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755B1 - 마모 조립체 - Google Patents

마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755B1
KR102149755B1 KR1020197038040A KR20197038040A KR102149755B1 KR 102149755 B1 KR102149755 B1 KR 102149755B1 KR 1020197038040 A KR1020197038040 A KR 1020197038040A KR 20197038040 A KR20197038040 A KR 20197038040A KR 102149755 B1 KR102149755 B1 KR 102149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wear
axis
base
wea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8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469A (ko
Inventor
크리스토퍼 에이. 존스턴
도널드 엠. 콘클린
마이클 비. 로스카
윌리엄 디. 로씨
케빈 에스. 스탕겔란드
Original Assignee
에스코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847021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4975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에스코 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00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58Teeth characterised by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83Wear elements for buckets or implements in general

Abstract

마모 조립체용 마모 부재는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로크를 포함하며, 상기 로크는 2개의 결합 위치, 즉 (a) 로크를 마모 부재에 고정시키는 제1 위치, 및 (b)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제2 위치를 갖는다. 로크는 추가로, 2개의 위상, 즉 먼저 래칭 기구의 후퇴, 및 이어서 로크 자체의 회전에 의한 마모 부재의 제거로 마모 부재로부터 언래칭 및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마모 조립체{WEAR ASSEMBLY}
관련 출원 정보
본 출원은 2011년 11월 23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마모 조립체(Wear Assembly)"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563,448호 및 2012년 10월 31일자로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마모 조립체"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1/720,928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들 우선권 출원 각각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굴토 장비용 마모 조립체, 및 마모 조립체의 마모 부재, 베이스 및 로크에 관한 것이다.
굴착 버킷, 커터헤드 등과 같은 굴착 장비는 철거, 채굴, 토공, 및 다른 유사한 가혹한 응용에 대해 사용된다. 이러한 장비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그리고/또는 장비의 작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마모 부품이 굴착 장비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부품은 포인트, 어댑터, 슈라우드, 러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부품은 통상적으로 가혹한 조건, 중량의 부하, 및 극한의 마모를 겪게 된다. 따라서, 마모 부품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마모되어, 종종 현장에서 이상적인 조건보다 못한 상황하에서 교체되어야 한다.
로크가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따라서, 이렇게 하기 위해, 로크는 몇몇 외견상 모순적인 필요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로크는 작동 중에 실패를 방지하기에 충분한 강도 및 안정성으로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고정시켜야 한다. 동시에, 로크는 현장 조건하에서 현장 인력에 의해 마모 부재를 용이하게 해제 및 교체할 수 있어야 한다.
마모 부품 및 이들의 유지 장치의 예가 미국 특허 제US5709043호, 제US6735890호, 제US6871426호, 제US6986216호, 제US6993861호, 제US7121022호, 제US7367144호, 및 제US7882649호; 및 미국 특허 공개 제US2011010762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인용된 이들 및 다른 모든 공보의 개시내용은 모든 목적으로 위해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굴토 장비용 마모 조립체를 위한 마모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또한, 단일의 일체형 구성요소로서 결합된 마모 부재 및 로크를 포함하는데, 즉, 마모 부재는 함께 연결된 마모성 몸체 및 로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태양들은 또한, 로크, 마모 부재(예를 들어, 포인트, 어댑터, 슈라우드 등), 및 베이스 각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 따른 로크는 마모 부재에 대해 2개의 결합 위치: 로크를 마모 부재에 고정하는 제1 결합 위치, 또는 운반 위치, 및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고정시킬 수 있는 제2 결합 위치, 또는 설치 위치를 가질 것이다. 운반 위치에 유지된 로크의 소정의 실시예를 갖는 마모 부재는 "설치 준비 상태"로 운반된다. 이러한 마모 부재는 로크가 여전히 운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설치 절차를 개시하기 위해 운반 위치로부터의 로크의 어떠한 이동도 요구되지 않는다. 또한, 마모 부재를 베이스 상에 설치하기 위해, 또는 마모 부재를 베이스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로크가 마모 부재로부터 제거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예들에 따른 로크는 추가로, 래칭 기구의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의 몸체 내로의) 후퇴의 경우의 제1 위상, 이어서 베이스로부터의 마모 부재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해 로크 자체를 마모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위상을 포함한 2개의 위상으로 마모 부재로부터 언래칭 또는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따른 굴토 장비(예를 들어, 굴착 장비)용 마모 부재는 (마모 부재를 상기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장비의 베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장착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부분은 제1 레그 및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해 이격되어 있는 제1 레그 반대편의 제2 레그를 구비한다. 본 예시적 구조체의 제1 레그는 제1 레그의 후방 에지를 향해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 레일 및 제1 레일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레일은 각각 베이스 상의 상보적 표면에 지탱하기 위해 외측 표면을 갖는다. 제1 및 제2 레일은 후방 에지 쪽 방향으로 축선방향으로 수렴할 수 있다. 이러한 마모 부재는 추가로, (예를 들어, 레일들 사이에서) 레그 중 하나를 통해 로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 구멍으로부터 레그의 측면들 중 하나로 연장되는 로크 접근 리세스, 및 선택적으로 구멍에 결합되는 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로크 접근 리세스는 레일들 중 하나 위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태양에 따른 마모 부재(예를 들어, 슈라우드, 포인트, 어댑터, 러너 등)는 마모 부재를 상기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장비의 베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장착 부분을 포함한다. 본 예시적 구조체의 장착 부분은 베이스에 대면하는 내측 표면 및 외측 표면을 구비하고, 장착 단부는 외측 표면으로부터 장착 단부를 통해 내측 표면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로크 수용 영역을 형성한다. 이 구멍은 로크가 결합하고, 베이스와 결합하여 마모 부재를 장비에 보유지지하기 위해 내측으로 스윙하고, 베이스를 해제시키고 장비로부터 마모 부재를 해제시키도록 외측으로 스윙하는 구멍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부를 갖는 후방 벽을 구비한다. 지지부는 마모 부재의 내측 표면에 인접하고,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지지부는 구멍의 후방 벽을 따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지지부는 또한, 지지부가 구멍 내로 또는 후방 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보다 더 먼 거리에 대해 구멍의 후방 벽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본 예시적 구조체의 (후방 벽의 맞은편에 배치된) 구멍의 전방 벽은 외측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외측 부분 및 외측 부분에 대해 전방으로 마모 부재 내로 오목하고 로크를 내측 스윙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로크의 래치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내측 표면까지 연장되는 포켓(예를 들어, 언더컷 부분)을 형성하는 내측 부분을 구비한다. 이러한 마모 부재는 추가로, 마모 부재와 결합되는 로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이러한 조합의 마모 부재 및 로크는 상기 장비 베이스에 장착되어 마모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들에 따른 마모 부재는 대체로 구멍의 후방 벽과 전방 벽 사이의 방향으로(예를 들어, 구멍으로부터 측면으로) 로크 장착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표면 내에 로크 접근 리세스를 포함할 것이다. 일부 마모 부재에 대해, 구멍 및 로크 접근 리세스는 마모 부재의 측벽에 제공될 수 있으며, 다른 마모 부재에 대해, 구멍 및 로크 접근 리세스는 마모 부재의 레그 또는 상단 벽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에 따른 마모 부재는 (마모 부재를 상기 장비에 장착하기 위해) 장비의 베이스와 결합하기 위한 장착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장착 부분은 베이스에 대면하는 내측 표면과 반대편의 외측 표면, 외측 표면으로부터 장착 부분을 통해 내측 표면으로 연장되는 구멍, 및 마모 부재를 장비에 유지하기 위해 로크가 베이스와 접촉하도록 위치되는 로킹 위치와 로크가 베이스를 해제시키도록 위치되는 해제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구멍에 일체로 장착되는 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시적 로크는 로크 몸체, 회전 작동 부재, 및 로크를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에서 교호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마모 부재와 결합하는 제1 위치, 및 제1 위치로부터 후퇴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래치 부재를 구비한다. 원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일부 예시적 구조체에서, 래치 부재는 특히, 부품들이 비교적 새것이거나 그리고/또는 마모되지 않은 경우에, 예를 들어, 로크가 마모 부재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제2 (후퇴) 위치에 있는 때에도 마모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이러한 로크는 추가로 래치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해 탄성 부재 또는 다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마모 부재를 장치에 고정하기 위한(예를 들어, 전술한 유형의 마모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로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로크는 장비 상의 베이스와 접촉하기 위한 전방 지지 표면 및 마모 부재의 구멍에서 상보적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개방형 리세스를 포함하는 로크 몸체; 로크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기 부재; 로크 몸체에 대한 작동기 부재의 이동이 래치 부재의 일부가 마모 부재와 접촉하기 위한 방향으로 외측으로 (예를 들어, 로크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래칭 위치와 래치 부재가 래칭 위치에 대해 후퇴된 언래칭 위치 사이에서 래치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로크 몸체 및 작동기 부재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부재; 및 선택적으로 래치 부재를 래칭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로크는, 마모 부재를 상기 장비에 유지시키도록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기 위한 일단부 상의 지지 표면, 및 상기 지지 표면이 베이스와 접촉하게 되는 로킹 위치와 상기 지지 표면이 상기 베이스를 해제시키게 되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로크 몸체가 회전할 때 중심이 되는 마모 부재 상의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타단부 상의 리세스를 구비하는 로크 몸체; 래치 부재가 상기 마모 부재와 접촉하는 제1 위치와 상기 래치 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대해 후퇴되어 상기 마모 부재와 분리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상기 로크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래치 부재; 작동 부재의 초기 회전이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로크 몸체에 대해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 부재의 추가 회전이 상기 마모 부재 상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상기 로크 몸체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래치 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크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 부재; 및 선택적으로, 상기 래치 부재를 제1 위치로 편향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와 같은 편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유형의 로크에 있어서, 작동기 부재는 로크 몸체에서 제1 축선 상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래치 부재는 래칭 위치와 언래칭 위치 사이에서 제2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축선은 일부 실시예에서, 평행 및 비-정렬될 수 있으며, 이들 축선은 다른 실시예에서 비-평행일 수 있다. 비-평행인 경우, 제1 축선은 양 축선이 돌출하는 평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0° 내지 45°의 각도(그리고, 일부 실시예에서는, 5° 내지 35°의 각도)로 제2 축선으로부터 벗어난다. 작동기 부재는, 래치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그리고 래칭 위치와 언래칭 위치 사이에서의 래치 부재의 이동을 위해, 래치 부재에 대해 작동기 부재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한 공구 인터페이스 및 캠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이점은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을 고려한 후에 보다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모 부재 및 로크를 포함하는 마모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도 1의 로크의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크의 분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로크 몸체가 반-투명인, 도 1의 로크에 대한 로크 몸체의 우측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각각 도 1의 로크에 대한 작동기 부재의 측면도, 우측 사시도, 및 상단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각각 도 1의 로크에 대한 래치 부재의 좌측 사시도, 우측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선택된 로크 구성요소가 반-투명인 도 1의 로크의 좌측 및 우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된 작동기 부재 및 래치 부재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베이스와 결합된 도 1의 로크 및 마모 부재로서, 로크가 마모 부재 내로의 초기 삽입 시에 있는 것을 도시하는 로크 및 마모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래칭 구성에 있는 동안 마모 부재 내로의 로크의 삽입 이전, 또는 마모 부재로부터의 제거 이후의 도 10의 로크의 평면도이다.
도 11a는 도 9의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른 로크를 도시하는 평면도로서,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는 캠 구성이 상이하고, 도 11 및 도 11a의 캠 구성 둘 모두는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베이스와 결합되어 있는 도 10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부분 단면도로서, 로크는 운반 위치에 있고, 단면은 도 1의 라인 12-12로 표시된 평면을 따라 취해진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로크 및 대응하는 마모 부재를 완전히 베이스 상의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설치 구성에 있는 도 10 및 도 12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래칭 기구가 후퇴되어 있으나, 로크는 마모 부재를 베이스 상에 유지하는 위치에 있는, 언로킹 구성의 도 11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약간 높은 평면을 따르는 도 15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 인접하여 있는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운반 위치에 있는 로크를 도시하는 도 1의 마모 부재 및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설치 위치에 있는 로크를 도시하는 도 1의 마모 부재 및 로크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설치 위치에 있는 로크를 도시하는 도 1의 마모 부재 및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에 결합되는 도 2의 마모 부재 및 로크를 포함하는 도 1의 마모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0의 베이스와 관련한, 래칭 구성 및 설치 위치에 있는 도 1의 로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3은 점선으로 도시된 도 10의 마모 부재와 함께 도 21의 로크 및 베이스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4는 도 10의 베이스와 관련한, 래칭 구성 및 설치 위치에 있는 도 22의 로크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로크 및 마모 부재의 수평 섹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6a 및 도 26b는 각각 로킹 구성과 언로킹 구성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26c는 본 예시적 로크의 상면도이고, 도 26d는 본 예시적 로크의 측면도이다. 도 26e는 본 예시적 로크의 래치 부재와 작동기 부재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시한다. 도 26f는 본 예시적 로크의 작동기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26g는 본 예시적 로크의 분해도이다. 도 26h는 본 예시적 로크의 정면도이다.
