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8973A -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 Google Patents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8973A
KR20200098973A KR1020190016773A KR20190016773A KR20200098973A KR 20200098973 A KR20200098973 A KR 20200098973A KR 1020190016773 A KR1020190016773 A KR 1020190016773A KR 20190016773 A KR20190016773 A KR 20190016773A KR 20200098973 A KR20200098973 A KR 20200098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lighting
lighting unit
portable medical
gla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운하
강보성
변준섭
박차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유
Priority to KR1020190016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8973A/ko
Publication of KR20200098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90/35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21V21/30Pivoted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681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00734Asp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batter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50Supports for surgical instruments, e.g. articulated arms
    • A61B2090/502Headgear, e.g. helmet, spec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안경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안경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Portable headlight for medical treatment}
본 발명은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및 안경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헤드라이트는 시술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기구로, 시술 부위를 집중적으로 조명하여, 시술자의 육안 판별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2264호(2001.05.16. 등록)는 의료용 헤드라이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내면이 머리상부 및 이마와 접촉되는 띠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단부에 연결되며 발산되는 빛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각도조절부 일단에 연결되며 전방의 소밀한 부위로 빛을 집중하여 발산하게 하는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환자의 환부를 관찰하는 의료용 헤드라이트에 있어서, 상기 발광수단은 상기 발광수단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며 백색광을 발산하는 LED조합으로 구성된 발광체를 포함하여 색대비차에 의한 환부 관찰의 명료함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14993호(2012.02.03 등록)는 눈 위치를 추적하는 의료용 헤드램프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머리에 착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일측에 연결되는 위치 조절수단; 상기 위치 조절수단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위치 조절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이며 전단 일측으로 광을 조사하는 램프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눈의 위치를 촬영하는 촬영수단; 상기 구동수단 및 촬영수단에 연결 설치되어 촬영수단으로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눈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눈 위치에 따라 구동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 구동수단 및 램프부에 연결 설치되어 전류를 인가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램프부는 램프부의 외관을 제공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홈이 형성되도록 위치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홈에 삽입되어 안착되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몸체의 회전에 따라 노출면적이 변화되어 광조사범위가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의료용 헤드라이트는, 시술자의 머리에 직접 착용되기 때문에 시술자의 움직임에 제한이 있고 사술자의 머리를 압박하여 장시간 사용 시 통증 및 피로감이 있었으며,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고 그림자가 발생함에 따라 시술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3226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1499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 및 안경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안경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조명부는, 안경에 장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의 전방에 형성되어, 빛을 발산하기 위한 조명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조명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재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및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가 안경에 장착되도록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단과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재; 상기 배터리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 상기 배터리부재와 상기 조명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부와 전원공급부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조명부와 전원공급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부가 안경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안경 또는 루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시술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지 않아 피로감을 줄이고 움직임이 자유로운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명부를 원하는 각도 및 밝기로 조절이 가능하여 시술자의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장착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각도조절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10)는, 조명부(100), 전원공급부(200)를 포함한다.
조명부(100)는, 안경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여 시술 부위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여기서, 안경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안경 및 수술용 확대안경(루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명부(100)는, 다수개의 LED로 이루어져 전원공급부(2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00)는, 조명부(100)와 연결되며, 조명부(1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200)는, 조명부(100)에 연결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전원공급부(20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10)는, 조명부(100)와 전원공급부(200)의 전체적인 부피가 작고 가벼울 뿐만 아니라, 조명부(100)와 전원공급부(200)가 서로 분리 가능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시술자의 시야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장착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착부재(110)는, 제1 브라켓(111), 제2 브라켓(112), 힌지(113), 스프링(114)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111)은, 하부가 제2 브라켓(112)의 하부와 접촉 또는 이격된다.
제2 브라켓(112)은, 제1 브라켓(111)과 마주보게 형성되며,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하부가 제1 브라켓(111)의 하부와 접촉 또는 이격된다.
힌지(113)는, 제1 브라켓(111)의 상부와 제2 브라켓(112)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브라켓(111)과 제2 브라켓(112) 사이를 회동시킨다.
스프링(114)은, 제1 브라켓(111)과 제2 브라켓(112)의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브라켓(111)의 하부와 제2 브라켓(112)의 하부가 안경에 장착되도록 탄력을 제공한다.
