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58B1 -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 Google Patents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58B1
KR102149958B1 KR1020170163467A KR20170163467A KR102149958B1 KR 102149958 B1 KR102149958 B1 KR 102149958B1 KR 1020170163467 A KR1020170163467 A KR 1020170163467A KR 20170163467 A KR20170163467 A KR 20170163467A KR 102149958 B1 KR102149958 B1 KR 102149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 cover
film
layer
display element
elemen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135A (ko
Inventor
장애정
양세라
송민석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163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점착층, 인쇄 잉크층 및 기재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인쇄 잉크층의 계면에서, 상기 점착층의 접촉각이 상기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보다 크고,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의 차이가 25도 이하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이 제공한다.

Description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FILM FOR DISPLAY BACK COVER AND DISPLAY BACK COVER}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 TV의 시대가 끝나고 플라즈마를 이용한 PDP TV, 액정을 이용한 LCD TV, LED 광원을 이용한 LED TV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소재가 개발됨에 따라 TV의 종류가 다양화되었다. 그 중 차세대 디스플레이 중 하나인 유기발광 표시소자(OLED)를 이용한 TV가 개발되었고, 더욱 대면적화 시킨 TV가 개발됨에 따라 이에 맞는 후면의 디자인 또한 중요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우수한 점착력, 우수한 내구성, 우수한 잔사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적용한 표시소자 백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층, 인쇄 잉크층 및 기재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의 접촉각이 상기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보다 크고,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의 차이가 25도 이하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 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은 우수한 점착력, 우수한 내구성, 우수한 잔사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의 단면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형성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형성되는 것을 의미할 뿐만 아니라,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형성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의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는 점착층(1), 인쇄 잉크층(2) 및 기재 필름층(3)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점착층(1), 인쇄 잉크층(2) 및 기재 필름층(3)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1)의 접촉각이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보다 크고, 상기 점착층(1) 및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의 차이가 25도 이하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은 상기 점착층(1)을 매개로 부착 대상체인 표시소자의 백커버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표시소자의 백커버가 유리 기판, 강화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과 같은 투명 기판일 수 있고,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이 부착되면, 상기 투명 기판의 다른 일면으로 상기 인쇄 잉크층(2)이 투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 잉크층(2)에 소정의 장식 효과를 부여하여, 상기 투명 기판을 통해 투시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장식 효과는 소정의 색 부여, 은폐 효과, 질감 부여, 패턴 부여 등 또는 다른 공지된 장식 부여 방법에 의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1)은 공정상 흠결 등의 이유로 재공정시 필요한 리워크성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다.
리워크를 위해 상기 점착층(1)을 부착 대상체로부터 탈착하게 될 때, 상기 점착층(1)이 탈착되지 않고, 상기 점착층(1)의 부착 대상체와의 부착면이 아닌 다른 면, 즉, 상기 인쇄 잉크층(2)에 접하는 면 (도 1에서 1과 2 사이)이 탈착되어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이 박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은 리워크시 상기 점착층(1)과 상기 인쇄 잉크층(2)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한 것이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은 상기 점착층(1) 및 상기 인쇄 잉크층(2)의 계면에서, 상기 점착층(1) 및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의 차이가 25도 이하가 되게 함으로써, 상기 점착층(1)과 상기 인쇄 잉크층(2)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에서 중요한 물성은 점착력, 내구성, 잔사 방지 등이다.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은 백커버와 표시소자 패널 사이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 기재의 하중을 버틸 수 있는 충분한 점착력이 있어야 하고, 고온, 저온, 고온고습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외관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유리에 가공하게 된다면, 잔사가 남지 않아야 한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은 상기 점착층(1)과 상기 인쇄 잉크층(2)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점착력, 내구성 및 부착 대상체가 유리인 경우 발생하는 잔사 문제를 효과적으로 개선한다.
이하,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의 각 층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기재 필름층 (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염화비닐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층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기재 필름층 (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일 수 있다.
