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226A -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226A
KR20180072226A KR1020160175559A KR20160175559A KR20180072226A KR 20180072226 A KR20180072226 A KR 20180072226A KR 1020160175559 A KR1020160175559 A KR 1020160175559A KR 20160175559 A KR20160175559 A KR 20160175559A KR 20180072226 A KR20180072226 A KR 20180072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light
spreader
chest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4206B1 (ko
Inventor
강도균
박종하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2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7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61B90/35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4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a light source housing portion adjustably fixed to the remainder of the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96Magnet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68Medical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환자의 흉부 늑간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가 늑간의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조절하는 조절핸들로 이루어진 스프레더;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장착설치되어 상기 클램프에 의해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광원이 발산되게 하는 제1발광부재로 되는 조명체;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조명체가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에서 LED 조명장치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수술진행 시 수술에 방해 되지 않은 상태에서 벌어진 흉간 내부로 빛을 조사하므로, 외부에서 빛을 조사 할 때보다 정확히 조사할 수 있으며, 외부에서 조사할 때 수술자의 머리, 손등에 의해서 그늘이 생기는 점을 보완 할 수 있고, 유동 가능한 볼 힌지를 장착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곳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Attatchable surgical LED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흉부 부위 수술시 흉강부위에 빛을 발산하여 수술부위 및 그 주변까지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흉강 내부의 장기에 대한 수술을 시행할 때 늑골과 늑골 사이에 스프레더(Spreader) 라는 기구를 이용하여 늑간을 벌려 공간을 확보하여 수술을 시행하게 된다. 흉강은 다른 부위와 달리 동굴과 비슷한 모양으로 깊고 공간이 협소하다. 따라서, 다른 부위 수술 시에 사용되는 수술실 천장에 장착된 조명장치 혹은 수술자의 머리에 부착하는 헤드셋 광원으로는 수술 부위에 제대로 빛을 조사하기가 힘들다.
흉부의 흉강부위 수술시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흉강 내부가 어둡고 장가들이 밀집된 상태로 있으므로 수술진행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흉강부위 수술 시 빛을 발산하는 별도의 구성이 요구됨이 절실하였고, 별도의 광조사부가 부양된 상태로 존재해도 광조사부에서 광원의 조사방향을 바꾸기가 용이하지 않아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수술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존재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불편함과 번거러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9-0058711호(이하 '선발명' 이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선 발명은 조명기능을 구비한 수술용 견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흉부 수술시 흉곽을 좌우로 벌리기 위해 사용하는 견인기의 측면이나 하부면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기술이며, 이는 벌어진 수술 부위 내부의 시야 및 밝기를 충분히 확보 가능하여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술할 수 있게 된다.
선 발명에 따른 조명기능을 구비한 수술용 견인기는, 흉부 수술시 흉곽을 좌우로 벌리기 위한 고정레버와 이동레버를 포함하는 견인수단과; 상기 견인수단에 상기 좌우로 벌어진 흉곽의 내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도록 부착되고, 수술 후에는 탈착되는 조명수단과; 상기 조명수단을 상기 견인수단에 탈, 부착하는 연결수단과; 상기 조명수단과 광 연결자로 연결되어 광을 공급하는 광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발명에서는 시술자가 직접 머리에 조명장치를 착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보다 사용이 편리하다. 따라서 시술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집중하여 수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위험 요소를 감소시켜 의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전기전원과 같이 인체에 전기 충격적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요소를 직접 포함하지 않음으로 하여, 수술 도중에 안전성을 더욱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 발명에 의한 조명기능을 구비한 견인기는 조명장치를 탈, 부착이 용이하도록 설계하여, 수술 전에 무균 상태에서 부착하고, 수술 후에는 서로 분리하여, 견인장치는 소독 후 재활용하는 반면, 조명장치는 폐기처분하여, 향후 보건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선 발명에서는 전기가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조명수단을 사용하므로 시술자는 물론 환자에게도 불안정한 요인이 되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착탈되는 구조이므로 사용하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KR공개특허 10-2009-0058711(2009.06.