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864B1 -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864B1
KR102148864B1 KR1020200013165A KR20200013165A KR102148864B1 KR 102148864 B1 KR102148864 B1 KR 102148864B1 KR 1020200013165 A KR1020200013165 A KR 1020200013165A KR 20200013165 A KR20200013165 A KR 20200013165A KR 102148864 B1 KR102148864 B1 KR 10214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infant
determining
waveform information
risk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세윤
이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다스에이치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다스에이치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다스에이치앤티
Priority to PCT/KR2020/00470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256260A1/ko
Priority to JP2020544915A priority patent/JP7071761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08B21/0438Sensor means for detecting
    • G08B21/0446Sensor means for detecting worn on the body to detect changes of posture, e.g. a fall, inclination, acceleration, ga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33System arrangements with pre-alarms, e.g. when a first distance is excee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유닛 압력센서 기반으로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judging infant status based on unit pressure sensor}
이하, 유닛 압력센서 기반으로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기술이 제공된다.
영유아 돌연사(Sudden Infant Death Syndrome, SIDS)는 1세 미만의 영아가 예상치 못하게, 갑작스럽게 사망한 경우를 말하며, 대부분은 2-4개월에서 발생하고 있다. 사망사례조사 후 사인은 주로 질식, 죄임, 심장성 부정맥, 손상 또는 영유아 돌연사(SIDS) 등으로 진단되어진다.
침대에서 사고로 인한 질식(Suffocation)과 목조임(Strangulation) 사망은 수면과 관련하여 예상치 못한 영유아 돌연사의 한 형태이다. 영유아 돌연사는 적절하지 않은 수면환경에 의해 초래된 기도폐색(질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침대에서 질식으로 인한 영유아 돌연사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기에게 안전한 수면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아기에게 안전한 수면 환경은 등을 대고 똑바로 눕히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아기를 엎드려 재우거나 옆으로 재우는 것은 위험할 수 있음, 똑바로 눕히기 위해서는 부모들이 주기적으로 아기의 수면 상태를 확인해야한다.
종래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장치로 카메라를 통해 영유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카메라 타입의 장치가 존재하였다. 카메라 타입의 장치는 가격에 있어서 비교적 합리적이지 못하고, 움직이는지 여부만 판단하여 구체적인 움직임을 판단할 수 없다는 측면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 수면 패턴을 모니터링하는 클립 타입의 장치는 영유아 복부에 놓기에는 크기가 지나치게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760616호(등록일: 2017년 07월 27일)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78784호(등록일: 2016년 11월 16일)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에 의해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트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상기 영유아에 의해 상기 매트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파형(waveform)으로부터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데이터가 지시하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상기 호흡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심박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 기반 위험 레벨, 상기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심박 기반 위험 레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서로 구별되는 진폭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호흡 파형 정보와 상기 심박 파형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호흡 기반 위험 레벨의 지속시간에 따라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영유아 상태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 감지 패턴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은 상기 매트 장치 내 일정 범위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상기 영유아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은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 감지 패턴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트 장치 내 일정 범위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상기 영유아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의 상기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는 유닛 압력센서가 임계 압력 크기를 초과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유닛 압력센서에 압력이 센싱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 중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의 상기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유아가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부터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로 변화되면 상기 영유아가 측위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유아가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부터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로 변화되고, 다시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영유아가 엎드린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 개수의 변화율이 임계 변화율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영유아가 몸을 뒤척이는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의 상기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평균 압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평균 압력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닛 압력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값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압력 데이터의 파형 정보로 호흡 파형 정보 및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위험 레벨을 분류하는 기준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유닛 압력 센서들 중 일부 센서들이 센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상태를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상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유아 상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에 따르면, 단계(110)에서 매트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영유아에 의해 매트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매트 장치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을 포함하고, 유닛 압력센서들은 피에조(Piezo) 방식으로 압력의 크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압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유닛 압력센서는 기계적 변화에 따라 유전 분극이 발생하는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유닛 압력센서들이 감지한 압력의 크기를 포함하는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평균 압력 값을 계산할 수 있고, 평균 압력 값을 영유아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의 크기로 결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120)에서,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동안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파형(waveform)으로부터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압력의 크기를 감지할 수 있고, 이를 시간의 흐름에 따른 압력 데이터의 파형으로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생성된 압력 데이터의 파형에 기초하여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호흡 파형 정보 및 심박 파형 정보는 각각 일정 주파수 대역 내에서 추출되는 주파수 정보 및 해당 주파수에서의 진폭 값을 포함할 수 있고,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하는 것은 도 3을 통해 상세히 서술한다.
