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345A -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345A
KR20080045345A KR1020060114350A KR20060114350A KR20080045345A KR 20080045345 A KR20080045345 A KR 20080045345A KR 1020060114350 A KR1020060114350 A KR 1020060114350A KR 20060114350 A KR20060114350 A KR 20060114350A KR 20080045345 A KR20080045345 A KR 2008004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ication
section
fine adjustment
reference section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4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8713B1 (ko
Inventor
신석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4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713B1/ko
Priority to US11/790,370 priority patent/US20080120647A1/en
Priority to EP07114538A priority patent/EP1924089A3/en
Publication of KR2008004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G11B19/025'Virtual' control panels, e.g.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이 개시된다. 본 A/V기기는 화면에 표시정보를 나타내는 GUI부, 및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의 일부구간을 확대하여 생성한 제2 그래픽이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GUI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줌-인 바(Zoom-in Bar)를 제공함에 따라 재생중인 콘텐츠의 현재재생위치에서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에 정확성 및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줌-인 기능을 통해 미세조정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셋탑박스(STB), 디지털 TV, 영상재생장치, 재생장치, PVR

Description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Broadcast receiver and display method}
도 1은 종래의 A/V기기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터 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포맷 변환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기기에 대한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에서 제공하는 줌-인 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 A/V기기 210 : 튜너
220 : 신호처리부 230 : GUI부
240 : 저장부 250 : 제어부
260 : 출력부 300 : 원격제어장치
본 발명은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네비게이터 바에 표시되는 기준구간을 소정배율로 나눈 미세조정구간을 포함하는 줌- 인(Zoom-in) 바를 제공하는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V기기의 일종인 방송수신장치는 디지털 위성방송을 수신하는 장치로, 방송국에서 전송되는 디지털방송 또는 아날로그방송 및 각종 외부장치(Video Player, DVD Player등)로부터 입력된 영상 및 음성신호를 TS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한다. 이러한, 방송수신장치의 대표적 예로는 셋탑박스(Set Top Box)가 있으며, 셋탑박스는 텔레비젼을 다른 외부 신호 소스와 연결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셋탑박스는 신호를 콘텐츠로 변환하고 이를 스크린에 표시되도록 한다. 신호 소스는 이더넷 케이블, 위성 접시, 동축 케이블, 텔레비젼 라인 또는 일반적인 초단파(VHF) 또는 극초단파(UHF) 안테나일 수 있다. 여기서 콘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인터넷 웹페이지, 쌍방향 게임 또는 기타 다른 가능한 것들일 수 있다.
한편, 종래의 A/V기기에서 콘텐츠를 재생 시에, 콘텐츠를 출력하는 화면에는 재생대상 콘텐츠의 전체길이 대비 재생중인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네비게이터 바(Navigator bar)가 함께 표시된다. 종래의 A/V기기에서 제공하는 네비게이터 바는 도 1과 같다.
이때, 사용자가 재생중인 콘텐츠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방향버튼을 조작하여 네비게이터 바에 표시된 현재위치를 재생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한다. 즉, 빨리감기(Fast Forword), 되감기(Rewind), 및 점프 등의 기능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재생중인 콘텐츠의 현재위치는 재생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된다.