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기의 위험이 없는 안전함이 제공되고, 스프레더에서 조명체를 용이하게 착탈 할 수 있으며, 조명체에서 발산되는 광원의 조사방향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의 흉부 늑간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가 늑간의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조절하는 조절핸들로 이루어진 스프레더;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내부에 장착설치되어 상기 클램프에 의해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광원이 발산되게 하는 제1발광부재로 되는 조명체;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조명체가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명체는, 상기 클램프의 저면에 설치되는 판형태의 바디와, 상기 바다의 상면 수 곳에 오목하게 형성하여 제1발광부재가 삽입장착되게 하는 수용홀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게 형성하는 지지돌부와, 돌출되는 상기 지지돌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접촉면에 흡착을 이루는 버큠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1발광부재는, 전원이 충전된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원으로 발광되는 LED전구와, 상기 밧데리와 LED전구가 전기적인 폐회로가 되게 하는 기판과, 상기 기판과 LED전구를 결합하며 고정되게 하는 소켓으로 되고, 상기 밧데리가 장착되고, 상기 바디의 수용실에 결합되는 마개를 포함하여서 되는 구성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마개는, 상기 마개의 저면 중앙으로 형성되어 상기 밧데리가 장착되는 밧데리홈과, 상기 마개의 저면 외주연에 캡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비디의 수용홀에 삽입되는 결합테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조명체의 바디는, 상기 바디에 형성하는 수용홀의 내부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이 위치하는 바디의 저면이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수용홀 내부에서 발산되는 빛이 볼록한 반구면을 투과할 때 굴절되어 수용홀의 외부로 확산되게 하는 렌즈를 더 구비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프레더의 클램프에 형성된 저면을 천공하는 고정공과 조명체의 바디의 상면에서 돌출되는 지지돌부와, 상기 지지돌부의 상단에서 화살촉형성으로 돌출되게 하는 걸림돌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고정되는 자성판과, 상기 바디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기 자성판에 자력으로 접착되는 자석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에 있어, 환자의 흉부 늑간에 설치되는 클램프와, 상기 클램프를 흉간의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조절하는 조절핸들로 이루어진 스프레더와;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설치되는 바디와, 상기 바디 외부에 노출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에 의해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광원이 발산되게 하는 제2발광부재로 되는 조명체; 및 상기 바디의 상면에는 상기 조명체가 상기 클램프의 저면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제공함에 의하여 충분히 달성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제2발광부재는, 전원이 충전된 밧데리와, 상기 밧데리의 전원으로 발광되는 LED전구와, 상기 밧데리와 LED전구가 전기적인 폐회로로 연결되게 하는 기판과, 상기 밧데리를 포함한 기판 및 LED전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된 장착소켓과, 상기 장착소켓의 장착홈입구에 설치되어 기판과 LED전구가 고정되게 하는 렌즈캡과, 상기 장착소켓의 외면 상부 중앙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밑면으로 설치되게 하는 관절돌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바디의 밑면에는, 복 수개의 관절홈을 오목하게 형성하되, 구형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관절홈으로 삽입설치되는 상기 장착소켓의 관절돌기는 상기 관절홈에서 전후좌우방향 각도조절 및 회전이 되도록 구형상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이 달성되는 구성에서 상기 렌즈캡은, 상기 렌즈캡의 중앙위치가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LED전구의 빛이 투과 시에 굴절되게 하는 제2렌즈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벌어지는 수술 시 흉간 내부에서 빛을 조사하므로, 흉부의 외부에서 빛을 조사할 때보다 정확히 조사할 수 있으며, 얇은 광원판을 이용하므로 수술 내부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아 수술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흉부의 외부에서 조사할 때 수술자의 머리, 손등에 의해서 그늘이 생기는 점을 보완할 수 있ㄴ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레더의 크램프에 흡착판을 이용하여 탈부착이 가능하므로, 광원이 장착되지 않은 대부분의 일반 스프레더에 적용이 가능하며, 조명체의 광원부재 장착 시, 유동 가능한 볼 힌지를 장착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곳에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이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작용되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에 LED 조명장치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프레더의 흉간 벌림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정면상태 일부 단면도로서, (a)는 LED전구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이고, (b)는 고정부재에 대한 단면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내부구조를 보인 확대 단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 중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상태도로서 (a)는 클램프에 결합하기 전 상태이고, (b)는 결합 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 중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 상태도로서 (a)는 클램프에 결합하기 전 상태이고, (b)는 결합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다른 구조를 보인 분리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다른 구조의 발광부재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발광부재가 바디에서 각도 조절되는 상태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는 예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될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작용되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에 LED 조명장치를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스프레더의 흉간벌림상태 단면도로서, 환자의 흉부를 벌리는 수술용 도구인 스프레더(100)는 흉부의 늑간(90)에 걸어지는 클램프(110)와, 상기 클램프(110)에 설치되어 늑간(90)의 좌우방향으로 벌리려는 힘이 전달되게 하는 작동간(120)과, 상기 작동간(120)에 좌우이동력을 형성되게 톱니형태로 치차를 갖는 제어랙크(130)와, 상기 작동간(120)에서 제어랙크(130)에 맞물리게 설치되어 축회전 시 제어랙크(130)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조절핸들(1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레더(100)의 클램프(110)에는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광원이 발산되게 하는 조명체(200)가 설치된다.
