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943B1 -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943B1
KR102149943B1 KR1020190000560A KR20190000560A KR102149943B1 KR 102149943 B1 KR102149943 B1 KR 102149943B1 KR 1020190000560 A KR1020190000560 A KR 1020190000560A KR 20190000560 A KR20190000560 A KR 20190000560A KR 102149943 B1 KR102149943 B1 KR 102149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sheet
conveyor
wear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0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4533A (ko
Inventor
윤상희
Original Assignee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00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943B1/ko
Publication of KR20200084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5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31D1/021Making adhesive labels having a multilayered structure, e.g. provided on carrie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4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transverse cu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2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 B65H5/021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belts or chains, e.g. between belts or chains by bel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220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B31D220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2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removing material from outer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4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2Label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시트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마모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옻칠기, 컨베이어의 후미에 구비되며 시트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수납된 시트를 기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시키는 수납기 및 컨베이어, 마모기, 및 옻칠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체에 유익한 옻칠이 수행된 옻칠 스티커를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며 옻칠의 품질이 균일하고 인력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AUTOMATIC MANUFACTURING DEVICE FOR LACQUER STICKER}
본 발명은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옻칠과 스티커를 접목시킨 옻칠 스티커의 대량 생산 및 자동화 생산을 위하여 스티커의 표면을 옻칠하는 작업과 옻칠된 스티커에 다중으로 옻을 중첩시키기 위한 마모 작업을 자동화로 진행하고 건조시켜 옻칠 스티커를 생산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옻은 옻나무에서 나는 진을 말하는데 처음 옻나무에서 나는 진은 회색이지만 물기를 없애면 검붉은 색으로 변한다. 옻은 보존성이 우수하고 산이나 알칼리, 70℃ 이상의 온도에서도 잘 변하지 않는다. 옻에는 뷰테인(butein)과 설퓨레틴(sulfuretin) 처럼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이 있어 약으로 쓰기도 하며, 주성분인 우르시올(urushiol)은 체질상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나 신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여 직접 섭취하기도 한다.
옻칠은 이러한 옻을 칠하여 도막을 형성하는 것인데, 한국과 중국, 일본에서 예로부터 금속이나 목공 도장용(木工塗裝用)으로 가장 소중히 여겨왔던 도료이다. 최근에는 생산량이 적고 비싸기 때문에 주로 미술공예품 등의 용도에 사용되는데, 도막(塗膜)의 경도, 부착성, 광택 등이 뛰어나지만 담색(淡色)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페인트 및 에나멜 등에 비하여 깊이가 있고 무게 있는 예술적 감각 때문에 현재까지 많이 쓰이곤 한다.
옻칠은 보통 나전 칠기 등의 용기에 작업된다. 옻칠의 작업 과정을 보면 나전 칠기 등의 용기에 옻을 얇게 바른 후 건조시킨다. 건조된 용기는 표면을 갈아낸 후 다시 옻을 바른다. 옻을 바른 용기는 다시 건조 후 표면을 갈아내고 중첩하여 옻을 바른다. 이 과정을 반복한 후 마무리 작업 시 옻칠된 용기의 표면은 문질러 광을 낸다. 그 후 표면의 기름을 닦아내면 옻칠된 용기가 완성된다.
상기와 같은 옻칠은 전통공예의 일종으로 현재는 나전칠기 등의 용기에만 사용될 뿐이고, 나전칠기 등의 용기에 사용하더라도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의 편차가 큰 문제점이 있다.
천연재료로서 옻의 유익한 성분은 대중매체나 다양한 연구로 증명되고 있으나 현대생활에서 옻을 이용한 사례는 매우 제한적이므로 옻의 유익한 성분을 이용하고 다방면에 활용 가능한 제품을 개발하고, 이를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수단의 도입이 요구된다.
