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1069A -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1069A
KR20210001069A KR1020190076564A KR20190076564A KR20210001069A KR 20210001069 A KR20210001069 A KR 20210001069A KR 1020190076564 A KR1020190076564 A KR 1020190076564A KR 20190076564 A KR20190076564 A KR 20190076564A KR 20210001069 A KR20210001069 A KR 20210001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content
user
photographing
video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방준현
배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7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01069A/ko
Publication of KR20210001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 시점의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VIDEO CONTENTS}
본 발명은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콘텐츠 표시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영상 콘텐츠를 실시간 수신하여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단말기에는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인 동영상 플레이어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러한 동영상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단말기들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일방적으로 제공하는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여 시청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즉, 일반적으로 스포츠, 공연 등에 있어서는 하나의 장면을 여러 각도에서 동시에 촬영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방송사나 콘텐츠 제공 업체에서 제공하는 특정 촬영 각도의 영상만을 일방적으로 수신하여 표시하였으므로 예를 들어 시청자들이 특정 장면에 대해서 자신이 원하는 다른 촬영 각도의 영상을 보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공개특허 제10-2016-004098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청자의 선택에 따라 다시점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콘텐츠 시청자들은 현재 시청 중인 영상의 촬영 각도를 자신의 원하는 대로 조정하며 시청할 수 있다.
특히, 촬영 카메라의 위치에 대해 별도의 화면 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시청하는 영상 콘텐츠의 시점(바라보는 방향)이 변경할 때마다 그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해당 각도에서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를 이동 표시함으로써 사용자 즉, 시청자는 자신이 현재 시청하고 있는 영상 콘텐츠를 촬영한 카메라의 위치 또는 배치 각도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이 시청하고 있는 영상 콘텐츠의 촬영 카메라의 위치에 대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추후 필요시 동일한 촬영 카메라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동일한 각도로 촬영된 영상을 재 시청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콘텐츠의 촬영 각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변경시킬 때 그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가 화면상에서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영상 시청시 재미를 배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콘텐츠 재생 장치가 영상 콘텐츠의 재생 화면상에 해당 영상 콘텐츠를 촬영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카메라 뷰 표시 객체 상에서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가 구별하여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가 특정 모드 진입에 따라 화면처리를 수행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미세 조정 바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사용자 터치에 따라 모드 변경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추가적 터치에 따라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표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통신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구비하고서,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때 영상 콘텐츠 전체를 제공(일 예로 스트리밍 방식으로 지속 제공)하거나, 또는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프레임(즉, 개별 영상 프레임)만을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콘텐츠 전체를 제공한다는 것은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특정 프레임에 대한 요청이 없더라도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연속적인 프레임들을 지속적으로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개별 영상 프레임을 제공한다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의 특정 영상 프레임에 대한 요청에 따라 그 요청받은 영상 프레임(즉, 개별 영상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영상 콘텐츠 전체에 대한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각 영상 프레임에 대한 특별한 요청이 없더라도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일련의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고, 만일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영상 프레임을 요청하는 신호(즉, 개별 영상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요청받은 특정 프레임만을 추출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는 동일한 시점에 매칭되고 서로 촬영 각도가 상이한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시간에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시간 동기화가 이루어진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이 하나의 영상 콘텐츠 통합 포함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영상 콘텐츠에 분산되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텐츠 제공 서버(200)는 동일한 시점에 매칭되되 서로 촬영 각도가 상이한 각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 재생 장치(100)로부터 특정 시점(시간) 정보와 각도 정보를 포함하는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그 시점 정보와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시점에 특정 각도로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추출하여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한편,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제공하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 및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또는 댁내에 구비된 개인용 컴퓨터 등과 같이 통신 기능이 구비된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특히,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표시할 수 있고, 특히 영상 콘텐츠에 대한 촬영 각도를 나타내는 소정의 카메라 뷰 표시 객체를 추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 표시 제어부(140), 저장부(150), 수신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저장부(150)에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정보,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고, 더 나아가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 중 발생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정보가 추가로 저장되거나 갱신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50)에는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 