상기 조명체(200)는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 내부에 장착설치되는 제1발광부재(300)로 되고, 상기 바디 (210)의 상면(210b)에는 상기 조명체(200)가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40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바디(210)는 상기 클램프(110)의 크기에 대응한 크기이며,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납작한 두께와 구부러지고 펼쳐짐이 자유로운 부드러우며 인체에 무독성 소재인 실리콘재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평면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정면상태 일부 단면도로서, (a)는 LED전구 장착상태를 보인 단면이고, (b)는 고정부재에 대한 단면상태인데,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에서 돌출되게 형성하는 지지돌부(410)와, 상기 지지돌부(410)의 상단으로는 클램프(110)의 저면(110a)에 대하여 흡착을 이루는 버큠(4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00)가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에 고정되도록 함에 있있어서 흡착작용으로 고정상태를 유지하는 버큠(430)외에도 클램프의 저면에 결합되어 고정력을 유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면 제한적이지 않으며, 모두 적용함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명체(200)는 어두운 흉간 내부로 빛을 조사하여수술부위를 비춰주며, 조사되는 빛에 의해 수술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수술진행을 안정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조명체(200)는 도 5에서 도시되는 내부구조 확대 단면상태의 구성으로 설명된다.
상기 조명체(200)는,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에 설치되는 납작한 비교적 두께가 얇은 판형태의 바디(210)와, 상기 바다(210)의 상면(210b)에 오목하게 형성하여 제1발광부재(300)가 삽입장착되게 하는 수용홀(220)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바디(210)의 수용홀(220)은 제1발광부재(300)가 장착되는 공간으로, 한 곳 또는 여러 곳에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즉, 한 개의 광원보다는 복 수개의 광원에서 발상되는 빛이 주위를 더 환하게 비춰 주기 때문이다.
상기 바디의 수용홀(220)에 장착되는 상기 제1발광부재(300)는 전원이 충전된 밧데리(310)와, 상기 밧데리(310)의 전원으로 발광되는 LED전구(320)와, 상기 밧데리(310)와 LED전구(320)가 전기적인 폐회로가 되게 하는 기판(330)과, 상기 기판(330)과 LED전구(320)가 결합되게 하며 고정되게 하는 소켓(340)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제1발광부재(300)는 바디(210)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 되는 제1발광부재(300)는 바디(210)의 수용홀(220)로 삽입되는 것이며, 수용홀(220)의 입구에 결합되게 하는 마개(350)에 의하여 바디(210)내에 장착 고정된다.
상기 제1발광부재(300)가 장착되는 바디(210)의 수용홀(220)에 장착되는 구성에 의해 밧데리의 전원으로 광원이 LED전구에서 발광되고, 발광되는 광원은 바디(210)의 수용홀(220)을 통하여 바디 외부로 투과되어 흉간의 내부 공간을 조사하게 된다.
상기 LED전구(320)에서 발광되는 광원이 바디(210)를 투과할 때 빛의 확산작용을 이루기 위하여 내부 바닥면을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게 하고, 상기 수용홀(220)이 위치하는 바디(210)의 저면(210b)이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게 렌즈(23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수용홀(220) 내부에서 발산되는 빛이 볼록한 반구면을 투과할 때 굴절되어 수용홀(220)의 외부로 확산되게 한다.
상기 바디(210)의 수용홀(220)로 장착되는 제1 발광부재(300)는 수용홀(220)의 입구에 결하되게 하는 마개(450)에 의하여 바디(210)내에 고정된다.
상기 제1발광부재(300)를 바다(210)내에 고정되도록 하는 상기 마개(350)는, 상기 마개(350)의 저면 중앙으로 상기 밧데리(310)가 장착되도록 밧데리홈(351)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 마개(350)의 저면 외주연을 캡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게 하여 바디(210)의 수용홀(220)의 내벽에 밀착상태로 삽입되는 결합테(353)가 형성되게 한다.
