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9358B1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49358B1 KR102149358B1 KR1020190075205A KR20190075205A KR102149358B1 KR 102149358 B1 KR102149358 B1 KR 102149358B1 KR 1020190075205 A KR1020190075205 A KR 1020190075205A KR 20190075205 A KR20190075205 A KR 20190075205A KR 102149358 B1 KR102149358 B1 KR 1021493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button
- fine adjustment
- adjustment bar
- us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현재의 위치에 머물도록 하고,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2 영역 내인 경우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콘텐츠 표시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등에서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단말기에는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동영상 플레이어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동영상 플레이어에는 동영상 전체 시간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부분의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고, 그 동영상에 대핸 재생 시점(재생 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진행 바'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진행 바'가 동영상 플레이어에 표시된 일 예가 도 1에 도시되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통은 동영상 플레이어의 하단 영역에 '진행 바'(11)가 표시되는데, 이러한 진행 바(11) 내에는 보통 '이동 버튼'(12)이 포함되어 있어서 사용자 해당 이동 버튼을 터치 드래그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동영상 플레이어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12)을 진행 바(11) 내의 좌/우측으로 터치 드래그 한 이후에 터치 해제를 하는 경우, 그 터치 해제 위치에 대응되는 시점으로 구간 점프하여 동영상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이동 버튼(12)을 터치 드래그를 통해 이동시키는 동안에는 동영상 콘텐츠를 일시 중지하고 그 이동 버튼(12)에 대한 이동을 종료(즉, 터치 해제)한 경우에 비로소 사용자 단말기는 그 이동 버튼(12)이 이동한 최종 위치에 대응되는 시점으로부터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처리(일 예로 콘텐츠 제공 서버에 요청)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용자 단말기(즉,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동영상 플레이어)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버튼(12)에 대한 터치 드래그를 통한 이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에는 동영상 표시 영역(13)의 영상에 대해서는 일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그 이동 버튼(12)에 대한 터치 해제를 한 이후에야 동영상 표시 영역의 영상이 바뀌게 되므로, 사용자 불편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던 영상의 지나간 특정 시점을 찾고자 이동 버튼(12)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동영상 표시 영역에는 영상이 일시 정지된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자신이 원하는 특정 시점을 찾기가 쉽지 않고, "터치 드래그 및 터치 해제"과정을 수차례 반복하고서야 비로소 자신이 원하는 특정 시점을 찾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니즈는 다양할 수 있는데, 종래의 단순한 플레이어의 기능만으로는 이러한 시청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플레이어 영상의 특정 시점의 영상을 자세히 살펴보고자 하는 경우에도 종래에는 정밀한 제어가 가능하지 않아 사용자들의 불만을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동영상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가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콘텐츠 표시 형태가 가능한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가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현재의 위치에 머물도록 하고,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2 영역 내인 경우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를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현재의 위치에 머물도록 하고,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2 영역 내인 경우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영상 콘텐츠 재생 중 사용자가 니즈에 부합하는 다양한 콘텐츠 표시 형태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해당하는 정지 영상과 함께 미세 조정 바를 표시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 조작을 통해 영상 콘텐츠의 다른 특정 프레임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세 조정 바의 길이가 제한된다 하더라도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의 제2 영역(일 예로 끝단)까지 이동시킨 경우에는 자동으로 해당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다른 프레임을 이동 버튼의 이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콘텐츠 재생 플레이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화면상에 이동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미세 조정 바 상에서 이동 버튼의 이동을 상세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미세 조정 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기본 모드에서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콘텐츠의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화면상에 이동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를 표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미세 조정 바 상에서 이동 버튼의 이동을 상세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미세 조정 바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8은 도 7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기본 모드에서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콘텐츠의 카메라의 촬영 각도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고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영상 콘텐츠 전체를 제공(일 예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지속 제공)하거나, 또는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프레임(즉, 개별 영상 프레임)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콘텐츠 전체를 제공한다는 것은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특정 프레임에 대한 요청이 없더라도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지속적으로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개별 영상 프레임을 제공한다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의 특정 영상 프레임에 대한 요청에 따라 그 요청받은 영상 프레임(즉, 개별 영상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영상 콘텐츠 