(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305272호 (문헌 0002) 대한민국실용신안 제20-0293008호 (문헌 0003)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7669호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옻의 유익한 성분을 다방면에 활용 가능한 제품과 상기 제품을 대량생산 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옻칠을 자동화장치를 도입하여 경제성과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시트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마모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옻칠기, 컨베이어의 후미에 구비되며 시트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수납된 시트를 기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시키는 수납기 및 컨베이어, 마모기, 및 옻칠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각각 유입되는 합성수지와 접착테이프를 가압 및 부착시켜 시트를 형성하고 시트를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한 쌍의 부착롤러 및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를 기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모기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모재, 마모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마모재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1 왕복구동부 및 제1 왕복구동부와 연결되며 마모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모기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모재, 마모재에 의해 외측 둘레가 감싸지고 원통 형상을 갖는 마모롤, 마모롤과 연결되며 마모롤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구동부, 마모롤 또는 상기 제1 회전구동부와 연결되며 마모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옻칠기는, 옻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시트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왕복브러시, 왕복브러시와 연결되며 왕복브러시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2 왕복구동부 및 왕복브러시와 연결되며 저장부의 옻을 왕복브러시에 주입하는 옻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옻칠기는, 제2 왕복구동부와 연결되며 왕복브러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옻칠기는, 옻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옻을 회전에 의해 시트의 표면에 도포하는 롤브러시 및 롤브러시와 연결되며 롤브러시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옻칠기는, 제2 회전구동부와 연결되며 롤브러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옻칠 스티커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에 따르면 옻칠 스티커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고, 자동화되어 사용이 편리하다.
또한, 균일한 품질의 옻칠 스티커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는 옻칠을 자동화 장치를 도입하여 경제적이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롤러와 재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왕복구동부와 제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마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1 회전구동부와 제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마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왕복구동부와 제2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옻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구동부와 제2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옻칠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브러시와 저장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기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시트(S)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100),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S)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마모기(400),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S)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옻칠기(500), 상기 컨베이어(100)의 후미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S)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수납된 상기 시트(S)를 기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시키는 수납기(600) 및 상기 컨베이어(100), 마모기(400), 및 옻칠기(5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700)(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트(S)는 판 형상으로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이용한 옻칠 스티커의 제작과정에서 모재 또는 중간 단계의 가공재 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옻칠을 중첩하여 수행하는데, 상기 시트(S)는 옻칠이 수행되기 전과 옻칠이 수행된 후 모두를 통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시트(S)는 합성수지(10)와 접착테이프(20)를 부착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상기 합성수지(10)와 접착테이프(20)를 부착한 상태에서 상기 합성수지(10)의 표면에 옻칠이 수행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10)는 PET로 성형될 수 있고, 비닐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에서 옻칠 스티커가 제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100)는 컨베이어벨트(110)를 하나의 방향성을 갖도록 이동시키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이동되는 시트(S)는 상기 마모기(400)를 통해 마모되고, 상기 마모된 시트(S)는 상기 옻칠기(500)를 통해 상기 시트(S)의 표면에 옻칠이 수행되고, 상기 옻칠이 수행된 시트(S)는 수납기(600)에 안착되어 기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된다. 