상기 마개(450)를 바디(210)의 수용홀(220)에 결합시키면 밧데리홈(351)에 장착된 밧데리(310)가 기판(330)에 접속되고 결합테(353)는 수용홀(220)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지고, 결합테(353)의 끝단은 기판(340)에 접촉되는 상태로 되어 제1발광부재(300)가 바다(210)의 수용홀(220)내에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하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의 제1발광부재(300)가 바디(21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는 상태에서 바디(210)를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할 때, 버큠(430)으로 고정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나타태는 다른 구성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 중 고정부재에 대한 다른 실시예 상태도로서 (a)는 클램프에 결합하기 전 상태이고, (b)는 결합된 상태도로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스프레더(100)의 클램프(110)에 형성된 저면(110a)을 천공하는 고정공(460)과, 조명체(200)의 바디(210)의 상면(210b)에서 돌출되는 지지돌부(410)와, 상기 지지돌부(410)의 상단에서 화살촉형상으로 돌출되게 하는 걸림돌기(440)의 구성으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의 고정부재 구성에서는 화살촉형상으로 된 바디(210)에서 돌출된 걸림돌기(440)를 클램프(110)의 고정공(460)으로 삽입하게 되면 화살촉형상의 돌기에 의해 제1발광부재(300)가 은폐 장착된 바디(210)는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고정되는 상태가 되고 제1발광부재(300)에서 발광되는 광원은 벌어지는 흉간의 내부공간을 비추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400)는 화살촉형상의 걸림돌기의 구성외에 또 다른 구성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 중 고정부재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 상태도로서 (a)는 클램프에 결합하기 전 상태이고, (b)는 결합된 상태도로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고정되는 자성판(451)과,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b)에 고정되어 상기 자성판(451)에 자력으로 접착되는 자석(450)으로 구성함이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또 다른 고정부재(400)의 구성에서는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부착되는 자성판(451)에 자석(450)이 부착된 바디(210)를 접근시키면 자력에 의해 자석(450)이 클램프(110)의 저면(110a)에 구비된 자성판(451)에 부착되는 것이어서 벌어지는 흉간의 공간으로 제1발광부재(300)에서 발산되는 광원을 조사할 수 있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조명체(200)를 실시함에 있어서는 다른 구조, 즉 바디(2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태로 장착되는 구조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LED 조명장치에 대한 다른 구조를 보인 분리 상태도인데, 환자의 흉부 늑간(90)에 설치되는 클램프(110)와, 상기 클램프(110)를 흉간의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조절하는 조절핸들(140)로 이루어진 스프레더(100)가 구비되고,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 외부에 노출상태로 제2발광부재(300A)이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110)에 의해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빛이 발산되는 조명체(200)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b)에는 상기 조명체(200)가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 (110a) 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400)가 더 구비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발광부재(300a)는 도 9의 다른 구조의 발광부재의 종단면구성으로 구비함이 요구된다.
즉, 전원이 충전된 밧데리(310)와, 상기 밧데리(310)의 전원으로 발광되는 LED전구(320)와, 상기 밧데리(310)와 LED전구(320)가 전기적인 폐회로로 연결되게 하는 기판(330)과, 상기 밧데리(310)를 포함한 기판(330) 및 LED전구(320)가 장착되는 장착홈(361)이 구비된 장착소켓(360)과, 상기 장착소켓(360)의 장착홈(361)입구에 설치되어 기판과 LED전구가 고정되게 하는 렌즈캡(363)과, 상기 장착소켓(360)의 외면 상부 중앙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디(210)의 밑면(210a)으로 설치되게 하는 관절돌기(367)로 제2발광부재(300a)가 구성된다.
이러한 제2발광부재(300A)는 상기 바디(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도 10은 도 9의 발광부재가 바디에서 각도 조절되는 상태도를 나타낸다.
상기 제2발광부재(300A)가 상기 바디(210)의 밑면(210a)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바디(210)의 밑면(210a)으로 복 수개의 관절홈(270)을 오목하게 형성하되, 구형상으로 형성되게 하고 상기 관절홈(270)으로 삽입설치되는 상기 장착소켓(360)의 볼힌지(367)는 상기 관절홈(270)에서 전후좌우방향 각도조절 및 회전이 되도록 힌지의 끝단이 구형상으로 되게 함이 바람직 하다.
또한, 제2발광부재(400A)에는 바디(210)의 외면으로 발광부재가 노출되는 구성이므로 밧데리(310)와, LED전구(320)가 고정된 기판(330)을 장착소켓(360)의 장착홈(361)으로 삽입하게 되고, 장착홈(361)의 입구에 별도의 렌즈캡(363)구성이 요구된다.