전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한 특별한 요청이 없더라도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일련의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만일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영상 프레임을 요청하는 신호(즉, 개별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요청받은 특정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는 동일한 시점에 매칭되고 서로 촬영 각도가 상이한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에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이 하나의 영상 콘텐츠 통합 포함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동일한 시점에 매칭되되 서로 촬영 각도가 상이한 각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특정 시점(시간) 정보와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시점 정보와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시점에 특정 각도로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댁내에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특히,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고, 또는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영상 프레임만을 정지된 상태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150)에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고, 더 나아가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 중 필요한 각종 설정 값, 동작 모드 등에 해당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드와 함께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영상 콘텐츠 재생과 관련한 사용자의 각종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술한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각종 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드래그'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예로 든다면 사용자가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지점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그 터치를 유지하면서 손가락 등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 등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터치 및 드래그가 다른 입력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 후에 마우스 버튼을 누름에 의해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그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래그 동작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에 대한 표시는 물론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각종 메뉴 등이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특히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소정의 미세 조정 바가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미세 조정 바는 영상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는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가로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는 이처럼 영상 콘텐츠와 함께 미세 조정 바가 표시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바를 최초로 표시하는 경우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의 중간 지점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과 미세 조정 바가 표시되도록 한 이후,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위치(일 예로 시간 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 후, 그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는 미세 조정 바(103)가 따로 도시되었는데, 도 5(a)와 같은 미세 조정 바(10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5(b)와 같이 이동 버튼(105)을 이동시켰다고 가정하고, 도 5(a)의 미세 조정 바(103)의 이동 버튼(105) 위치는 재생 시간이 20분인 위치에 해당하고, 도 5(b)의 이동 버튼(105)의 위치는 재생 시간이 (20분+1/30초) 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콘텐츠가 1초에 30프레임을 갖는 30프레임 영상이라고 한다면,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도 5(a) 상태에서 도 5(b) 상태로 이동 버튼(105)이 이동한 경우 재생 시간이 (20분+1/30초)에 해당하는 프레임(즉, 개별 영상 프레임)의 전송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한 영상 프레임은 20분 이후의 첫 번째 영상 프레임에 해당한다.
이러한 과정은 이동 버튼(105)이 이동하는 동안 내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5(b)의 이동 버튼(105)을 계속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 방식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시켜 (20분+2/30초)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한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20분+2/30초)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즉, 20분 이후의 두 번째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미래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개별 영상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장치는 그 수신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정지 영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드래그 동작이 없는 한 디스플레이부(110)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다른 개별 영상 프레임으로 바꾸지 않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계속 이동(드래그)시키는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가 계속하여 그 이동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새로운 개별 영상 프레임을 수신 및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동 버튼(105)의 이동만으로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 프레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현재의 위치에 머물도록 하고,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2 영역 내인 경우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도 5(a)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 버튼이 도 5(b) 와 같이 이동된 이후 사용자가 그 이동 버튼에 대한 터치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을 도 5(b)의 상태 그대로 유지하지만, 다른 예로써, 도 5(a)의 상태 또는 도 5(b)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에 따라 이동 버튼이 도 5(c) 와 같이 이동된 이후 사용자가 그 이동 버튼에 대한 터치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을 도 5(a)와 같이 미세 조정 바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미세 조정 바의 끝단 지점이 상술한 제2 영역에 해당하고, 이들을 제외한 미세 조정 바의 나머지 영역은 모두 제1 영역에 해당하는 것이다.