상기 건조된 시트(S)는 다시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마모기(400)를 통한 마모, 상기 옻칠기(500)를 통한 옻칠이 순차적으로 수행된 후 상기 수납기(600)에 안착되어 다시 건조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이 반복 진행되어 옻칠 스티커가 제작된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무한궤도상을 이동하면서 상부에 상기 시트(S)가 안착되어 상기 시트(S)를 이동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컨베이어(100)는 상부에 컨베이어벨트(110)가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하나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시트(S)를 이동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컨베이어(100)의 양 측에는 상기 시트(S)의 측면 일부를 고정시키는 고정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111)는 ㄱ형상을 갖고 상기 시트(S)의 상부 면의 일부를 감싸 상기 시트(S)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고정구(111)는 비교적 무게가 가벼운 상기 시트(S)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한 구성으로 변경실시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하부에는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공기를 흡착시킴으로써 상기 시트(S)를 컨베이어벨트(1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하부는 밀폐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100)의 일측에는 상기 컨베이어(100)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각각 유입되는 합성수지(10)와 접착테이프(20)를 가압 및 부착시켜 상기 시트(S)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S)를 상기 컨베이어(100)로 공급하는 한 쌍의 부착롤러(2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합성수지(10)와 접착테이프(20)를 부착시켜 시트(S)를 형성하는데, 상기 시트(S)는 상기 합성수지(10)가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일측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컨베이어(100)의 폭에 맞추어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가 같은 높이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동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 사이에서 가압되는 상기 접착테이프(20)와 상기 합성수지(10) 중 상기 합성수지(10)가 상기 마모기(400) 및 상기 옻칠기(500)와 더 가까운 거리를 갖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는 본 발명에서 초기에 합성수지(10)와 접착테이프(20)를 부착시킬 때 가동되고 이후 옻칠의 반복 작업 시에는 가동이 중단될 수 있다. 상기 옻칠의 반복 작업 시 수납기(600)에서 건조된 시트(S)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일측에 다시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이동되면서 마모 및 옻칠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폭에 맞추어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는 수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직선상에 배치된 한 쌍의 부착롤러(200) 사이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와 같은 높이를 갖거나 약간 높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선상에 배치된 한 쌍의 부착롤러(200)는 상기 한 쌍의 부착롤러(200)가 서로 최단거리를 갖는 접선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동방향과 같은 방향을 갖도록 각각 회전된다.
수직선상에 한 쌍의 부착롤러(200)가 배치되는 경우 수납기(600)에서 건조된 시트(S)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에 위치되는데, 상기 부착롤러(200)와 상기 마모기(400)의 사이 또는 상기 부착롤러(200)와 상기 옻칠기(50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는 상기 시트(S)를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기(30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단기(300)는 다양한 구조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재단기(30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폭과 대응되어 수직으로 운동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을 수직으로 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칼날이 상기 시트(S)를 수직으로 절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재단기(300)는 회전운동하는 칼날과 상기 칼날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칼날이 회전하여 상기 시트(S)를 절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착롤러와 재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단기(300)는 상기 부착롤러(200)와 상기 컨베이어(10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부착롤러(200)에서 형성된 상기 시트(S)를 설정된 크기와 길이를 갖도록 재단한다. 상기 재단기(30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재단롤러(310)를 포함하고, 상기 재단롤러(310)의 사이를 상기 시트(S)가 통과하면서 상기 재단롤러(310)에 의해 재단된다.
이를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재단롤러(310) 중 하나에는 상기 재단롤러(310)의 접선을 따라 칼날(311)이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돌출된 칼날(311)과 맞물리도록 상기 재단롤러(310)의 접선을 따라 재단홈(312)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재단롤러(3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칼날(311)과 재단홈(312)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재단롤러(310)의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S)를 절단한다. 상기 한 쌍의 재단롤러(310)는 서로 직경이 다를 수 있으나, 이 경우에도 상기 칼날(311)과 재단홈(312)이 서로 맞물리도록 칼날(311)과 재단홈(312)의 위치, 개수 등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재단롤러(310)는 서로 위치되는 높이가 달라서 상기 재단롤러(310)의 사이를 통과하는 시트(S)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방향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트(S)에서 접착테이프(20)와 접하는 재단롤러(310)는 합성수지(10)와 접하는 롤러보다 낮은 높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롤러의 위치, 크기, 회전속도 등은 상기 재단하고자 하는 시트(S)의 두께, 재단되는 시트(S)의 크기 또는 길이, 상기 부착롤러(200)의 회전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왕복구동부와 제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마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1 회전구동부와 제1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마모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마모기(400)는 상기 시트(S)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장치로, 상기 마모기(400)는 합성수지(10)의 표면을 마모시키거나 옻의 표면을 마모시킨다. 본 발명에서 옻칠이 중첩하여 수행되는데, 옻칠의 중첩을 위하여 상기 옻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것은 수회에 걸친 옻칠의 층간의 결합력과 부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함으로, 합성수지(10)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것은 합성수지(10)의 소재, 두께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마모기(400)는 상기 부착롤러(200)에 의해 형성된 시트(S)가 1회 컨베이어(100)를 통과할 때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시트(S)에 옻칠이 수행되고 건조된 후 2회 컨베이어(100)를 통과할 때부터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모기(4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S)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모재(410), 상기 마모재(4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마모재(410)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1 왕복구동부(420) 및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와 연결되며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수단(440)을 포함한다.