상기 렌즈캡(363)은, 상기 렌즈캡(363)의 중앙위치가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LED전구(320)의 빛이 투과 시에 굴절되게 하는 제2렌즈(363a)가 더 구비되게 한다. 따라서 제2발광부재(300A)는 바디(210)의 밑면(210a)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며, 바디(210)의 밑면(210a)으로 노출된 장착소켓(360)은 볼힌지(367)가 관절홈(270)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각도를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볼힌지(367)가 관절홈(270)에서 각도가 변형되면 장착소켓(360)속에 장착된 제2발광부재(300A)에서 발산되는 빛은 조절된 각도 방향으로 조사되는 것이어서 수술범위 주변을 더 넓게 비출 수 있지만, 수술위치에 빛을 집중해서 모을 수도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스프레더 110 : 클램프 110a : 저면
120 : 작동간 130 : 제어랙크 140 : 조절핸들
200 : 조명체 210 : 바디 210a: 밑면
210b: 상면 220 : 수용홀 230 : 제1렌즈
270 : 관절홈 300 : 제1발광부재 300A:제2발광부재
310 : 밧데리 320 : LED전구 330 : 기판
340 : 소켓 342 : 전구홀 350 : 마개
351 : 밧데리홈 353 : 결합테 360 : 발광소켓
361 : 장착홈 363 : 렌즈캡 363a: 제2렌즈
365 : 관절돌부 367 : 볼힌지 400 : 고정부재
410 : 지지돌부 430 : 버큠 440 : 걸림돌기
450 : 자석 451 : 자성판 460 : 고정공

Claims (12)

  1. 환자의 흉부 늑간(90)에 설치되는 클램프(110)와, 상기 클램프(110)가 늑간(90)의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조절하는 조절핸들(140)로 이루어진 스프레더(100);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 내부에 장착설치되어 상기 클램프(110)에 의해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광원이 발산되게 하는 제1발광부재(300)로 되는 조명체(200); 및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b)에는 상기 조명체(200)가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4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체(200)는,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바디(210)와,
    상기 바다(210)의 상면(210b) 수 곳에 오목하게 형성하여 제1발광부재(300)가 삽입장착되게 하는 수용홀(220)로 이루어진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발광부재(300)는 ,
    전원이 충전된 밧데리(310)와, 상기 밧데리(310)의 전원으로 발광되는 LED전구(320)와, 상기 밧데리(310)와 LED전구(320)가 전기적인 폐회로가 되게 하는 기판(330)과, 상기 기판(330)과 LED전구(320)를 결합하며 고정되게 하는 소켓(340)으로 되고,
    상기 밧데리(310)가 장착되는 상태로 상기 바디(210)의 수용실(220)에 결합되는 마개(350)를 포함하여서 되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b)에서 돌출되게 형성하는 지지돌부(410)와, 돌출되는 상기 지지돌부(410)의 상단에 형성되어 접촉면에 흡착을 이루는 버큠(4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350)는,
    상기 마개(350)의 저면 중앙으로 형성되어 상기 밧데리(310)가 장착되는 밧데리홈(351)과, 상기 마개(350)의 저면 외주연에 캡 형상으로 돌출형성되어 비디(210)의 수용홀(220)에 삽입되는 결합테(353)로 이루어진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체(200)의 바디(210)는,
    상기 바디(210)에 형성하는 수용홀(220)의 내부 바닥면이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수용홀(220)이 위치하는 바디(210)의 저면(210b)이 반구형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상기 수용홀(220) 내부에서 발산되는 빛이 볼록한 반구면을 투과할 때 굴절되어 수용홀(220)의 외부로 확산되게 하는 렌즈(230)를 더 구비하여서 되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스프레더(100)의 클램프(110)에 형성된 저면(110a)을 천공하는 고정공(460)과 조명체(200)의 바디(210)의 상면(210b)에서 돌출되는 지지돌부(410)와, 상기 지지돌부(410)의 상단에서 화살촉형상으로 돌출되게 하는 걸림돌기(440)로 이루어지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400)는,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고정되는 자성판(451)과,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b)에 고정되어 상기 자성판(451)에 자력으로 접착되는 자석(450)으로 이루어지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9. 환자의 흉부 늑간(90)에 설치되는 클램프(110)와, 상기 클램프(110)를 흉간의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오므라들도록 조절하는 조절핸들(140)로 이루어진 스프레더(100)와;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 외부에 노출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클램프(110)에 의해 벌어지는 흉간 내부로 광원이 발산되게 하는 제2발광부재(300)로 되는 조명체(200); 및