도 27은 포인트 및 베이스에 장착된 도 26a 내지 도 26h의 로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a는 도 26a 내지 도 26h에 도시된 유형의 로크를 사용하여 베이스와 결합되는 슈라우드 유형의 마모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8b는 도 28a의 라인 28B-28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8c 내지 도 28e는 각각, 본 예시적 슈라우드 및 그의 로크 영역의 상면도, 단면도,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9a는 도 26a 내지 도 26h에 도시된 유형의 로크를 사용하여 베이스 부재와 결합되는 다른 슈라우드 유형의 마모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9b는 도 29a의 라인 29B-29B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29c 및 도 29d는 각각, 본 예시적 슈라우드 및 그의 로크 리세스 그리고 보스 결합 영역의 상면도 및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9e 및 도 29f는 다른 마모 조립체 장비와 본 슈라우드의 결합을 예시한다.
본 발명은 굴토 장비(ground-engaging equipment)용 마모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굴착 치형부 및 슈라우드 형태의 본 발명의 예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태양들은 중간 어댑터 및 러너와 같은 다른 유형의 마모 부품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출원이 굴착 버킷과 관련한 마모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태양들은 준설 커터 헤드, 활송장치(chute), 트럭 바디 등과 같은 다른 굴토 장비에 마모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토공 장비에의 부착 시 치형부는 전형적으로 다양한 배향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상단(top)" 및 "바닥(bottom)"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상호 교환 가능한 것으로 여겨진다. 마모 부품의 "전방(front)" 및 "후방(rear)"은 마모 부품에 대한 흙 물질의 주 이동 방향의 맥락에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치형부 시스템의 포인트에 대해, 통상적인 굴착 작업에 있어서, 상기 포인트에 대한 흙 물질의 주 이동이 협폭 에지로부터 베이스-수용 캐비티를 향해 "후방"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전방은 상기 포인트의 상기 협폭 에지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 예의 마모 조립체(10)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마모 조립체(10)는 마모 부재(12) 및 마모 부재(12)와 관련된 로크(14)를 포함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로크(14)는 마모 부재(12)에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고, 이렇게 결합된 경우, 마모 부재(12)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로크(14)의 형상에 상보적인 형상을 갖는 로크 리세스(16) 내에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크 리세스(16) 내에의 로크(14)의 안착은 로크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된 마모 부재(12)와 로크(14)로 구성되는 마모 조립체(10)는 단일 유닛으로서 판매, 운송, 보관 및/또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마모 부재(12)는 굴착 동안 땅을 뚫고 들어가기 위한 협폭 전방 에지(12B) 형태의 작업 부분(12A), 및 베이스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개방형 캐비티를 갖는 장착 부분(12C)을 갖는다. 장착 부분(12C)은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로크를 수용하여 로크와 협력하도록 구조화된 로크 수용 영역(16)을 갖는다.
래칭 기구는 로크(14)를 마모 부재(12) 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로크(14)가 마모 부재(12)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리고/또는 마모 부재(12)의 운송, 보관 및 설치 중에 상실 또는 오배치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단일 일체형의 마모 부재 및 로크의 사용은 또한, 재고 처리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래칭 기구는 로크(14)를 마모 부재(12) 내의 제 위치에 유지시킴으로써, 마모 부재(12)의 운반 및 보관을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으로, 바람직하게는 로크(14)를 먼저 이동시키거나 제거하지 않고서도, 마모 부재(12)가 적절한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로크(14)는 바람직하게는, 마모 부재(12)가 베이스 상에 설치되는 것이 로크(14)로 인해 방해받는 일이 없도록, 제1 위치에서 마모 부재(12)에 유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또는 운반 중에 로크(14)가 로크 리세스(16) 내에서 이동되는 소정의 상황에서, 래칭 기구는 로크(14)가 마모 부재(12)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일 없이, 마모 부재(12)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들 실시예 및 상황에서, 로크(14)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상에의 설치 중에 마모 부재(12)에 대해 용이하게 이동한다.
로크(14)가 제 위치에 있는 마모 부재(12)가 작업에 투입되면, 로크(14)는 로크(14) 및 대응하는 마모 부재(12)를 도시되지 않은 굴착 장비 상의 제 위치에 완전히 설치 및 유지시키기 위해, 이하 상세하게 기술되는 바와 같이, 로크(14)의 일부에 대한 추가적인 회전에 의해 손쉽게 완전히 설치된다.
일 예의 로크(14)가 도 2, 도 3a 내지 도 3c에, 그리고 또한 도 4의 분해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14)는 로크 몸체(18), 작동 부재(20), 래치 부재(22) 및 탄성체(24)를 포함한다. 탄성체(24)는 로크 몸체(18)에 대해 래치 부재(22)를 편향시키며, 이러한 편향은 래치 부재(22)를 래칭 위치에 유지시키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한 구조에서, 바람직하게는 단일 구성인 로크 몸체(18)는 작동 부재(20), 래치 부재(22), 및 탄성체(24)를 위한 마운트 및 하우징을 제공하며, 결합 상태로 고려 시, 이들 모두는 로크(14)의 래치 기구(26)를 구성한다. 로크 몸체(18)는 로크 몸체(18)의 소정의 내부 구조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부재(20)는 로크 몸체(18) 내 대응하는 리세스(18R) 내에 수용된다. 작동 부재(20)는 대체로 원통 형태를 가지며, 제 위치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작동 부재(20)의 상부 표면은 작동 부재(2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적합한 공구(30)와 결합하기 위한 공구 인터페이스(28)를 통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공구(30)는 연장된 손잡이, 즉 사용자가 작동 부재(20)를 회전시키기에 충분한 토크를 작동 부재(20)에 인가할 수 있도록 적합한 길이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작동 부재(20)는 육각형 소켓 형태의 공구 인터페이스(28)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 부재(2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육각 키가 통합되어 있는 공구(30)를 사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히, 개방형-단부 또는 소켓 육각 렌치, 또는 로드 또는 프라이 바를 수용하기 위해 작동 부재의 일 측면에서 개방되는 구멍이 통합된 공구와 돌출형 육각 헤드를 갖는 공구 인터페이스와 같은 임의의 유사한 효과적인 인터페이스가 작동 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동 부재(20) 측면에 있는, 작동 부재(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공구의 수용을 위한 한 쌍의 구멍(21)이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유사하게, 충격 렌치 또는 다른 유형의 회전식 장치와 같은 다른 유형의 공구가 사용될 수 있다.
작동 부재(20)의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탭(32)을 포함한다. 탭(32)의 시각적 이점 중 하나는 작동 부재(20) 및 이에 따라 래치 기구가 래칭 위치, 언래칭 위치, 또는 일부 중간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려준다는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배향에서, 래치 기구가 래칭된 때, 탭(32)은 로크 리세스(16)의 좌측 또는 시계 방향 측을 향해 있을 것이며, 래치 기구가 언래칭된 때, 탭(32)은 로크 리세스(16)의 우측 또는 반-시계 방향 측을 향해 있을 것이다. 작동 부재(20)가 탭(32)이 로크 몸체(18)에 의해 형성된 좌측 멈춤부(34) 또는 우측 멈춤부(35)와 접촉하는 지점을 지나 회전하는 것이, 탭(32)에 의해 방지되기 때문에, 탭(32)은 작동 부재(20)에 허용되는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래치 기구가 래칭 구성에 있는 경우에, 작동 부재(20)는 탭(32)이 좌측 멈춤부(34)에 맞닿아(또는 바로 인접하여) 안착될 때까지, (위에서 보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위치에서, 래치 부재(22)는 좌측 멈춤부(44)에 맞닿아(또는 바로 인접하여) 안착되어 있다.
탭(32)이 좌측 멈춤부(34) 또는 우측 멈춤부(35)(또는 로크의 다른 부품을 통해)와 접촉한 경우에, 작동 부재(20)에 추가 토크를 인가하면 이 토크가 로크 몸체(18)에 전달된다. 이렇게 전달된 토크는 마모 부재(12)에 대한 로크 몸체(18)의 회전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구(30)의 시계 방향 이동은 작동 부재(2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며, 그 후 로크 몸체(18)를 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로크(14)를 설치 위치로 이동시킨다. 공구(30)의 반시계 방향 이동은 작동 부재(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것이며, 그 후 로크 몸체(18)를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시켜 로크(14)가 2개의 위상으로 제거된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들 2개의 위상은 (1) 작동 회전 축선(축선 A)을 중심으로 작동 부재(20)를 회전시켜 래칭 기구가 래칭 회전 축선(축선 B)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래칭 기구의 제1 후퇴 발생, 이어서 (2) 비록 로크 몸체(18)의 이동이 엄격하게는 선회 이동이 아닌 것이 바람직하지만 - 대체로 로킹 회전 축선(축선 C)을 중심으로 한 로크(14) 자체의 회전을 포함한다.
2개의 위상에서 로크를 언래칭하는 것은 래칭 기구가 모래 및 미립자(예를 들어, 장비의 사용 중에 로크(14) 및 로크 리세스(16)에 들어가는 먼지 및 다른 부스러기)로 오염된 경우에 특히 도움이 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있어서 회전의 실질적인 부분(즉, 초기 부분)만이 래칭 기구의 후퇴를 야기하며, 이러한 실질적 레버리지는 래칭 기구의 매우 작은 이동 동안 생성된다. 이는 극한 상황에서의 사용 동안 래칭 기구 내에서 조밀화 및 응고되었을 수 있는 미립자를 없애거나 분쇄하는 경향이 있다고 여겨진다. 제1 회전 위상이 완료되면, 임의의 미립자의 초기 분쇄 또는 이완으로, 추가적인 회전은 전체 로크의 이동을 야기한다.
작동 부재(20)의 하측은, 작동 부재의 하측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고 작동 부재(20)의 작동 회전 축선(A)(도 2 및 도 4 참조)으로부터 오프셋된 캠(36)을 포함한다. 캠(36)의 캐밍 거동은 작동 부재(20)의 회전 축선(A)에 대해 캠(36)이 오프셋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오프셋 캠(36)은 작동 부재(20)가 회전할 때, 쌓여 있던 임의의 모래 또는 미립자들을 래치 기구로부터 제거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 않은 다른 실시예들은 작동 부재의 다른 표면 내로 오목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다른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캠을 포함할 수 있다.
캠(36)은 바람직하게는 평면 하부면(37)을 포함한다. 캠(36)은 추가적으로, 캠(36)의 하부 에지로부터 수평으로 돌출되는 플랜지(38)를 포함한다. 비록, 캠의 형상 및 표면 형성이 변동될 수 있지만, 캠(36)은 바람직하게는 (대부분은), 단면이 원형이며, 플랜지(38)도 마찬가지이다. 그렇지 않으면, 캠(36)의 오프셋으로 인해 플랜지(38)가 작동 부재(20)의 원통 둘레를 지나 돌출하게 되는 경우, 플랜지(38)의 상기 부분은 작동 부재(20)의 곡률과 실질적으로 정렬 및 정합하도록 절단되어, 캠 에지 표면(42)을 생성한다. 캠(36)은 또한, 일부 구성에서는, 어느 정도 D-형상 또는 반-원통 형상(예를 들어, 납작한 에지를 구비함)일 수 있다.
작동 부재(20)의 탭(32)이 좌측 멈춤부(34) 및 우측 멈춤부(35)에 의해 한정되는 한계점 사이에서 이동할 때, 작동 부재의 캠(36)은 래칭 구성과 언래칭 구성 사이에서 래칭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래치 부재를 선회시키도록 래치 부재(22) 상에 작용한다.