상기 마모재(410)는 상기 시트(S)의 표면과 접촉되어 상기 시트(S)의 표면을 마모시킨다. 상기 마모재(410)는 사포, 샌드페이퍼 등일 수 있다. 상기 마모재(410)는 그 종류나 재질에 제한은 없으나 상기 시트(S)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이 거칠고 일정 강도가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는 상기 마모재(410)를 수평 방향으로 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는 LM가이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LM가이드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폭 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LM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된 마모재(410)를 상기 레일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의 동작은 제어기(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마모재(410)의 왕복 운동은 일정한 속도를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와 맞물리도록 구비된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와 연결되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모재(410)의 상부에는 피니언기어와 회전모터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해진 시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다시 정해진 시간만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랙기어는 상기 피니언기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컨베이어(100)의 폭 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가 회전할 때 상기 랙기어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구조이다.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기일 수 있다. 상기 진동기는 상기 마모재(4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마모재(410)를 진동시킴에 따라 상기 마모재(410)와 접하는 시트(S)를 마모시킨다. 상기 진동기는 복수일 수 있고 상기 진동기의 동작은 상기 제어기(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모기(4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S)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모재(410), 상기 마모재(410)에 의해 외측 둘레가 감싸지고 원통 형상을 갖는 마모롤(411), 상기 마모롤(411)과 연결되며 상기 마모롤(411)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구동부(430), 상기 마모롤(411) 또는 상기 제1 회전구동부(430)와 연결되며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수단(4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모롤(411)은 원통 형상으로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마모롤(411)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마모재(410)가 부착된다. 상기 제1 회전구동부(430)는 상기 마모롤(411)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장치로, 상기 제1 회전구동부(430)는 회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구동부(430)는 상기 마모롤(411)을 회전시켜 상기 마모재(410)가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S)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상기 마모재(410), 마모롤(411), 제1 왕복구동부(420) 또는 제1 회전구동부(430)와 연결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는 유압펌프와 연결되어 유압펌프의 가동에 의해 상기 유압모터가 작동하며, 상기 유압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 경우 상기 유압모터의 단부에는 톱니 형상을 갖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 상기 제1 회전구동부(430), 상기 마모재(410) 또는 상기 마모롤(411)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텔레스코픽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마모재(410), 마모롤(411), 제1 왕복구동부(420) 또는 제1 회전구동부(430)의 양 측면에는 텔레스코픽 부재가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부재가 펴지거나 접히면서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부재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마모재(410), 마모롤(411), 제1 왕복구동부(420) 또는 제1 회전구동부(430)를 지지하는 동시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은 상기 마모재(410), 마모롤(411), 제1 왕복구동부(420) 또는 제1 회전구동부(430)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마모재(41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레일은 LM가이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2개의 기둥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2개의 기둥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둥 자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이 유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텔레스코픽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기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LM가이드 등의 레일은 상기 2개의 기둥 내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상술한 예 이외에도 상기 마모재(41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 구성,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마모기(400)의 일측에는 공기를 흡입하거나 분사하여 상기 마모기(400)에 의해 상기 시트(S)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온 마모된 물질을 제거하는 제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거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마모된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상기 제거기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되어 상기 시트(S)의 표면에서 떨어져 나온 마모된 물질을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컨베이어(100)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작업장의 작업환경을 고려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의 제거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거기는 상기 제어기(70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왕복구동부와 제2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옻칠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회전구동부와 제2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된 옻칠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브러시와 저장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옻칠기(500)는 상기 시트(S)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장치로서,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옻칠기(500)는 옻이 저장되는 저장부(510), 상기 저장부(510)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520),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S)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왕복브러시(530), 상기 왕복브러시(530)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2 왕복구동부(550) 및 상기 왕복브러시(530)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510)의 옻을 상기 왕복브러시(530)에 주입하는 옻주입부(57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510)는 옻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옻은 상기 시트(S)에 수행된 옻칠의 횟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시트(S)에 처음으로 옻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옻은 생칠(옻나무 줄기의 껍질에 상처를 낸 자국에서 흘러나온 끈끈한 유장물(乳狀物)을 도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걸러 낸 것으로 반투명)일 수 있고 이후 옻칠된 시트(S)가 건조된 후 다시 컨베이어벨트(110)를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옻은 수분을 건조시키거나 희석제를 첨가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옻칠이 수행된 시트(S)는 옻이 굳으면서 일정 강성이 확보된다.