단계(130)에서, 프로세서는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압력 데이터가 지시하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호흡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심박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된 테이블은 영유아의 나이별 정상 호흡 및 심박 수치를 기반으로 작성된 테이블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심박의 경우, 12개월 미만의 영유아는 분당 80~170회가 정상 수치라고 미리 지정될 수 있고, 테이블에서 12개월 미만의 영유아의 심박이 지시하는 수치의 하한 정상 임계 수치는 80회, 상한 정상 임계 수치는 170회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초기 입력된 영유아의 생년월일과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시점의 차이로 영유아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고, 테이블에서 영유아 나이에 대응하는 수치에 기반하여 위험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위험 레벨은 "정상(normal)" 레벨을 기준으로 "주의(warning)", "위험(danger)", 및 "응급(emergency)"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압력 데이터, 호흡 파형 정보, 심박 파형 정보 각각이 지시하는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것은 도 4를 통해 상세히 서술한다.
단계(140)에서, 프로세서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심박 기반 위험 레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과 호흡 기반 위험 레벨을 지속 시간과 종속하여 영유아 상태를 판단할 수 있고, 이와 독립적으로 심박 기반 위험 레벨에 기초하여 영유아 상태를 판단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지속 시간 이상으로 압력과 호흡이 위험 상태인 경우와 이와 별개로 심박이 위험 상태가 되는 경우 모두 매트 장치는 사용자에게 영유아가 위험 상태인 경우라고 출력할 수 있어, 둘 중 하나에 기초하여 영유아 상태를 제공하는 경우보다 더 정확하게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할 수 있고, 압력 감지 패턴에 기초하여 영유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패턴은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 중 각각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압력을 센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들의 유기적 관계에 기초하여 생성된 패턴일 수 있다. 압력 감지 패턴에 기초하여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5를 통해 상세히 서술한다.
종전에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등을 이용하여 영유아의 호흡 및 심박 상태를 판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장치가 사용되었다. 자이로 센서가 영유아 신체에 부착되거나, 목에 걸어 영유아 신체 데이터를 검출하였는데, 이 경우 자이로 센서가 영유아의 명치에 압력을 가하여 오히려 보조기구로 인해 영유아가 질식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도 1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센서가 영유아에게 직접적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가 줄어들고, 정확도 높은 유닛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프로세서는 영유아의 뒤집힘을 인식할 수 있어, 안전하게 영유아 호흡 및 심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유닛 압력 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값으로 생성된 데이터를 도시한 것이다.
단계(210)에서,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은 영유아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에 관한 정보는 압력의 크기, 압력이 감지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들일 수 있다.