탭(32)이 멈춤부(34)에 맞닿아 있는 도 2에 도시된 래칭 구성에서, 래치 부재(22)는 도 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로크 몸체(18) 내 좌측 래치 멈춤 벽(44)에 대해 탄성체(24)에 의해 압박된다. 래치(22)는 멈춤 벽(44)에 의해서가 아니라 캠(36)과의 결합에 의해 멈추어질 수 있다. 우측 래치 멈춤 벽(46)도 도 4에 도시되어 있지만, 멈춤부(35)에 대한 탭(32)의 접촉 또는 탄성체(24)의 완전 압축에 의해 이동이 야기될 수 있기 때문에, 우측 래치 멈춤 벽은 멈춤부로서 기능할 필요가 없다. 작동 부재(2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캠(36)이 래치 부재(22)를 탄성체(24)에 대해 압박시키고, 이에 따라 작동 회전 축선(A)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래칭 축선(B)을 중심으로 래치 부재(22)를 선회시킨다. 작동 부재(20)의 계속적인 회전은 작동 부재(20)의 탭(32)이 멈춤부(35)(도 4 참조)와 접촉할 때까지, 래치 부재(22)를 래칭 축선(B)을 중심으로 계속하여 선회시키고, 이는 탄성체(24)에 대한 압박을 수반하게 될 것이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래치(22)는 상보적 노치(18N)(도 5b) 내에 끼워져 받침 또는 선회 마운트를 형성하는 협폭의 라운드형 단부(22A)(도 7a 내지 도 7c)를 향해 테이퍼진다. 래치 부재(22)는 선택적으로, 래치 부재(22)를 로크 몸체(18)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핀이 통과할 수 있는 수직-배향 관통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핀이 존재하는 경우, 핀은 바람직하게는 래칭 회전 축선(B)과 일치하며, 래치 부재(22)용 선회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래칭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한 래치 부재(22)의 회전을 보장하고 이러한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구조체도 사용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래치 부재(22)는 캠(36)의 하부 캠면(37)에 대면하는 평면(47)을 포함한다. 평면(47)은 측벽(48)(선택적으로는 수직벽)에 의해 일측면의 경계를 형성하며, 측벽(48)은 캠(36)에 의해 가압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로크(14)는 작동 부재(20) 유지에 일조하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통합할 수 있다. 작동 부재(20)는 회전 가능하여야 하지만, 작동 부재(20)는 로크(14)로부터 제거 가능하게 분리되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캠(36)은 플랜지(38)를 포함할 수 있으며, 측벽(48)은 측벽(48)을 따라 수평 채널(50)을 형성하는 상부 선반부(49)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채널(50)은, 작동 부재(20)가 로크(14)에 유지되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즉, 탄성체(24)의 편향에 기인함)을 방지하도록, 캠(36)의 플랜지(38)와 정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크 몸체(18)의 일부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래치 부재(22) 내 하나 이상의 구멍을 통해 이동되는 롤 핀 또는 스프링 핀, 또는 작동 부재(20) 내 그루브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로크 몸체(18)를 통과하는 롤 핀과 같은 여러 요소들에 대한 다른 유지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로크 몸체(18) 내에 조립된 작동 부재(20), 래치 부재(22), 및 탄성체(24)를 도시한다. 도 6b, 도 7a, 도 8a, 및 도 8b를 함께 참조하면, 캠(36)의 하부면(37)은 평면(47)에 인접하여 있고, 캠(36)의 플랜지(38)는 존재하는 경우, 수평 채널(50)과 결합한다.
도 9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작동 부재(51)는 작동 부재(51)의 회전 축선을 공유하는 캠(52)을 포함하고, 캠(52)은 실질적으로 반-원통형의 단면을 갖는다. 래치 기구는 캠(52)의 결과적인 평탄 수직 캠면(52f)(도 11a 참조)이 래치 기구(54)의 수직 벽(53)과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작동 부재(51)의 회전으로 캠(52)이 래치 부재(54)를 탄성체(예를 들어, 탄성체(24))에 대해 압박하게 한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래치 부재(22)는 결합 표면(55) 및 래치 치형부(56)를 포함하며, 래치 부재(22)는 래치 부재(22)가 좌측 래치 멈춤 벽(44)과 접촉하거나 이에 인접할 때, 결합 표면(55) 및 래치 치형부(56) 둘 모두가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 부재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어, 로크 몸체(18)의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적합한 공구(30)를 사용하여) 작동 회전 축선(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 부재(20)를 대략 75도 회전시킴으로써, 오프셋 캠(36)의 편심 회전으로 인해 캠(36)이 래치 부재(22)를 탄성체(24)를 향해 내측으로 압박하게 하고, 이에 따라 탄성체(24)를 압박하는 동시에, 결합 표면(55) 및 래치 치형부(56)를 로크 몸체(18)를 향해 내측으로 후퇴시킨다(적어도, 외측 연장부로터 원하는 작동을 허용하기에 충분히 후퇴된다).
탄성체(24)는 전형적으로, 작동 부재(20)가 언래칭 구성으로 회전될 때, 래치 부재(22)가 탄성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기에 충분한 항복성을 갖는다. 그러나, 탄성체(24)는 작동 부재(20)가 래칭 구성을 유지하고 있는 때에도, 로크 리세스(16) 내의 위치로 로크 몸체(18)를 압박함으로써 래치 부재(22)가 탄성체(24)에 대해 가압될 수 있도록, 보다 크거나 보다 적은 탄성 정도를 갖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로크(14)가 예를 들어, 공구(30)로 로크(14)를 제 위치로 선회시킴으로써 래칭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로크 몸체(18)는 마모 부재(12)의 로크 리세스(16) 내 제 위치로 압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마모 부재(12)의 운반 준비가 되어 있을 때,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새로운 로크(14)가 로크 리세스(1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 후, 도 1에 도시된 유형의 공구(30)가 공구 인터페이스(28) 내에 위치되고, 도 11에 아치형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는 로크(14)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또는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래치(22)는 로크(14)가 미설치 상태로부터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설치 중인 위치를 통해) 제1 또는 초기 설치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체(24)에 대해 후퇴한다. 이어서, 로크(14)는 운반 및/또는 보관을 위해 이 위치에서 마모 부재(12) 내에 고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크(1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로크(14)가 마모 부재(12)에 대해 이동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도록, 즉 래치(22)가 지지부(64)의 코너 표면(65)을 가압하여 로크(14)의 내측 방향 이동을 억제하고, 치형부(56)가 리세스 곡선(71)을 가압하여 로크(14)의 외측 방향 이동을 억제하도록, 탄성체(24)가 래치 부재(22)에 충분한 힘을 인가한다. 로크(14)는 전형적으로, 적합한 공구 또는 다른 현저한 외력의 사용 없이는 이동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위치에서의 로크(14)의 존재는 적합한 베이스 상에 마모 부재(12)를 설치하는 것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이러한 베이스(58)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베이스(58)는 로크(14)를 제1 위치에 두거나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니며, 본 설명의 다른 부분에 대한 참고로서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로크(14)는 상기 로크(14)가 도 12의 제1 또는 해제 위치로부터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제2 또는 로킹 위치로 선회된 때, 마모 부재(12)를 베이스(58)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베이스(58)는 하나의 굴착 장비(또는 다른 토굴 장비)의 일체부일 수 있으며, 또는 베이스(58)는 예를 들어 용접 또는 다른 기계적 부착에 의해 이러한 장비(예를 들어, 어댑터)에 부착될 수 있다. 적합한 베이스(58)는 일반적으로 마모 부재(12)를 고정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상화되며, 로크가 제2 또는 로킹 위치로 이동된 때(예를 들어, 로크 몸체가 로크 리세스(16) 내로 완전히 삽입된 때), 로크 몸체(18)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크기설정 및 구성되는 개구 또는 노치(60)를 포함한다.
로크(14)는 바람직하게는, 로크 리세스(16)의 기단 벽에 형성된 상보적 지지 특징부(64)와 협력하도록 구성되는 커플링 구조체 또는 앵커 특징부(62)를 포함한다. 앵커(62) 및 지지부(64)는 로크(14)가 상보적인 지지부(64)와 앵커(62)의 상호작용에 의해 안착되고, 이어서 로크 몸체(18)를 도 14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베이스 노치(60) 내로 이동시키기 위해, 로크(14)가 대체로 로킹 회전 축선(C)(도 2에 도시됨)을 중심으로 로크 리세스(16) 내로 스윙될 수 있다. 앵커(62) 및 지지부(64)는 바람직하게는, 축선(C)을 중심으로 한 로크(14)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앵커(62)는 로크 리세스(16)의 기단 벽에 형성되는 수직 리지에 대응하는 지지부(64)(도 10 및 도 12 참조)와 상호작용하는 슬롯에 대응한다. 비록 바람직한 것은 아니지만, 슬롯은 로크 상의 리지 및 마모 부재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적절하게 위치된 경우, 로크 몸체(18)의 전방면 또는 말단면(66)은 개구(60)의 상보적 저항면(68)에 대향하며, 그렇지 않았으면 마모 부재(12)를 외측으로 압박하고 이를 베이스(58)로부터 제거하게 될 힘으로 인해 말단면(66)과 저항면(68) 사이에 접촉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써 마모 부재(12)를 베이스(58) 상의 제 위치에 효과적으로 로킹하게 된다. 동시에, 로크 몸체(18)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16)의 견부(70)와 결합 표면(55) 사이의 접촉에 의해 로크 리세스(16)에 유지된다. 로크(14) 및 로크 리세스(16),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부(64) 및 견부(70)에 대한 로크 몸체(18) 및 래치 부재(22)의 기하학적 구조는 로크(14)가 자체-구속되는 경향을 갖도록 한다. 로크(14)가 지지부(64) 및 견부(70) 둘 모두를 지나 이동하게 되는 유일한 방법은 래치 부재(22)가 역 회전하는 것이며, 이로써 로크(14)가 리세스(16)의 밖으로 선회할 수 있다. 래치 부재(22)의 역 회전에 앞선 로크(14)의 임의의 선회는 래치 부재(22)를 언래칭 위치를 향해 가압하는 대신, 언래칭 위치로부터 가장 멀리 래치 부재(22)를 밀어 당기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하중에 의한 극한의 응력을 받는 경우라도 로크(14)가 특히 신뢰할 수 있는 로킹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로크(14) 및 마모 부재(12)의 기하학적 구조는 그렇지 않았으면 로크를 마모 부재(12) 밖으로 압박하였을 힘(예컨대, 부하, 미립자의 존재 등의 경우하에서 마모 부재(12)의 이동)이 로크(14) 상에 인가되는 경우에, 지지부(64)의 입체적 구조가 로크 리세스 내에서 전방으로 로크(14)를 압박하고, 이어서 결합면(55)과 견부(70) 사이의 결합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된다. 즉, 지지부(64)의 존재는 로크(14)를 설치 위치에 포함시키는 작용을 한다. 로크(14)의 임의의 전방 이동(즉, 슬롯(62)을 지지부(64)로부터 당겨 내는 것)은 저항면(68)과 맞닿는 말단면(66)에 의해 저지된다. 로크(14)의 임의의 외측 이동은 이탈을 저지하기 위해 오버-센터 위치에 있는 래치 부재(22)에 의해 저지된다(도 16 참조). 슬롯(62) 및 지지부(64)는 추가로 로크(14)의 비틀림을 저지하기 위해 협력한다. 운반 위치에서, 로크(14)는 또한, 슬롯(62)에 수용되는 리지(64), 리세스 곡선(71)에 맞닿은 래치 치형부(56), 및 로크 리세스(16)의 전방 벽(59)에 가압되는 래치 부재(22)의 전방 벽(57)에 의해 외측 이동에 대해 제약을 받는다. 이 위치에서, 로크(14)의 비틀림은 슬롯(62) 내 리지(64), 그리고 로크(14) 및 로크 리세스(16)의 가장자리 벽들의 근접성에 의해 저지된다. 두 위치 모두에서, 협력 구조체는 로크(14)가 특징부(64) 및 견부(70)를 통해 마모 부재(12)에 의해 기단부 및 말단부 둘 모두에서 제약을 받고, 특징부(64) 및 견부(70) 중 하나와의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로크(14)의 임의의 이동이 필연적으로 다른 하나와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는 상황을 생성한다.
비록, 심지어 광범위한 사용 후에도 로크(14)가 마모 부재(12)를 제 위치에 고정적으로 유지시키지만, 로크(14)는 래치 기구 내의 또는 로크 주위에 가득한 모래, 먼지, 또는 다른 미립자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마모 부재(12)의 제거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로크(14)의 제거는 도 15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먼저 공구(30)를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75도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제1 위상의 이동 중에, 작동 부재(20)는 탭(32)이 우측 멈춤부(35)와 접촉할 때까지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은 캠(36)이 래치 부재(22)를 탄성체(24)에 맞닿도록 이동시키게 하는 원인이 되고, 이와 동시에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결합 표면(55) 및 래치 치형부(56)를 로크 몸체(18)를 향해 내측으로 후퇴시켜, 로크(14)를 래칭 구성으로부터 언래칭 구성으로 변환시킨다.
비록, 결합 표면(55) 및 래치 치형부(56)가 더 이상 로크(14)를 로크 리세스(16) 내에 고정시키지 않지만, 로크(14)는 로크(14) 내와 로크 주위에 쌓여 있을 수 있는 모래 또는 다른 미립자의 존재로 인해, 제거되는 것이 여전히 저지될 수 있다. 그러나, 추가적인 힘을 공구(30)에 인가함으로써, 로크(14) 전체가 도 12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로 지지부(64)와 앵커 특징부(62)의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되는 대략 로킹 회전 축선(C)(축선(C)의 대략적인 위치에 대해 도 2 및 도 4 참조)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로크 몸체(18)를 선회시킴으로써, 로크 리세스(16) 내 제1 또는 해제 위치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위상의 이동은 공구(30)의 병진과 함께, 2개의 위상에 통해 대략 105도인 공구(30)의 총 회전에 대해,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0도의 공구(30)의 추가 이동을 야기한다. 대안적으로, 로크(14)는 원하는 경우(적어도 마모가 상당한 마모 부재에 대해), 더 회전되어 마모 부재(12)로부터 간단히 제거될 수 있다. 또한, 탄성체(24)의 강도에 따라, 탭(32)이 멈춤부(35)와 접촉하기 전에 로크 몸체(18)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다.
