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754B1 -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9754B1
KR102149754B1 KR1020190125760A KR20190125760A KR102149754B1 KR 102149754 B1 KR102149754 B1 KR 102149754B1 KR 1020190125760 A KR1020190125760 A KR 1020190125760A KR 20190125760 A KR20190125760 A KR 20190125760A KR 102149754 B1 KR102149754 B1 KR 102149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metal shell
mold
coupl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금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에스씨
Priority to KR102019012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97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9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9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구조적으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 중 불량이 방지되도록 개선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 몰드(210)와 메탈 쉘(240)을 구비하여 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몰드 몸체부(215)의 상면 및 저면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돌기(2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212)는 상기 몰드 몸체부(215)의 외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단차부(215a)가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외부면을 상기 메탈 쉘(240)이 감싸며 결합되면, 상기 결합돌기(212)가 삽입되어 상기 메탈 쉘(240)이 상기 플러그 몰드(210)에 고정되도록 상기 메탈 쉘(24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공(2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243)의 전방에는 상기 결합공(243)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212)가 상기 결합공(243)에 구속되도록 구속돌출부(242)가 상기 메탈 쉘(24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MICRO-USB CONNECTOR}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구조적으로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 중 불량이 방지되도록 개선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에스비(USB; 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는 컴퓨터 등과 같이 단말기에 데이터의 입출력을 위하여 구비된 통신 포트인 유에스비 소켓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한편,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도 유에스비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도록 실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유에스비 소켓은 크기가 작은 휴대용 단말기의 특성상 그 크기를 작게 형성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이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는 5개의 접속핀이 구비되어 있어 그 사용용도가 컴퓨터의 USB 단자와의 연결에만 한정되어 많은 접속핀이 요구되는 데이터 전송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접속되는 방향이 상, 하로 구분이 없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C타입(C-Type)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가 개발되어 영상 등의 다양한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토록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C타입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서는 접속핀과 실장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플러그 접속단자가 플러그부의 내측에 상, 하로 이격되되 좌우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다수 개로 배열되도록 삽입 고정되고 있다.
그런데, C타입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는 다양한 데이터 전송은 가능하나, 플러그 접속단자가 상, 하로 각각 다수 개로 배열되도록 삽입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가 등록특허공보 제10-1736905호(2017년 05월 11일,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등록특허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는 상기한 등록특허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는 도 1의 조립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1의 요부 구성인 플러그 몰드 및 플러그 접속단자들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100)는, 플러그 몰드(110), 메탈 쉘(140), 상, 하부 서포트 프레임(120,130), 래치(150) 및 다수의 플러그 접속단자(161,162,1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 몰드(110)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111)가 몰드 몸체부(115)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후방 상, 하면에 결합돌기(116)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탈 쉘(140)은 플러그 접속부(111)를 감싸면서 결합되도록 삽입 관통공(141)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 상, 하면에 결합돌기(116)와 대응되어 결합공(146)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서포트 프레임(120)에는 다수 개의 상부 접촉편(123)이 후향 상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하부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다수 개의 하부 접촉편(133)이 후향 하측으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서포트 프레임(120)에는 'ㄷ'자 형상으로 상부 지지편(121)이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ㄷ'자 형상으로 하부 지지편(131)이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 하부 서포트 프레임(120,130)이 플러그 접속부(111)의 전방부에 상, 하측으로부터 조립 고정될 수 있도록 플러그 접속부(111)에는 조립홈(112a,112b)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상부 서포트 프레임(120)에는 상부 조립편(122)이 전방 양측으로부터 하향 절곡 형성되고, 상기 하부 서포트 프레임(130)에는 조립홈(112b) 하측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조립 고정되는 하부 조립편(132)이 전방 양측으로부터 상향 절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치(150)는 