물론, 제2 영역이 미세 조정 바의 끝단이 아니라 끝단 부근의 소정의 영역에 해당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 상에서 움직일 때마다 해당 위치의 개별 영상 프레임이 표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의 오른쪽 끝 지점에 위치하게 되면 그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에 대해서는 더 이상 요청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미세 조정 바의 길이가 유한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인데, 이처럼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의 끝단에 도달한 이후 사용자가 조작을 중지(일 예로, 터치 해제)를 수행하면 자동으로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의 중간 지점으로 이동시켜서 사용자가 다시 이동 버튼을 조작하여 그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요청 및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경우 해당 시점의 콘텐츠 표시 영역의 정지 영상 표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a)의 상태에서 영상 콘텐츠의 제1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이 표시되고 있고,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터치 드래그 이동시켜 도 5(b)와 같이 된다고 한다면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영상 콘텐츠의 제2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이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해제한다 하여도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도 5(b)와 같이 이동 버튼의 위치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이동 버튼에 대한 터치 드래그 입력을 통해 도 5(c)와 같이 이동 버튼을 이동시킨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영상 콘텐츠의 제3 프레임에 해당하는 영상이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버튼의 터치 입력을 해제하게 되면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도 5(a) 와 같이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의 중간 지점에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영상 콘텐츠의 제3 프레임이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후, 사용자가 다시 도 5(b)와 같이 이동 버튼을 이동시키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영상 콘텐츠의 제4 프레임 영상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의 끝단에 도달한 이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해제된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버튼을 자동으로 미세 조정 바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으로 이동시켜 그 이후의 프레임 영상을 사용자가 이동 버튼의 이동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동 버튼이 도 5(b)와 같이 미세 조정 바의 끝단 지점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그 이동 버튼이 이동된 위치를 유지함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프레임 영상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제1 영역 내에서만 좌우로 이동시키며 특정 프레임 영상들을 찾는 과정을 반복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버튼에 대한 터치 입력을 해제하더라도 이동 버튼의 위치가 자동으로 변경되지 않으므로 그 제1 영역 내에서의 이동 버튼의 위치에 매칭된 특정 프레임 영상을 기억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도 5(b)의 이동 버튼의 위치에서 특정 프레임 영상('제1 프레임 영상')을 확인하고, 다시 도 5(d)의 이동 버튼의 위치에서 특정 프레임 영상('제2 프레임 영상')을 확인한 경우, 다시 제1 프레임 영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도 5(b)의 위치를 기억하고 있으므로 이동 버튼을 해당 위치로 이동시켜 제1 프레임 영상을 신속하게 재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예에서는 제2 영역이 미세 조정 바의 좌/우측 끝단에 해당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 영역은 소정의 구간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 조정 바는 중앙 부분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미세 시간 조정 구간과 좌/우측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재생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이때 미세 시간 조정 구간은 제1 영역에 해당하고 재생 구간은 제2 영역에 해당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미세 시간 조정 구간과 재생 구간으로 구분된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었는데, 동 도면을 참조하면 미세 조정 바의 중앙 영역 대부분은 미세 시간 조정 구간에 해당하고 좌/우측 끝단 근처 소정 영역은 재생 구간에 해당한다.
이러한 이동 버튼이 미세 시간 조정 구간에 있을 때의 처리는 정지 영상을 표시하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고, 재생 구간에 있을 때의 처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에 따라 해당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의 재생 구간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버튼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등의 조작에 따라 미세 시간 조정 영역에 위치하는 것과는 달리 이동 버튼이 재생 구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를 멈춘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개별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 즉, 재생 처리를 하는 것이다.