중 필요한 각종 설정 값, 동작 모드 등에 해당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수신부(16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더 나아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복수의 촬영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부가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영상 콘텐츠는 일 예로 재생이 가능한 동영상 콘텐츠에 해당할 수 있고, 촬영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는 예를 들어 동일한 피사체에 대해 각기 다른 각도로 촬영된 카메라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각 촬영 카메라들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러한 촬영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는 일 예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와 같은 절대 좌표, 촬영 피사체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위치 정보, 또는 촬영 피사체를 기준으로 배치된 각도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수신부(160)에 수신된 영상 콘텐츠 및 카메라 부가 정보를 활용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토록 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전력소모가 적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더 나아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드와 함께 구성되는 터치스크린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영상 콘텐츠 재생과 관련한 사용자의 각종 조작을 감지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상술한 터치 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입력 장치(키보드, 마우스 등)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각종 모드에서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드래그'라고 하는 것은 예를 들어 터치스크린을 예로 든다면 사용자가 특정 객체 또는 특정 지점을 손가락 등으로 터치한 상태에서 그 터치를 유지하면서 손가락 등을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 등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이 이러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터치 및 드래그가 다른 입력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의 경우 사용자는 마우스를 이용하여 마우스 포인터를 이동시킨 후에 마우스 버튼을 누름에 의해 터치 동작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그 마우스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마우스를 이동시킴으로써 드래그 동작에 해당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에 대한 표시는 물론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각종 메뉴 등이 콘텐츠 표시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특히 수신부(160)에 수신한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여 동영상으로써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표시 제어부(140)는 영상 콘텐츠에 대해 일시 재생 정지를 처리하여 특정 영상 프레임만을 표시하거나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영상 프레임을 정지 상태로 표시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능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또한 표시 제어부(140)는 이러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후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는 중에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다른 시점(다른 촬영 각도)의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그 달라진 촬영 각도의 위치를 알 수 있도록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 표시 위치를 이동(예를 들어 애니메이션 기법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첨언하면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입력 조작은 동일한 장면을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한 영상 콘텐츠가 복수 개 있는 경우,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 조작일 수 있고, 또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는 입력 조작일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서로 다른 각도로 촬영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에 대응되는(즉,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수신함과 아울러 해당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촬영 카메라의 위치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기초하여 변경시킬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사용자 입력 조작을 통해 변경시킨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뷰 표시 객체 내에서 변경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수신한 후 표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표시 제어부(140)의 처리 과정이 도 3에 잘 나타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소정의 영상 콘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상태에서 화면상의 우측 상단에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표시되었고, 그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는 현재의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카메라의 위치가 표시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카메라 뷰 표시 객체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 콘텐츠의 촬영 각도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포함하고 있는 소정의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영상 콘텐츠의 표시 레이어보다 상위 레이어에 배치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전혀 다른 레이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상위 레이어에 배치된다는 것은 영상 콘텐츠의 일부를 가려서 표시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서로 다른 레이어에 배치된 다는 것은 영상 콘텐츠의 표시 영역과는 중첩되지 않는 별도의 영역에 표시됨을 의미한다.
이처럼 카메라 뷰 표시 객체를 표시함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 즉, 시청자의 요청에 기초할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한 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영상 콘텐츠의 현 시점의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영상 콘텐츠 표시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입력 조작이 감지된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해당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하기 위해 표시 제어부(140)는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각도, 좌표 정보 등)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해당 촬영 카메라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즉, 그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부(160)에 복수의 촬영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부가 정보가 수신된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수신된 카메라 부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촬영 카메라 선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선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판단된 촬영 카메라에 대한 표식을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이 도 4에 도시되었다.