소켓 접속부를 구속하도록 플러그 몰드(110)의 후방 양측으로부터 삽입 고정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플러그 접속단자(161,162,163)는 전단부 상측이나 하측 또는 상, 하 한 쌍으로 이격되어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부(161a,162a,163a)를 가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들(161,162,163)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 접속단자(161)는 플러그 몰드(110)의 몰드 몸체부(115)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플러그 몰드(110)에 내설되되 전단부에 상, 하 한 쌍으로 이격되는 접속단부(161a)를 가지고, 후단부에는 후단부가 실장기판의 전단부 상, 하면에 실장될 수 있도록 상, 하 한 쌍으로 이격되어 후향 돌출되는 실장단부(16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162)도 몰드 몸체부(115)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플러그 몰드(110)에 내설되되 전단부 상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부(162a)를 가지고, 후단부에는 후단부가 실장기판의 전단부 상면에 실장될 수 있도록 상측에 후향 돌출되는 실장단부(162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접속단자(163)는 몰드 몸체부(115) 후방으로부터 삽입 고정되어 플러그 몰드(110)에 내설되되 전단부 하측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접속단부(163a)를 가지고, 후단부에는 후단부가 실장기판의 전단부 상면에 실장될 수 있도록 하측에 후향 돌출되는 실장단부(163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몰드(110)는 몰드 몸체부(115) 후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삽입홈(117)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100)는, 메탈 쉘(140)이 결합 고정되도록 플러그 몰드(110)와 메탈 쉘(140)에는 결합돌기(116)와 결합공(146)이 구비되어 있으나, 상기 결합돌기(116)와 결합공(146)이 하나씩 구비되어 있고 결합공(146)에서 결합돌기(116)가 빠질 수 있어, 플러그 몰드(110)와 메탈 쉘(140)이 결합력이 떨어져, 플러그 몰드(110)에서 메탈 쉘(140)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래치(150)의 형상이 실장기판에 실장될 수 있는 형상이 아니고, 밀림 방지 구조가 없어 래치(150)가 본래 조립 위치에서 이탈되어, 제품불량의 원인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래치(150)의 실장단부(150a)와 플러그 접속단자(162,163)의 실장단부(162b,163b)가 구조적으로 취약해 래치(150) 조립시 휘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이 있어, 조립 불량의 원인을 제공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150)가 플러그 몰드(110)에 삽입된 후 고정되도록 잡아주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래치(150)의 기능을 상실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탈 쉘(140)이 플러그 몰드(110)를 감싸도록 플러그 몰드(110)가 삽입되는 삽입 관통공(141)을 형성한 후, 서로 접하는 메탈 쉘(140)의 양단부는 레이저 용접(LW)으로 접합이 된다.
그런데, 상기한 레이저 용접(LW)은 메탈 쉘(140)의 튜브(tube) 공정 후, 별도로 이루어지는 제조공정으로 인해, 제조공정이 추가되어 작업성이 떨어지며, 제조원가가 상승된다.
그리고 상기한 레이저 용접(LW) 부위에 작업불량이 발생되는 경우,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100)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탈 쉘(140)의 전단부가 직선 형태로 되어 있어 메탈 쉘(140)이 전체적으로 동일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플러그 몰드(110)의 플러그 접속부(111)의 전단부가 메탈 쉘(140)의 삽입 관통공(141)을 돌출하여 외부에 조립되어 있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100)를 예컨대,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미도시)에 접속을 반복하면, 플러그 몰드(110)에서 메탈 쉘(140)이 빠질 수 있으며, 상기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시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의 주변에 스크래치(scratch)가 생기게 되며,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100)와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을 파손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제조공정을 단순하게 하고, 각 부품들의 구조를 보강하며, 제품불량이 방지되도록 하며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는,
플러그 몰드와 메탈 쉘을 구비하여 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몰드의 몰드 몸체부의 상면 및 저면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몰드 몸체부의 외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단차부가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몰드의 외부면을 상기 메탈 쉘이 감싸며 결합되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메탈 쉘이 상기 플러그 몰드에 고정되도록 상기 메탈 쉘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의 전방에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구속되도록 구속돌출부가 상기 메탈 쉘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과 상기 구속돌출부가 형성된 쉘 플랜지에는 상기 단차부에 상기 쉘 플랜지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메탈 쉘의 쉘 몸체부에서 돌출되며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몰드의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상부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하부 서포트 프레임의 상, 하부 몸체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상, 하부 몸체부가 상기 플러그 접속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이 상기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고정되도록 상기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좌, 우측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에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의 상기 좌, 우측 고정홈에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스프링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탈 쉘은, 소정의 금속박판이 튜브 형태로 벤딩되어 양단부가 접하는 접힘선이 형성되고, 상기 접힘선을 경계로 일측 단부에는 돌출편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돌출편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의 좌우 단부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전단부에는 상기 돌출돌기가 형성된 상기 돌출편이 상기 수용홈에 