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옻은 옻칠의 종류, 공정, 제작하고자 하는 옻칠 스티커의 상태나 품질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옻의 종류를 변경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저장부(510)는 착탈식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부(510)는 착탈이 용이하도록 탄성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520)는 상기 저장부(510)를 일정 온도로 유지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히터(520)는 상기 저장부(510)에 열선을 설치하고 상기 열선에 직접 온도를 가하거나 증기 등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상기 저장부(510)의 온도를 유지시킨다. 상기 히터(520)에 의하여 상기 저장부(510)는 70℃ 이상 13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옻에 함유된 라카아제의 활성을 방지하는 동시에 중합을 방지하여 옻의 경화를 막기 위함이다.
상기 왕복브러시(530)는 붓의 형상으로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된 옻을 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시트(S)의 표면에 칠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왕복브러시(5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길이를 갖고 상기 왕복브러시(530)의 폭보다 길이가 더 긴 형상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왕복브러시(53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폭 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옻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왕복브러시(530)의 수평방향 왕복운동을 위하여 제2 왕복구동부(5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2 왕복구동부(550)는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와 구성과 기능이 대응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왕복구동부(550)는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LM가이드나 유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왕복구동부(550)는 랙기어, 피니언기어 및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왕복브러시(530)의 왕복운동은 정해진 속도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제어기(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옻주입부(570)는 일측이 상기 왕복브러시(53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저장부(510)와 연결되어 저장부(510)에 저장된 옻을 상기 왕복브러시(530)로 공급한다. 상기 옻주입부(570)는 상기 왕복브러시(530)의 상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왕복브러시(530)로 공급하는 옻의 유량은 일정할 수 있다. 이는 제어기(7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데, 상기 왕복브러시(530)가 제2 왕복구동부(550)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옻주입기가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된 옻을 상기 왕복브러시(530)로 공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옻칠기(500)는 옻이 저장되는 저장부(510), 상기 저장부(510)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520), 상기 컨베이어(10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510)에 저장되는 옻을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S)의 표면에 도포하는 롤브러시(540), 상기 롤브러시(540)와 연결되며 상기 롤브러시(54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510)와 히터(520)는 상술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롤브러시(540)는 전체 형상이 원통 형상을 갖고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S)에 옻을 칠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롤브러시(540)의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롤브러시(540)를 회전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롤브러시(540)는 상기 저장부(510)와 직접 접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저장부(510)는 일측에 상기 롤브러시(540)와 접촉하는 벽체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의 표면을 따라 옻이 일정한 속도로 흘러 상기 롤브러시(540)에는 일정량의 옻이 공급된다. 상기 벽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옻은 하부에서 다시 저장부(510)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벽체의 하부에는 상기 벽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옻이 아래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저장부(510)의 내측으로 유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경사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과 상기 벽체는 예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옻칠기(500)는 상기 왕복브러시(5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수단(5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상기 왕복브러시(53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의 구성과 기능에 대응된다.