    상기 바디(210)의 상면(210b)에는 상기 조명체(200)가 상기 클램프(110)의 저면(110a)으로 설치되게 하는 고정부재(40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흉부수술용 스프레의 LED 조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발광부재(300a)는
    전원이 충전된 밧데리(310)와, 상기 밧데리(310)의 전원으로 발광되는 LED전구(320)와, 상기 밧데리(310)와 LED전구(320)가 전기적인 폐회로로 연결되게 하는 기판(330)과, 상기 밧데리(310)를 포함한 기판(330) 및 LED전구(320)가 장착되는 장착홈(361)이 구비된 장착소켓(360)과, 상기 장착소켓(360)의 장착홈(361)입구에 설치되어 기판과 LED전구가 고정되게 하는 렌즈캡(363)과, 상기 장착소켓(360)의 외면 상부 중앙위치에서 돌출되어 상기 바디(210)의 밑면(210a)으로 설치되게 하는 관절돌기(367)로 이루어지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10)의 밑면(210a)에는,
    복 수개의 관절홈(270)을 오목하게 형성하되, 구형상으로 형성되게하고
    상기 관절홈(270)으로 삽입설치되는 상기 장착소켓(360)의 볼힌지(367)는 상기 관절홈(270)에서 전후좌우방향 각도조절 및 회전이 되도록 구형상으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캡(363)은,
    상기 렌즈캡(363)의 중앙위치가 반구형으로 돌출되어 LED전구(320)의 빛이 투과 시에 굴절되게 하는 제2렌즈(363a)가 더 구비되는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KR1020160175559A 2016-12-21 2016-12-21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KR101874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59A KR101874206B1 (ko) 2016-12-21 2016-12-21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5559A KR101874206B1 (ko) 2016-12-21 2016-12-21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226A true KR20180072226A (ko) 2018-06-29
KR101874206B1 KR101874206B1 (ko) 2018-07-03

Family

ID=62781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5559A KR101874206B1 (ko) 2016-12-21 2016-12-21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2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5726A (zh) * 2019-06-05 2019-08-20 上海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磁力连接组件及包括其的灯具模组
KR20200000903U (ko) * 2018-10-30 2020-05-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릭터를 이용한 구강 검사용 라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711A (ko) 2007-12-05 2009-06-10 심은보 조명기능을 구비한 수술용 견인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102B2 (ja) * 2010-10-07 2015-08-26 タカラベルモント株式会社 医療用照明装置
CN203290943U (zh) 2013-04-09 2013-11-20 李俊 带辅助可调节照明装置的肋骨牵开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711A (ko) 2007-12-05 2009-06-10 심은보 조명기능을 구비한 수술용 견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903U (ko) * 2018-10-30 2020-05-08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캐릭터를 이용한 구강 검사용 라이트
CN110145726A (zh) * 2019-06-05 2019-08-20 上海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磁力连接组件及包括其的灯具模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206B1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5650B2 (ja) 装着可能な手術器具用携帯型照明装置
US11019988B2 (en) Headlamp
JP6243911B2 (ja) 外科用点灯装置
US20120253137A1 (en) Surgical illumination system
EP2953570B1 (en) Adjustable surgical light device and system
TWI701012B (zh) 照明裝置
US20030014834A1 (en) Laser light handle
KR101874206B1 (ko) 흉부수술용 스프레더의 led 조명장치
US8308333B2 (en) Surgical lamp with illuminated handles
TWI533834B (zh) Magnetic manipulation of the surgical lighting device and a hand with a lighting function Assisted system
JP5747924B2 (ja) 細隙灯顕微鏡
CA2661586C (en) Task light
US20060229593A1 (en) Surgical Illumination insert
KR20190000961U (ko) 의료용 헤드라이트
KR20200098973A (ko) 포터블 의료용 헤드라이트
JP3829287B2 (ja) 耳鼻咽喉科用照明付観察装置
JP5300942B2 (ja) 骨髄ガイドワイヤと結合可能な横方向発光装置
JP6847416B2 (ja) 医療用ヘッドライト
CN203341766U (zh) 外科手术套管
KR102573403B1 (ko) 치과용 uv 조명기구
CN211675268U (zh) 体外冲击波治疗探头固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