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9837A - 연료 압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압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9837A
KR20110139837A KR1020100059902A KR20100059902A KR20110139837A KR 20110139837 A KR20110139837 A KR 20110139837A KR 1020100059902 A KR1020100059902 A KR 1020100059902A KR 20100059902 A KR20100059902 A KR 20100059902A KR 20110139837 A KR20110139837 A KR 20110139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fuel
fuel pressure
closing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109B1 (ko
Inventor
김경환
백세동
모동헌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비스
Priority to KR1020100059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109B1/ko
Priority to US13/167,953 priority patent/US8511339B2/en
Publication of KR2011013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3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membr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29Pressure regulator in the low pressure fuel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0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 G05D16/063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 G05D16/064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 G05D16/0655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 G05D16/0658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flexible membrane, yielding to pressure, e.g. diaphragm, bellows, capsule the sensing element being a membrane the membrane acting directly on the obturator using one spring-loaded membrane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obtu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54Arrangement of fuel pressure reg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7Ball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94With means for separating solid material from the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일정영역 개방되어 형성되는 밸브 가압부재의 내측에 개폐볼 삽입홈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밸브가 작동 시에도 상기 개폐볼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확한 압력 제어 및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는 내부에 연료가 유동될 수 있는 중공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30)의 양 단에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20)가 구비되어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100) 및 상기 출구포트(120)를 개폐하는 개폐볼(200, 20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개방부(310) 및 방사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개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볼(200, 201)을 상기 출구포트(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디스크 형상의 밸브 가압부재(300); 상기 밸브(100) 및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를 수용하는 하우징(4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료 압력 조절장치{Fuel pressure controlle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공급장치에 사용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일정영역 개방되어 형성되는 밸브 가압부재의 내측에 개폐볼 삽입홈이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밸브가 작동 시에도 상기 개폐볼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확한 압력 제어 및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연료공급장치에서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며 원활한 연료 공급을 하기 위해 밸브가 구비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가 사용된다.
연료펌프에 의해 연료탱크에서 연료가 분사 될 때의 압력은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의해 조절되어 연료는 연료 분사장치로 이동된다.
이 때, 연료 분사장치로 분사되고 남은 연료는 연료공급장치의 형태에 따라 상기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통해 연료 탱크 내부 또는 리저버로 돌아간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는 크게 밸브(10), 밸브시트(11), 볼(20), 하우징(30), 다이아프램(40), 스프링(50)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료 압력 조절장치(1)는 상당한 수의 부품을 필요로 하고, 조립 공정의 어려움으로 재료 및 생산 원가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종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는 밸브(10′)에 형성되어 있는 유동 통로와 함께 밸브 시트(11′)에 안착되어 있는 개폐볼(20′)에 가압되는 밸브 가압부재(30′)를 사용한다.
낮은 연료 압력에서는, 상기 연료 압력 조절장치(1′)를 통과하는 연료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폐볼(20′)이 폐쇄 위치로 가압된다.
연료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밸브 시트(11)에 안착되어 있는 개폐볼(20)에 대한 압력은 밸브 가압부재(30′)의 가압력을 이겨내고, 개폐볼(20′)이 이동하여 연료가 밸브 시트(11′)를 통하여 흐르도록 함으로써, 연료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밸브 가압부재(30′)의 중심부와 상기 개폐볼(20′)이 접촉하는 부분에는 정확한 안착면이 없어 조립 공정 시 상기 개폐볼(20′)이 이탈 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개폐볼(20′)이 중심을 벗어나 조립이 될 경우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으며, 비선형적으로 상기 개폐볼(20′)이 이동하여 연료의 압력 조절 성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구비되는 밸브 가압부재에 개폐볼이 안착될 수 있는 개폐볼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료 압력 조절장치 작동 시 개폐볼의 이탈을 방지하여 정확한 압력 제어가 가능하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의 부품수를 줄임으로써, 원가절감과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연료 압력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밸브 가압부재에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진 개방부가 형성됨으로써, 작용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선형적으로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가 발생되고,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보다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가 더 작게 조절되어 압력의 미세조절이 가능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는 내부에 연료가 유동될 수 있는 중공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30)의 양 단에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20)가 구비되어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100) 및 상기 출구포트(120)를 개폐하는 개폐볼(200, 20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개방부(310) 및 방사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개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볼(200, 201)을 상기 출구포트(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디스크 형상의 밸브 가압부재(300); 상기 밸브(100) 및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를 수용하는 하우징(4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상기 개폐볼(200)이 내측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개폐볼 삽입부(330)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볼(200)은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의 바닥면과 접하며 안착되도록 일측면이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일측에 구면체 형상의 