즉, 도 4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만을 따로 나타낸 것인데, 도 4(a)는 현재 제1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세 대의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부가 정보가 수신된 경우 그 각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촬영 피사체를 기준으로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배치하고서, 그 배치된 각 촬영 카메라 중 현재 재생되고 있는 영상 콘텐츠를 촬영한 촬영 카메라를 다른 촬영 카메라와 구별되도록 표시(도 4(a)에서는 사각형 테두리 표시)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가 이루어지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터치 드래그 정도(드래그가 이루어진 길이)에 따라 제2 촬영 카메라 또는 제3 촬영 카메라에 대한 선택인지 여부를 판단하고,판단 결과 제2 촬영 카메라에 대한 선택이라고 판단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도 4(b)와 같이 카메라 뷰 표시 객체 내의 제2 촬영 카메라에 대한 선택 표식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로써,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일 예로 드래그에 따른 화면상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지속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고, 이러한 사용자의 입력 조작 신호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촬영 위치 정보를 전송하면 그 수신되는 촬영 위치 정보를 기초로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앞선 예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표시 제어부(140)가 자체적으로 카메라 뷰 표시 객체 내의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킨 후에,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를 요청하여 수신 및 재생하였지만, 본 예에서는 표시 제어부(140)는 단지 사용자의 터치 또는 드래그 입력에 따른 화면상의 터치/드래그 좌표값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가 그 수신된 좌표값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를 선정하여 그에 대응되는 촬영 위치 정보를 콘텐츠 재생 장치(100)에 전송하고, 표시 제어부(140)는 이러한 촬영 위치 정보에 따라 카메라 뷰 표시 객체 내의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에 따라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표시되는 것만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는데, 이러한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이 이루어지는 위치에 따라 각기 다른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러한 처리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콘텐츠 재생 장치(100)의 동작 모드에는 기본 모드와 미세 조정 모드가 있을 수 있는데, 이러한 모드 변경은 화면상의 표시 변경과 관련된 것으로서, 표시 제어부(14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이동 버튼(105)에 대한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여기서 기본 모드 상태라는 것은 이동 버튼(105)을 포함하는 기본 진행 바(102)와 함께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가 디스플레이부(110)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재생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사용자(즉, 영상 시청자)가 자신의 콘텐츠 재생 장치(100)를 통해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소정의 영상 콘텐츠를 재생 및 시청하고 있는 상태가 기본 모드 상태라 할 수 있고, 이때 영상 콘텐츠와 함께 기본 진행 바(102)가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본 진행 바(102)는 디스플레이부(110) 상의 하단 영역에 표시되는 것으로서, 영상의 재생 시간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본 진행 바에는 소정의 이동 버튼이 포함되는데,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이동 버튼(105)은 영상 콘텐츠가 진행됨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점차 이동할 수 있고,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좌측 처음부터 이동 버튼(105)까지의 영역은 색상 또는 명도를 달리하여 그 만큼 영상 콘텐츠 재생이 이루어졌음을 시청자가 시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기본 진행 바(102)의 표시 방식 그 자체는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콘텐츠 표시 영역(101)은 디스플레이부(110)에서 플레이어 등이 영상을 재생하여 표시하는 영역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본 진행 바(102) 또는 미세 조정 바(103)가 표시되는 영역과는 구별되는 것이라 가정한다.