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상기 왕복브러시(530), 롤브러시(540), 제2 왕복구동부(550) 또는 제2 회전구동부(560)와 연결되며 유압으로 작동되는 유압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압모터는 유압펌프와 연결되어 유압펌프의 가동에 의해 상기 유압모터가 작동하며, 상기 유압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 경우 상기 유압모터의 단부에는 톱니 형상을 갖는 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베벨기어가 구비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운동을 수직방향의 운동으로 전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상기 왕복브러시(530), 롤브러시(540), 제2 왕복구동부(550) 또는 제2 회전구동부(560)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유압으로 길이가 조절되는 텔레스코픽 방식이 이용될 수 있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의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텔레스코픽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왕복브러시(530), 롤브러시(540), 제2 왕복구동부(550) 또는 제2 회전구동부(560)의 양 측면에는 텔레스코픽 부재가 결합되고 유압에 의해 상기 텔레스코픽 부재가 펴지거나 접히면서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의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텔레스코픽 부재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왕복브러시(530), 롤브러시(540), 제2 왕복구동부(550) 또는 제2 회전구동부(560)를 지지하는 동시에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레일은 상기 왕복브러시(530), 롤브러시(540), 제2 왕복구동부(550) 또는 제2 회전구동부(560)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레일은 LM가이드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2개의 기둥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2개의 기둥의 높이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의 높이가 조절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기둥 자체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기둥 자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이 유압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텔레스코픽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기둥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LM가이드 등의 레일은 상기 2개의 기둥 내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상술한 예 이외에도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 구성, 위치를 가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기를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수납기(600)는 상기 컨베이어(1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옻칠기(500)에 의해 옻칠이 수행된 시트(S)가 수납되는 장치이다. 옻칠이 수행된 상기 시트(S)는 옻이 건조될 때까지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건조시켜야 하는데, 상기 수납기(600)는 높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수납플레이트(610)가 구비되어 상기 옻칠이 수행된 시트(S)가 각각 하나의 수납플레이트(610)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에 위치된 시트(S)는 기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된다.
상기 수납기(600)의 수납플레이트(610)에 옻칠된 시트(S)를 안착시키는 것은 수작업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S)를 상기 수납플레이트(610)로 안착시키는 것은 자동화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수납기(600)에 구비된 다수의 수납플레이트(610)는 하나의 폐회로를 이루며 상기 수납기(600) 내부에서 순환되면서 이동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단부에서 이탈되는 상기 시트(S)는 상기 다수의 수납플레이트(610) 중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높이와 같은 높이에 위치된 수납플레이트(610)에 안착된 후 상기 다수의 수납플레이트(610)가 상기 폐회로를 정해진 위치만큼 이동한다. 상기 다수의 수납플레이트(610)가 상기 폐회로를 이동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수납플레이트(610) 중 시트(S)가 안착되지 않은 하나의 수납플레이트(610)가 컨베이어(100)와 같은 높이를 같도록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단부에서 이탈되는 다른 시트(S)가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에 안착되는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의 폐회로의 이동은 LM가이드 등을 높이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의 폐회로 이동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수납레일(620)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수납레일(63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수납레일(620)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제2 수납레일(63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납레일(620)을 따라 높이방향으로 이동된 수납플레이트(610)는 지정된 높이에서 상기 제2 수납레일(63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1 수납레일(620) 및 제2 수납레일(630)은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와 결합되며 상기 결합위치에는 베어링 또는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또는 바퀴는 상기 제어기(700)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수납플레이트(610)를 상기 제1 수납레일(620) 또는 상기 제2 수납레일(630)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납기(600)의 수납플레이트(610) 중 어느 하나의 높이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높이와 같거나 약간 낮은 정도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에는 무게감지센서 또는 위치감지센서가 결합되어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의 상부에 안착한 시트(S)를 감지하여 상기 폐회로를 순환하면서 일정 거리 이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플레이트(610)의 이동은 상기 제어기(700)를 통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납기(600)는 별도의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건조실로 이동되어 정해진 시간만큼 상기 수납기(600)에 수납된 시트(S)를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건조실은 60 내지 80%의 습도와 18 내지 25℃의 온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와 습도의 조절을 위하여 상기 수납기(600)에는 상기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조절기 및 습도조절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조절기는 히터(520) 또는 냉각기일 수 있고, 상기 습도조절기는 가습기의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납기(600)를 통하여 건조된 상기 시트(S)는 다시 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마모기(400)와 상기 옻칠기(500)를 통하여 마모와 옻칠이 반복 실시된다. 이 경우 상기 마모기(400)와 옻칠기(500)의 높이는 상기 시트(S)가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를 통과한 횟수에 따라 다소 상향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기(70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진행속도, 상기 마모기(400)와 상기 옻칠기(5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는 등속을 갖도록 동작되거나 정해진 위치만큼 이동한 후 멈추고 다시 정해진 위치만큼 이동하는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수납기(600)에 수납되는 시트(S)는 재단된 상태이므로 상기 재단된 상태의 시트(S)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마모기(400)가 구비된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마모기(400)에 의해 표면이 마모된다. 상기 마모기(400)에 의해 표면이 마모된 상기 시트(S)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옻칠기(500)가 구비된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옻칠기(500)에 의해 옻칠이 수행된다. 상기 제어기(700)는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동과 상기 마모기(400) 및 옻칠기(500)의 동작을 복합적으로 제어한다.