구속되도록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 쪽의 상기 금속박판의 일부와 상기 수용홈 쪽의 상기 금속박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서로 접하며 코킹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탈 쉘의 전단부에는, 상기 플러그 몰드의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의 외부면을 눌러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되, 상기 메탈 쉘의 수용공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며 형성된 플러그 가압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 몰드의 결합돌기가 메탈 쉘의 결합공과 구속돌출부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플러그 몰드에 메탈 쉘이 완벽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메탈 쉘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가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을 위해 삽입시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여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주위에 충돌하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으로부터 적절하게 빠지지 않을 때에 메탈 쉘이 견고하게 플러그 몰드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탈 쉘이 플러그 몰드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가 몰드 몸체부의 상면 및 저면 각각에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구비되어 있고, 메탈 쉘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공과 구속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탈 쉘이 몰드 몸체부에 균등한 고정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탈 쉘이 몰드 몸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부 서포트 프레임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의 고정편에 스프링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좌, 우측 고정홈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좌, 우측 고정홈에서 빠지지 않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부 서포트 프레임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메탈 쉘에는 수용공, 돌출편, 수용홈, 돌출돌기 및 구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 쪽의 금속박판의 일부와 수용홈 쪽의 금속박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서로 접하며 코킹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편이 수용홈에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처럼 상기 접힘선을 따라 레이저 용접을 실시할 필요가 없어,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용접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메탈 쉘의 전단부에는 플러그 몰드의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 외부면을 눌러 가압하는 동시에 플러그 접속부의 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형성되되 메탈 쉘의 수용공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게 형성된 플러그 가압부가 구비됨으로써,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가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이 될 때, 정확하게 접속이 되지 않아도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주위에 충돌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와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이 파손되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주위가 스크래치가 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빼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를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할 때, 메탈 쉘이 밀리거나 잡아당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사용 중 파손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요부 구성인 플러그 몰드 및 플러그 접속단자들을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저면도.
도 8은 도 5의 배면도.
도 9는 도 8에서 A-A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8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도 5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도 5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도 5의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9에는 도 8에서 A-A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도 8에서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에 앞서, 일반적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기로 하고, 여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의 특징적인 구성 및 작용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는, 플러그 몰드(210), 메탈 쉘(240), 래치(250) 및 제1,2,3접속단자(261,262,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몰드(210)는 예컨대,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미도시)에 접속되는 플러그 접속부(211)가 몰드 몸체부(215)의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몰드 몸체부(215)의 상면 및 저면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돌기(2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12)는 몰드 몸체부(215)의 외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단차부(215a)가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외부면을 메탈 쉘(240)이 감싸며 결합되면, 상기 결합돌기(212)가 삽입되어 메탈 쉘(240)이 플러그 몰드(210)에 고정되도록 메탈 쉘(24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공(2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탈 쉘(240)의 결합공(243)의 전방에는 결합공(243)에 삽입된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결합돌기(212)가 결합공(243)에 구속되도록 하는 구속돌출부(242)가 메탈 쉘(24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공(243)에 삽입된 결합돌기(212)는 결합공(243)에 의해 결합돌기(212)의 후단부가 구속되고, 상기 구속돌출부(242)에 의해 결합돌기(212)의 전단부가 구속된다.