즉, 장착부재(110)는, 시술자가 제1 브라켓(111)의 상부와 제2 브라켓(112)의 상부에 압력을 가하면 힌지(113)에 의해 제1 브라켓(111)과 제2 브라켓(112) 사이가 회동하면서 제1 브라켓(111)의 하부와 제2 브라켓(112)의 하부가 이격되고, 압력을 해제하면 스프링(114)의 탄력에 의해 제1 브라켓(111)의 하부와 제2 브라켓(112)의 하부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집게 형태로서,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는 안경 또는 루페에 장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10)는, 미끄럼방지수단(115), 고정홈(1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방지수단(115)는, 제1 브라켓(111)의 하단과 제2 브라켓(112)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안경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미끄럼방지수단(115)은, 실리콘,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되어, 안경에 밀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고정홈(116)은, 제1 브라켓(111) 또는 제2 브라켓(112)의 상부에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케이블부재(230)를 삽입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홈(116)은, 케이블부재(230)를 삽입 고정함으로써, 케이블부재(230)가 꼬이거나 시술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정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10)는, 장착부재(110)를 통해 안경에 장착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안경 또는 루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에 제한이 없으며, 시술자의 신체에 직접 착용되지 않아 피로감을 줄이고 움직임이 자유로워진다.
도 3은 도 1에 있는 각도조절부재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도조절부재(130)는, 힌지핀(131), 결합볼트(132), 결합너트(133), 조절볼트(134), 조절너트(135)를 포함한다.
힌지핀(131)은, 장착부재(110)와 조명부재(120) 사이에 결합 형성되어, 상하로 회동하면서 조명부재(120)의 각도를 조절한다.
결합볼트(132)는, 장착부재(110)와 힌지핀(131)의 일측을 관통하여, 힌지핀(131)의 일측을 장착부재(110)에 결합시킨다.
결합너트(133)는, 결합볼트(132)가 관통된 부분에 결합되어, 결합볼트(132)를 고정한다.
조절볼트(134)는, 조명부재(120)와 힌지핀(131)의 다른 일측을 관통하여, 힌지핀(131)을 회동시켜 조명부재(120)의 각도를 조절한 후 고정시킨다.
조절너트(135)는, 조절볼트(134)가 관통된 부분에 결합되어, 조절볼트(134)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10)는, 조명부재(12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이 가능하여 시술자의 조작에 따라 정확한 위치에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전원공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200)는, 배터리부재(210), 수용부재(220), 케이블부재(230), 스위치부재(240), 고정부재(250)를 포함한다.
배터리부재(210)는, 조명부(100)의 조명부재(1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배터리부재(210)는, 충전식 배터리로 형성되어, 조명부(12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장치에 접속하여 충전하며, 충전된 전원을 조명부(120)로 공급할 수 있다.
수용부재(22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용기로서, 내부공간에 배터리부재(210)를 수용한다.
일 실시 예에서, 수용부재(220)는,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금속재 등)로 형성되어, 배터리부재(210)를 보호할 수 있다.
케이블부재(230)는, 배터리부재(210)와 조명부(10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명부(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부재(230)는, 수용부재(220)의 일측을 관통하여 배터리부재(210)와 조명부(100)의 조명부재(12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재(240)는, 수용부재(220)의 일측에 형성되며, 배터리부재(2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스위치부재(240)는, 별도의 PCB 회로기판을 구비하여 전류와 전압을 조절하여, 조명부재(120)의 on/off 및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부재(250)는, 수용부재(240)의 일면에 형성되어, 수용부재(240)를 시술자의 옷, 끈 등에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부재(250)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지며, 탄성을 가지는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옷, 끈 등에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10)는, 조명부(100), 전원공급부(200), 가림막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명부(100), 전원공급부(1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가림막부(300)는, 조명부재(120)의 하부에 해당하는 장착부재(110)에 형성되어, 조명부재(12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시술자의 눈으로부터 차단하여 눈부심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림막부(300)는, 삽입홈(310), 가림판(320), 마개(330)를 포함한다.
삽입홈(310)은, 장착부재(110)에 형성되어, 가림판(320)의 일 말단을 삽입한다.