도 4로 관심으로 돌리면, 로킹 회전 축선(C)는 작동 회전 축선(A) 및 래칭 회전 축선(B) 둘 모두로부터 실질적으로 변위되어 있음을 주목할 것이다. 부수적으로, 로킹 회전 축선(C)의 정확한 위치는 앵커 특징부(62), 지지부(64) 또는 이들 둘 모두의 특정 구성에 따라, 로크의 제거와는 대조적으로 로크의 설치 동안 상이할 수 있다. 회전 축선(C)은 설치 및/또는 제거 작동 동안 동적으로 추가 이동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로크(14)는 초기에, 앵커(62)가 부분적으로 지지부(64) 상에 위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마모 부재(12)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위치된다. 로크(14)의 전방이 마모 부재(12)를 향해 스윙될 때, 앵커(62)의 슬롯을 형성하는 내측 벽은 지지부(64)의 내측-대면을 따라 활주하는 경향이 있다. 로크(14)가 제거될 때, 앵커(62)의 슬롯을 형성하는 외측 벽은 로크(14)의 외측 스윙을 위한 받침대로서 작용하기 위해, 로크 리세스(16)의 코너(65) 내로 이동된다. 설치 및 제거를 위해 상이한 회전 축선을 사용하는 것은 미립자가 끼여 있는 경우에 로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도 11a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9의 작동 부재(51) 및 래치 부재(54)를 통합하는 유사한 로크가 적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치 부재(22)는 작동 부재(20)가 래칭 위치에 있는 경우에도, 탄성체(24)를 가압함으로써 압박될 수 있다. 로크가 제1 위치로 선회될 때, 래치 치형부(56)는 결합 표면(55)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16)의 외측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 로크 리세스 내로 압박되고 미끄러진다. 로크(14)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 로크(14)는 래치 치형부(56)와 리세스 커브(71)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로크(14)가 로크 리세스(16)를 떠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마모 부재(12)에 고정된다. 즉, 로크(14)는 마모 부재(12)의 면(59)에 맞닿은 결합 표면(55)에 의해 로크 리세스(16) 내로의 추가 회전이 방지되고, 또한 래치 치형부(56)에 의해 로크 리세스(16) 밖으로 완전히 회전하여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로크(14)의 제1 위치는 일체형 로크를 갖는 마모 부재를 운반하기에, 또는 일체형 로크를 갖는 마모 부재를 설치하기에 적절하다.
로크(14)의 탄성체(24)가 래치 부재(22)의 이동 및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로크(14)는 적합한 공구(30)로, 또는 예를 들어 주의깊게 위치된 해머 블로 또는 프라이 바 이동에 의해, 래칭된 로크(14)를 제1 위치로 선회시킴으로써 래칭 구성에 있는 동안 제1 위치로 압박될 수 있다. 유사하게, 로크(14)는 적합한 공구(30), 주의깊게 위치된 해머 블로, 또는 프라이 바 이동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압박될 수 있다. 이는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공구를 용이하게 입수할 수 없는 경우에 특히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합된 마모 부재(12) 및 로크(14)인 마모 조립체(10)는, 로크(14)가 상실되거나 오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래치 부재(22)를 압박하고 결합 표면(55)이 기단 벽(70)을 지나도록 로크(14)를 추가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완전히 설치되는 제1 또는 운반 위치에서 로크(14)가 마모 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판매 및/또는 운반될 수 있고, 로크(14)를 제2 또는 설치 위치에서 완전히 결합할 수 있다. 로크(14)는 운반 및/또는 보관을 위해 제2 위치에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베이스(58) 상에 마모 부재(12)를 배치함에 있어 로크(14)의 조정이 필요하지 않도록,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제1 또는 운반 위치로 로크(14)를 압박하는 것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14)는 적합한 공구(30)에 의해,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설치 위치로 추가 압박될 수 있다. 로크(14)가 마모 부재(12)의 운반, 보관, 및 설치에 앞서, 바람직하게는 마모 부재(12)와 결합되지만, 대안적으로, 로크(14)는 분리되어 있다가 마모 부재(12)가 베이스 상에 놓인 후에야 비로소 설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모 부재(12) 및 로크(14)는 로크(14)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유리하게는 함께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로크(14)의 설계는 완전 통합식이며, 특별한 공구를 필요치 않게 된다. 마모 부재를 제거하기 위해, 로크(14)의 구성은 제1 회전 입력이 먼저, 래칭 회전 축선(B)을 중심으로 래치(22)를 후퇴하게 할 수 있고, 추가적인 회전 입력이 상이한 회전 축선(예를 들어, 축선(C))에 모멘트를 전달하여 로크(14)의 해제 및/또는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래치 치형부(56)는 래치 치형부(56) 및 기단 벽이 여전히 존재하고 닳아 없어지지 않은 한, 로크 리세스의 기단 벽과 결합하여 로크(14)를 제1 또는 운반 위치에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8은 래칭된 로크(14)가 부분적으로 로크 리세스 내로 삽입되어, 래치 치형부(56) 및 래치 부재(22)의 전방면(57)에 의해 유지되는 제1 위치에 있는 도 1의 마모 조립체(10)를 도시하고 있는 반면, 도 19 및 도 20은 마모 부재(12)의 로크 리세스 내로 삽입되고 설치 위치에 래칭되어 있는 로크(14)를 도시한다. 도 21은 로크(14)가 설치 위치에 있는 마모 부재(12)가 마모 조립체(73)를 형성하기 위해, 어댑터(72) 형태의 베이스의 일 실시예 상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마모 부재(12)에 대한 로크(14)(및 특히 로크 몸체(18))의 이동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마모 부재(12) 표면(92)(도 1)과 로크 몸체(18) 표면(90)(도 3c)의 상호작용(예를 들어, 마모 부재(12)에 대한 로크 몸체(18)의 활주 및 회전 이동 동안, 마모 부재(12)의 표면(92)이 로크 몸체(18)의 표면(90)을 지지할 수 있다)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예시를 위해, 도 22는 베이스(58)와 결합된 제2 또는 설치 위치에 있고, 마모 부재(12)가 존재하지 않는 로크(14)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비교하여, 도 23은 베이스(58)와 결합된 제2 또는 설치 위치에 있고, 마모 부재(12)가 점선으로 도시된 로크(14)를 도시하고 있다. 도 24는 베이스(58)와 결합된 설치 위치에 있는 로크(14)를 도시하고 있다. 도 25는 로크(14) 및 마모 부재(12)의 조합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마모 부재를 베이스에 고정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단일 로크(14)가 사용된다. 그럼에도, 한 쌍의 로크(예를 들어, 각 측면에 하나씩)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중간 어댑터와 같은 보다 대형의 구성요소에 대해 유리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h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예시적 로크(114)의 다양한 관점을 예시한다. 앞선 도면들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것과 같이 유사한 참조 부호가 도 26a 내지 도 26h에 사용되지만, 도 26a 내지 도 26h에서는 "100 시리즈"가 사용된다(예를 들어, 참조 부호 "XX"를 갖는 특징부가 도 1 내지 도 25에 사용된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가 참조 부호("1XX")로 도 26a 내지 도 26h에 도시될 수 있다). 이들 동일하거나 유사한 특징부의 상세 설명은 과도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 축약, 또는 적어도 어느 정도 단축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h의 로크(114)는 "2개-위상"의 회전 설치 및 제거 특징을 포함하여, 도 1 내지 도 25의 로크(14)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그 구조는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상이하다.
도 26a 및 도 26b는 로킹 상태(도 26a) 및 언로킹 상태(도 26b)에 있는 로크(114)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6c는 로크(114)의 평면도이고, 도 26d는 로크의 측면도이다. 도 26e는 로크 몸체(118)의 존재 없이 래치 부재(122)와 결합된 작동 부재(120)를 도시한다. 도 26f는 캠(136) 및 그 평탄 측면(142)의 관점을 포함한 작동 부재(120)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도 26g는 다양한 구성요소 부품을 도시하는 로크(114)의 분해도이다. 도 26h는 로크(114)의 정면도이다.
도 26a 내지 도 26h의 로크(114)와 전술한 로크(14) 사이의 한 가지 차이점은 작동 부재(120)의 구조 및 배열과 관련된 것이다. 도 2 및 도 4는 로크(14)의 작동 회전 축선(A), 래칭 회전 축선(B), 및 로킹 회전 축선(C)을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한(예를 들어, 예시된 배향에서 수직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오히려, 도 26d에 도시된 로크(114)에서, 작동기(120)는 작동 회전 축선(A)이 래칭 회전 축선(B) 및/또는 로킹 회전 축선(C)에 대해 각도를 이루도록, (예시된 배향에서) 수직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배향된다. 본 발명의 일부 예에서, 이 각도가 여러 상이한 값을 취할 수 있지만, 작동 축선(A)과 래칭 축선(B) 사이의 각도(α)는 (예를 들어,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축선이 투영되는 평면에서 측정할 때, 0° 내지 45° 범위,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2° 내지 40°, 5° 내지 35°, 8° 내지 30°, 또는 심지어 10° 내지 30°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유사하게, 예시된 본 예에서, 작동 축선(A)과 로킹 축선(C) 사이의 각도는 (예를 들어, 도 2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축선이 투영되는 평면에서 측정할 때, 0° 내지 45° 범위,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2° 내지 40°, 5° 내지 35°, 8° 내지 30°, 또는 심지어 10° 내지 30°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5의 예시적 로크(14)에서, 축선(A)과 축선(B) 사이, 및 축선(A)과 축선(C) 사이의 각도(α)는 0° 또는 약 0°였다. 본 발명의 본 태양에 따른 각진 로크의 하나의 특정 예에 대해, 도 26a 내지 도 26h의 로크(114)는 (예를 들어, 도 28a 내지 도 28e의 슈라우드와의 사용을 위해) 약 15°의 각도(α)를 가질 것이며, 다른 예시적 구조에서, 각도(α)는 (예를 들어, 도 29a 내지 도 29f의 슈라우드에 대해) 약 30°이다. 도 26d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도(α)는 공구 인터페이스 영역(128)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할 때, 축선(A)이 로크(1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로크 외부로 (또한 로크가 부착되는 마모 부재(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도 27 참조)) 연장하도록 배향된다.
도 26d는 축선(B 및 C)에 평행하고,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캠(136)의 평탄 측면(142)의 평면에 평행한 평면의 사시도로부터 취해진 로크(114)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6h는 도 26d의 관점으로부터 90° 배향된 관점으로부터 (즉, 축선(B 및 C)에 평행하고 캠(136)의 평탄 측면(142)의 평면에 직교하는 평면의 사시도로부터) 취해진 로크(114)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이 배향으로부터, 작동기 축선(A)는 (본 관점에서 수직인) 축선(B 및 C)에 대해 각도(γ)로 배향된다. 이 각도가 여러 상이한 값들을 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일부 예에서, 작동 축선(A)과 래칭 축선(B)(및 로킹 축선(C)) 사이의 각도(γ)는 (예를 들어, 도 2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 둘 모두가 투영되는 평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0° 내지 15°, 그리고 일부 예에서는 0.5° 내지 12°, 1° 내지 10°, 또는 심지어 1.5° 내지 8°의 범위에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5의 예시적 로크(14)에 있어서, 본 관점으로부터 축선(A)와 축선(C), 그리고 축선(A)와 축선(B) 사이의 각도(α)는 0°이거나 약 0°이다. 본 발명의 본 태양에 따른 경사진 로크의 하나의 특정 예에 대해, 도 26a 내지 도 26h의 로크(114)는 약 5°의 각도(γ)를 가질 것이다. 도 26h에 추가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도(γ)는 축선(A)을, 공구 인터페이스 영역(128)으로부터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축선(B)으로부터 멀어지게 그리고 축선(C) 쪽으로 연장되도록 (또한, 앵커 특징부(162)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향하며, 즉 작동 부재에 대한 축선이 외측 및 후방으로 기울어진다. 축선(A)의 이러한 각도(γ) 특성은 외측으로만 기울어진 작동 부재에 비해, 작동 축선(A)을 중심으로 한 로크(114)의 회전 동안 캠(136)의 이동 경로를 래치(122)에 대해 보다 직선으로 그리고/또는 보다 평평하게 유지하는데 일조한다.