즉,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105)이 재생 구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이 없더라도 연속적인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재생하여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의 이동 위치에 따라 영상 콘텐츠에 대해 정지 영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재생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생 구간은 일 예로 배속 구간이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배속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에 따른 배속을 판단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배속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앞서 판단된 배속에 대응되는 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드래그 동작이 없이 이동 버튼(105)이 특정 위치(즉, 배속 구간(103a, 103c)의 특정 위치)에 멈춰 있는 경우라도 디스플레이부(110)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개별 영상 프레임을 특정 배속으로 교체 변경하며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세 시간 조정 구간(103b)의 전체 시간이 19분 ~ 21분이고, 이동 버튼(105)이 미세 시간 조정 구간(103b)을 지나 도달한 배속 구간(103c)의 위치가 기 정의된 '1배속' 위치인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21분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즉, (21분+1/30초) 프레임, (21분+2/30초) 프레임, (21분+3/30초) 프레임, (21분+4/30초) 프레임 등)을 순차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기준 배속(즉, 1배속)의 속도로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c)의 '1배속' 위치를 지나 기 정의된 '2배속' 위치에 도달하였고 해당 시점에 1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22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그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 즉, (22분+1/30초) 프레임, (22분+2/30초) 프레임, (22분+3/30초) 프레임, (22분+4/30초) 프레임 등을 순차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기준 배속 보다 2배 빠른 배속(즉, 2배속)의 속도로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배속이 30프레임인 경우, 2배속으로 개별 영상 프레임을 표시한다는 것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60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1초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특정 배속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연속적인 개별 영상 프레임을 요청 및 수신하되 표시 속도를 특정 배속에 맞춰서 처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표시 속도는 동일하게 하되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간격을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와 같이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c)의 '1배속' 위치를 지나 기 정의된 '2배속' 위치에 도달하였고 해당 시점에 1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22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에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그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 즉, (22분+1/30초) 프레임, (22분+3/30초) 프레임, (22분+5/30초) 프레임, (22분+7/30초) 프레임 등과 같이 홀수 번째 프레임만을 순차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기준 배속(즉, 1배속)의 속도로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개별 영상 프레임만을 요청하여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마지 2배속으로 처리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우측 배속 구간(103c)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 것이고, 좌측 배속 구간(103a)에 이동 버튼(105)을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그 이전의 개별 영상 프레임(과거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배속 관련한 설명은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a, 103c)에 위치한 지점에 대응되는 배속으로 영상 프레임이 재생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a, 103c) 내에서 움직인 속도에 대응되는 배속으로 영상 프레임이 재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배속 판단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미세 조정 바의 배속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버튼의 위치를 기초로 배속을 판단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미세 조정 바의 배속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속도를 기초로 배속을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천천히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1배속 증가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고, 만일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빨리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2배속 증가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예에서 만일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왼쪽으로 천천히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1배속 감소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고, 만일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왼쪽 빨리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2배속 감소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 버튼의 움직임 속도에 대한 기준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재생 구간 또는 배속 구간에 이동 버튼이 위치하여 개별 영상 프레임이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해당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터치 입력 해제 등) 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재생을 일시 정지함과 아울러 이동 버튼을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화면에는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되는 시점의 개별 영상 프레임이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게 되는 것이다.
그 이후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한 이동 버튼을 사용자가 다시 조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정지 영상 또는 재생 영상 등을 계속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의 대부분의 기능은 앞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 상 앞선 실시예에서 언급하지 않은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 모드 전환부(130'),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 저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버튼(104)에 대한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여기서 기본 모드 상태라는 것은 이동 버튼(105)을 포함하는 기본 진행 바(102)와 함께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재생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즉, 영상 시청자)가 자신의 콘텐츠 재생 장치(10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재생 및 시청하고 있는 상태가 기본 모드 상태라 할 수 있고, 이때 영상 콘텐츠와 함께 기본 진행 바(102)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본 진행 바(102)는 도 1에서 설명한 종래의 '진행 바'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하단 영역에 표시될 수 있고, 이동 버튼(104)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즉,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이동 버튼(104)은 영상 콘텐츠가 진행됨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고,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좌측 처음부터 이동 버튼(104)까지의 영역은 색상 또는 명도를 달리하여 그 만큼 영상 콘텐츠 재생이 이루어졌음을 시청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본 진행 바(102)의 표시 방식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콘텐츠 표시 영역(101)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플레이어 등이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 진행 바(102) 또는 미세 조정 바(103)가 표시되는 영역과는 구별되는 것이라 가정한다.