그런데, 종래의 A/V기기에서 점프를 이용하여 콘텐츠의 현재위치를 조정하는 경우에는 재생을 원하는 위치 근처로 이동될 수 있을 뿐, 재생을 원하는 위치가 한번에 정확히 선택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콘텐츠의 용량이 대용량인 경우, 한 구간에 대응되는 시간이 매우 크므로, 현재위치를 재생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하기가 더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중인 콘텐츠의 현재재생위치에서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위치로 좀 더 정확히 이동할 수 있도록 기준구간을 미세조정구간으로 나누어 확대 표시하는 줌-인 바(Zoom-in Bar)를 제공하는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는, 화면에 표시정보를 나타내는 GUI부; 및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의 일부구간을 확대하여 생성한 제2 그래픽이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상기 GUI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제1 그래픽과 제2 그래픽이 함께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GUI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설정된 확대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기 초로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미세조정구간을 표시정보로 나타내도록 GUI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확대배율에 따라 다르게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확대명령이 수신되면,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됐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1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설정된 고정배율로 나눔으로써 고정배율의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배율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준구간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현재위치로부터 소정범위의 이전 및 이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어부는, 기준구간을 복수의 미세조정구간으로 확대하여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GUI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방법은, 화면에 표시정보를 나타내는 제1단계; 및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의 일부구간을 확대하여 생성한 제2 그래픽을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내는 제2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단계는, 제1 그래픽과 제2 그래픽이 함께 표시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단계는, 설정된 확대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기초로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미세조정구간을 표시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단계는, 확대배율에 따라 다르게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단계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확대명령이 수신되면,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됐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단계에서,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1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설정된 고정배율로 나눔으로써 고정배율의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배율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결정 단계는,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기준구간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현재위치로부터 소정범위의 이전 및 이후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단계는, 기준구간을 복수의 미세조정구간으로 확대하여 표시정보로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A/V기기에 대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A/V기기는, 튜너(210), 신호처리부(220), GUI부(230), 저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튜너(210)는 방송국으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선국한다.
신호처리부(220)는 튜너(210)로부터 제공되는 방송신호에 대해 각종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하고, 영상이 표시가능하도록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GUI부(Graphic User Interface : 230)는 A/V기기(200)와 사용자가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수단으로, 조작부(미도시) 혹은 원격제어장치(300)를 통해 물리적인 방법으로 입력받은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PUI 및 출력부(260)에 표시된 아이콘이나 메뉴 선택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GUI를 생성한 후 출력부(260)에 나타낸다. 여기서, 원격제어장치(300)로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임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GUI부(230)는 신호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240)로부터 읽어들인 콘텐츠에 문자, 기호, 도형, 그래픽 등의 표시정보를 조합처리한다. 이때, GUI부(230)는 OSD(On Screen Display) 방식을 이용하여 표시정보 조합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GUI부(230)의 표시정보 조합처리동작은 후술될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른다.
구체적으로, GUI부(230)는 신호처리부(220)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표시정보를 조합하여 출력부(260)에 나타낸다. 이때, GUI부(230)는 후술될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네비게이터 바(Navigator Bar) 및 줌-인 바(Zoom-in Bar)를 표시정보로 나타낸다. 네비게이터 바 및 줌-인 바는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하단에 위치하고, 줌-인 바는 네비게이터 바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네비게이터 바(Navigator Bar)는 출력부(260)에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고, 줌-인 바는 네이게이터 바의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눈 미세조정구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을 말한다. 이때, GUI부(230)는 재생중인 콘텐츠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에 문자, 기호, 도형 등을 조합한 줌-인 바를 표시정보로 출력부(260)에 나타낸다.
저장부(240)에는 A/V기기(200)의 제어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및 각종 콘텐츠들이 저장된다. 여기서 콘텐츠는, 비디오, 오디오, 인터넷 웹페이지, 쌍방향 게임 또는 기타 다른 가능한 것들일 수 있다.
제어부(250)는 원격제어장치(300) 혹은 A/V기기(20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로부터 확대명령이 수신되면,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됐는지 여부를 판단한 다.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2배,4배,6배,8배확대 등과 같이 설정된 고정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설정한다. 이때, 확대배율이 1배인 경우의 기준구간은 기설정되어 있으며, 제어부(250)는 확대배율이 1배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기초로 2배, 4배, 8배 등의 확대배율과 같이 복수의 고정배율 중 설정된 고정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설정한다.