단계(220)에서,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동안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의 파형 정보를 계산하고, 계산 결과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230)에서, 프로세서는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압력 데이터는 유닛 압력센서들이 획득한 압력 크기를 포함할 수 있고, 압력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240)에서, 프로세서는 압력이 감지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를 계산하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250)에서, 프로세서는 압력 데이터의 파형 정보에 기초하여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는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단계(260)에서, 프로세서는 압력이 감지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에 기초하여 압력 감지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압력 감지 패턴은 감지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패턴일 수 있고, 예시적으로 감지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줄어드는 경우 프로세서는 영유아가 매트에 압력을 가하는 부분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패턴은 영유아의 체위 변화에 따른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압력 데이터의 파형(310)으로 호흡 파형 정보 및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일정 시간 동안 감지된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진폭 및 주파수가 일정하지 않은 불규칙적 압력 데이터의 파형(310)을 획득할 수 있다.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가 감지하는 압력은 영유아의 호흡과 심박에 의해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정보가 복합된 데이터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호흡 파형 정보(320)와 심박 파형 정보(330)를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불규칙적인 압력 데이터의 파형(310)을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에 기초하여 복수의 특정 주파수에 관한 파형 정보로 추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호흡 파형 정보(320)와 심박 파형 정보(330)에 관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추출한 주파수들 중 진폭 값이 가장 큰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호흡 파형 정보(320) 및 심박 파형 정보(330)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당 호흡 횟수가 10회 이상 70회 미만으로 영유아의 호흡 파형 정보(320)를 추출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대는 0.167Hz 이상 1.167Hz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고, 분당 심박 횟수가 70회 이상 180회 미만으로 영유아의 심박 파형 정보(330)를 추출하기 위한 주파수 대역대는 1.167Hz이상 3Hz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주파수 대역 필터에 기초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주파수들 중 진폭 값이 가장 큰 주파수를 추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0.167Hz 이상 1.167Hz 미만의 주파수 대역대 내 주파수들 중 0.33Hz 주파수에 해당하는 파형의 진폭이 가장 크다고 판단한 경우, 0.33 Hz의 주파수 및 분당 20회의 호흡 횟수를 호흡 파형 정보(320)로 추출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력 데이터의 파형(310)을 서로 구별되는 진폭 범위를 기준으로 호흡 파형 정보(320)와 심박 파형 정보(330)로 분류할 수 있다. 영유아의 호흡에 의해 매트 장치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와 심박에 의해 매트 장치에 가하는 압력의 크기는 서로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호흡 파형 정보(320) 및 심박 파형 정보(330)의 진폭 크기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호흡 및 심박 각각에 대해 미리 지정된 진폭 범위 내에 속하는 진폭을 갖는 파형에 대해 각각 호흡 파형 정보(320) 및 심박 파형 정보(330)로 결정할 수 있다. 호흡 파형 정보에 비해 심박 파형 정보가 더 큰 진폭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여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심박 파형 정보가 호흡 파형 정보 보다 더 큰 진폭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위험 레벨을 분류하는 기준 테이블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압력 데이터가 지시하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 호흡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 및 심박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심박 기반 위험 레벨(440)을 결정할 수 있다. 압력 데이터는 압력 크기 / 몸무게 * 100 (%)로 계산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흡 파형 정보는 호흡 파형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계산된 분당 호흡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심박 파형 정보는 심박 파형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계산된 분당 심박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위험 레벨은 "정상(normal)" 레벨을 기준으로 "주의(warning)", "위험(danger)", 및 "응급(emergency)" 레벨로 구분될 수 있는데, 각 레벨의 기준이 되는 임계 값들은 테이블에 의해 나이별로 미리 지정된 값들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6개월 미만의 영유아에 대해 분당 호흡 횟수가 30회 이상 60회 이하인 경우 정상 레벨로 결정할 수 있고, 6개월 이상 12개월 미만의 영유아에 대해 분당 호흡 횟수가 24회 이상 30회 이하인 경우 정상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12개월 이상의 영유아에 대해서 분당 호흡 횟수가 20회 이상 40회 이하인 경우 정상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압력 데이터, 호흡 파형 정보, 및 심박 파형 정보에 대해 정상 레벨을 기준으로 주의, 위험 레벨로 구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6개월 미만의 영유아에 대해 분당 호흡 횟수가 30회 이상 60회 이하인 경우(Y0) 정상 레벨로 결정하고, 20회 이상 30회 미만인 경우(Y-1) 및 60회 초과 70회 이하인 경우(Y1) 주의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영유아의 분당 호흡 횟수가 10회 이상 20회 미만인 경우(Y-2) 및 70회 초과 80회 이하인 경우(Y2) 위험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즉시 확인 알림이 필요하다고 미리 지정된 0회 이상 10회 미만인 경우(Y-3) 응급 레벨로 결정할 수 있다.