개폐볼(20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출구포트(12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개방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부(320)는 방사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제1개방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개방부(320)는 방사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는 일정 영역 상호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구포트(120)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볼(200)이 상기 출구포트(120)로의 연료 유동을 막기 위해 상기 출구포트(120)를 밀봉하며 상기 출구포트(120)의 단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개폐볼(200, 201)과 접하며 내측으로 경사져서 파이는 개폐볼 안착면(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밸브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밸브를 고정하는 밸브 하우징부(410); 상기 밸브 가압부재를 수용하며 고정하도록 상기 밸브 가압부재의 하측면 지지하며 상기 밸브 가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밸브 가압부재 하우징부(4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400)은 용접 또는 클램프(clamp)되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 및 상기 밸브(100)에 부착되어 밀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1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실링부재(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입구포트(110)에는 상기 밸브(100)를 통해 유동되는 연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연료필터(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에 구비되는 밸브 가압부재에 개폐볼이 안착될 수 있는 개폐볼 삽입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연료 압력 조절장치 작동 시 개폐볼의 이탈을 방지하여 정확한 압력 제어가 가능하고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 가압부재와 개폐볼을 일체형으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부품 구성수를 줄여 원가절감과 조립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 가압부재에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진 개방부가 형성됨으로써, 작용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선형적으로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가 발생되고,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보다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가 더 작게 조절되어 압력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 가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밸브 가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와 본 발명의 밸브 가압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에 사용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밸브(100) 내에서 개폐볼(200, 201)의 이동 거리에 따라 유로의 단면적이 가변되게 하여 압력 제어특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밸브 가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연료 압력 조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밸브 가압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와 본 발명의 밸브 가압부재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를 측정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는 크게 밸브(100), 개폐볼(200), 밸브 가압부재(300), 하우징(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100)는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20)가 구비되며,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중공부(130)가 형성되어 상기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20)는 상호 연통된다.
상기 출구포트(120)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볼(200, 201)이 상기 출구포트(120)로의 연료 유동을 막기 위해 상기 출구포트(120)를 밀폐하며 안착되도록 상기 개폐볼(200)과 접하며 내측으로 경사져서 파이는 개폐볼 안착면(14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볼(200, 201)은 상기 개폐볼 안착면(140)에 안착되어 연료의 압력에 따라 상기 출구포트(120)를 개폐한다.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디스크 형상으로 상기 개폐볼(200, 201)을 상기 출구포트(120) 방향으로 가압하며, 원주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개방부(310) 및 방사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개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밸브(100) 및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를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밸브(100)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밸브(100)를 고정하는 밸브 하우징부(410);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를 수용하며 고정하도록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하측면 지지하며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외주면을 감싸는 밸브 가압부재 하우징부(420); 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400)은 용접 또는 클램프(clamp) 되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 및 상기 밸브(100)에 밀착되어 부착된다.
상기 입구포트(110)에는 상기 밸브(100)를 통해 유동되는 연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연료필터(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료필터(500)는 일반적으로 원형이며, 그물형태의 여과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입구포트(110)와 인접하여 상기 밸브(1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실링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00)는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의 입구포트(110)가 연료공급장치의 다른 구성요소와 조립되어 연결될 때,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구비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100)의 입구포트(110)를 통해 연료펌프로부터 보내지는 연료는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로 전달된다.
연료는 먼저 연료필터(500)를 통과하여 상기 밸브(100)의 중공부(13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중공부(130) 내부로 유입된 연료는 상기 개폐볼(200, 201)을 상기 개폐볼 안착면(14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밀어되어 상기 밸브(100)의 출구포트(120)가 개방되도록 한다. 연료는 상기 개폐볼(200, 201)과 개폐볼 안착면(14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통해 방출된다.
연료가 방출되면, 상기 개폐볼(200, 201)은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볼 안착면(140)으로 되돌아와 상기 출구포트(120)가 밀폐될 수 있도록 가압된다.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상기 밸브(100)를 통과하는 연료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개폐볼(200, 201)이 상기 개폐볼 안착면(140)으로부터 이격되어 올려지는 변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밸브(100)의 입구포트(110)로부터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에 의해 상기 개폐볼(200, 201)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클 때, 상기 개폐볼(200, 201)은 상기 개폐볼 안착면(140)으로부터 이격되어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에 의한 압력이 연료의 압력보다 커질 때까지 연료는 상기 밸브(100)의 출구포트(120)를 지나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를 통해 방출되며, 연료의 압력이 줄어들면 상기 개폐볼(200, 201)은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압력에 의해 상기 출구포트(120)를 밀폐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상기 개폐볼(200)이 내측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개폐볼(200)의 일측은 상기 밸브(100)의 출구포트(120) 단면에 형성되는 상기 개폐볼 안착면(140)에는 안착되며, 상기 개폐볼(200)의 타측은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개폐볼 삽입부(330)에 삽입되고, 상기 밸브(100), 개폐볼(200) 및 밸브 가압부재(300)의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400)에 의해 수용된다.