예를 들어, 다른 축선(B 및 C)으로부터 보다 두드러진 각도로 작동 축선(A)을 배향하는 것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해, 로크(14)에 비해 로크(114)에는 구조 상의 다른 변화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도 26c 및 도 26d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몸체(118)의 상단 표면은 작동 부재(120)가 삽입되는 리세스를 포함한 영역에 각진 부분(118A)을 포함한다(로크 몸체(18)의 상단 표면은 예를 들어, 도 3a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탄함). 이 특징부는 본 예시적 로크 구조체(114)의 일부 잠재적 이점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작동 축선(A)이 외측으로 그리고 로크(1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로크가 부착되는 마모 부재(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작동기 공구(130)의 축선도 공구가 공구 인터페이스(128)와 결합될 때, 외측으로 그리고 로크(11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그리고 마모 부재(11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것이다. 이러한 각 형성은 공구(130)와 로크(114)의 결합 시 작동기에 대해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고, 베이스(158)로부터 마모 부재(112)를 고정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공구(130)를 회전시키기 위한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각 형성 특징부는 마모 부재(112)의 로크 리세스(116)에 대한 몇몇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7의 비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 1의 예에서, 공구(30)는 (예시된 배향에서)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공구 인터페이스(28)와 결합된다. 따라서, 이 배열에서, 로크 리세스(16)의 상단 부분(16A)에 있는 내부 후방 벽(16B)은 도 1에 도시된 배향에 기초하여 마모 부재(12) 내로 보다 수직으로(또는 마모 부재(12)의 내부로 각지게) 연장된다(그리고 이에 따라 좌우 방향(D)으로 마모 부재(12)의 측면 에지 내로 추가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내부 후방 벽(16B)은 (도 1에 도시된 배향에 기초하여) 마모 부재(12)의 중심선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심지어 마모 부재(12)의 중심선을 향해 내측으로 각지게 형성된다. 일부 구조에서, 충분한 공구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후방 벽(16B)은 마모 부재(12)의 측면 내로(그리고 마모 부재의 중심선을 향해) 10° 내지 30° 연장되도록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로크 몸체(118)의 상단 표면(118A)의 일부를 각지게 형성함으로써, 로크 리세스(116)는 도 27의 로크 리세스(116)의 상단 부분(116A)의 위치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방향(D)으로 마모 부재(112) 내로 더 깊게 연장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예시적 구조에서, 로크 리세스(116)의 상단 부분(116A)에 있는 내부 후방 벽(116B)은 (도 27에 도시된 배향에 기초하여) 비-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내부 후방 벽(116B)은 (도 27에 도시된 배향에 기초하여) 마모 부재(112)의 중심선을 통해 연장되는 수직 평면에 대해 외측으로 각진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각도는 전술한 각도(α)에 대해 기술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로크 리세스(116)의 공구(130) 진입 영역의 이러한 각 형성은 추가적인 마모 부재의 물질 및 두께가 로크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마모 부재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그리고/또는 고장(failure)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작동 부재(120) 각 형성 특징부는 또한, 본 예시적 로크(114) 구조체의 다른 부분에 있어서의 변형을 야기한다. 작동기(120)는 그 상단 표면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탭(132) 및 바닥 표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캠(136)을 포함한다. 캠(136)은 하부면(137) 및 플랜지(138)를 포함한다. 하부면(137) 및 (후술하는 바와 같이, 래치(122)와 결합되는) 플랜지(138)의 상단 표면은 서로 평행할 수 있지만, 이는 필요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플랜지(138)의 상단 표면은 원하는 경우, 상단 표면이 외측 측면 에지로부터 그 중심으로 향해, 예를 들어 최대 5°의 각도를 갖고 연장될 때, 작동기(122)의 상단을 향해 상방으로 경사질 수 있다. 하부면(137)의 일 측면은 실질적으로 반-원형 하부면(137)을 생성하기 위해 평탄한 측면 에지(142)를 포함한다. 도 26d 및 도 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구조체(120)의 캠 하부면(137) 및 플랜지(138) 상부 표면(138A)은 작동기의 상단 표면(120A)에 평행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그리고 작동 축선(A)에 직교하거나 실질적으로 직교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하부면(137) 및 상부 표면(138A)은 래칭 축선(B) 및 로킹 축선(C)에 대해 비-수직 각도로 배향된다.
래치 부재(122)는 작동 부재(120)에 대한 구조적 변형을 수용하도록 다양한 표면에 대한 변형을 포함한다. 래치 부재(22)와 마찬가지로, 래치 부재(122)는 전술한 래치 부재(22)의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하는 래치 치형부(156) 및 다른 래칭 특징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래치 부재(122)의 캠(136) 결합 특징부는 래치 부재(22)의 것과는 어느 정도 상이하다. 예를 들어, 도 26d, 도 26e 및 도 2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부재(122)는 베이스 표면(147), 베이스 표면(147)으로부터 연장되는 (예를 들어, 수직이거나 실질적으로 수직인) 측벽(148), 및 측벽(148) 위로 연장되는 상부 선반부(149)를 포함하여, 채널(150)을 형성한다. 채널(150)은 베이스 표면(147)으로부터 벽(148)을 따라 연장되며, 각진 상단 벽(151)에서 종료된다. 상부 선반부(149)에 대한(및/또는 축선(B 및/또는 C)에 직교하는 평면에 대한) 채널(150)의 상단 벽(151)의 각도(각도(β))는 각도(α)에 대해 전술한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사용 시, 작동기(120)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예를 들어, 도 26a), 캠(136)의 평탄 측면 에지(142)는 래치 부재(122)에 형성된 채널(150) 내에 수용된다(그리고 선택적으로, 평탄 측면 에지(142)는 채널(150) 내 벽(148)과 접촉하거나 매우 인접하여 놓여 있을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작동기(120)는 (a) 플랜지(138)의 상단 표면(138A)과 상단 벽(151)의 하측 사이의 접촉 및/또는 (b) 로크 몸체(118)의 립 또는 오버행 영역(118B)과 플랜지(138)의 상단(138A) 사이의 접촉에 의해 로크 몸체(118)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 래치 기구(122)는 또한, 로크 몸체(118)의 오버행 부분(118C)과 래치 기구(122)의 측면 에지(180) 사이의 접촉에 의해 이 위치에서, 로크 몸체(118)에 대해 제 위치에 유지된다(그리고 로크 몸체로부터의 측면 배출이 방지됨). 작동기(120)가 언로킹 위치로 회전된 때(예를 들어, 도 26b), 캠 플랜지(138)의 라운드형 부분(142A)이 (상단 벽(151) 아래쪽) 채널(150) 내로 회전되어 래치 부재(122)를 (위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그리고 탄성체(124)에 대해 가압한다. 오버행 부분(118C)의 최우측 에지에 있는 노치(118D)는 로크 몸체(118)로의 래치 부재(122)의 초기 삽입이 가능하도록 (즉, 측면 에지(180) 및 상부 선단부(149)에 대한 유극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도 26g는 래치 부재(122) 및 탄성 부재(124)가 수용되는 로크 몸체(118)의 리세스의 내부에 대해 추가 상세를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6g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예시적 구조체의 내부 리세스는 (가황 고무와 같은 고무 물질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 탄성 부재(12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182)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124)는 이러한 지지 부재(182)와는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부재와 결합되거나, (예를 들어, 작동기 부재(120) 및 래치 부재(122)가 리세스 내에 제 위치에 존재한 후에 리세스 내로 유동가능 중합체 물질을 도입하고, (예를 들어, 도 2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로킹 위치로 이동된 후 중합체 물질을 제 위치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어떠한 방식에서도, 지지 부재(182)는 로크 몸체(118) 리세스 내에 탄성체(124)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된다. 지지 부재(182)가 탄성체(124)와 결합하는 곳을 예시하기 위해 개구(124A)가 도 26g에 도시되어 있다. 원하는 경우, 본 발명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이한 위치에서의 보다 많은 수의 지지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원하는 경우, 지지 부재(182)는 생략될 수 있다(그리고 탄성체(124)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벽 레지 후방으로의 연장에 의해, 기타 다른 방법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선택으로서, 원하는 경우, 탄성 부재(1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착제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로크(114)는 로크(14)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마모 부재(112)(예를 들어, 포인트)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베이스 부재(158)에 로킹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로크(114)는 운반, 보관 및 설치를 위해 마모 부재(112)에 장착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로킹 방식으로 마모 부재(112) 및 베이스 부재(158)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6a 내지 도 26c는 전술한 방식으로 마모 부재(12) 상에 제공되는 지지부(64)와 같은 지지부와 결합할 수 있는 로크 몸체(118) 상의 앵커 특징부(162)를 도시하고 있다. 로크 몸체(118)는 전술한 방식으로, 마모 부재(112) 및/또는 베이스 부재(158) 상의 표면에 대한 지지 또는 대응하는 특징부와의 결합을 위한 특징부(예를 들어, 지지 표면(166))를 포함한다. 래치 부재(122)는 전술한 방식으로 마모 부재(112) 상의 표면에 대한 지지 또는 대응하는 특징부와의 결합을 위한 특징부(예를 들어, 래치 치형부(156) 및 다양한 지지 표면)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27은 포인트 유형의 마모 부재(112)와 결합되는 본 발명의 본 예의 로크(114)를 예시한다. 사용 시, 마모 부재(112)에 대한 로크(114)(및 특히 로크 몸체(118))의 이동은, 본 발명의 적어도 일부 예에서, 마모 부재(112) 표면(192)(도 27)과 로크 몸체(118) 표면(190)(도 26g 및 도 26h)의 상호작용에 의해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예를 들어, 마모 부재(112)의 표면(192)이 마모 부재(112)에 대한 로크 몸체(118)의 활주 및 회전 이동 동안 로크 몸체(118)의 표면(190)을 지지할 수 있다).
로크(114)는 다른 실시예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8a 및 도 28b는 (립과 같은) 베이스(258)와 (본 명세서에서는 "슈라우드"라고도 지칭되는) 슈라우드-형 마모 부재(212)의 결합 시 사용되는 전술한 유형의 로크(114)를 예시한다. 도 28c 및 도 28d는 마모 부재(212) 내 로크 리세스(216)의 다양한 표면 및 특징부를 보다 잘 예시하기 위해, 로크(114)가 생략된 마모 부재(212) 및 베이스(258)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e는 상단 레그(212A)의 하측 및 그 내부에 제공되는 로크 리세스(216)의 추가 상세를 제공하기 위해, 슈라우드(212)의 저면도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216)는 바닥 레그(212B)의 외측 에지(212E)를 지나 후방으로 (그리고 베이스 부재(258) 위로) 연장되는 상단 레그(212A)의 연장 부분(212C) 상에 제공된다.
도 28a, 도 28b, 및 도 28d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립과 같은) 베이스(258)의 전방 에지에는 슈라우드(212)와 결합하기 위한 보스(260)가 장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전형적으로는 용접에 의해 베이스 부재(258)에 고정되지만, 실제로 그리고 원하는 경우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된 예에서, 그리고 도 28d 및 도 28e에서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레그(212A)의 연장 부분(212C)의 하측은 보스(260) 위 및 보스 주위에서 활주하는 홈형 채널(264)을 포함한다. 이 채널(264)은 도 28e에서 테이퍼진 측벽(264A)에 의해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좌우 방향 폭에 있어서 감소될 것이지만, 평행할 수도 있다. 원하는 경우, 리세스(264)의 적어도 최후방 부분은 보스(260)와의 결합을 위한 도브테일형 특징부를 제공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테이퍼진 측벽을 갖거나, 측벽에 의해 형성된 돌출형 레일을 갖거나 하는 등) 중심 및/또는 바닥에서보다 바로 상단에서 어느 정도 넓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리세스(264) 및 보스(260)는 상보적인 T-형상 또는 다른 교합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보스(260)의 외측벽(260A)과 측벽(264A) 사이의 밀접한 유극 및/또는 접촉은 로크(114) 보호에 일조할 수 있고, 베이스 부재(158)에 대한 슈라우드(112)의 좌우방향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8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킹 구성에서, 로크(114)의 표면(166)은 슈라우드(212)가 베이스(258)의 전방 에지(258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내어 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이스(258)의 보스(260) 상의 대응하는 전방 지지 표면(262)과 결합한다. 로크 리세스(216)의 후방 벽(216R)에 있는 지지부(164)와 로크 몸체(118)의 앵커 특징부(162) 사이의 상호작용과 함께, 이들 동일한 표면(166 및 262)은 슈라우드(212)와 베이스(258)에 대한 로크(114)의 수평 방향 이동을 방지한다. 앵커(162)는 라운드형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고, 지지부(164)는 예를 들어 앞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구성요소(62 및 64)와 같은 라운드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슈라우드(212)의 지지 표면(271)과 래치(122) 견부(170) 사이의 상호작용과 함께, 로크 리세스(216)의 후방 벽(216R)에 있는 지지부(164)와 로크 몸체(118)의 앵커(162) 사이의 상호작용은 로크 리세스(216)로부터 (도 28b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의 로크(114)의 배출을 방지한다.