제어부(250)는 설정된 기준구간을 미세조정구간으로 구분하여 확대한 줌-인 바를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 여기서, 기준구간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현재위치로부터 소정범위의 이전 및 이후 구간을 포함하고, 확대배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이때, 확대배율에는 고정배율 및 자동배율이 존재하고, 고정배율에는 1배확대, 2배확대, 4배확대, 6배확대, 8배확대 등으로 복수의 고정배율이 존재한다. 여기서, 복수의 고정배율 및 자동배율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자동배율의 기준구간은 재생중인 콘텐츠의 전체 재생시간을 기초로 기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원격제어장치(300) 혹은 조작부(미도시)에 구비된 확대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확대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설정된 확대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한다. 이때, 제어부(250)는 미세조정구간이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 즉, 제어부(250)는 줌-인 바를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V기기에 대한 동작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에서 제공하는 줌-인 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원격제어장치(300) 혹은 A/V기기(200)에 구비된 조작부(미도시)로부터 확대명령이 수신되면(S310:Y), 제어부(250)는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됐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0). 이때, 확대배율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이어,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50)는 2배,4배,6배,8배확대 등과 같이 설정된 고정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설정한다(S330). 여기서, 기준구간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재생위치를 기준으로 현재재생위치로부터 소정범위 이전 및 이후 구간을 포함하고, 확대배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확대배율이 1배인 경우의 기준구간이 1시간이고, 고정배율이 2배확대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250)는 1배인 기준구간 1시간을 확대배율 2로 나누어 2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30분으로 설정한다. 확대배율이 4배확대인 경우, 제어부(250)는 1배인 기준구간 1시간을 확대배율 4로 나누어 4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15분으로 설정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250)는 1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n으로 나눔으로써 확대배율이 n배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설정된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한다(S340).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확대배율이 1배로 설정되고, 구간조정값이 4인 경우를 예로 들면, 제어부(250)는 1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 1시간을 구간조정값 4로 나누어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한다. 즉, 미세조정구간은 15분이 된다. 확대배율이 2배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250)는 2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 30분을 구간조정값 4로 나눔으로써 미세조정구간을 7.5분으로 결정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부(250)는 확대배율이 1배~n배인 경우의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
이어, 제어부(250)는 설정된 기준구간을 미세조정구간으로 구분하여 확대한 줌-인 바를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S350). 즉, 제어부(250)는 결정된 미세조정구간이 문자, 기호, 도형, 그래픽 등과 조합하여 줌-인 바를 생성하고, 생성된 줌-인 바를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S350).
이때, 제어부(250)는 네비게이터 바를 반투명처리하여 출력부(260)에 나타내고, 줌-인 바는 기설정된 소정 시간이 지나면 출력부(260)에 나타나지 않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250)는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S320:N), 제어부(250)는 기설정된 자동배율 기준구간 및 구간조정값을 이용하여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한다(S360).
구체적으로, 제어부(250)는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구간조정값으로 나눔으로써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한다. 여기서, 자동배율 기준구간은 콘텐츠의 총 재생시간을 기초로 기설정된다.
이어, 제어부(250)는 결정된 미세조정구간에 문자, 기호, 도형, 그래픽 등을 조합하여 줌-인 바를 생성하고, 생성된 줌-인 바를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S350).
이때, 줌-인 바에서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 재생위치가 사용자에 의해 조정되면, 제어부(250)는 조정된 위치에 대응되는 내용을 출력부(260)에 출력한다. 즉, 콘텐츠의 현재 재생위치가 10인 경우, 사용자가 재생위치를 25로 변경하고자 하여, 원격제어장치(300)로부터 위치조정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을 사용자가 변경하고자 하는 조정위치에 나타내도록 GUI부(230)를 제어하고, 콘텐츠의 전체 대비 조정위치에 대응되는 내용을 출력부(260)에 출력하도록 GUI부(230)를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에 있어서, 원격제어장치 및 A/V기기에 구비된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확대명령이 수신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GUI부(230)에서 출력부(260)로 출력하는 확대 아이콘 혹은 확대 메뉴를 이용하여 확대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재생을 위한 줌-인 바를 제공하는 장치로 A/V기기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TV,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PDA, PC, 휴대폰 등과 같이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모든 재생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본 발명에 따른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네비게이터 바 및 줌-인 바는 바 형태의 그랙픽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 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양의 그래픽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줌-인 바(Zoom-in Bar)를 제공함에 따라 재생중인 콘텐츠의 현재재생위치에서 사용자가 재생을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에 정확성 및 신속성을 높일 수 있고, 줌-인 기능을 통해 미세조정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6)

  1. 화면에 표시정보를 나타내는 GUI부; 및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의 일부구간을 확대하여 생성한 제2 그래픽이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상기 GUI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래픽과 상기 제2 그래픽이 함께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상기 GUI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확대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기초로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내도록 상기 GUI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배율에 따라 다르게 상기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확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됐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1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설정된 상기 고정배율로 나눔으로써 상기 고정배율의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배율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확대배율이 상기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상기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상기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구간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현재위치로부터 소정범위의 이전 및 이후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준구간을 복수의 상기 미세조정구간으로 확대하여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나도록 상기 GUI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A/V기기.