상기 점착층(1)은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 열경화제 및 선택적으로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및 점착성 부여 관능기를 포함하는 기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혼합물이 공중합된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일 수 있고, 상기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알킬은 선형 또는 분지형 C1-C14 알킬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탄소수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아크릴계 광경화성 수지의 광경화물이 적절한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 특성을 가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모노머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에스테르 모노머는 적어도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점착성 부여 관능기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의 점착성 부여 관능기로서,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 또는 질소 함유 모노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점착성 부여 관능기는 상기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점착 필름이 점착 성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아크릴로니트릴,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는, 예를 들어,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메타)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타)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타)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2-이소시아네이토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메타)아크릴아미드, N-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카프로락탐,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의 모노머 혼합물은 약 20 내지 약 30 중량%의 함량으로 상기 기능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모노머의 함량을 조절하여 점착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함량 범위로 사용하여 적정 수준의 유연성 및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는 300,000 내지 1,500,000 g/mol, 구체적으로, 500,000 내지 1,000,000 g/mol 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가 상기 범위의 분자량을 가지게 함으로써, 박리 강도와 점착력을 우수하게 하면서도, 고온 내구성 및 잔사 물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물성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상기 열경화제는 에폭시계 경화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 아지리딘계 경화제,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는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상기 중 어느 하나의 폴리올(ex. 트리메틸롤 프로판)과의 반응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경화제는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및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경화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 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및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계 경화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및/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에틸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아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열경화제는 아지리딘계 경화제일 수 있다. 경화 속도가 빠를수록 내구성 면에서는 불리할 수 있어서, 상기 아지리딘계 경화제는 2관능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 100 중량부 대비하여 약 0.01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이 상기 함량으로 경화제를 포함하여, 점착 시트 또는 점착층(1) 형성시 응집력과 젖음성을 양호하게 구현한다.
상기 커플링제는 실란커플링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로는 일본 신에츠사의 에폭시계열의 KBM-303(2-(3,4 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KBM-403(3-Glycidoxypropyl trimethoxy), KBM-402(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메타아크릴계열의 KBM-502(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KBM-503(3-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머캅토계열의 KBM-803(3-Mercaptopropyl trimethoxysilane)와 같이 공지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구성 성분 이외에 추가적으로 점착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된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점착성 부여 수지, 저분자량체,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발포제, 유기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층(1)의 상부에 이형필름을 합지하여 부착 대상체에 부착시까지 점착층(1)의 표면이 노출되지 않게 하여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잉크층(2)은 바인더 수지, 경화제, 안료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기초 수지로서 우레탄 수지를 사용하면, 기존에 사용되었던 변성 아크릴레이트에 비해 반응성이 빠르며 실리카와 상용성이 좋아 바인더로 사용하기 유리하고, 그에 따라 인쇄 잉크층의 표면 특성으로서, 접촉각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 잉크층에 포함되는 실리카의 함량을 증가시킬수록 접촉각이 높아져 점착층과의 계면 밀착력을 개선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실리카는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을 향상시켜 상기 인쇄 잉크층(2)과 상기 점착층(1) 간의 접촉각이 차이가 작아지게 함으로써, 표면 부착력을 개선하고, 계면 밀착력을 개선한다.
상기 점착층(1) 의 접촉각이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 값 이상이고, 상기 점착층(1) 및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의 차이가 25도 이하, 구체적으로, 5 내지 20도일 수 있다.
상기 실리카를 포함하는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은, 구체적으로, 80도 내지 100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실리카는 평균 입경크기는 5nm 내지 100nm 일 수 있고, 실리카의 평균 입경이 작을수록 계면 밀착력을 높여주는데 유리하다
상기 실리카의 함량은 상기 인쇄 잉크층(2) 중 약 0.7 내지 약 8 중량%의 함량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쇄 잉크층(2)은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실리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인쇄 잉크층(2)의 접촉각을 높일 수 있다. 함량이 너무 과다해지면 계면 밀착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상기 인쇄 잉크층(2) 표면의 접촉각이 점착층(1) 보다 커지면 계면 밀착력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상기 인쇄 잉크층(2)에 의해 구현하고자 하는 장식 효과의 목적에 따라 소정의 색 안료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소자 백커버가 검정색으로 구현하고자 하면, 흑색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에 의해 목적하는 장식 효과를 구현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패널이 표시소자의 백커버 바깥으로 보이지 않도록 은폐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NCO계 경화제, 아지리딘 경화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NCO계 경화제는 상기 인쇄 잉크층(2)의 부착력 개선에 도움이 된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등과 같은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은 웨팅 (wetting)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 조성물은 실란 화합물과 같은 커플링제, 안료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제는 전술하여 설명한 바와 같고, 경화제로서 작용할 수 잇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투명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를 제공한다.