로크 리세스(216)의 특징부가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8a 및 도 28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레그(212A)의 연장 부분(212C)의 측면 영역은 로크(114)의 작동기 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공구(예를 들어, 공구(30, 130))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하는 절취 진입 포트 또는 홈형 영역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 축선(B) 및/또는 로킹 축선(C)에 대한 작동 축선(A)의 각진 배향으로 인해, 이러한 진입 포트 영역의 바닥 표면(216A)은 베이스 부재(258)의 상단 주 표면으로부터 어느 정도 상방으로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각진 특징부는 공구(130)의 작동을 위한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즉, 공구(130) 손잡이가 공구가 베이스 부재(258)의 상단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수평 방식으로 작동기(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의 손잡이의 위치에 비해 베이스 부재(258)의 표면 위로 어느 정도 더 높게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이들 각진 특징부는 또한, 제조업자가 공구 삽입 포트의 바닥 표면(216A) 아래에 슈라우드 물질(212M)의 보다 두꺼운 두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보다 긴 수명을 제공하고 로크 진입 포트 영역에서의 금 또는 고장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제공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 슈라우드(212)의 진입 포트 영역은 로크 수용 개구(270) 내로 개방되고, 그 일부는 상단 레그(212A)의 연장 부분(212C)을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로크 수용 개구(270)는 로크(114)의 일부가 슈라우드(212)를 통해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스(260)와 결합하는 위치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216)의 후방 벽 영역(216R)에 있는 지지 특징부(164)는 예를 들어, 앞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구성요소(64)와 같이 라운드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록, 그렇게 할 필요는 없으나, 본 예시된 예의 구조체에서, 본 지지 특징부(164)는 로크 수용 개구(270)의 전체 후방 폭에 걸쳐, 그리고 후방 벽(216R)으로부터 바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원하는 경우, 지지부(164)는 좌우 방향으로 후방 벽(216R)의 일부만에 걸쳐 제공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중심 부분, 한 측면으로 오프셋된 부분 또는 다른 부분 등), 또는 지지부(164)는 로크 수용 개구(270)의 후방에 걸쳐 다수의 별개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특징부(164)와 같은) 라운드형 단면 지지부는 로크 몸체(118)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특징부를 수용하는 (예를 들어, 그루브(162)와 같은) 그루브는 로크 수용 개구(270)의 후방 벽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로크 리세스(216)의 전방 벽(216F)은 레그(212A)의 상단 표면과 같은 높이이거나 인접한 후방 연장 부분(216S)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후방 연장 부분(216S)은 래치(122)의 견부(170)와 결합하기 위한 지지 표면(271)을 제공하도록 언더컷된다(예를 들어, 도 28b 참조). 이렇게 언더컷된 지지 표면(271)은 또한, 예를 들어 도 12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114)가 제1 위치에서 슈라우드(212)에 장착될 때, 래치 치형부(156)와 결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방 벽(216F)의 후방 연장 부분(216S) 및 이와 관련된 언더컷 영역은 로크 수용 개구(270)의 폭의 임의의 원하는 비율만큼 연장될 수 있지만, 본 예시된 예에서, 이들 특징부는 전체 구멍(270) 폭의 대략 25% 내지 60%를 따라 연장된다.
도 28a 내지 도 28d는 보스(260) 상의 용접(또는 달리 부착)부를 통해 베이스 부재(258)와 결합되는 슈라우드(212)를 예시하며, 별도로 형성된 보스는 원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258)의 상단 표면은 (예를 들어, 상단 표면 상에 덧붙여지거나 베이스 부재(258)의 상단 표면으로 파여진) 로크(114)를 결합하기 위한 표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9a 내지 도 29f는 전술한 유형의 로크(114)가 (립과 같은) 베이스 부재(358)와 슈라우드(312)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예시적 슈라우드 유형의 마모 부재(312)를 예시한다. 도 29a 및 도 29b는 마모 부재(312) 및 로크(114)가 결합되는 베이스(358)를 도시하며, 도 29c는 슈라우드(312)의 로크 리세스(316)의 다양한 특징부를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다. 도 29d는 슈라우드(312)의 내부의 특징부를 도시하는 바닥 사시도이다. 도 29e 및 도 29f는 베이스 부재(예를 들어, 립)에 장착(예를 들어, 용접)되는 보스(360)와 이 슈라우드(312)의 결합의 특징부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316)는 (상단 레그(312A)와 대략 동일한 거리만큼 후방으로 연장되는 바닥 레그(312B)도 포함하는) 슈라우드(312)의 상단 레그(312A) 상에 제공된다. 본 예의 슈라우드(312)는 전술한 도 28a 내지 도 28e의 슈라우드(212)에 비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어느 정도 더 짧고 더 콤팩트하다.
본 예시된 예시적 구조에 있어서, 베이스(358)의 전방 에지에는 슈라우드와 결합하기 위한 보스(360)가 설치된다(예를 들어, 용접(또는 베이스의 일부로서의 캐스트)에 의해 베이스 부재(358)에 고정되지만, 실제로 그리고 원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커넥터에 의하는 것처럼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본 예시적 예, 및 도 29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보스(360)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부재(358)의 램프 부분(358C)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보스(360)는 보스(360)의 후방 부분(360A)이 베이스 부재(358)의 주 상단 표면(358S)에 용접되고, 보스(360)의 전방 부분(360B)이 베이스 부재(358)의 정면에 있는 경사 램프 표면(358I)에 용접되도록, (램프 부분(358C)의 각도와 정합하는) 정면에서 소정의 각도를 갖는다(보스(360)는 또한, 측면을 따라, 그리고/또는 전체 둘레 주위에서 베이스 부재(358)에 용접될 수 있다). 이러한 각진 보스(360)는 베이스 부재(358)와의 고정 결합을 제공(예를 들어, 코너(358C)에 의해 부분적으로 유지)되며, 슈라우드(312)가 (도 28b에 도시된 배향으로 베이스 부재(258)의 주 수평 베이스 표면 상에만 장착된 도 28a 내지 도 28d의 보스(260)에 비해) 베이스 부재(358) 상에 보다 전방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보스(360)는 2개 이상의 별도의 피스 또는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29b, 도 29d 및 도 2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예의 슈라우드(312)의 상단 레그(312A)의 하측은 보스(360) 위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그 주위로 활주하는 홈형 채널(364)을 포함한다. 홈형 채널(364)의 외측 에지는 상단 에지(312A)의 하측 전방을 연결하거나 이로 수렴하는 측면 레일 또는 벽(364R)에 의해 형성된다. 이들 레일(364R)은 보스(360)의 전방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사발"형 홈형 채널(364)의 외측 에지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들 레일(364R)은 보스(360) 상의 대향 표면에 대체로 지탱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부수적으로, 슈라우드(312)의 물질은 이들 레일(364R)의 외측(예를 들어, 슈라우드(312)의 측면을 향한 영역(312S))에서 보다 두껍다. 이렇게 두꺼운 물질(312S) 및 레일(364R)은 특히, 슈라우드(312)의 유효 수명의 마지막을 향해 추가적인 강도 및 개선된 내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도 29d 내지 도 29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레그(312A)의 하측은 (본 예시된 예시적 구조에 있어서, 함께 전방에서 후방으로 테이퍼지거나 수렴되는) 대체로 후방으로 연장되는 2개의 레일(312R)을 포함한다. 이들 레일(312R)은 레일(364R) 내측에 위치되고, 보스(360) 내 개구(380)의 측벽(360S) 내측에 위치되어 이와 접촉한다. 이들 구성요소(312R 및 360S) 사이의 접촉 또는 지지력은 사용 동안 베이스 부재(358) 상의 슈라우드(312)의 좌우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데 일조한다. 또한, (외측 레일들(364R) 사이의 홈형 영역(364) 내의 결합을 포함한) 레일(312R) 및 보스(360)의 결합은 로크(114)의 영역에서 마모 부재(312)의 개선된 마모 강도 및 제어 불가한 비-중심선 부하로부터 로크(114)의 분리를 제공하는데 일조한다. 이러한 전체 구조는 또한, 로크(114)가 사용 동안 먼지 또는 다른 물질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일조한다.
도 29b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킹 구성에서, 로크(114)의 전방 표면(166)은 슈라우드(312)가 베이스 부재(358)의 전방 에지(358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스(360) 상의 대응하는 전방 지지 표면(362)과 결합한다. 이들 동일한 표면(166 및 362)은 로크 몸체(118)의 앵커 특징부(162)와 로크 리세스(316)의 후방 벽(316R)에 있는 지지부(164) 사이의 상호작용과 함께, 슈라우드(312) 및 베이스 부재(358)에 대한 로크(114)의 수평 이동을 방지한다. 앵커(162)는 라운드형 리세스를 가질 수 있으며, 지지부(164)는 예를 들어, 앞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 구성요소(62 및 64)와 같이 라운드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래치(122) 견부(170)와 슈라우드(312)의 지지 표면(371) 사이의 상호작용과 함께, 로크 몸체(118)의 앵커 특징부(162)와 로크 리세스(316)의 후방 벽(316R)에 있는 지지 특징부(164) 사이의 상호작용은 로크 리세스(316)로부터 (도 29b에 도시된 배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의 로크(114)의 배출을 방지한다.
로크 리세스(316)의 특징부는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9a 및 도 2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단 레그(312A)의 측면 영역은 로크(114)의 작동기 부재(1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공구(예를 들어, 공구(30, 130))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절취 진입 포트 또는 홈형 영역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래칭 축선(B) 및/또는 로킹 축선(C)에 대한 작동 축선(A)의 각진 배향으로 인해, 이러한 진입 포트 영역의 바닥 표면(316A)은 베이스 부재(358)의 상단 주 표면(358S)으로부터 상방으로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들 각진 특징부는 공구(130)의 작동을 위한 보다 넓은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즉, 공구(130) 손잡이가 공구가 표면(358S)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수평 방식으로 작동기(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의 손잡이의 위치에 비해 베이스 부재(358)의 표면(358S) 위로 어느 정도 더 높게 올라와 있기 때문이다). 이들 각진 특징부는 또한, 제조업자가 공구 삽입 포트의 바닥 표면(316A) 아래에 슈라우드 물질의 보다 두꺼운 두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이는 보다 긴 수명을 제공하고 로크 진입 포트 영역에서의 금 또는 고장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제공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슈라우드(312)의 진입 포트 영역은 로크 수용 개구(370) 내로 개방되고, 그 일부는 상단 레그(312A)를 완전히 관통하여 연장된다. 이러한 로크 수용 개구(370)는 로크(114)의 일부가 슈라우드(312)를 통해 보스(360)와 결합하는 위치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한다(예를 들어, 도 29b 및 도 29d에 도시된 바와 같음).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 리세스(316)의 후방 벽 영역(316R)에 있는 지지 특징부(164)는 라운드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앵커(162)는 예를 들어, 앞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 구성요소(62 및 64)처럼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수용 지지부(164)에 대한 부분적으로 라운드형인 개구를 형성한다. 비록, 그렇게 할 필요는 없으나, 본 예시된 예의 구조체에서, 본 지지 특징부(164)는 로크 수용 개구(370)의 전체 후방 폭에 걸쳐, 그리고 후방 벽(316R)으로부터 바로 전방으로 연장된다. 원하는 경우, 지지부(164)는 좌우 방향으로 후방 벽(316R)의 일부만에 걸쳐 제공될 수 있으며(예를 들어, 중심 부분, 한 측면으로 오프셋된 부분 또는 다른 부분 등), 또는 지지부(164)는 로크 수용 개구(370)의 후방에 걸쳐 다수의 별개 위치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원하는 경우, (예를 들어, 특징부(164)와 같은) 라운드형 단면 상보적 특징부는 로크 몸체(118)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이러한 특징부를 수용하는 (예를 들어, 그루브(162)와 같은) 그루브는 로크 수용 개구(370)의 후방 벽의 일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로크 리세스(316)의 전방 벽(316F)은 레그(312A)의 상단 표면과 같은 높이이거나 인접한 후방 연장 부분(316S)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후방 연장 부분(316S)은 래치(122)의 견부(170)와 결합하기 위한 지지 표면(371)을 제공하도록 언더컷된다(예를 들어, 도 29b 참조). 이렇게 언더컷된 지지 표면은 또한, 예를 들어 도 12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로크(114)가 제1 위치에서 슈라우드(312)에 장착될 때, 래치 치형부(156)와 결합하기 위해 후방 연장 부분(316S) 아래에 제공된다. 전방 벽(316F)의 후방 연장 부분(316S) 및 이와 관련된 언더컷 영역은 로크 수용 개구(370)의 폭의 임의의 원하는 비율만큼 연장될 수 있지만, 이러한 예시된 예에서, 이들 특징부들은 전체 구멍(370) 폭의 대략 25% 내지 60%를 따라 연장된다.