사용자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소정의 메뉴 버튼, 선택 버튼 등에 대한 선택 또는 터치 드래그 조작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이러한 사용자의 각종 터치 조작 또는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진행 바(10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영상 콘텐츠와 함께 또는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모드 전환부(130')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가 기본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특정 선택 버튼(미 도시함)에 터치를 감지한 경우 기본 진행 바(102)에 포함된 전체 플레이 구간 중 이동 버튼(105)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일부 구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일부 구간을 확대 표시한 미세 조정 바(103)를 기본 진행 바(102)를 대체하여 표시하는 일명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세 조정 바 전체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는 상기 기본 진행 바 전체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보다 더 작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진행 바(102)는 종래 기술과 같이 현재 재생되는 영상 콘텐츠의 전체 시간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데, 모드 전환부(130')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기본 진행 바(102)에 포함된 전체 영상 플레이 구간(일 예로 60분 구간) 중 이동 버튼(105)의 현재 위치(일 예로 20분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일부 구간(일 예로 19분 ~ 21분 구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일부 구간(일 예로 19분 ~ 21분 구간)을 확대 표시한 미세 조정 바(103)를 기본 진행 바(102)를 대체하여 표시하는 일명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일 예에 따르면 기본 진행 바(102)와 미세 조정 바(103)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다만, 기본 진행 바(102)는 영상 콘텐츠의 0분 ~ 60분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게 됨에 반해, 미세 조정 바(103)는 영상 콘텐츠의 19분 ~ 21분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 도 8이다.
도 8의 상단 이미지(111)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기본 진행 바(102)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8의 하단 이미지(112)는 사용자가 특정 메뉴 조작 또는 특정 버튼의 선택에 따라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때 기본 진행 바(102)의 좁은 구간이 확대되어 미세 조정 바(103)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모드 전환부(130')는 앞선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 0분 ~ 60분의 시간 구간을 가지는 기본 진행 바(102)의 구간 중 19분 ~ 21분 구간이 미세 조정 바(103)의 전체 구간이 되도록 할 수는 있는 것이다.
한편, 이 상태에서 모드 전환부(130')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메뉴 조작 또는 별도의 선택 버튼(미 도시함)에 대한 선택이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경우, 기본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바(103)의 중앙 영역은 미세 시간 조정 구간(103b)이고, 미세 조정 바(103)의 좌/우측 끝단 일정 영역은 재생 구간 또는 배속 구간(103a, 103c)에 해당할 수 있다.
기본 모드에서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모드 전환부(130')는 이동 버튼(105)이 미세 조정 바(103)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상술한 예와 같이 미세 조정 바(103)가 전체가 영상 콘텐츠의 재생 시간 중 19분 ~ 21분을 나타내고 있다면 모드 전환부(130')는 이동 버튼(105)이 재생 시간 20분에 해당하는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버튼(105)에 대한 미세 조정 바(103) 내에서의 드래그가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감지된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버튼(105)의 위치에 따라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정지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의 기능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특히,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바(103)는 기본 진행 바(102) 보다는 전체적으로 짧은 시간(일 예로 19분 ~ 21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 버튼(105)을 미세하게 움직일 필요가 없어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된다.
예를 들어 미세 조정 바(103)의 전체 시간 구간이 0분 ~ 60분이라면, (20분+1/30처)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확인한 후에 (20분+2/30초)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세 조정 바(103)의 이동 버튼(105)을 아주 미세하게 움직여야만 가능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바(103)는 기본 진행 바(102)의 일부 구간이 확대된 상태이므로 미세 시간 조정 구간에서 여유있게 이동 버튼(105)을 조정하면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미세 조정 바(103)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이동 버튼(105)에 대한 추가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그 추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각도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각도에 대응되는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각도가 변경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과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가 도 9에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세 조정 바(103)의 이동 버튼(105)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즉, 이 상태에서는 해당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고 있음)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미세 조정 바(103) 이외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을 터치한 후 드래그 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그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 되는 거리에 따라 기 정의된 각도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각도에 대응되는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그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각도에 부합하는 새로운 개별 영상 프레임이 수신되고,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수신된 촬영 각도가 변경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추가 드래그의 이동 거리를 변경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가 터치한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 정면을 기준으로 10도 각도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에 이어 20도 각도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 다음으로 30도 각도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이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시청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시점의 정지 영상에 대해 뷰 방향이 변경된 영상을 드래그에 따라 용이하게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골프 대회에서 특정 선수의 특정 시점의 골프 스윙 포즈를 상술한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별도의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107)을 