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이 응급 레벨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는 다른 데이터 기반의 위험 레벨 판단과 무관하게 영유아 상태를 즉시 확인이 필요한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테이블에 의해 결정된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 심박 기반 위험 레벨(440) 중 하나 또는 둘이상의 조합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 및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의 지속시간(430)에 따라 영유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영유아 확인이 필요한 상태라고 판단할 위험 레벨은 지속시간(430)이 1분 이상 5분 미만인 경우와 지속시간(430)이 5분 이상인 경우에 서로 다르게 지정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동일한 위험 레벨에 대해 지속시간(430)이 1분 이상 5분 미만인 경우와 지속시간(430)이 5분 이상인 경우, 서로 다른 영유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속시간(430)이 1분 이상 5분 미만인 경우,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이 X2 상태이면 프로세서는 영유아에 의해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이 X-2이면 프로세서는 영유아가 자리 이탈하였거나 뒤집힌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이 Y2 상태이면 프로세서는 영유아가 과호흡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고, Y-2상태이면 프로세서는 영유아가 호흡 곤란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지속시간(430)이 5분 이상인 경우,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이 Y1 또는 Y-1인 상태이면 프로세서는 영유아의 호흡 체크가 필요하다고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이 X1상태이면 프로세서는 영유아에 압력을 가하는 요인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X-1상태이면 영유아 자세가 이상이 있다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속시간(430)이 1분 이상 5분 미만이라 하더라도,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과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 모두 주의 상태인 경우, 프로세서는 영유아의 압력, 호흡 모두 정상이 아니기 때문에 확인이 필요하다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기반 위험 레벨(410)이 X1이고 호흡 기반 위험 레벨(420)이 Y-1인 경우, 지속시간(430)이 1분 이상 5분 미만이라 하더라도 프로세서는 사용자에게 영유아 체크가 필요하다고 안내할 수 있다. 반면, 위험 레벨이 X3 또는 Y-3로 결정된 경우, 프로세서는 지속시간(430)에 무관하게 즉시 확인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유닛 압력 센서들 중 일부 센서들이 센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510)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고, 압력 감지 패턴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각각의 유닛 압력센서(510)에 대해 임계 압력 크기를 초과하는 압력이 감지된 경우, 해당 유닛 압력센서(510)에 압력이 센싱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프로세서는 유닛 압력센서(510)에 임계 압력 크기 이하의 압력이 감지된 경우, 해당 유닛 압력센서(510)에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510)들 중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를 결정하고, 시간에 따른 유닛 압력센서(510)의 개수 변화에 기초하여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한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유닛 압력센서(510)의 개수 변화에 따라 압력이 감지되는 면적 변화를 계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력이 감지된 면적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매트 장치(500) 내 일정 범위의 유닛 압력센서(510)들이 영유아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일정 범위에서 영유아에 의한 압력이 감지된다고 판단된 경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510)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일정 범위에서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는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정 범위는 매트의 중앙에서부터 일정 범위가 될 수 있고, 프로세서는 영유아가 매트 중앙 일정 범위로부터 벗어났다고 판단한 경우 정확한 압력 센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압력 센싱을 위해 영유아의 자세 조정이 필요하다고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영유아가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고,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부터 임계값 미만인 경우로 변화되면 영유아가 측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안정 상태인 경우로부터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감소하면 압력이 가해진다고 판단되는 면적도 감소한다고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영유아가 매트에 접촉하는 부분이 감소하였다고 판단하여, 영유아의 자세는 측위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영유아가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고,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부터 임계값 미만인 경우로 변화되고, 다시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 변화되는 경우, 영유아는 엎드린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즉, 안정 상태인 경우로부터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감소하면 압력이 가해진다고 판단되는 면적도 감소한다고 판단하고, 다시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의 개수가 증가하면 영유아가 매트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였다고 판단하여, 영유아의 자세는 엎드린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520) 개수의 변화율이 임계 변화율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영유아가 몸을 뒤척이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상태를 출력하는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프로세서는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을 통해 사용자에게 영유아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매트 장치와 사용자 단말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부를 통해 매트 장치와 사용자 단말은 영유아 상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출력화면(610)에서, 사용자 단말은 매트 장치와 통신이 수립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매트 장치와 통신이 수립되지 않은 경우 "No Signal" 이라는 안내 문구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매트 장치와 사용자 단말의 통신 상태를 재점검할 수 있게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출력화면(620)에서, 매트 장치와 사용자 단말이 통신 가능한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은 매트 장치로부터 영유아 상태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유아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영유아 상태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호흡 기반 위험 레벨, 심박 기반 위험 레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에 조합에 따라 판단된 상태일 수 있다. 