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668B1 -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668B1
KR102150668B1 KR1020190082219A KR20190082219A KR102150668B1 KR 102150668 B1 KR102150668 B1 KR 102150668B1 KR 1020190082219 A KR1020190082219 A KR 1020190082219A KR 20190082219 A KR20190082219 A KR 20190082219A KR 102150668 B1 KR102150668 B1 KR 102150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unit
temples
lighting device
te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용진
Original Assignee
왕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용진 filed Critical 왕용진
Priority to KR102019008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4Illumin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10Electronic devices other than hearing a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광원을 구비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내장되고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케이블로 이루어진 굴절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굴절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시술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직접 연결되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조명부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LAMP STRUCTURE ATTACHABLE ON TEMPLES OF GLASSES}
본 발명은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장치를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안경다리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한 신체조직을 대상으로 의료행위를 하는 경우 확대경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의료행위에서는 양손을 모두 다 사용할 필요가 있으므로 확대할 시술 대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곳에 대형의 확대경을 고정하고 상기 확대경을 통해 시술 대상을 보면서 시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대형의 확대경을 사용하는 경우 시술 대상이 다수인 경우 위치를 계속 변경하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대형의 확대경을 사용하는 대신 안경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여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는 헤드루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헤드루페는 다수개의 렌즈를 조합하여 높은 배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안경 형태에 렌즈를 결합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루페를 착용하거나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정밀한 의료행위를 수행해야 하므로 조명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시술대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고정된 조명을 설치하여 시술 대상을 밝히도록 하고 있으나, 시술 대상의 형태나 주변의 환경에 따라 조명이 가려져 명확한 진단이나 수술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시술 대상에 조사하는 조명의 위치를 조정하고 싶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조명이 시술자로부터 떨어져 있어 조명의 위치를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19444호(2015.02.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자가 착용하는 안경의 안경다리에 조명장치에 의한 시야의 가림을 방지하고, 무게감을 줄이며,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원부가 조명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컴팩트한 외관을 지향하고 무게감이 거의 없으면서 휴대가 간편한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술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명부의 각도, 길이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안경다리 좌측 혹은 우측에 동일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원을 구비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내장되고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케이블로 이루어진 굴절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굴절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시술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직접 연결되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조명부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굴절부에는 금속의 조직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열풀림 가공을 통해 제조된 금속선이 내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의 전원선과 함께 상기 굴절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안경다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다리와 대응하도록 연장된 중공의 실린더부; 및, 상기 시술자의 얼굴 면에 대응하는 상기 실린더부의 측면에 일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얼굴 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견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견착부에는 견착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부와 이격되는 각각의 연장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연장부의 각 단부측에는 상기 안경다리와 상기 견착부를 고무 O링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전원부에는 배터리가 보관되는 배터리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수용부로부터 상기 조명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에 의하면, 조명장치를 시술자가 착용하는 안경의 안경다리에 좌우 구별 없이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부착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술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명부의 각도, 길이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빛을 조사하여 시야의 가림이 없이 뚜렷하게 시야 확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부가 조명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컴팩트한 외관을 지향하고 조명장치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안경다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를 안경다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안경을 착용한 시술자에게 적용되는 조명장치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헤드루페를 착용한 시술자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10)는 조명부(100), 굴절부(200), 고정부(300) 및 전원부(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조명부(100)는 시술자가 시술 대상에 대한 관찰 부분을 조사하여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은 통상적으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사용되도록 구비하게 된다. 이는 조명장치(10)가 안경에 장착되므로 중량이 무거울 경우 시술자가 쉽게 피로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중량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발광다이오드는 중량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밝고 전력소모가 적으며 수명이 반영구적이라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조명부(100)의 하우징 내에는 광원으로부터 발산하는 열이 방출되어 발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열판이 구비될 수 있다.
굴절부(200)는 조명부(100)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내장되고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조명부(100)의 각도, 길이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굴절부(200)는 조명부(10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금속선이 관통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외피는 전체적으로 경량의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재 특성을 위해 금속선은 일정한 온도까지 가열, 냉각을 반복하여 금속의 조직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열풀림(thermal annealing) 가공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선이 휘어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굴절부(200)의 외피는 금속선 전체를 감싸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300)는 시술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다리(t)에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조명부(100)와 굴절부(200)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관통하여 연장되며 굴절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중공의 실린더부(310)가 굴절부(200)의 후방으로 연장된다.
또한, 고정부(300)는 실린더부(3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얼굴 면에 밀착되어 조명장치(10)가 흔들리거나 회전하지 않는 상태로 안경다리(t)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견착부(320)를 포함한다.
실린더부(310)는 조명부(100)의 전원선과 함께 굴절부(20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관형으로서, 안경다리(t)가 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안경다리(t)에 대응하도록 평행하게 연장된 상태로 형성된다.
견착부(320)는 시술자의 얼굴 면에 대응하는 실린더부(310)의 측면에 일체 고정된다.
견착부(320)는 실린더부(310)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각각 연장되어 얼굴 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서, 견착부(320)의 외측 면 또는 내측 면이 안경다리(t)의 면과 밀착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견착부(320)를 안경다리(t)에 고정하여 조명장치(10)가 안정적으로 안경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견착부(320)에는 안경다리(t)에 대응하는 방향, 견착부(320)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연장부(330,340)가 형성된다.
연장부(330,340)에는 실린더부(310)와 이격되어 형성되며, 고무 O링(r)을 통해 안경다리(t)와 견착부(3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연장부(330,340)의 각 단부측에는 고정홈(h)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무 O링(r)은 안경다리(t)와 견착부(3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안경다리(t)와 견착부(320)를 일체로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고정수단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고정부(300)의 연장부(330,340)를 고무 O링(r)을 통해 안경다리(t)에 고정하지 않고, 실린더부(310)와 견착부(320) 간의 부착 면 사이에 안경다리(t)가 위치될 경우에는 견착부(320)가 안경다리(t)와 얼굴 면 사이에 삽입되는 동시에 얼굴 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므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조명장치(1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안경다리(t)에 조명장치(10)를 거치하여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는 고무 O링(r)과 같은 고정수단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전원부(400)는 장시간에 걸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건전지와 충전지와 같은 배터리(420)가 보관되는 배터리수용부(410)로부터 조명부(100)에 연결된 전원선을 통해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배터리수용부(410)에는 배터리(420)가 삽입되어 회로가 닫히면 조명부(100)로 전류를 공급하여 스위치 온(on)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전원부(400)는 전원선이 관통하는 실린더부(310)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부(450)는 전원부(400)의 회로 일측에 설치되어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전류의 공급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안경다리(t)에 조명장치(10)를 거치하는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조명부(100) 대신에 확대경 등과 같이 시야 확보에 유리한 의료 기구를 고정하여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명부(100)가 구비된 조명장치(10)를 시술자가 착용하는 안경의 안경다리(t)에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부착하여 시술자의 시야 확보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의 전면에 위치하는 조명부(100)의 각도, 길이 및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빛을 조사함으로써, 시야 확보를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부(400)가 조명부(100)와 일체로 연결되어 컴팩트한 외관을 지향하고 조명장치의 휴대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명장치 100 : 조명부
200 : 굴절부 300 : 고정부
400 : 전원부