상기 개폐볼(200)은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의 바닥면과 접하며 안착되도록 일측면이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볼(200)은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 되어 있다.
상기 개폐볼(200)은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에 용접되어 영구 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일측에 구면체 형상의 개폐볼(201)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일측에 일체 형성된 개폐볼(201)을 통해 상기 밸브(100)의 출구포트(120)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일측에 형성된 개폐볼(201)에 의해 상기 밸브(100)의 출구포트(120) 단면에 형성된 개폐볼 안착면(140)에 안착된 다음, 상기 밸브(100)와 밸브 가압부재(300)는 상기 하우징(400)에 의해 수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볼(201)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의 조립공정은 간소화되고 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제1개방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개방부(320)는 방사방향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개방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부(320)는 방사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는 일정 영역 상호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상기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는 동일한 폭으로 개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규칙성을 갖되, 상기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의 개수와 배열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뒷받침을 위해 종래 연료 압력조절장치(1)의 밸브 가압부재(30)와 본 발명의 밸브 가압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개폐볼(200, 201)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상기 개폐볼(200, 201)이 이동하는 변위를 측정한 결과는 도 9의 그래프와 같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 가압부재에 원주방향 및 방사방향으로 동일한 폭을 가진 제1개방부 및 제2개방부가 형성됨으로써, 작용되는 연료의 압력에 따라 선형적으로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가 발생되고, 종래의 밸브 가압부재보다 개폐볼이 이동하는 변위가 더 작게 조절되어 압력의 미세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연료 압력 조절장치
100 : 밸브
110 : 입구포트 120 : 출구포트
130 : 중공부 140 : 개폐볼 안착면
200, 201 : 개폐볼
300 : 밸브 가압부재
310 : 제1개방부 320 : 제2개방부
330 : 개폐볼 삽입부
400 : 하우징
410 : 밸브 하우징부 420 : 밸브 가압부재 하우징부
500 : 연료필터
600 : 실링부재

Claims (11)

  1. 내부에 연료가 유동될 수 있는 중공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130)의 양 단에 입구포트(110)와 출구포트(120)가 구비되어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밸브(100) 및 상기 출구포트(120)를 개폐하는 개폐볼(200, 201)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연료공급장치의 연료 압력 조절장치(1000)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1개방부(310) 및 방사방향으로 일정 영역 개방되도록 상·하면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제2개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볼(200, 201)을 상기 출구포트(120) 방향으로 가압하는 디스크 형상의 밸브 가압부재(300);
    상기 밸브(100) 및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를 수용하는 하우징(40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상기 개폐볼(200)이 내측에 강제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개폐볼 삽입부(330)가 일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볼(200)은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의 바닥면과 접하며 안착되도록 일측면이 상기 개폐볼 삽입부(330)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는 일측에 구면체 형상의 개폐볼(201)이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출구포트(120)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부(310)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제2개방부(320)는 방사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의 제1개방부(310) 및 제2개방부(320)는 상호 연통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포트(120)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볼(200, 201)이 상기 출구포트(120)로의 연료 유동을 막기 위해 상기 출구포트(120)를 밀봉하며 상기 출구포트(120)의 단부에 안착되도록, 상기 개폐볼(200, 201)과 접하며 내측으로 경사져서 파이는 개폐볼 안착면(1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상기 밸브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밸브를 고정하는 밸브 하우징부(410);
    상기 밸브 가압부재를 수용하며 고정하도록 상기 밸브 가압부재의 하측면 지지하며 상기 밸브 가압부재의 외주면을 감싸는 밸브 가압부재 하우징부(4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400)은 용접 또는 클램프(clamp)되어 상기 밸브 가압부재(300) 및 상기 밸브(100)에 부착되어 밀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100)의 하부 외주면에는 실링부재(6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110)에는 상기 밸브(100)를 통해 유동되는 연료를 필터링하기 위한 연료필터(5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압력 조절장치.