일 실시 예에서, 삽입홈(310)은, 가림판(320)의 일 말단과 동일한 크기 및 형태로 이루어져 가림판(320)의 일 말단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가림판(320)은, 일 말단이 삽입홈(310)에 슬라이드 삽입되며, 조명부재(120)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차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림판(320)은, 조명부재(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빛을 차단할 수 있으며, 그 형태 및 크기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가림판(320)은, 일 말단이 ‘T’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삽입홈(31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마개(330)는, 가림판(320)이 삽입홈(310)에 삽입된 다음 삽입홈(310)의 입구에 삽입되어, 가림판(320)이 삽입홈(3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100 : 조명부
110 : 장착부재
111 : 제1 브라켓
112 : 제2 브라켓
113 : 힌지
114 : 스프링
115 : 미끄럼방지수단
116 : 고정홈
120 : 조명부재
130 : 각도조절부재
131 : 힌지핀
132 : 결합볼트
133 : 결합너트
134 : 조절볼트
135 : 조절너트
200 : 전원공급부
210 : 배터리부재
220 : 수용부재
230 : 케이블부재
240 : 스위치부재
250 : 고정부재
300 : 가림막부
310 : 삽입홈
320 : 가림판
330 : 마개

Claims (5)

  1. 안경에 장착되어, 빛을 발산하기 위한 조명부; 및
    상기 조명부와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안경에 장착되는 장착부재;
    상기 장착부재의 전방에 형성되어, 빛을 발산하기 위한 조명부재; 및
    상기 장착부재와 상기 조명부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조명부재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제1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하부가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2 브라켓;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 사이를 회동시키기 위한 힌지; 및
    상기 제1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부와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부가 안경에 장착되도록 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는,
    상기 제1 브라켓의 하단과 상기 제2 브라켓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부재;
    상기 배터리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재;
    상기 배터리부재와 상기 조명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부재;
    상기 수용부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부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KR1020190016773A 2019-02-13 2019-02-13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KR20200098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73A KR20200098973A (ko) 2019-02-13 2019-02-13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773A KR20200098973A (ko) 2019-02-13 2019-02-13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973A true KR20200098973A (ko) 2020-08-21

Family

ID=72235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773A KR20200098973A (ko) 2019-02-13 2019-02-13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989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61A1 (ko) * 2021-01-29 2022-08-04 정재준 넥밴드형 의료용 헤드라이트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264Y1 (ko) 2001-02-20 2001-09-29 이준희 의료용 헤드라이트
KR101114993B1 (ko) 2011-02-28 2012-03-0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눈 위치를 추적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2264Y1 (ko) 2001-02-20 2001-09-29 이준희 의료용 헤드라이트
KR101114993B1 (ko) 2011-02-28 2012-03-06 (재)예수병원유지재단 눈 위치를 추적하는 의료용 헤드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4161A1 (ko) * 2021-01-29 2022-08-04 정재준 넥밴드형 의료용 헤드라이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19988B2 (en) Headlamp
US9772102B1 (en) Vision enhancing assembly
US8727558B2 (en) Medical headlamp for tracking eye locations
US9901414B2 (en) Illumination system with magnetic mount for loupes
JPH0917204A (ja) メガネ直付け照明具
KR20200098973A (ko)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JP3124676U (ja) 細隙灯顕微鏡用補助照明装置
KR101874206B1 (ko)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US8079723B2 (en) Adjustable lens with self-illuminated scale
KR101061058B1 (ko) 휴대용 후레쉬
JP3829287B2 (ja) 耳鼻咽喉科用照明付観察装置
US20070236955A1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a lighting component holder
KR20180001332A (ko) 영상 제공장치가 구비된 무영등 시스템
US20110301425A1 (en) Inductive Task Light For Surgical Console
JP6847416B2 (ja) 医療用ヘッドライト
CN215457909U (zh) 一种可调焦的高清双摄眼罩
US4953970A (en) Self examination device
KR20090097505A (ko) 조명기능을 가지는 헤드루페
CN218626735U (zh) 一种智能光控护眼灯具
CN216248723U (zh) 一种拍摄虹膜时的补光装置
US11655949B2 (en) Clamping lamp and light controlling method applying the same
KR102249226B1 (ko) 엘이디 책받침
CN207880506U (zh) 手术照明系统
CN210019916U (zh) 一种带固视功能的眼罩双目红外灯电路板
KR200296610Y1 (ko) 보조램프를 갖는 홍채 촬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