사용자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이러한 진행 바 내의 이동 버튼(105)을 터치 조작 및 드래그 조작 또는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이동 버튼(10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해 터치 및 드래그 조작을 할 수 있는데,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이러한 사용자의 각종 터치 조작 또는 드래그 조작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 진행 바(10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상에서 영상 콘텐츠와 함께 또는 일시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가 기본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의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이동 버튼(105)에 대한 터치를 감지한 경우 기본 진행 바(102)에 포함된 전체 플레이 구간 중 이동 버튼(105)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일부 구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일부 구간을 확대 표시한 미세 조정 바(103)를 기본 진행 바(102)를 대체하여 표시하는 일명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미세 조정 바 전체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는 상기 기본 진행 바 전체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보다 더 작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진행 바(102)는 종래 기술과 같이 현재 재생되는 영상 콘텐츠의 전체 시간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는데, 표시 제어부(140)는 소정의 조건에 따라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경우, 기본 진행 바(102)에 포함된 전체 영상 플레이 구간(일 예로 60분 구간) 중 이동 버튼(105)의 현재 위치(일 예로 20분 위치)를 기준으로 한 일부 구간(일 예로 19분 ~ 21분 구간)을 선정하고, 그 선정된 일부 구간(일 예로 19분 ~ 21분 구간)을 확대 표시한 미세 조정 바(103)를 기본 진행 바(102)를 대체하여 표시하는 일명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일 예에 따르면 기본 진행 바(102)와 미세 조정 바(103)는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다만, 기본 진행 바(102)는 영상 콘텐츠의 0분 ~ 60분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게 됨에 반해, 미세 조정 바(103)는 영상 콘텐츠의 19분 ~ 21분의 시간 구간을 나타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 도 5이다.
도 5의 상단 이미지(111)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기본 진행 바(102)가 표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고, 도 5의 하단 이미지(112)는 기본 진행 바(102)의 이동 버튼(105)을 사용자가 터치함에 따라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때 기본 진행 바(102)의 좁은 구간이 확대되어 미세 조정 바(103)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앞선 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체 0분 ~ 60분의 시간 구간을 가지는 기본 진행 바(102)의 구간 중 19분 ~ 21분 구간이 미세 조정 바(103)의 전체 구간이 되도록 할 수는 있는 것이다.
한편, 이 상태에서 표시 제어부(140)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이동 버튼(105)에 대한 터치 해제가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경우, 기본 모드 상태로 전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미세 조정 바는 영상 콘텐츠의 제어를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터치 조작을 할 수 있는 이동 버튼을 포함하는 가로방향으로 긴 막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미세 조정 바의 중앙 영역은 미세 시간 조정 구간이고 좌/우측 일정 영역은 재생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조작시 해당 이동 버튼의 조작이 미세 시간 조정 구간에서 이루어지는지 또는 재생 구간에서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그 제어 방식을 달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미세 조정 바 내에서의 드래그가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버튼의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도 6에는 미세 조정 바(103)가 따로 도시되었는데, 도 6(a)와 같은 미세 조정 바(103)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 6(b)와 같이 이동 버튼(105)을 이동시켰다고 가정하고, 도 6(a)의 미세 조정 바(103)의 이동 버튼(105) 위치는 재생 시간이 20분인 위치에 해당하고, 도 6(b)의 이동 버튼(105)의 위치는 재생 시간이 (20분+1/30초) 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콘텐츠가 1초에 30프레임을 갖는 30프레임 영상이라고 한다면, 표시 제어부(140)는 도 6(a) 상태에서 도 6(b) 상태로 이동 버튼(105)이 이동한 경우 재생 시간이 (20분+1/30초)에 해당하는 프레임(즉, 개별 영상 프레임)의 전송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표시 제어부(140)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한 영상 프레임은 20분 이후의 첫 번째 영상 프레임에 해당한다.
이러한 과정은 이동 버튼(105)이 이동하는 동안 내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6(b)의 이동 버튼(105)을 계속 터치를 유지한 상태에서 드래그 방식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시켜 (20분+2/30초)에 해당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한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20분+2/30초)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즉, 20분 이후의 두 번째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미래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요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개별 영상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 콘텐츠 표시 장치는 그 수신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한다.