Claims (6)

  1. 광원을 구비하는 조명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내장되고 다방향으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플렉시블한 케이블로 이루어진 굴절부;
    상기 조명부로부터 연장된 전원선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굴절부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시술자가 착용한 안경의 안경다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직접 연결되며,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상기 조명부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전원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명부의 전원선과 함께 상기 굴절부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안경다리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경다리와 대응하도록 연장된 중공의 실린더부; 및,
    상기 시술자의 얼굴 면에 대응하는 상기 실린더부의 측면에 일체 고정되며, 상기 실린더부를 중심으로 상하 양쪽에 각각 연장되어 상기 얼굴 면에 밀착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견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에는 금속의 조직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열풀림 가공을 통해 제조된 금속선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착부에는 견착부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실린더부와 이격되는 각각의 연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각 단부측에는 상기 안경다리와 상기 견착부를 고무 O링을 통해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에는 배터리가 보관되는 배터리수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수용부로부터 상기 조명부로 전류를 공급하는 회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KR1020190082219A 2019-07-08 2019-07-08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KR102150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19A KR102150668B1 (ko) 2019-07-08 2019-07-08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219A KR102150668B1 (ko) 2019-07-08 2019-07-08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668B1 true KR102150668B1 (ko) 2020-09-01

Family

ID=7245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219A KR102150668B1 (ko) 2019-07-08 2019-07-08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6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566Y1 (ko) * 2000-12-15 2001-06-15 김종식 조명등과 돋보기 및 야광판과 후사경이 갖추어진 착탈형라이트 안경
US20040150986A1 (en) * 2003-01-30 2004-08-05 Hsien-Tsung Chang Magnetically attachable light assembly for glasses
JP3171527U (ja) * 2011-08-25 2011-11-04 有限会社近藤研究所 眼鏡着脱式ライト
KR20150019444A (ko) 2013-08-14 2015-02-25 김용배 의료용 조명 램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7566Y1 (ko) * 2000-12-15 2001-06-15 김종식 조명등과 돋보기 및 야광판과 후사경이 갖추어진 착탈형라이트 안경
US20040150986A1 (en) * 2003-01-30 2004-08-05 Hsien-Tsung Chang Magnetically attachable light assembly for glasses
JP3171527U (ja) * 2011-08-25 2011-11-04 有限会社近藤研究所 眼鏡着脱式ライト
KR20150019444A (ko) 2013-08-14 2015-02-25 김용배 의료용 조명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988B2 (en) Headlamp
US6902290B2 (en) Finger-mounted light for variable light output
JP6883979B2 (ja) ヘッドライト
JP5455650B2 (ja) 装着可能な手術器具用携帯型照明装置
US20060285316A1 (en) Hybrid surgical headlight system utilizing dual illumination paths and coaxial optics
US20120253137A1 (en) Surgical illumination system
US10500011B2 (en) Illumination device for illuminating a body cavity in a surgical space
JP3178405U (ja) 照明付き観察装置
US6575588B2 (en) Lamp device which is worn on the head
US20110107491A1 (en) Welding Helmet Light/Strike Light
EP2916711B1 (en) Intracavity illumination device
KR102150668B1 (ko) 안경다리 부착형 조명장치
US6039461A (en) Compact high-intensity lighting assembly
US9851074B2 (en) Surgical illuminator
JP6283150B1 (ja) 頭部装着型照明装置
JP2008038306A (ja) 視認性を向上させた作業用手袋
US20060229593A1 (en) Surgical Illumination insert
KR20180072226A (ko)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JP3829287B2 (ja) 耳鼻咽喉科用照明付観察装置
KR20200098973A (ko)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JP3230508U (ja) 医療用ヘッドランプ
US20010033486A1 (en) Non-shadow multi-position lighted instrument holder
JP6909450B2 (ja) 照明器具
JP7032794B2 (ja) 顕微鏡用照明器具
US20150198755A1 (en) Lighting Control for Ambient Light Powered Retic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