도 29a 내지 도 29f가 보스(360) 상의 용접(또는 달리 부착)부를 통해 베이스 부재(358)와 결합되는 슈라우드(312)를 예시하며, 별도로 형성된 보스는 원하는 경우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하는 경우, 베이스 부재(358)의 상단 표면은 (예를 들어, 상단 표면 상에 덧붙여지거나 베이스 부재(358)의 상단 표면으로 파여진) 로크(114)를 결합하기 위한 표면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되고 도 29a 및 도 29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예시적 전체 마모 조립체 구조에 있어서, 마모 부재(즉, 슈라우드(312))는 적어도 도 28a 내지 도 28e의 슈라우드(212)에 비해, 더욱 베이스 부재(358)의 경사 표면(358I) 상에 그리고 더욱 상기 경사 표면 쪽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특징부는 마모 부재(312)를 어느 정도 더 콤팩트하게 만들며(예를 들어, 상단 레그(212A)의 연장 부분(212C)이 생략된 때, 전방에서 후방으로 보다 짧아짐), 이에 따라 어느 정도 더 가볍게 될 수 있다. 또한, 슈라우드(312)는 베이스 부재의 에지 주위에서 그리고 베이스 부재를 따라 상단 레그의 연장 부분(212C)을 활주하는데 필요한 보다 긴 거리에 걸쳐 이동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러한 특징부는 슈라우드(312)가 슈라우드(212)에 비해 어느 정도 더 용이하게 베이스 부재 상에 장착되고 베이스 부재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도 26a 내지 도 29e와 함께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크(114)는 또한, 로크(114)가 전형적으로 실제로도 비교적 용이하게 작동될 수 있는 슈라우드(예를 들어, "212" 또는 "312")와의 결합 시 여러 이점을 갖는다(예를 들어, 전술한 로크(14)의 이점도 갖는다). 일부 보다 특정적인 예로서, 로크(1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슈라우드(212 및 312)의 측면으로부터 접근될 수 있지만, 여전히 상단으로부터 로크 리세스(216, 316)의 외부로 회전된다(로크 리세스(216, 316)는 상단에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열은 (예를 들어, 로크 리세스 영역으로부터) 개선된 미립자 일소뿐만 아니라, 로크로의 개선된 접근 및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로크는 해머 부분이 없을 수 있고 표준 공구를 사용하여 설치 및 제거될 수 있는 일체형 로크 기구를 갖는다. 로크의 작동은 간단하고 복잡하지 않으며, 미립자 및 다른 부스러기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최소한의 노력만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로크의 올바른 설치는 래칭 시 탭(32, 132)이 로크 리세스(16, 116)의 좌측 또는 시계 방향 측으로 되어 있을 것이고, 언래칭 시에는 탭(32, 132)이 로크 리세스(16, 116)의 우측 또는 반-시계 방향 측으로 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된다.
당업자들이 이해하는 바와 같이, 굴착 장비 상의 로크는 이들이 사용되는 환경으로 인해, 매우 극한의 가혹한 상황에 노출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로크 및 이들 로크가 수용되는 리세스는 먼지, 모래, 및 다른 물질(본 명세서에서는 "미립자"라 지칭됨)로 들어 차게 될 수 있다. 이들 미립자가 로크의 임의의 공간에 꽉 들어차게 되어, 로크의 가동부가 작동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본 발명의 예들에 따른 마모 조립체는 연장된 사용 시간 후에도 여전히 비교적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로크(14, 114)의 래치 부재(22, 122) 및 다른 부품들이 이동의 언로킹 및 언래칭 위상 중에 협력하거나 미립자로 들어차지 않도록 떼어놓는 방식은 오랜 시간 동안 가혹한 환경에 노출된 후에도 로크(14, 114)가 작동될 수 있음을 보장하는데 일조한다.
비록, 본 명세서에 개시된 대표적인 래치 기구의 실시예들이 3개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지만, 본 발명의 래치 기구를 형성하는데 마찬가지로 적합할 수 있는 더 많은 수 또는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가 용이하게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비록, 제조 동안 다중-구성요소 래치 기구가 로크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로크의 설계를 간소화하고 복잡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보다 적은 수의 로크 구성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별 작동 부재 및 래치 부재는 작동 부재 및 래치 부재 둘 모두로서 작용하는 단일 로크 구성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다른 편향 수단이 탄성 부재 대신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시내용은 독립적인 용도를 갖는 다수의 별개의 발명을 포함한다. 이들 발명들 각각이 바람직한 형태로 개시되었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 및 예시된 것과 같은 특정 실시예들은 다수의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된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각각의 예는 전술한 개시내용에 설명된 일 실시예를 규정하지만, 임의의 하나의 예는 반드시 궁극적으로 청구될 수 있는 모든 특징부 또는 결합체를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이 "a" 또는 "a first" 요소 또는 이들의 다른 등가물을 인용하는 경우, 이러한 설명은 2개 이상의 이러한 요소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거나 또는 배제한다거나 함이 없이, 하나 이상의 이러한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동일한 요소에 대해 제1, 제2, 또는 제3과 같은 서수 표시는 요소들 사이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요소들의 요구되는 또는 제한되는 수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며, 특별히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이러한 요소의 순서 또는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12: 마모 부재
14: 로크
16: 로크 리세스

Claims (10)

  1. 굴토 장비용 마모 부재로서,
    상기 장비 상의 베이스와 대면하는 내부 표면 및 대향하는 외부 표면을 갖는 마모성 몸체, 상기 외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표면으로 연장되는 구멍, 및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이동을 위해 상기 구멍에 일체형으로 장착되는 로크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로크는 마모 부재를 상기 굴토 장비에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베이스와 접촉하고,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로크는 상기 베이스를 해제시키며, 상기 로크는 상기 구멍의 후방 벽에 상기 마모성 몸체와 결합하기 위한 커플링 구조체 및 상기 베이스와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지지 표면을 갖는 로크 몸체, 교호적으로 상기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에 상기 로크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마모성 몸체와 결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제1 위치로부터 후퇴된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로크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한 래치 부재, 및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상기 래치 부재를 회전시키고, 후방 벽에서 제1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마모성 몸체에 대해 상기 로크 몸체를 이동시키도록 작동되는 작동 부재를 구비하는,
    마모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를 향해 편향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마모 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상기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제2 축선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한,
    마모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 및 제2 축선은 평행하고 비-정렬되는,
    마모 부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 및 제2 축선은 비-평행인,
    마모 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축선은 제1 및 제2 축선 둘 모두가 투영되는 평면에서 측정하였을 때, 0° 내지 45°의 각도로 제2 축선으로부터 분기하는,
    마모 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1 위상은 래치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 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위상은 상기 로킹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로크 몸체를 지지부를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마모 부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몸체는 상기 로킹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로크 몸체 축선을 중심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1 축선 및 로크 몸체 축선은 비-평행인,
    마모 부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1 위상은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제2 위상은 상기 로크 몸체를 상기 로킹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마모 부재.
  10. 삭제
KR1020197038040A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KR102149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63448P 2011-11-23 2011-11-23
US61/563,448 2011-11-23
US201261720928P 2012-10-31 2012-10-31
US61/720,928 2012-10-31
PCT/US2012/065689 WO2013078101A1 (en) 2011-11-23 2012-11-16 Wear assembl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655A Division KR102077225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469A KR20200000469A (ko) 2020-01-02
KR102149755B1 true KR102149755B1 (ko) 2020-08-31

Family

ID=48470219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744A KR102134646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KR1020197031655A KR102077225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KR1020147013508A KR102039152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KR1020197038040A KR102149755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744A KR102134646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KR1020197031655A KR102077225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KR1020147013508A KR102039152B1 (ko) 2011-11-23 2012-11-16 마모 조립체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4) US9322150B2 (ko)
EP (3) EP2783052B1 (ko)
JP (3) JP6198747B2 (ko)
KR (4) KR102134646B1 (ko)
CN (4) CN106120942B (ko)
AP (1) AP2014007635A0 (ko)
AR (1) AR088953A1 (ko)
AU (3) AU2012318298B2 (ko)
BR (5) BR122020005555B1 (ko)
CA (3) CA2852303C (ko)
CL (2) CL2014001348A1 (ko)
CO (1) CO6960518A2 (ko)
EA (3) EA038846B1 (ko)
ES (2) ES2905704T3 (ko)
HU (2) HUE053731T2 (ko)
IN (1) IN2014DN03361A (ko)
JO (1) JO3727B1 (ko)
LT (2) LT2783052T (ko)
MX (2) MX346723B (ko)
MY (2) MY181372A (ko)
NZ (1) NZ721079A (ko)
PE (4) PE20200359A1 (ko)
PH (4) PH12014501085A1 (ko)
RS (2) RS62977B1 (ko)
SI (2) SI2783052T1 (ko)
UA (2) UA126110C2 (ko)
WO (1) WO2013078101A1 (ko)
ZA (1) ZA2021084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22020005555B1 (pt) * 2011-11-23 2021-08-10 Esco Group Llc Membro de desgaste para equipamento de acoplamento com a terra
US9926687B2 (en) 2013-03-25 2018-03-27 Keech Castings Australia Pty Limited Lock assembly
NO20131382A1 (ko) 2013-10-18 2015-04-20 Kverneland Group Operations Norway As
US20160177544A1 (en) 2014-12-19 2016-06-23 Caterpillar Inc. Lock for ground engaging tool
US10196799B2 (en) 2014-12-19 2019-02-05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US10030368B2 (en) 2015-10-06 2018-07-24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tooth assembly with locking pin assembly
SI3452664T1 (sl) * 2016-05-05 2022-04-29 Esco Group Llc Obrabljivi del za opremo za zemeljska dela
USD797157S1 (en) * 2016-06-03 2017-09-12 H&L Tooth Company Wear assembly lock structure
US10774500B2 (en) 2017-03-09 2020-09-15 Caterpillar Inc. Power operated locking system earth moving equipment and method
US10538899B2 (en) * 2017-06-14 2020-01-21 Caterpillar Inc. Edge shroud and method for removing edge shroud from an implement
US10494794B2 (en) * 2017-06-14 2019-12-03 Caterpillar Inc. Edge protection system for an implement
KR101817064B1 (ko) * 2017-08-09 2018-01-10 성보공업주식회사 굴삭기의 버킷용 투스
US10538900B2 (en) 2017-11-30 2020-01-21 Caterpillar Inc. Wear member for a work tool
JOP20200249A1 (ar) * 2018-03-30 2019-09-30 Esco Group Llc عضو تآكل، وحافة وعملية تركيب
CA3116170A1 (en) 2018-11-09 2020-05-14 Talon Engineering Sdn Bhd "locking mechanism for a wear assembly"
AU2019391600A1 (en) * 2018-12-07 2021-07-22 Derwent Industries Pty Ltd Wear part and lock assembly
WO2020178462A1 (es) * 2019-03-01 2020-09-10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Sistema de fijación de elementos de desgaste en máquinas de movimiento de tierras
US11124951B2 (en) 2019-04-24 2021-09-21 Caterpillar Inc. Spring steel sleeve design
US11814220B2 (en) 2019-08-17 2023-11-14 Guillermo Hernán ACEVEDO BELTRÁN Square liquids retaining bowl-type folded container
US20210095444A1 (en) * 2019-09-30 2021-04-01 Caterpillar Inc. Anti-tipping retainer for a retaining mechanism
CN111088825B (zh) * 2020-01-02 2020-12-08 四川大学 一种挖掘机抓斗及挖掘机
US11761177B2 (en) 2021-02-12 2023-09-19 Caterpillar Inc. Anti-tipping features for a retaining mechanism
WO2023064987A1 (en) * 2021-10-21 2023-04-27 Cqms Pty Ltd "an excavator wear assembly"
WO2023091986A1 (en) 2021-11-19 2023-05-25 Caterpillar Inc. Lock assembly with spring clip
WO2023102396A1 (en) * 2021-12-01 2023-06-08 Caterpillar Inc. Lock assembly with locking skirt
US20230323641A1 (en) * 2022-04-11 2023-10-12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assembly system with collared fasten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2413A1 (en) 2006-10-24 2008-04-24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An Excavating Bucket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4059A (en) * 1934-12-21 1936-12-15 Finkl & Sons Co Detachable dipper tooth