여기서 정지 영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드래그 동작이 없는 한 디스플레이부(110)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다른 개별 영상 프레임으로 바꾸지 않음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을 계속 이동(드래그)시키는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40)가 계속하여 그 이동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여 새로운 개별 영상 프레임을 수신 및 표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동 버튼(105)의 이동만으로 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각각의 영상 프레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표시 제어부(140)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에 따라 해당 이동 버튼이 미세 조정 바의 재생 구간 내에 위치한 경우에는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재생 영상으로 표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버튼이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등의 조작에 따라 미세 시간 조정 영역에 위치하는 것과는 달리 이동 버튼이 재생 구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에 대한 드래그를 멈춘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개별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표시 즉, 재생 처리를 하는 것이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105)이 재생 구간에 위치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이 없더라도 연속적인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여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재생하여 동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결국 표시 제어부(140)는 이동 버튼의 이동 위치에 따라 영상 콘텐츠에 대해 정지 영상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재생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재생 구간은 일 예로 배속 구간이 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배속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에 따른 배속을 판단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배속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에 앞서 판단된 배속에 대응되는 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추가적인 드래그 동작이 없이 이동 버튼(105)이 특정 위치(즉, 배속 구간(103a, 103c)의 특정 위치)에 멈춰 있는 경우라도 디스플레이부(110)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개별 영상 프레임을 특정 배속으로 교체 변경하며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세 시간 조정 구간(103b)의 전체 시간이 19분 ~ 21분이고, 이동 버튼(105)이 미세 시간 조정 구간(103b)을 지나 도달한 배속 구간(103c)의 위치가 기 정의된 '1배속' 위치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40)는 21분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즉, (21분+1/30초) 프레임, (21분+2/30초) 프레임, (21분+3/30초) 프레임, (21분+4/30초) 프레임 등)을 순차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기준 배속(즉, 1배속)의 속도로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c)의 '1배속' 위치를 지나 기 정의된 '2배속' 위치에 도달하였고 해당 시점에 1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22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40)는 그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 즉, (22분+1/30초) 프레임, (22분+2/30초) 프레임, (22분+3/30초) 프레임, (22분+4/30초) 프레임 등을 순차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기 설정된 기준 배속 보다 2배 빠른 배속(즉, 2배속)의 속도로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배속이 30프레임인 경우, 2배속으로 개별 영상 프레임을 표시한다는 것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60 개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1초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술한 예에서는 특정 배속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140)가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연속적인 개별 영상 프레임을 요청 및 수신하되 표시 속도를 특정 배속에 맞춰서 처리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표시 속도는 동일하게 하되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요청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을 소정의 간격을 둘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예와 같이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c)의 '1배속' 위치를 지나 기 정의된 '2배속' 위치에 도달하였고 해당 시점에 1배속 재생 영상으로 표시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22분 재생 시점에 해당하는 것인 경우에는, 표시 제어부(140)는 그 이후의 개별 영상 프레임 즉, (22분+1/30초) 프레임, (22분+3/30초) 프레임, (22분+5/30초) 프레임, (22분+7/30초) 프레임 등과 같이 홀수 번째 프레임만을 순차적으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그 수신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기준 배속(즉, 1배속)의 속도로 순차적으로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렇게 홀수 번째 또는 짝수 번째 개별 영상 프레임만을 요청하여 수신하여 표시하는 경우에는 마지 2배속으로 처리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는 우측 배속 구간(103c)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 것이고, 좌측 배속 구간(103a)에 이동 버튼(105)을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그 이전의 개별 영상 프레임(과거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배속 관련한 설명은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a, 103c)에 위치한 지점에 대응되는 배속으로 영상 프레임이 재생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이동 버튼(105)이 배속 구간(103a, 103c) 내에서 움직인 속도에 대응되는 배속으로 영상 프레임이 재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배속 판단을 수행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미세 조정 바의 배속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버튼의 위치를 기초로 배속을 판단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이동 버튼에 대한 미세 조정 바의 배속 구간 내에서의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그 드래그에 속도를 기초로 배속을 판단할 수도 있는 것이다.