예를들어, 상기 제어기(700)는 상기 마모기(400)에 구비된 제1 높이조절수단(440)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S)가 상기 마모기(400)가 구비된 지정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마모재(410)가 상기 시트(S)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조절하고 이 때 상기 컨베이어벨트(110)의 이동은 정지된다. 상기 마모기(400)의 마모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은 상기 마모재(410)를 상기 시트(S)의 표면에서 이격시키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10)가 다시 이동된다. 상기 제1 높이조절수단(440)이 제어될 때 상기 제1 왕복구동부(420) 또는 상기 제1 회전구동부(430)도 함께 동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700)는 상기 옻칠기(500)에 구비된 제2 높이조절수단(580)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S)가 상기 옻칠기(500)가 구비된 지정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가 상기 시트(S)의 표면과 접촉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옻칠기(500)에 의한 옻칠이 완료된 후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은 상기 왕복브러시(530) 또는 롤브러시(540)가 상기 시트(S)의 표면에서 이격되도록 제어되고 상기 컨베이어벨트(110)는 다시 이동된다. 상기 제2 높이조절수단(580)이 동작될 때 상기 제2 왕복구동부(550) 또는 상기 제2 회전구동부(560)가 함께 동작될 수 있다.
상술한 제조장치에 의해 옻칠 스티커가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옻칠 스티커는 다양한 제품에 쉽게 탈부착 가능하여 활용도가 높고 옻의 유익한 성분을 다방면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에 따르면 다수 중첩된 옻칠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옻칠 스티커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품질의 균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합성수지 20 : 접착테이프
100 : 컨베이어 110 : 컨베이어밸트
111 : 고정구
200 : 부착롤러 300 : 재단기
310 : 재단롤러 311 : 칼날
312 : 재단홈
400 : 마모기 410 : 마모재
411 : 마모롤
420 : 제1 왕복구동부 430 : 제1 회전구동부
440 : 제1 높이조절수단
500 : 옻칠기 510 : 저장부
520 : 히터 530 : 왕복브러시
540 : 롤브러시 550 : 제2 왕복구동부
560 : 제2 회전구동부 570 : 옻주입부
580 : 제2 높이조절수단
600 : 수납기 610 : 수납플레이트
620 : 제1 수납레일 630 : 제2 수납레일
700 : 제어기
S : 시트

Claims (9)

  1.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시트를 일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마모기;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옻칠기;
    상기 컨베이어의 후미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가 수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수납된 상기 시트를 기 설정된 온도와 습도에서 건조시키는 수납기; 및
    상기 컨베이어, 마모기, 및 옻칠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상기 컨베이어와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각각 유입되는 합성수지와 접착테이프를 가압 및 부착시켜 상기 시트를 형성하고 상기 시트를 상기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한 쌍의 부착롤러; 및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를 기 설정된 크기로 재단하는 재단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모재;
    상기 마모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마모재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1 왕복구동부; 및
    상기 제1 왕복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마모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기는,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표면과 접촉되는 마모재;
    상기 마모재에 의해 외측 둘레가 감싸지고 원통 형상을 갖는 마모롤;
    상기 마모롤과 연결되며 상기 마모롤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구동부;
    상기 마모롤 또는 상기 제1 회전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마모재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높이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기는,