US4067657A (en) 1976-02-17 1978-01-10 Caterpillar Tractor Co. Cam lock retaining means for ripper tips
US6735890B2 (en) 2001-07-06 2004-05-18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US4433496A (en) * 1983-03-14 1984-02-28 Esco Corporation Locking device for excavating equipment
DE3611493A1 (de) 1986-04-05 1987-10-15 Orenstein & Koppel Ag Grabschaufel fuer bagger
US4716666A (en) * 1986-09-29 1988-01-05 Esco Corporation Wear runner for excavating bucket
US5152087A (en) * 1990-10-09 1992-10-06 A. M. Logistic Corporation Holding clamp and reversible earth working cutting teeth
US5337362A (en) 1993-04-15 1994-08-09 Rico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cing data onto plain paper
US5435084A (en) 1994-02-17 1995-07-25 Harnischfeger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digging tooth tip
US5718070A (en) 1995-11-13 1998-02-17 Gh Hensley Industries, Inc. Self-adjusting tooth/adapter connection system for material displacement apparatus
US5666748A (en) 1995-12-11 1997-09-16 Esco Corporation Wear cap and components useable therewith
US5709043A (en) 1995-12-11 1998-01-20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CN1204376A (zh) * 1995-12-11 1999-01-06 埃斯科公司 耐磨部件
US5833323A (en) 1997-02-03 1998-11-10 Kennametal Inc. Cutting toolholder retention system
US5913605A (en) 1997-09-17 1999-06-22 G. H. Hensley Industries, Inc. Rotary lock system for wear runner assembly
US5983534A (en) 1997-09-17 1999-11-16 G. H. Hensley Industries, Inc. Rotary lock system for excavating tooth/adapter assembly
US6085448A (en) 1997-10-30 2000-07-11 Caterpillar Inc. Mechanical retention system for ground engaging tools
US5987787A (en) 1998-02-11 1999-11-23 Wright Equipment Company (Proprietary) Limited Ground engaging tool components
US6675509B2 (en) 1998-06-15 2004-01-13 Robert S. Bierwith Excavating bucket with replaceable wedge-locked teeth
US6216368B1 (en) 1998-06-15 2001-04-17 Robert S. Bierwith Excavating bucket with replaceable wedge-locked teeth
US6393738B1 (en) 1998-06-15 2002-05-28 Robert S. Bierwith Excavating bucket with replaceable wedge-locked teeth
US6108950A (en) 1999-03-08 2000-08-29 Gh Hensley Industries, Inc. Self-adjusting tooth/adapter connection system for material displacement apparatus
US6439796B1 (en) 2000-08-02 2002-08-27 Gh Hensley Industries, Inc. Connector pi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AUPR576701A0 (en) 2001-06-18 2001-07-12 Keech Castings Australia Pty Limited Locking assembly and method
US6993861B2 (en) 2001-07-06 2006-02-07 Esco Corporatio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ATE452248T1 (de) * 2001-07-06 2010-01-15 Esco Corp Kupplung für ein bagger-verschleissteil
US6668472B2 (en) 2001-07-16 2003-12-30 Robert Bierwith Wedge-locking system and excavation bucket assembly with wedge-locking system
US20030070330A1 (en) 2001-10-12 2003-04-17 Olds John R. Tooth retainer with rotary camlock
US6708431B2 (en) 2001-12-03 2004-03-23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tooth assembly with rotatable connector pin structure
EP1852557B1 (en) 2002-09-19 2010-07-21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and lock for an excavating bucket
AU2002951728A0 (en) 2002-09-30 2002-10-17 Cutting Edges Replacement Parts Pty Ltd Component interlocking
US6826855B2 (en) 2002-11-04 2004-12-07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tooth point/adapter assembly with rotatably lockable connector structure
US6986216B2 (en) 2003-04-30 2006-01-17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the digging edge of an excavator
US7080470B2 (en) * 2003-04-30 2006-07-25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excavator digging edge
US7162818B2 (en) * 2003-08-04 2007-01-16 Hensley Industries, Inc. Connector pin assembly and associated apparatus
CN1910324B (zh) 2003-12-05 2010-06-02 梅塔罗格尼亚股份公司 可用于移动诸如泥土和石块的材料的机器的磨损组件及其部件
EP1741842B1 (en) 2004-03-30 2010-09-29 Metalogenia, S.A. Device for removably fixing two mechanical parts to one another
US7596895B2 (en) * 2004-03-30 2009-10-06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US7121022B2 (en) 2004-03-31 2006-10-17 Berkeley Forge And Tool, Inc. Cam action locking assembly
FR2884841B1 (fr) 2005-04-26 2008-12-05 Predac Sarl Procede et dispositif de liaison entre une piece d'usure et son support mis en jeu sur les equipements de manutention de materiaux par les engins de travaux publics
ES2904591T3 (es) * 2006-03-30 2022-04-05 Esco Group Llc Conjunto de desgaste
US7603799B2 (en) 2006-05-11 2009-10-20 Hensley Industries, Inc. Cammed connector pin assembly and associated excavation apparatus
CN101466901B (zh) * 2006-06-16 2011-12-14 爱斯科公司 将磨损部件紧固在土工作业设备上的锁
EP2589711B1 (en) 2006-08-16 2019-09-18 Caterpillar Inc. Ground engaging tool system
KR101316443B1 (ko) 2006-09-01 2013-10-08 메탈로제니아, 에스.에이. 준설 기계용 치상부재 및 어댑터
BRPI0717340B1 (pt) * 2006-10-24 2017-12-19 Esco Corporation Assembly of wear for an edge of an excavation hunch, latch to fix a wearing member to the excavation equipment and cunha
US20080092412A1 (en) 2006-10-24 2008-04-24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An Excavating Bucket
US20080209772A1 (en) 2007-03-02 2008-09-04 Kan Cui Connector pin assembly
WO2008116942A1 (es) 2007-03-28 2008-10-02 Metalogenia, S.A. Sistema de fijación amovible entre una pieza macho y una pieza hembra, pasador y pieza hembra
US7874086B2 (en) * 2007-04-24 2011-01-25 Esco Corporation Lock assembly for securing a wear member to earth-working equipment
AU2008207519B2 (en) * 2007-08-23 2014-10-02 Wearforce Pty Ltd Shroud Assembly
US7788830B2 (en) 2008-02-08 2010-09-07 Cqms Razer (Usa) Llc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US8434248B2 (en) 2008-02-08 2013-05-07 Gary Woerma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PL3184701T3 (pl) 2009-03-23 2023-06-19 Black Cat Wear Parts Ltd. W pełni stabilizowane mocowanie zęba koparki
US7980011B2 (en) 2009-03-23 2011-07-19 Black Cat Blades Ltd. Fully stabilized excavator tooth attachment
AP3457A (en) * 2009-12-11 2015-12-31 Cqms Pty Ltd A lock assembly for an excavator wear member
NO332031B1 (no) * 2009-12-17 2012-05-29 Kverneland Group Operations Norway As Anordning ved slitedel for arbeidsredskap
JO3763B1 (ar) * 2010-04-20 2021-01-31 Esco Group Llc تجميعة إقتران مع أداة تعليق مُدَعَّمة
CN101942850A (zh) * 2010-06-02 2011-01-12 中钢集团衡阳重机有限公司 修复磨损铲斗斗唇的方法
JP5210415B2 (ja) * 2011-05-09 2013-06-12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バケットツース
JP5504205B2 (ja) * 2011-05-09 2014-05-2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建設機械のバケットツース組立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ケット
JOP20200019A1 (ar) * 2011-07-14 2017-06-16 Esco Group Llc مجموعة بطانه
WO2013033751A1 (en) * 2011-09-08 2013-03-14 Cqms Pty Ltd A lock assembly for an excavator wear member
BR122020005555B1 (pt) * 2011-11-23 2021-08-10 Esco Group Llc Membro de desgaste para equipamento de acoplamento com a terra
US8904677B2 (en) * 2012-07-12 2014-12-09 Kan Cui Locking pin assembly
US9027268B2 (en) * 2013-03-15 2015-05-12 Caterpillar Inc. Retainer systems for ground engaging tools
AU2013204854B2 (en) * 2013-04-12 2016-04-21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US9212553B2 (en) * 2013-11-08 2015-12-15 The Sollami Company Dirt and rock cutting bit tool
WO2015200838A1 (en) * 2014-06-27 2015-12-30 Bierwith Robert S Self-locking connector pin for demountably securing consumable ground digging components to containers of earth moving equipment
US20170328035A1 (en) * 2016-05-12 2017-11-16 Hensley Industries, Inc. Connector systems in earth engaging wear member assembli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92413A1 (en) 2006-10-24 2008-04-24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An Excavating Buck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2014DN03361A (ko) 2015-06-05
CA2852303C (en) 2020-10-27
NZ721079A (en) 2016-10-28
EP3604696C0 (en) 2024-01-03
EP2783052A4 (en) 2015-08-19
US9322150B2 (en) 2016-04-26
KR20190125513A (ko) 2019-11-06
CN106120942A (zh) 2016-11-16
MX2014006070A (es) 2014-08-26
EA201891545A1 (ru) 2018-11-30
MY181319A (en) 2020-12-21
AU2012318298B2 (en) 2016-02-04
PH12014501085B1 (en) 2014-07-28
CN107905289A (zh) 2018-04-13
BR122020005555B1 (pt) 2021-08-10
EP3604697B9 (en) 2022-03-30
KR20190133297A (ko) 2019-12-02
EA038846B1 (ru) 2021-10-27
KR20200000469A (ko) 2020-01-02
CN103958792B (zh) 2017-12-26
SI2783052T1 (sl) 2021-04-30
NZ719130A (en) 2016-10-28
HUE058073T2 (hu) 2022-06-28
US20160201299A1 (en) 2016-07-14
EP3604697B1 (en) 2022-01-05
CA3133687A1 (en) 2013-05-30
AU2016202743B2 (en) 2017-06-15
EP3604696A1 (en) 2020-02-05
BR122015028690A2 (pt) 2019-08-27
US20180148908A1 (en) 2018-05-31
LT3604697T (lt) 2022-01-25
CO6960518A2 (es) 2014-05-30
CL2014001348A1 (es) 2014-11-28
AU2016202743A1 (en) 2016-05-19
RS61610B1 (sr) 2021-04-29
EA028644B1 (ru) 2017-12-29
MX346723B (es) 2017-03-30
EP2783052B1 (en) 2021-01-06
PH12014501085A1 (en) 2014-07-28
PE20181169A1 (es) 2018-07-20
CN106120942B (zh) 2018-11-23
US10024036B2 (en) 2018-07-17
EA036057B1 (ru) 2020-09-21
EA028644B9 (ru) 2018-02-28
CN107338827B (zh) 2020-09-18
KR102134646B1 (ko) 2020-07-16
CA2852303A1 (en) 2013-05-30
EP3604696B1 (en) 2024-01-03
WO2013078101A1 (en) 2013-05-30
PH12019502611A1 (en) 2021-01-11
EP2783052A1 (en) 2014-10-01
AU2017200709B2 (en) 2018-09-27
BR122015028712A2 (pt) 2019-08-27
PH12016501242A1 (en) 2016-11-21
JP2014533787A (ja) 2014-12-15
US20140215868A1 (en) 2014-08-07
US10655307B2 (en) 2020-05-19
BR112014012274A2 (pt) 2017-05-30
BR122015028712B1 (pt) 2021-08-03
SI3604697T1 (sl) 2022-04-29
EP3604697A1 (en) 2020-02-05
BR122015028690B1 (pt) 2021-05-18
KR102077225B1 (ko) 2020-02-13
PH12016501241B1 (en) 2016-11-21
AR088953A1 (es) 2014-07-16
LT2783052T (lt) 2021-03-25
PE20181170A1 (es) 2018-07-20
BR122020005546B1 (pt) 2021-08-10
RS62977B1 (sr) 2022-03-31
AU2017200709A1 (en) 2017-02-23
PE20200359A1 (es) 2020-02-19
EA201691552A1 (ru) 2016-12-30
PH12016501242B1 (en) 2016-11-21
US20200240120A1 (en) 2020-07-30
CN107338827A (zh) 2017-11-10
CA3039227C (en) 2021-11-23
ZA202108420B (en) 2022-11-30
NZ623750A (en) 2016-05-27
CA3039227A1 (en) 2013-05-30
AU2012318298A1 (en) 2013-06-06
JP6703043B2 (ja) 2020-06-03
JO3727B1 (ar) 2021-01-31
HUE053731T2 (hu) 2021-07-28
EA201400605A1 (ru) 2014-12-30
PE20142021A1 (es) 2014-12-15
ES2847892T3 (es) 2021-08-04
JP2018159266A (ja) 2018-10-11
MX2020012399A (es) 2022-03-08
MY181372A (en) 2020-12-21
AP2014007635A0 (en) 2014-05-31
KR20140103916A (ko) 2014-08-27
US11155982B2 (en) 2021-10-26
BR112014012274B1 (pt) 2021-05-18
UA126110C2 (uk) 2022-08-17
CN103958792A (zh) 2014-07-30
KR102039152B1 (ko) 2019-10-31
CL2018001300A1 (es) 2018-08-24
CA3133687C (en) 2023-10-17
JP6198747B2 (ja) 2017-09-20
ES2905704T3 (es) 2022-04-11
UA115536C2 (uk) 2017-11-27
JP2017137755A (ja) 2017-08-10
PH12016501241A1 (en) 2016-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755B1 (ko) 마모 조립체
NZ623750B2 (en) Wear assembly
NZ719130B2 (en) Wea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