즉, 표시 제어부(140)는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천천히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1배속 증가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고, 만일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오른쪽으로 빨리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2배속 증가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예에서 만일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왼쪽으로 천천히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1배속 감소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하고, 만일 사용자가 이동 버튼을 배속 구간에서 왼쪽 빨리 움직였다가 멈춘 경우에는 현재의 재생 속도보다 2배속 감소시킨 속도로 영상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동 버튼의 움직임 속도에 대한 기준값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미세 조정 바(103)는 기본 진행 바(102) 보다는 전체적으로 짧은 시간(일 예로 19분 ~ 21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확인하기 위해 이동 버튼(105)을 미세하게 움직일 필요가 없어서 조작 편의성이 증대된다.
예를 들어 미세 조정 바(103)의 전체 시간 구간이 0분 ~ 60분이라면, (20분+1/30처)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확인한 후에 (20분+2/30초)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세 조정 바(103)의 이동 버튼(105)을 아주 미세하게 움직여야만 가능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바(103)는 기본 진행 바(102)의 일부 구간이 확대된 상태이므로 미세 시간 조정 구간에서 여유 있게 이동 버튼(105)을 조정하면서 각각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가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미세 조정 바(103)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경우 콘텐츠 재생 장치(100)는 일명 '카메라 각도 변경 모드'로 전환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드래그에 따라 촬영 카메라의 위치 및 그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를 요청/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미세 조정 바(103)가 표시되는 영역을 제외한 기 설정된 영역에서의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106)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이동 버튼(105)에 대한 추가 터치 및 드래그를 감지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추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른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각도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각도에 대응되는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각도가 변경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 과정을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의 일 예가 도 7에 도시되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세 조정 바(103)의 이동 버튼(105)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고 있는 상태(즉, 이 상태에서는 해당 터치 위치에 대응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정지 영상으로 표시되고 있음)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미세 조정 바(103) 이외의 콘텐츠 표시 영역(101)을 터치한 후 드래그 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터치 위치로부터 드래그 되는 거리에 따라 기 정의된 각도를 판단하고, 해당 판단된 각도에 대응되는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를 콘텐츠 제공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200)로부터 그 뷰 방향 변경 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각도에 부합하는 새로운 개별 영상 프레임이 수신되고, 표시 제어부(140)는 수신된 촬영 각도가 변경된 개별 영상 프레임을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정지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은 추가 드래그의 이동 거리를 변경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추가 터치한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를 하는 경우 정면을 기준으로 10도 각도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에 이어 20도 각도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 다음으로 30도 각도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개별 영상 프레임이 콘텐츠 표시 영역(101)에 순서대로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시청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시점의 정지 영상에 대해 뷰 방향이 변경된 영상을 드래그에 따라 용이하게 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골프 대회에서 특정 선수의 특정 시점의 골프 스윙 포즈를 상술한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다양한 각도로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표시 제어부(140)는 별도의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을 설정하고 즉, 카메라 뷰 표시 객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라 판단된 각도에 대응되는 카메라(108)의 위치를 그 카메라 뷰 표시 객체 내에 표시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에는 사용자의 추가 터치 및 드래그에 따라 카메라(108)의 위치가 바뀌는 동적으로 바뀌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카메라 위치 표시 영역, 즉, 카메라 뷰 표시 객체는 사용자의 별다른 조작이 없더라도 미세 조정 모드로 전환하는 시점에, 더 나아가 기본 모드에서도 항상 디스플레이부(110)의 일 영역을 차지하고, 현재 시청 중인 영상 콘텐츠 또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어떠한 각도로 촬영된 카메라(108)에 의한 것인지를 시청자가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 버튼(105)에 대한 터치를 해제하는 경우 다시 기본 모드 상태로 전환되게 되는데, 표시 제어부(140)는 이처럼 기본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현재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던 개별 영상 프레임을 재생 관련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140)는 기본 모드 상태로 다시 전환되는 경우 영상 콘텐츠가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던 개별 영상 프레임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미세 조정 모드 상태에서 표시되고 있던 개별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재생이 시작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해제시 (20분+2/30초)에 해당하는 개별 영상 프레임이 표시되어 있었다면, 표시 제어부(140)는 해당 프레임으로부터 시작하여 재생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해당 프레임에서 일시 정지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사용자의 재생 요청이 감지된 경우 재생을 시작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표시 제어부(140)는 기본 모드 상태에서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이동 버튼(105)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사용자 조작 감지부(120)에서 감지되는 경우, 표시 제어부(140)는 그 터치된 기본 진행 바(102) 내의 위치로 이동 버튼(105)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영상 콘텐츠에 대해 해당 터치된 시간상의 위치에 대응되는 재생 시점으로 구간 점프를 시켜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재생 장치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콘텐츠 재생 장치 200 : 콘텐츠 제공 서버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사용자 조작 감지부