이렇게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결합돌기(212)가 상기 메탈 쉘(240)의 결합공(243)과 구속돌출부(242)에 의해 구속되기 때문에 플러그 몰드(210)에 메탈 쉘(240)이 완벽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메탈 쉘(240)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가 스마트폰 등에 구비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을 위해 삽입시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여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주위에 충돌하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으로부터 적절하게 빠지지 않을 때에 메탈 쉘(240)이 견고하게 플러그 몰드(2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메탈 쉘(240)이 플러그 몰드(2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2)가 몰드 몸체부(215)의 상면 및 저면 각각에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구비되어 있고, 메탈 쉘(24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공(243)과 구속돌출부(242)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메탈 쉘(240)이 몰드 몸체부(215)에 균등한 고정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메탈 쉘(240)이 몰드 몸체부(215)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돌기(212)는 몰드 몸체부(215)의 외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단차부(215a)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단차부(215a)에 결합공(243)과 구속돌출부(242)가 형성된 쉘 플랜지(240a)가 결합될 수 있도록 메탈 쉘(240)의 쉘 몸체부(240b)에서 돌출되며 절곡된 절곡부(245)가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부(245)의 형성으로 인해 쉘 플랜지(240a)가 구조적으로 보강되는 이점이 생기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218)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219)이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상부 서포트 프레임(218)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219)의 상, 하부 몸체부(218a,219a) 각각에는, 외력이 작용하면 눌러지고, 상기 외력이 제거하면 본래의 형상대로 회복이 되는 스프링 기능이 구비되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가 상기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될 때,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의 소켓 접속부(미도시)를 구속하는 구속부(218b,21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속부(218b,219b)가 플러그 접속부(211)에 삽입 고정되도록 플러그 접속부(211)에는 구속부(218b,219b)의 개수만큼 삽입관통공(217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 하부 몸체부(218a,219a)가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고정되도록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상, 하부 고정홈(217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 몸체부(218a,219a)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 하부 몸체부(218a,219a)가 플러그 접속부(2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218c,219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편(218c,219c)이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고정되도록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좌, 우측 고정홈(217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편(218c,219c)에는 플러그 접속부(211)의 좌, 우측 고정홈(217b)에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스프링돌기(218d,219d)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스프링돌기(218d,219d)는 외력이 작용하면 눌러지고,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돌출되는 스프링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고정편(218c,219c)이 좌, 우측 고정홈(217b)에 삽입되는 중에 스프링돌기(218d,219d)가 가압되어 눌러져 좌, 우측 고정홈(217b)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그런 후, 상기 고정편(218c,219c)이 좌, 우측 고정홈(217b)에 고정된 후에는 상기 스프링돌기(218d,219d)가 본래의 형태대로 회복되므로, 좌, 우측 고정홈(217b)에 삽입 고정된 고정편(218c,219c)은 좌, 우측 고정홈(217b)에서 빠지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스프링돌기(218d,219d)가 상부 서포트 프레임(218)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219)에 구비됨으로써, 상부 서포트 프레임(218)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219)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양 측면에는 래치(250)를 삽입되게 하고, 래치(250)의 전단부가 돌출되며 노출되게 하는 노출공(213)과 삽입홈(2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214)의 측면 모서리는 모따기(C; chamfer)가 0.3mm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삽입홈(214)이 구조적으로 보강됨으로써, 래치(250)가 삽입되는 도중에 상기 삽입홈(214)의 형태가 유지되고, 래치(250)의 삽입이 용이하며, 플라스틱 사출성형시 용융수지의 흐름을 양호하게 하여 사출성형이 양호하며, 구조적으로 보강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2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미도시)의 상하면에 밀착 삽입되도록 후단부에 'ㄷ'자 형태의 기판삽입부(25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러그 몰드(210)에 삽입된 후, 플러그 몰드(210)에 밀착 삽입될 수 있도록 후크부(2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253)는 탄성 가능하게 되도록 래치(250)의 몸체 일부를 커팅하되,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일정 압력에 밀린다.
따라서 상기 래치(250)는 플러그 몰드(210)에 용이하게 삽입이 되고, 삽입된 후에 본래의 위치나 자세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래치(250)가 조립시나 사용 중에 빠지지 않아 불량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래치(250)의 기판삽입부(251)의 선단부에 단차부(252)를 적어도 하나 형성함으로써, 상기 기판삽입부(251)가 구조적으로 보강되며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래치(250) 조립시나 사용 중에 래치(250)에 변형이 생기지 않아 불량이 또한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2,3접속단자(261,262,263) 모두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회로기판이 삽입되도록 제1접속단자(261)처럼 기판장착부(261a)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기판장착부(261a)의 선단부에 적어도 하나의 단차부(261b)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기판장착부(261a)가 구조적으로 보강되고, 제1,2,3접속단자(261,262,263)들이 조립시나 사용 중에 제1,2,3접속단자(261,262,263)에 변형이 생기지 않아 불량이 발생되지 않으며, 제1,2,3접속단자(261,262,263)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며, 플러그 몰드(210)에 조립시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하지만,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한 종래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100)의 접속단자(161,162,163)에는 본 발명과 같은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았다.
