ja) 2019-04-20 2022-09-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リリーフ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571B1 (ko) 2009-02-27 2010-04-01 (주)동우정공 건설중장비용 릴리프밸브
JP2012255484A (ja) * 2011-06-08 2012-12-27 Kawasaki Heavy Ind Ltd リリーフ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0636A (en) * 1990-10-17 1991-09-24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Relief valve
JP3228566B2 (ja) * 1992-07-30 2001-11-12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リリーフ弁
JP2908435B1 (ja) * 1998-06-12 1999-06-21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リリーフ弁
JP4018659B2 (ja) * 2004-03-29 2007-12-05 株式会社カワサキプレシジョンマシナリ リリーフ弁装置
CN105909583B (zh) * 2016-03-02 2018-01-30 杭州力龙液压有限公司 缓冲式溢流阀及液压系统
JP7142602B2 (ja) * 2019-04-20 2022-09-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リリーフ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571B1 (ko) 2009-02-27 2010-04-01 (주)동우정공 건설중장비용 릴리프밸브
JP2012255484A (ja) * 2011-06-08 2012-12-27 Kawasaki Heavy Ind Ltd リリーフ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336290B (zh) 2022-08-09
CN111336290A (zh) 2020-06-26
KR20200076425A (ko) 202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7080A1 (en) Variable flow-rate hydrostatic bearing
US4194527A (en) Pressure limiting valve
KR0130578B1 (ko) 유압 파이롯트 밸브 장치
EP3551914B1 (en) Flow and pressure stabilizatio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JP2012506523A (ja) 減衰装置
CN103122880A (zh) 可调先导减压阀
KR102151124B1 (ko) 릴리프밸브
JP5856917B2 (ja) 減圧弁
US4289277A (en) Constant pressure nozzle with modulation effect
KR101675991B1 (ko) 완충기
CN104321555A (zh) 阻尼阀
CN107073694B (zh) 撞击装置
US10088066B2 (en) Hydraulic valve
KR20080077007A (ko) 액츄에이터 제어 장치
KR20110139837A (ko) 연료 압력 조절장치
JP6198926B1 (ja) 油圧緩衝器
KR101805583B1 (ko) 릴리프밸브
JP2012017796A (ja) リリーフバルブ
JP2015048863A (ja) 可変絞り形静圧軸受
US20200012300A1 (en) Filter-included energy-saving large-capacity direct-acting precision pressure regulation valve
JP2012017797A (ja) リリーフ圧変更機能付きリリーフバルブ
KR101793791B1 (ko) 유로 차단 기능을 구비한 감압밸브 장치
JP2015219581A (ja) 減圧弁
US833062A (en) Relief-valve.
KR100784376B1 (ko) 쇽업소버의 감쇠력 가변 솔레노이드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