  9. 화면에 표시정보를 나타내는 제1단계; 및
    현재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제1 그래픽의 일부구간을 확대하여 생성한 제2 그래픽을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내는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1 그래픽과 상기 제2 그래픽이 함께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설정된 확대배율에 대응되는 기준구간을 기초로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확대배율에 따라 다르게 상기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원격제어장치로부터 확대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확대배율이 고정배율로 설정됐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상기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1배확대인 경우의 기준구간을 설정된 상기 고정배율로 나눔으로써 상기 고정배율의 기준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상기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배율에 대응되도록 기설정된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이용하여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확대배율이 상기 고정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상기 기준구간을 기설정된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고, 상기 확대배율이 자동배율로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자동배율 기준구간을 상기 구간조정값으로 나누어 상기 미세조정구간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구간은 재생 중인 콘텐츠의 현재위치를 기준으로 현재위치로부터 소정범위의 이전 및 이후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는,
    상기 기준구간을 복수의 상기 미세조정구간으로 확대하여 상기 표시정보로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KR1020060114350A 2006-11-20 2006-11-20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KR101368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50A KR101368713B1 (ko) 2006-11-20 2006-11-20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US11/790,370 US20080120647A1 (en) 2006-11-20 2007-04-25 Audio/video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for audio/video apparatus
EP07114538A EP1924089A3 (en) 2006-11-20 2007-08-17 Content playb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4350A KR101368713B1 (ko) 2006-11-20 2006-11-20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345A true KR20080045345A (ko) 2008-05-23
KR101368713B1 KR101368713B1 (ko) 2014-03-04

Family

ID=38694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4350A KR101368713B1 (ko) 2006-11-20 2006-11-20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80120647A1 (ko)
EP (1) EP1924089A3 (ko)
KR (1) KR1013687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703A (ko) * 2012-01-20 2013-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9358B1 (ko) * 2019-06-24 2020-08-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33438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6457B1 (en) * 2008-01-15 2015-07-07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sual representations of audio data
US8963847B2 (en) * 2010-12-06 2015-02-24 Netflix, Inc. User interface for a remote control device
KR101780491B1 (ko) * 2011-05-02 2017-09-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컨텐츠 상세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KR101290145B1 (ko) * 2011-05-31 2013-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제어 방법 및 장치, 컴퓨터에 의해 독출될 수 있는 기록 매체, 그리고 단말장치
CN103021439B (zh) * 2011-09-27 2016-06-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精确定位文件播放进度的方法和装置
CN103247310A (zh) * 2012-02-14 2013-08-14 索尼爱立信移动通讯有限公司 多媒体播放控制方法、播放控制模块和播放终端
CN103294333A (zh) * 2012-03-02 2013-09-11 联想(北京)有限公司 控制多媒体文件播放的方法和电子设备
GB2503888A (en) * 2012-07-10 2014-01-15 Wirewax Ltd Expandable video playback timeline that includes the location of tag content.