즉, 종래의 접속단자(161,162,163)의 실장단부(161b,162b,163b)에는 본 발명과 같은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아 상기 실장단부(161b,162b,163b) 바깥쪽으로 여유살이 없다.
이에 따라 상기 실장단부(161b,162b,163b)가 구조적으로 취약하며, 플러그 몰드(110)에 삽입이 용이하지 않으며, 접속단자(161,162,163)의 삽입시에 실장단부(161b,162b,163b)에 변형이 생길 수 있으며, 결국 종래의 접속단자(161,162,163)는 제품불량의 원인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상기 메탈 쉘(24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steel)과 같은 금속박판이 튜브(tube) 형태로 벤딩되어 양단부가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탈 쉘(240)에는, 접힘선(L) 형성되는 동시에 플러그 몰드(210)의 플러그 접속부(211)가 수용되는 수용공(2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접힘선(L)을 경계로 일측 단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247a)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돌출편(247a)을 수용하는 수용홈(249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편(247a)의 좌우 단부에는 돌출돌기(247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249a)의 전단부에는 돌출돌기(247b)가 형성된 돌출편(247a)이 수용홈(249a)에 구속되도록 구속돌기(249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돌출편(247a) 쪽의 금속박판의 일부와 수용홈(249a) 쪽의 금속박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서로 접하며 코킹부(247c,249c)가 형성된다.
이러한 코킹부(247c,249c)의 형성됨으로써, 상기 돌출편(247a)이 수용홈(249a)에 완전히 고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는, 종래처럼 상기 접힘선(L)을 따라 레이저 용접을 실시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메탈 쉘(240)의 제조가 프레스 가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코킹부(247c,249c)의 코킹작업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코킹부(247c,249c)의 형성을 위해 별도의 공정(레이저 용접 공정)을 수행할 필요가 없어, 메탈 쉘(240)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진다.
따라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의 제조공정이 단순해지고, 원가절감에 기여하며, 용접불량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탈 쉘(240)의 전단부에는, 플러그 몰드(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 외부면을 눌러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에 형성된 걸림턱(216)에 걸리도록 형성되되, 상기 메탈 쉘(240)의 수용공(241)의 안쪽으로 말려들어가게 형성된 플러그 가압부(248)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248)의 끝단부는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 외부면을 눌러 가압할 수 있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특히, 상기 플러그 가압부(248)는 라운드(R)를 형성하며 이루어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탈 쉘(240)의 전단부의 폭이 갑자기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가 상기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이 될 때, 정확하게 접속이 되지 않아도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주위에 충돌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와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이 파손되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주위가 스크래치가 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플러그 가압부(248)는 플러그 접속부(211)의 걸림턱(216)을 가압하는 동시에 걸림턱(216)에 걸리도록 형성되었으므로,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를 빼거나,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를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에 접속할 때, 메탈 쉘(240)이 밀리거나 잡아당겨지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의 사용 중 파손되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210. 플러그 몰드
212. 결합돌기
215. 몰드 몸체부
215a. 단차부
216. 걸림턱
218. 상부 서포트 프레임
218d,219d. 스프링돌기
219. 하부 서포트 프레임
240. 메탈 쉘
240a. 쉘 플랜지
242. 구속돌출부
243. 결합공
245. 절곡부
247a. 돌출편
247c,249c. 코킹부
248. 플러그 가압부
249a. 수용홈
250. 래치

Claims (5)

  1. 플러그 몰드(210)와 메탈 쉘(240)을 구비하여 된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2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몰드 몸체부(215)의 상면 및 저면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돌기(2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돌기(212)는 상기 몰드 몸체부(215)의 외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단차부(215a)가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외부면을 상기 메탈 쉘(240)이 감싸며 결합되면, 상기 결합돌기(212)가 삽입되어 상기 메탈 쉘(240)이 상기 플러그 몰드(210)에 고정되도록 상기 메탈 쉘(240)의 상부와 하부 각각에는 일정 거리를 두고 2개의 결합공(2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243)의 전방에는 상기 결합공(243)에 삽입된 상기 결합돌기(212)가 상기 결합공(243)에 구속되도록 구속돌출부(242)가 상기 메탈 쉘(240)의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또한, 상기 플러그 몰드(210)의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부 서포트 프레임(218)과 하부 서포트 프레임(219)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상부 