설정하고,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라 판단된 각도에 대응되는 카메라(108)의 위치를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107)에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107)에는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라 카메라(108)의 위치가 바뀌는 동적으로 바뀌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107)은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이 없더라도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시점에, 더 나아가 기본 모드에서도 항상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을 차지하고,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콘텐츠 또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어떠한 각도로 촬영된 카메라(108)에 의한 것인지를 시청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 조작 또는 특정 선택 버튼(미 도시함)에 대한 터치를 하는 경우 다시 기본 모드 상태로 전환되게 되는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이처럼 기본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현재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재생 관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기본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영상 콘텐츠가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던 개별 영상 프레임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던 개별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재생이 시작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해제시 (20분+2/30초)에 해당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어 있었다면,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해당 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해당 프레임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사용자의 재생 요청이 감지된 경우 재생을 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뿐만 아니라 기본 모스 상태에서의 콘텐츠 처리도 수행하는데, 구체적으로 기본 모드 상태에서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이동 버튼(10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제어부(140')는 그 터치된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위치로 이동 버튼(105)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영상 콘텐츠에 대해 해당 터치된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으로 구간 점프를 시켜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모드 전환과 관련된 전체적인 제어 과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a)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재생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 조작 또는 특정 선택 버튼(미 도시함)을 터치하는 경우,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면서 도 10(b)와 같이 기본 진행 바(102)를 미세 조정 바(103)로 변환시킨다.
이때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기본 진행 바(102)의 시간상 일부 구간이 미세 조정 바(103)의 시간상 전체 구간이 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도 10(c)와 같이 이동 버튼(105)을 미세 조정 바(103) 내에서 움직일 수 있는데,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이러한 이동 버튼(105)이 이동된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표시하는데,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의 이동 버튼(105)에 대한 터치 드래그가 지속되는 동안 계속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미세 조정 바(103) 내에서 좌/우 측으로 이동시킬 때마다 현재 또는 과거의 개별 영상 프레임들을 순차적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동 버튼(105)에 대한 드래그를 진행하다 도 10(d)와 같이 미세 조정 바(103) 내의 특정 위치에서 멈춘 경우에는 개별 영상 프레임은 정지 영상으로 표시된다.
도 10(d)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메뉴 조작 또는 특정 선택 버튼(미 도시함)에 대한 터치를 수행하는 경우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도 10(e)와 같이 기본 모드로 전환시켜서 미세 조정 바(103)가 기본 진행 바(102)로 바뀌도록 처리한다.
또한 영상 콘텐츠는 도 10(d)에서 마지막으로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던 개별 영상 프레임의 표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데, 이는 해당 개별 영상 프레임에서 일시 정지가 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생 버튼을 누르는 경우 그 일시 정지된 시점으로부터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미세 조정 모드 상태로 전환하는 것이 사용자가 기본 모드 상태에서 이동 버튼을 터치하는 경우 이루어지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별도의 메뉴 선택 버튼에 대한 선택을 통해 기본 모드에서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구성들 기능 중 앞선 실시예의 구성들의 기능과 중복되는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지만, 상술한 설명을 통해 그 생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유추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100' : 콘텐츠 재생 장치 200 : 콘텐츠 제공 서버
110,110' : 디스플레이부 120,120' : 사용자 조작 감지부
130' : 모드 전환부 140,140' : 콘텐츠 표시 제어부
150,150' : 저장부
110,110' : 디스플레이부 120,120' : 사용자 조작 감지부
130' : 모드 전환부 140,140' : 콘텐츠 표시 제어부
150,150' : 저장부
Claims (12)
- (a)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를 표시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는 단계와;
(c)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현재의 위치에 머물도록 하고,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2 영역 내인 경우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b) 단계에서 이루어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정지 영상의 표시 상태는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세 조정 바의 좌/우측 끝단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바는 중앙 부분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미세 시간 조정 구간과 좌/우측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재생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재생 구간은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b)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의 미세 시간 조정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상기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에 따라 해당 이동 버튼이 상기 미세 조정 바의 재생 구간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상기 재생 구간 내인 경우 재생을 일시 정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의 특정 프레임에 대응되는 정지 영상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한 상태에서,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가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1 영역 내인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현재의 위치에 머물도록 