도 2는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100)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2에서,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의 상기 점착층(1)이 상기 투명 기판(20)에 부착되어,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100)를 형성한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100)는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의 상기 기재필름층(3)에 폼 테이프와 같은 접착 매개체를 이용하여 표시소자 패널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기판, 강화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상기 투명 기판의 일면에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이 부착되고, 다른 일면이 표시소자 백커버(100)로 노출된다. 상기 투명 기판의 다른 일면을 통해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의 인쇄 잉크층(2)이 투영되어 보일 수 있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10) 중 상기 기재 필름층(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일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층(3)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사용하게 되면, 투명성 및 신율 측면에서 우수하다.
상기 표시소자 백커버(100)를 적용할 수 있는 표시소자 패널은 유기발광 표시소자 패널, 액정디스플레이 표시소자 패널 등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한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잉크 인쇄층 제조)
잉크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여 NCO 경화제를 5 wt% 첨가한 후 추가로 안료 0.1wt%와 실리카 5wt%를 첨가하여 75㎛ 두께의 PET 에 2㎛ 두께로 코팅하여, 잉크 인쇄층 및 기재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점착층 형성용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 합성)
아크릴산(AA) 10중량%, 메틸아크릴레이트(MA) 20중량%,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EHA) 70중량%를 혼합하여 혼합 모노머 성분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 모노머 성분으로부터 열 중합을 통하여 중량평균분자량(Mw)이 750,000 g/mol인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를 합성하였다.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상기 얻어진 아크릴계 열경화성 수지에 2관능기 아지리딘 경화제를 2 wt% 넣고 30분간 믹싱한 후, 상기 잉크 인쇄층 상부에 코팅하여, 점착층, 인쇄 잉크층 및 기재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하였다. 그 후 110℃ 오븐에 3분간 방치시켜 점착층, 인쇄 잉크층 및 기재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은 유리에 붙여 물성을 확인한다.
실시예 2
하기와 같이 잉크 인쇄층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점착층과 기재 필름층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잉크 인쇄층 제조)
잉크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여 NCO 경화제를 5 wt% 첨가한 후 추가로 안료 0.1wt%와 실리카 1wt%를 첨가하여 75㎛ 두께의 PET 에 2㎛ 두께로 코팅하여, 잉크 인쇄층 및 기재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1
하기와 같이 잉크 인쇄층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점착층과 기재 필름층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잉크 인쇄층 제조)
잉크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여 NCO 경화제를 5 wt% 첨가한 후 추가로 안료 0.1wt%와 실리카 0.5wt%를 첨가하여 75㎛ 두께의 PET 에 2㎛ 두께로 코팅하여, 잉크 인쇄층 및 기재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2
하기와 같이 잉크 인쇄층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점착층과 기재 필름층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잉크 인쇄층 제조)
잉크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를 이용하여 NCO 경화제를 5 wt% 첨가한 후 추가로 안료 0.1wt%와 실리카 10wt%를 첨가하여 75㎛ 두께의 PET 에 2㎛ 두께로 코팅하여, 잉크 인쇄층 및 기재 필름층을 형성하였다.
평가
실험예 1: 내구성 평가
상기에서 제조된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가로×세로 (12 cm × 7 cm)의 크기로 준비한 위, 점착층 면을 강화 유리에 부착하고, 아래의 각 환경 조건 (1) 내지 (4)에서 하기 시간 조건에 따라 방치한 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환경조건 (1); 열충격 환경: 25℃, 30분간 및 80℃, 30분간을 1 싸이클로, 총 100 싸이클
환경조건 (2); 고온 환경: 80℃, 500hr
환경조건 (3); 저온 환경: -20℃, 500hr
환경조건 (4); 고온고습 환경: 60℃, 90%습도, 500hr
<평가 기준>
양호: (1)-(4)의 환경 조건 모두 육안으로 표면에 기포가 생기지 않음
불량: (1)-(4)의 환경 조건 중 하나 이상의 환경에서 육안으로 표면에 기포가 생김
실험예 2: 계면 밀착성
상기에서 제조된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가로×세로 7 cm × 15 cm의 크기로 준비한 위, 점착층 면을 강화 유리에 부착한 후 30분 후에 필름의 테두리를 (1)mm 칼집을 낸 뒤, 대각선 방향으로 빠르게 떼어내었다. 필름을 떼어낸 후 강화 유리 면 남아있는 점착제 양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하기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평가 기준>
매우 좋음: 육안으로 잔사 남지 않음 확인
좋음: 육안으로 잔사가 5% 이하로 남음 확인
보통: 육안으로 잔사가 10% 미만으로 남음 확인
불량: 육안으로 잔사가 10% 이상 남음 확인
실험예 3: 접촉각