서포트 프레임(218)과 상기 하부 서포트 프레임(219)의 상, 하부 몸체부(218a,219a)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상, 하부 몸체부(218a,219a)가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편(218c,219c)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218c,219c)이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 각각에 고정되도록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의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좌, 우측 고정홈(217b)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218c,219c)에는 상기 플러그 접속부(211)의 상기 좌, 우측 고정홈(217b)에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스프링돌기(218d,219d)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메탈 쉘(240)은, 소정의 금속박판이 튜브 형태로 벤딩되어 양단부가 접하는 접힘선(L)이 형성되고,
    상기 접힘선(L)을 경계로 일측 단부에는 돌출편(247a)이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돌출편(247a)을 수용하는 수용홈(249a)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247a)의 좌우 단부에는 돌출돌기(247b)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249a)의 전단부에는 상기 돌출돌기(247b)가 형성된 상기 돌출편(247a)이 수용홈(249a)에 구속되도록 구속돌기(249b)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편(247a) 쪽의 상기 금속박판의 일부와 상기 수용홈(249a) 쪽의 상기 금속박판의 일부가 절개되어 서로 접하며 코킹부(247c,249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43)과 상기 구속돌출부(242)가 형성된 쉘 플랜지(240a)에는 상기 단차부(215a)에 상기 쉘 플랜지(240a)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메탈 쉘(240)의 쉘 몸체부(240b)에서 돌출되며 절곡된 절곡부(24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25760A 2019-10-11 2019-10-11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KR102149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760A KR102149754B1 (ko) 2019-10-11 2019-10-11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5760A KR102149754B1 (ko) 2019-10-11 2019-10-11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9754B1 true KR102149754B1 (ko) 2020-08-31

Family

ID=7223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5760A KR102149754B1 (ko) 2019-10-11 2019-10-11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97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44553U (zh) * 2014-10-31 2015-02-04 帏翔精密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595516U (zh) * 2016-04-11 2016-09-2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KR101736905B1 (ko) * 2015-05-21 2017-05-17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JP2018520486A (ja) * 2015-07-08 2018-07-26 周賢 蔡 双方向電気コネク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144553U (zh) * 2014-10-31 2015-02-04 帏翔精密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
KR101736905B1 (ko) * 2015-05-21 2017-05-17 주식회사 신화콘텍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플러그
JP2018520486A (ja) * 2015-07-08 2018-07-26 周賢 蔡 双方向電気コネクター
CN205595516U (zh) * 2016-04-11 2016-09-21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插座电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092327B (zh) 可动连接器
US6644992B2 (en) Lever-type connector
US7108542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US6866523B2 (en) Construction for mounting a terminal, a circuit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mounting it
US6068494A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a connector
US7396246B2 (en) Electrical connector
US6869312B2 (en) Connector in which a locking portion to be engaged with a housing is formed inside a contact
US9136631B2 (en) Connector and forming method thereof
US8549736B2 (en) Component fixing device and electrical device having the same
US5501619A (en) Connector
KR102149754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JP5970343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997076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US573061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pring metal latch mechanism
EP1403808A1 (en) Card connector having a metal cover
US7819695B2 (en) Multi-unit connector
EP3716413B1 (en) Connector
KR102197661B1 (ko)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KR101424545B1 (ko) 커넥터
JP2003338346A (ja) コネクタ
JP4223033B2 (ja) パネル取付用コネクタ
JP2002313486A (ja) 分割コネクタ
US7083461B2 (en) Connector
JPH0794227A (ja) コネクタの端子固定装置
JP202102247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