US20140118265A1 (en) * 2012-10-29 2014-05-01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apparatus with proximity sensing capability and proximity sensing control method therefor
CN104956681A (zh) 2012-11-09 2015-09-30 汤姆逊许可公司 手持显示器缩放特征
CN103513913A (zh) * 2012-11-27 2014-01-15 Tcl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触屏设备及其媒体播放进度的控制方法
CN102982821A (zh) * 2012-12-03 2013-03-20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精确调节触摸式影音设备影音播放进度的方法
WO2014086390A1 (en) * 2012-12-03 2014-06-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navigation of streamed media content
WO2014145746A1 (en) 2013-03-15 2014-09-18 Sonos, Inc. Media playback system controller having multiple graphical interfaces
WO2014194527A1 (zh) * 2013-06-08 2014-12-11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多媒体浏览进度控制的方法及终端
WO2015039288A1 (zh) * 2013-09-17 2015-03-26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进度条精度调节装置、方法以及播放系统和终端
CN104575549B (zh) * 2013-10-18 2018-01-3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定位播放画面的方法及装置
CN103744598B (zh) * 2013-12-17 2017-03-0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的方法和设备
CN104090705A (zh) * 2014-07-28 2014-10-08 联想(北京)有限公司 进度调节方法和电子设备
CN104822091B (zh) * 2015-04-29 2016-08-24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视频播放进度控制方法、装置及移动终端
CN105045510B (zh) * 2015-08-12 2018-10-1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实现视频查看操作的方法及装置
CN105516817B (zh) * 2015-12-11 2018-11-02 重庆环漫科技有限公司 影院播放内容的可变精度调节装置
CN105933751A (zh) * 2016-04-28 2016-09-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调节媒体文件播放进度的方法及装置
CN106162358A (zh) * 2016-06-30 2016-11-23 乐视控股(北京)有限公司 一种vr播放视频进度的调节方法及设备
KR102578452B1 (ko) * 2016-10-28 2023-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0677720B (zh) * 2019-09-26 2021-09-0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图像帧的定位方法、装置和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13306A (en) * 1990-08-09 1996-04-30 Apple Computer, Inc. Temporal event viewing and editing system
US5657246A (en) * 1995-03-07 1997-08-12 V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ideo conference user interface
US5717869A (en) 1995-11-03 1998-02-10 Xerox Corporation Computer controlled display system using a timeline to control playback of temporal data representing collaborative activities
WO1998034182A2 (en) * 1997-02-03 1998-08-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through video matter by mean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key-frames in parallel
KR100346263B1 (ko) * 1999-11-05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스트림의 브라우징, 편집, 인덱싱을 위한 다단계 위치/구간 지정 방법
JP4325071B2 (ja) * 2000-04-07 2009-09-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ビデオ再生方法及びデジタルビデオ再生装置
US7380216B2 (en) * 2000-11-30 2008-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Zoom-capable scrollbar
WO2002084667A1 (en) * 2001-04-17 200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a position in an image sequence
US7552387B2 (en) 2003-04-30 2009-06-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systems for video content browsing
US20060013555A1 (en) * 2004-07-01 2006-01-19 Thomas Poslinski Commercial progress 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5703A (ko) * 2012-01-20 2013-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구간을 탐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33438A (ko) * 2019-05-20 2020-11-30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49358B1 (ko) * 2019-06-24 2020-08-28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영상 콘텐츠 표시를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4089A2 (en) 2008-05-21
US20080120647A1 (en) 2008-05-22
EP1924089A3 (en) 2008-08-20
KR101368713B1 (ko)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8713B1 (ko) A/v기기 및 그 표시방법
US11523167B2 (en) Television user interface
US2010008331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channel recall on a television receiver
US20100165200A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US9277294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US8488058B2 (en) Method for setting frame rate conversion (FRC)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8571380B2 (en) Object image display apparatus, object image display method and object image display program
KR100661649B1 (ko) 텔레비전의 제어방법
US2010031902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KR20080100609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콘텐츠 재생방법
US20090219452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1265609B1 (ko) 방송 수신기 및 그의 화면 제어 방법
KR100866880B1 (ko) 방송 수신기의 화면 제어 방법
JP2006203391A (ja) 映像装置、及びそのメニュー操作方法
KR101115956B1 (ko) 리모콘 숫자키를 이용한 선호 채널 설정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79657A1 (en) Display control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KR20100107142A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화면 출력 제어 장치 및 방법
JP4958454B2 (ja) テレビ放送受信機
KR20060031959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채널 전환 방법
JP2008102328A (ja) 表示制御装置
KR20090059433A (ko)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39128B1 (ko) 디지탈 티브이의 채널 탐색 장치 및 방법
EP2445208A1 (en) Generation method of electronic program guide menu of television and tv set
KR100347801B1 (ko) 피 아이 피 기능을 갖는 디지털비디오디스크 재생장치 및그 재생 제어방법
KR20060072033A (ko) 영상표시기기 및 타임 시프트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