상기에서 제조된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을 가로×세로 5 cm × 5 cm의 크기로 준비한 위, 점착층 면 벗겨 낸 뒤, 인쇄층면과 점착층면 각각에 대하여 contact angle 측정판 위에 올려둔다. 극성을 띄는 물(water)을 이용해 Dynamic Contact Angle을 측정 하였다 물 용매를 이용하여 찍은 접촉각 단면을 수치로 표현하였으며, 숫자가 낮을수록 극성을 띄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의 점착층면의 접촉각은 모두 105도이었다.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구분 내구성 평가 계면 밀착성 접촉각
인쇄층면의 접촉각 점착층면 과의 접촉각 차이
실시예 1 양호 매우좋음 90 15
실시예 2 양호 좋음 80 25
비교예 1 불량 보통 75 30
비교예 2 불량 나쁨 140 35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 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점착층
2: 인쇄 잉크층
3: 기재 필름층
10: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20: 투명 기판
100: 표시소자 백커버

Claims (13)

  1. 점착층, 인쇄 잉크층 및 기재 필름층을 순차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의 접촉각이 상기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보다 크고, 상기 점착층 및 상기 인쇄 잉크층의 접촉각의 차이가 25도 이하이고,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의 열경화물을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은 열경화성 아크릴 수지 및 아지리딘계 열경화제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지리딘계 열경화제는 2관능 이하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잉크층은 바인더 수지, 경화제, 안료 및 실리카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도포 및 경화하여 형성된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흑색안료이고, 상기 경화제는 NCO계 경화제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잉크층은 상기 실리카를 0.7 내지 8 중량%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11.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상기 점착층에 부착된 투명 기판;
    을 포함하는 표시소자 백커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유리 기판, 강화유리 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인
    표시소자 백커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필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인
    표시소자 백커버.
KR1020170163467A 2017-11-30 2017-11-30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KR102149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67A KR102149958B1 (ko) 2017-11-30 2017-11-30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467A KR102149958B1 (ko) 2017-11-30 2017-11-30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35A KR20190064135A (ko) 2019-06-10
KR102149958B1 true KR102149958B1 (ko) 2020-08-31

Family

ID=6684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467A KR102149958B1 (ko) 2017-11-30 2017-11-30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889B1 (ko) 2021-01-28 2023-06-27 에스엠에스주식회사 고내스크래치, 눈부심방지 및 오염방지 특성을 가지는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코팅된 표시장치용 백커버부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1638B1 (ko) * 2014-03-31 2020-12-17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양면 점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35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411B1 (ko) 고온에서의 박리성이 우수한 광학용 점착 필름
US10310333B2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TWI726858B (zh) 附黏著劑層之偏光膜及圖像顯示裝置
KR101082450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6378559B2 (ja) アンカー層形成用組成物、アンカー層、粘着剤層付光学フィルム、及び、画像表示装置
TWI721964B (zh) 雙面附黏著劑層之偏光膜、其製造方法及圖像顯示裝置
JP5712706B2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ディスプレイ
JP5299804B2 (ja) 金属貼着用粘着シート
JP2016224307A (ja)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064937B2 (ja) 粘着剤組成物、粘着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TW201435030A (zh) 黏合劑膜、黏合劑組合物和包含該黏合劑膜的顯示器
WO2017216886A1 (ja) 両面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080072364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 필터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표시 장치
JP2013523941A (ja) タッチパネル用粘着フィルム及びタッチパネル
TWI663233B (zh) 特別適用於曲面之壓敏性黏著劑
JP2011154700A (ja) タッチパネル用部材およびタッチパネル
JP2012126757A (ja) 感圧式接着剤、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11057883A (ja) 透明性無基材両面テープ・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7431A (ja) 粘着剤組成物
TW202106837A (zh) 黏著劑組成物、黏著片及積層體
CN107430300B (zh) 液晶面板及图像显示装置
KR102149958B1 (ko)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KR101327584B1 (ko) 터치스크린용 수지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스크린
KR101382577B1 (ko) 점착제 조성물, 외장재용 점착제 및 그를 이용한 무기재 양면 점착필름
KR102266557B1 (ko) 장식 시트용 점접착 조성물, 표시소자 백커버용 필름 및 표시소자 백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