    옻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표면에 옻을 도포하는 왕복브러시;
    상기 왕복브러시와 연결되며 상기 왕복브러시를 수평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2 왕복구동부; 및
    상기 왕복브러시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옻을 상기 왕복브러시에 주입하는 옻주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기는,
    상기 제2 왕복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왕복브러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기는,
    옻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히터;
    상기 컨베이어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옻을 회전에 의해 상기 시트의 표면에 도포하는 롤브러시; 및
    상기 롤브러시와 연결되며 상기 롤브러시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옻칠기는,
    상기 제2 회전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롤브러시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9. 삭제
KR1020190000560A 2019-01-03 2019-01-03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KR10214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60A KR102149943B1 (ko) 2019-01-03 2019-01-03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0560A KR102149943B1 (ko) 2019-01-03 2019-01-03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33A KR20200084533A (ko) 2020-07-13
KR102149943B1 true KR102149943B1 (ko) 2020-08-31

Family

ID=7157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0560A KR102149943B1 (ko) 2019-01-03 2019-01-03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94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19988A1 (de) 1999-04-30 2000-11-02 Univ Stuttgart Protonenleitende Keramik-Polymer-Kompositmembran für den Temperaturbereich bis 300 DEG C
KR100924305B1 (ko) * 2007-05-17 2009-11-02 정용식 연마부의 승강높이를 정밀하게 조정하도록 감속기를 구비한승강부를 갖는 자동석재 및 콘크리트 연마장치.
KR20090070528A (ko) * 2007-12-27 2009-07-01 이영준 자석스티커용 고무자석 접착장치
KR101305272B1 (ko) * 2011-06-09 2013-09-06 이용재 전통 나전칠기방식을 이용하여 제조된 장식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77669B1 (ko) 2011-12-15 2012-08-27 안성배 천연 식물을 이용한 장식용 스티커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16.07.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533A (ko) 2020-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9166458A (ja) ポ−タブルつや出し装置
CN101829643B (zh) 一种自动喷涂设备
KR102149943B1 (ko) 자동식 옻칠 스티커 제조장치
KR100861346B1 (ko) 피혁원단의 습식 가공장치 및 그 가공방법
CN215695174U (zh) 一种皮革生产用涂胶装置
CN110480527A (zh) 一种海绵砂纸涂胶复合成型工艺
CN108544605A (zh) 涂胶机构
CN108031627A (zh) 一种钢琴外壳uv辊面-辊边一体化方法
CN206356156U (zh) 一种全自动智能选择性喷漆装置
CN205576178U (zh) 一种新型皮革辊涂机
CN111496593A (zh) 一种环形产品自动打磨机
CN207463535U (zh) 一种鞋底喷漆环形滑轨传送系统
CN104668160B (zh) 全自动笔杆植绒机及其植绒工艺
CN209191588U (zh) 可用于木质基材的uv高精喷绘装置
CN213571067U (zh) 一种涂层面料用的涂料喷涂装置
US2367722A (en) Dinnerware decorating machine
CN112048580B (zh) 一种抑螨抗菌牛皮席的生产方法
CN208663406U (zh) 一种精密滚涂机
US200700290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nishing Veneer Edge Banding
KR101328566B1 (ko) 목재패널의 측면 코팅장치
CN208391770U (zh) 一种高效的竹木抛光装置
KR20160033974A (ko) 패널용 도장장치
CN216322772U (zh) 一种涂料均匀涂覆设备
CN215197742U (zh) 一种基于工艺品生产用喷漆装置
CN108326663A (zh) 家居装饰用栅栏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