매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사용자 단말이 영유아 상태가 위험 상태이므로, 영유아 상태의 확인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Danger" 문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출력화면(630)에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영유아의 이름, 성별, 생년월일 및 체중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그래픽 오브젝트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생년월일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유아의 나이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영유아의 체중 데이터에 기초하여 압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출력화면(640)에서, 사용자 단말은 영유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압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일 수 있고, 압력 감지 패턴에 기초하여 판단된 영유아 상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압력 기반 위험 레벨이 정상 레벨이라고 프로세서가 판단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Current rate: GOOD" 이라는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출력화면(650)에서, 사용자 단말은 심박 기반 위험 레벨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심박 기반 위험 레벨에 관한 정보는 분당 심박 횟수, 분당 심박 횟수에 기초한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는 심박 파형 정보에 따라 분당 심박 횟수가 60bpm이고,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이 정상이라고 결정한 경우, 사용자 단말은 60bpm의 분당 심박 횟수와 현재 영유아의 심박은 "Steady and Cool"이라는 안내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또는 프로세서는 심박 히스토리를 저장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은 심박 히스토리에 기초하여 최근 심박 변화 그래프를 출력할 수 있다. 심박 히스토리는 프로세서에 의해 주기적으로 계산된 분당 심박 횟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출력화면(660)에서, 사용자 단말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한 방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방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방의 습도, 온도, 공기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허브 장치가 센싱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일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의 상태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영유아 상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영유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매트 장치(720), 매트 장치(720)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를 중계하는 허브 장치(730), 사용자에게 영유아 상태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710)을 포함할 수 있다. 매트 장치(720)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유닛 압력센서는 이에 대응하는 지점에서 영유아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허브 장치(730)는 매트 장치(72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710)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 장치(720)에서 검출된 데이터는 압력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된 영유아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허브 장치(730)가 매트 장치(720)로부터 압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710)로 영유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10)은 허브 장치(730)를 통해 영유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710)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출력 화면에 대해서는 도 6에서 선술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로 구별되는 매트 장치(720), 허브 장치(730), 및 사용자 단말(710)은 각각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프로세서 중 적어도 하나가 압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유아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매트 장치(720), 허브 장치(730), 및 사용자 단말(710)의 통신부는 각각의 프로세서에서 출력된 데이터를 서로 다른 장치들에게 송신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장치(800)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영유아 상태 판단 장치(800)는 센싱부(810), 프로세서(820), 및 메모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810)는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을 포함하고, 영유아에 의해 매트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820)는 일정 시간 동안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파형(waveform)을 분석하고,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20)는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압력 데이터가 지시하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호흡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심박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하며, 압력 기반 위험 레벨,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심박 기반 위험 레벨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따라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메모리(830)는 프로세서(82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적어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는 압력 데이터, 호흡 파형 정보, 심박 파형 정보,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작성된 테이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호흡 기반 위험 레벨, 심박 기반 위험 레벨, 및 영유아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영유아 상태를 제공하는 시스템(900)을 도시한 것이다.