140 : 표시 제어부 150 : 저장부
160 : 수신부

Claims (12)

  1. (a)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와;
    (a2)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 시점의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상기 영상 콘텐츠 표시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a) 단계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터치 드래그 입력 조작이 감지된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촬영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카메라 부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촬영 카메라 선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판단된 촬영 카메라에 대한 표식을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5. (a)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단계와;
    (b)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2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영상 콘텐츠를 표시한 후,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영상 콘텐츠의 현 시점의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상기 영상 콘텐츠 표시 영역의 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유지된 상태에서 터치 드래그 입력 조작이 감지된 경우 해당 터치 드래그 방향에 따라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킴과 아울러 그 변경된 촬영 카메라 위치에 대응되는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복수의 촬영 카메라에 대한 촬영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카메라 부가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 부가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어느 하나의 촬영 카메라 선택이 이루어졌다고 판단하는 경우, 그 판단된 촬영 카메라에 대한 표식을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표시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지속적으로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촬영 위치 정보를 기초로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12.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사용자 조작 감지부와;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한 영상 콘텐츠와 해당 영상 콘텐츠에 대응되는 촬영 카메라 위치를 나타내는 카메라 뷰 표시 객체가 동시에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가 표시되도록 함과 아울러 해당 촬영 각도가 변경된 영상 콘텐츠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뷰 표시 객체에 포함된 촬영 카메라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장치.
KR1020190076564A 2019-06-26 2019-06-26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100010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64A KR20210001069A (ko) 2019-06-26 2019-06-26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564A KR20210001069A (ko) 2019-06-26 2019-06-26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69A true KR20210001069A (ko) 2021-01-06

Family

ID=74128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564A KR20210001069A (ko) 2019-06-26 2019-06-26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0106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206A1 (ko) * 2022-10-07 2024-04-11 이철우 조작패턴 기반 반응형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83A (ko) 2014-10-06 2016-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및 이를 적용한 영상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983A (ko) 2014-10-06 2016-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시점 영상 촬영용 카메라 리그장치 및 이를 적용한 영상처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6206A1 (ko) * 2022-10-07 2024-04-11 이철우 조작패턴 기반 반응형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36324B (zh) 界面显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6012384B2 (ja) 動画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3902278B1 (en) Music play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200087746A (ko) 상이한 줌 레벨들에서 카메라를 오리엔팅하기 위한 보조
CN105306859A (zh) 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方法
US11076121B2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for video presentation
CN113938748A (zh) 视频播放方法、装置、终端、存储介质及程序产品
JP200421348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211823B1 (ko)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70012113A (ko) 동화상 재생 프로그램, 장치, 및 방법
US11474661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media content previews
KR20210001069A (ko)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9358B1 (ko)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4931251B2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
KR102218192B1 (ko)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6201261B2 (ja) 端末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39331B1 (ko) 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장치, 서버 및 방법
CN106997234B (zh) 虚拟现实模式处理方法、设备和系统
JP6941723B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41313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26304B1 (ja) 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231020B1 (ko) 콘텐츠 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07501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 처리를 위한 장치 및 제어방법
EP4258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ewing multimedia content
US20240078070A1 (en) Video distribution device, display control device, video distribution method, display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