하고,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기 설정된 제2 영역 내인 경우 경우에는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콘텐츠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상기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해당 시점의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의 정지 영상 표시 상태는 그대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미세 조정 바의 좌/우측 끝단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조정 바는 중앙 부분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미세 시간 조정 구간과 좌/우측 일정 영역에 해당하는 재생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미세 시간 조정 구간은 상기 제1 영역에 해당하고, 상기 재생 구간은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며,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상기 미세 조정 바의 미세 시간 조정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한 상기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한 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표시하고,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에 따라 해당 이동 버튼이 상기 미세 조정 바의 재생 구간 내에 위치한 경우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상기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의 상기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이 종료된 경우 해당 이동 버튼의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위치가 상기 재생 구간 내인 경우 재생을 일시 정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동 버튼을 상기 미세 조정 바 내의 중간 지점으로 자동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205A KR102149358B1 (ko) | 2019-06-24 | 2019-06-24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205A KR102149358B1 (ko) | 2019-06-24 | 2019-06-24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49358B1 true KR102149358B1 (ko) | 2020-08-28 |
Family
ID=72292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5205A KR102149358B1 (ko) | 2019-06-24 | 2019-06-24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4935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02549A (zh) * | 2021-03-01 | 2022-09-02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视频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5345A (ko) * | 2006-11-20 | 2008-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
KR20130096871A (ko) * | 2012-02-23 | 2013-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기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30136660A (ko) * | 2012-06-05 | 2013-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KR20160053663A (ko) | 2014-11-05 | 2016-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
KR20180055367A (ko) * | 2016-11-17 | 2018-05-25 |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 학습 컨텐츠 표시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
-
2019
- 2019-06-24 KR KR1020190075205A patent/KR102149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45345A (ko) * | 2006-11-20 | 2008-05-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
KR20130096871A (ko) * | 2012-02-23 | 2013-09-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기기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KR20130136660A (ko) * | 2012-06-05 | 2013-12-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KR20160053663A (ko) | 2014-11-05 | 2016-05-1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화상출력장치, 이동 단말기 및 그것들의 제어 방법 |
KR20180055367A (ko) * | 2016-11-17 | 2018-05-25 |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 학습 컨텐츠 표시 방법, 장치 및 어플리케이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002549A (zh) * | 2021-03-01 | 2022-09-02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视频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
CN115002549B (zh) * | 2021-03-01 | 2024-05-24 |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 视频画面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63109B2 (en) | Real time video special effects system and method | |
US9973806B2 (en) |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for playback of video | |
US9411491B2 (en) | Method for providin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multimedia apparatus applying the same | |
JP6012384B2 (ja) | 動画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US10893087B1 (en) | Streaming and nonstreaming media transfer between devices | |
CN104349221B (zh) | 进行流分发的通信设备、信息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 |
EP1797716A2 (en) | Method for minimizing buffer delay effects in streaming digital content | |
KR20160087649A (ko) |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211823B1 (ko)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CN108028951A (zh) | 控制播放的方法及装置 | |
KR102149358B1 (ko)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190008772A (ko) | 관심 객체 중점 재생 기능을 구비한 영상 재생 장치 | |
KR20190035026A (ko) | 동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JP7558709B2 (ja) | 再生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CN105183159A (zh) | 界面跳转方法及装置 | |
KR102218192B1 (ko)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KR20210001069A (ko)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
JP6355319B2 (ja) | 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映像再生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 |
KR102139331B1 (ko) |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 |
CN112653931B (zh) | 资源信息播放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电子设备 | |
WO2015174466A1 (ja) |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JP6926304B1 (ja) |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CN111327936A (zh) | 视频播放快捷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 |
JP7041313B2 (ja)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 |
KR102231020B1 (ko) |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