허브 장치(920)는 매트 장치(91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930)로 전송할 수 있다. 허브 장치(920)는 하나의 매트 장치(910)에서 검출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930)로 전송할 수 있지만, 복수개의 매트 장치(910)와 페어링(Pairing)하여 복수개의 매트 장치(910)에서 개별적으로 획득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9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영유아 상태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복수명의 영유아를 관리하는 병원, 산후조리원 및 유아원에서 하나의 허브 장치(920)를 통해 복수명의 영유아 상태를 어려움없이 관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허브 장치(920)는 조명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조명부의 점등은 허브 장치(920)의 프로세서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전송받아 구동될 수 있다. 조명부의 점멸동작을 통해 사용자 단말(930) 또는 매트 장치(910)와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아울러, 조명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유아들이 숙면을 취하기 위한 최적의 조도 및 패턴의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는 방의 상태에 따라 광의 조도 및 패턴을 구별하여 출력 할 수 있으며, 긴급 상황을 알려주는 알람 표시 조명을 출력할 수 도 있다. 방의 상태는 방의 습도, 온도, 공기 상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허브 장치(920)가 직접 센싱하는 데이터에 기반하여 계산될 수 도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외부 장치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3)

  1. 프로세서에 의해 압력 정보를 이용하여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있어서,
    매트 장치에 포함된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상기 영유아에 의해 상기 매트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 중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들의 시간에 따른 개수 변화에 따라 압력이 감지되는 면적 변화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면적 변화에 기초하여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파형(waveform)으로부터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압력 데이터, 호흡 파형 정보, 및 심박 파형 정보의 각각에 대해 복수의 레벨들로 구분하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데이터가 지시하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상기 호흡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심박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 기반 위험 레벨, 상기 호흡 기반 위험 레벨, 상기 심박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압력 감지 패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따라 상기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레벨들 중 적어도 한 레벨에 대하여 압력 크기, 호흡 횟수, 및 심박 횟수 별로 해당 레벨의 기준이 되는 임계 값을 가지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데이터의 파형으로부터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특정 주파수에 관한 파형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주파수별 파형 정보를 서로 구별되는 진폭 범위를 기준으로 상기 호흡 파형 정보와 상기 심박 파형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호흡 기반 위험 레벨의 지속시간에 따라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영유아 상태에 따라 서로 구별되는 알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 장치 내 일정 범위의 유닛 압력센서들이 상기 영유아에 의한 압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의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범위에서 상기 영유아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는,
    유닛 압력센서가 임계 압력 크기를 초과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유닛 압력센서에 압력이 센싱되고 있다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유아가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부터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로 변화되면 상기 영유아가 측위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임계값 이상인 경우 상기 영유아가 안정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의 개수가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부터 상기 임계값 미만인 경우로 변화되고, 다시 상기 임계값 이상인 경우로 변화되는 경우, 상기 영유아가 엎드린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 개수의 변화율이 임계 변화율 이상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영유아가 몸을 뒤척이는 상태라고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로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평균 압력 값을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일정 시간 동안 상기 평균 압력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분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12.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3.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을 포함하고, 영유아에 의해 매트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 중 압력이 센싱된 유닛 압력센서들의 시간에 따른 개수 변화에 따라 압력이 감지되는 면적 변화를 계산하며, 상기 계산된 면적 변화에 기초하여 압력 감지 패턴을 판단하고, 일정 시간 동안 상기 복수개의 유닛 압력센서들에 의해 감지된 압력 데이터의 파형(waveform)을 분석하고, 상기 압력 데이터의 파형을 주파수 대역 필터를 이용하여 서로 구별되는 주파수 대역의 호흡 파형 정보와 심박 파형 정보를 추출하고, 영유아의 나이 정보를 기준으로 압력 데이터, 호흡 파형 정보, 및 심박 파형 정보의 각각에 대해 복수의 레벨들로 구분하는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압력 데이터가 지시하는 압력 기반 위험 레벨, 상기 호흡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호흡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심박 파형 정보가 지시하는 심박 기반 위험 레벨을 결정하며, 상기 압력 기반 위험 레벨, 상기 호흡 기반 위험 레벨, 상기 심박 기반 위험 레벨, 및 상기 압력 감지 패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에 따라 누워있는 영유아의 상태를 판단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은,
    상기 복수의 레벨들 중 적어도 한 레벨에 대하여 압력 크기, 호흡 횟수, 및 심박 횟수 별로 해당 레벨의 기준이 되는 임계 값을 가지는,
    영유아 상태 판단 장치.