KR1020100059902A 2010-06-24 2010-06-24 연료 압력 조절장치 KR101146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02A KR101146109B1 (ko) 2010-06-24 2010-06-24 연료 압력 조절장치
US13/167,953 US8511339B2 (en) 2010-06-24 2011-06-24 Fuel pressure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02A KR101146109B1 (ko) 2010-06-24 2010-06-24 연료 압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9837A true KR20110139837A (ko) 2011-12-30
KR101146109B1 KR101146109B1 (ko) 2012-05-16

Family

ID=45351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902A KR101146109B1 (ko) 2010-06-24 2010-06-24 연료 압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11339B2 (ko)
KR (1) KR1011461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29U (ko) * 2018-10-29 2020-12-1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보조압력을 이용한 압력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74765B2 (ja) * 2014-11-12 2018-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環状バネ、並びに、それを用いたトルク検出装置及びロボット関節機構
FR3054609A1 (fr) * 2016-07-29 2018-02-02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 Res Regulateur de debit de ventilation pour un reservoir pressurise de vehicule.
KR20180082765A (ko) 2017-01-11 2018-07-19 주식회사 피에스아이 연료 압력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49971A (en) * 1939-03-31 1941-07-22 Gen Motors Corp Cooling system pressure relief device
US2676608A (en) * 1945-07-16 1954-04-27 Odin Corp Valve structure
US2947529A (en) * 1957-12-03 1960-08-02 Bell & Howell Co Disc-type suspension spring
US2935995A (en) * 1959-06-09 1960-05-10 Lee Beckham Reversible valve assembly for pumps
US3324673A (en) * 1965-07-19 1967-06-13 Universal American Corp Refrigeration system with check valve
US3536315A (en) * 1968-08-14 1970-10-27 Speedring Corp Diaphragm spring
US4045009A (en) * 1975-11-17 1977-08-3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nergy absorbing unit with improved control valve
JPH05263732A (ja) * 1992-03-17 1993-10-12 Hitachi Ltd 燃料調圧弁
US6293259B1 (en) * 1999-05-14 2001-09-25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Automotive fuel system having a pressure regulator without a movable diaphragm
JP3742862B2 (ja) * 2003-03-05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
DE102004012281A1 (de) * 2003-03-14 2004-11-04 Denso Corp., Kariya Einfacher Aufbau eines Kraftstoffdruckreglers, der zum Minimieren eines Druckverlustes ausgelegt ist
JP4175516B2 (ja) * 2004-07-28 2008-11-05 京三電機株式会社 燃料圧力調整装置
US20060108005A1 (en) * 2004-11-24 2006-05-25 Bennet Jan L Pressure regulator valve biasing member with reticulated concentric rings
US7984728B2 (en) * 2004-10-22 2011-07-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Fuel pressure regulator valve assembly
US7819132B2 (en) * 2004-11-24 2010-10-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Pressure regulator with ceramic valve element
KR100981086B1 (ko) * 2008-08-13 2010-09-0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시스템용 압력조절기
US20110186152A1 (en) * 2010-01-29 2011-08-04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ompact Flow-Through Fuel Pressure Regul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729U (ko) * 2018-10-29 2020-12-16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보조압력을 이용한 압력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109B1 (ko) 2012-05-16
US8511339B2 (en) 2013-08-20
US20110315242A1 (en)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6203B2 (ja) 内燃機関の燃料インジェクターを制御するためのサーボバルブ
KR100552137B1 (ko) 흡인 밸브
KR102510781B1 (ko) 기상 매질을 제어하기 위한 계량공급 밸브 및 제트 펌프 유닛
US7740006B2 (en) Fuel-feeding devices
US11105437B2 (en) Combined inlet and outlet check valve seat
JP2011256879A (ja)
KR101146109B1 (ko) 연료 압력 조절장치
KR102501055B1 (ko) 흡입 디바이스.
CN110242785B (zh) 电磁阀
KR101238320B1 (ko) 솔레노이드 펌프
JP6531633B2 (ja) 電磁弁
US7380569B2 (en) Valve body for backflow prevention valve
JP2001227662A (ja) 圧力制御弁及び圧力制御弁の製造方法
CN111373158B (zh) 具有用于控制气态介质的配量阀的喷射泵单元
KR101817796B1 (ko) 차량용 고압 연료펌프
JP2012504740A (ja) 流体を供給するためのバルブ
KR102067395B1 (ko) 밸브 장치
KR20200084351A (ko) 기상 매질을 제어하기 위한 계량 밸브 및 제트 펌프 유닛
KR20220134652A (ko) 내연기관용 연료 분사 밸브
JP2012102874A (ja) 改善されたシール座を有する比例弁
CN110770485B (zh) 用于控制气态介质的比例阀和燃料电池组件
JP6523739B2 (ja) 弁装置
JP6968275B2 (ja) 気体状の媒体を制御するための調量弁
US9303787B2 (en) Thermostatic slide valve for a motor vechicle
JP2019120318A (ja) バルブ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