KR1020200013165A 2019-06-20 2020-02-04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2148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4706 WO2020256260A1 (ko) 2019-06-20 2020-04-08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JP2020544915A JP7071761B2 (ja) 2019-06-20 2020-04-08 ユニット圧力センサ基盤の乳幼児状態判断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3576 2019-06-20
KR1020190073576 2019-06-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864B1 true KR102148864B1 (ko) 2020-08-27

Family

ID=722375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165A KR102148864B1 (ko) 2019-06-20 2020-02-04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20200013200A KR102148869B1 (ko) 2019-06-20 2020-02-04 압력 센싱에 기초한 영유아의 질식 위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00A KR102148869B1 (ko) 2019-06-20 2020-02-04 압력 센싱에 기초한 영유아의 질식 위험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71761B2 (ko)
KR (2) KR102148864B1 (ko)
WO (2) WO202025626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854A (ja) * 1998-11-05 2000-05-23 Risou Kagaku Kenkyusho:Kk 患者監視装置
KR20120066868A (ko) * 2010-12-15 2012-06-2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호흡 및 심박 측정을 통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678784B1 (ko) 2015-06-29 2016-11-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영유아용 수면 조끼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83776A (ko) * 2016-01-11 2017-07-19 최준영 생체 감지 기반의 무선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1760616B1 (ko) 2016-07-27 2017-07-21 박세훈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366A (ja) * 1998-07-17 2000-02-02 Aisin Seiki Co Ltd 生体監視装置
JP3502006B2 (ja) * 2000-03-21 2004-03-02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サービス 高齢者に対する介護スタッフ配置支援システムおよび支援方法
JP2002052010A (ja) * 2000-08-07 2002-02-19 Hitachi Ltd 就寝状態監視装置
JP3661686B2 (ja) * 2002-12-19 2005-06-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監視装置
KR101218647B1 (ko) * 2010-10-29 2013-01-0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호흡 측정을 통한 수면의 질 결정 장치 및 방법
KR20140062891A (ko) * 2012-11-15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요람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2308A (ko) * 2012-12-24 2014-07-02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침대에서의 수면상태에 따른 무구속 심박변이도 획득 및 숙면판단 장치 및 방법
JP6556783B2 (ja) * 2017-04-27 2019-08-07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異常通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854A (ja) * 1998-11-05 2000-05-23 Risou Kagaku Kenkyusho:Kk 患者監視装置
KR20120066868A (ko) * 2010-12-15 2012-06-25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실시간 호흡 및 심박 측정을 통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678784B1 (ko) 2015-06-29 2016-11-2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유아의 질식을 방지하기 위한 영유아용 수면 조끼 및 그 구동 방법
KR20170083776A (ko) * 2016-01-11 2017-07-19 최준영 생체 감지 기반의 무선 안전 알림 방법 및 시스템
KR101760616B1 (ko) 2016-07-27 2017-07-21 박세훈 영유아 돌연사 방지용 침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869B1 (ko) 2020-08-27
WO2020256261A1 (ko) 2020-12-24
JP7071761B2 (ja) 2022-05-19
WO2020256260A1 (ko) 2020-12-24
JP2021531836A (ja) 202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92733B (zh) 睡眠监测装置
KR101798498B1 (ko) 영유아 수면 감시용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시스템
CN110022728B (zh) 婴儿安抚/助眠装置
US2015014176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detection of the body position while sleeping
JP7061861B2 (ja) Sidsを防止するための監視システム
JP6139615B2 (ja) 異常通報システム、異常通報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65832A1 (en) System and methods of identifying and alerting a user of a health event
US201703651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ll detection
CN109758281B (zh) 一种基于身体位置调节的安全系统
KR20120066868A (ko) 실시간 호흡 및 심박 측정을 통한 사용자의 건강상태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2148864B1 (ko) 유닛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KR20200043740A (ko) 움직임 문턱치 제어 기반의 영유아 안전 모니터링 방법 및 그 서비스
CN109730659A (zh) 一种基于微波信号监测的智能床垫
KR101880819B1 (ko) 신생아 무호흡 측정장치 및 그 동작 방법과, 신생아 무호흡 측정 시스템
KR20210153961A (ko) 폼테이프 부착된 압력센서 기반 영유아 상태 판단 방법 및 장치
JP6556783B2 (ja) 異常通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Hemalatha et al. Smart digital parenting using Internet of Things
Wipulasundara A novel concept for remotely monitoring babies
CN211432928U (zh) 监护系统
KR102319770B1 (ko) 장력을 이용한 호흡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호흡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48558A (ko) 상태측정을 통한 육아보조장치
KV et al. Development of Intelligent Cradle for Infant Monitoring System
JP2017205409A (ja) 在床状態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TW201536251A (zh) 輔助生理監測的肚兜與生理監測方法
JP2018015210A (ja) 在床状態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