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183B1 -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183B1
KR102148183B1 KR1020200036302A KR20200036302A KR102148183B1 KR 102148183 B1 KR102148183 B1 KR 102148183B1 KR 1020200036302 A KR1020200036302 A KR 1020200036302A KR 20200036302 A KR20200036302 A KR 20200036302A KR 102148183 B1 KR102148183 B1 KR 10214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rasive
nozzle body
injection
adjustment disk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화석
안소영
Original Assignee
안소영
주식회사 국지건설
지유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소영, 주식회사 국지건설, 지유건설(주) filed Critical 안소영
Priority to KR102020003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5/00Devices or accessories for generating abrasive blasts
    • B24C5/02Blast guns, e.g. for generating high velocity abrasive fluid jets for cutting materials
    • B24C5/04Nozzl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24C3/12Apparatus using nozz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조절구를 이용하여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고,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대상 구조물과의 거리에 따라 연마재의 분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는 연마재를 공급하는 연마재 공급탱크,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마재가 이송되는 이송호스, 고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고압 공기가 이송되는 고압호스 및 상기 이송호스와 고압호스가 연결되어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장치는 연마재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제1볼조인트와 제2볼조인트가 각각 구비되는 분사노즐본체 및 상기 분사노즐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분사조절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Blast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painting of steel structure}
본 발명은 분사조절구로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고,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대상 구조물과의 거리에 따라 연마재의 분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에 대한 것이다.
강재 교량 등 강구조물은 부식 방지를 위해 강재 표면에 방청 처리를 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방청 목적으로 처리된 방청재나 도장 부분에는 시간 경과에 따라 열화 현상이 발생하므로, 재도장 등을 위해 강구조물의 녹이나 기존 페인트를 주기적으로 제거해줘야 한다.
이에 모래 등 연마재(abrasive)를 강구조물 표면에 강하게 고압 분사시켜, 연마재의 충돌에 의해 강재 표면의 도장 및 부식을 제거하는 블라스팅 방법이 많이 사용된다.
상기 블라스팅 방법은 연마재의 종류에 따라 모래를 사용하는 샌드블라스트법(sand blast), 강구를 분사시키는 쇼트블라스트법(shot blast), 분쇄된 강구를 분사시키는 그릿트블라스트법(grit blast), 강쇄립을 분사시키는 커트와이어블라스트법(cut wire blast) 등이 있다.
또한, 연마재의 분사 방식에 따라 건조한 연마재를 고압 공기로 분사하는 파워블라스트법(power blast), 규석말을 교반조 내에서 물과 혼합시켜 액상화하여 고압 공기로 분사하는 웨트블라스트법(wet blast), 스틸 쇼트를 원심력에 의해서 투사하는 원심블라스트법(centrifugal blast) 등이 있다.
블라스팅 방법에 의한 도장 제거시, 연마재의 분사 거리는 녹의 정도 및 강재의 종류 등에 따라 차이가 있다. 통상 연강판은 15~20㎝, 강판은 30㎝ 정도로 분사 거리를 유지하며, 분사 거리 50㎝ 초과시에는 연마 효율이 떨어진다. 그리고 연마재의 분사 각도는 강구조물 대상 표면에 대하여 50~6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강재 교량 등 강구조물은 대상 구조물의 크기가 대형으로 작업 면적이 크기 때문에, 분사 각도와 분사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계속 이동해야 하여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51503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대상 구조물과의 거리에 따라 연마재의 분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연마재를 공급하는 연마재 공급탱크,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마재가 이송되는 이송호스, 고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 상기 압축기로부터 공급된 고압 공기가 이송되는 고압호스 및 상기 이송호스와 고압호스가 연결되어 연마재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로 구성되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장치는 연마재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제1볼조인트와 제2볼조인트가 각각 구비되는 분사노즐본체 및 상기 분사노즐본체의 외부에 구비되어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분사조절구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조절구는, 내부에 상기 분사노즐본체가 수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본체의 후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2볼조인트가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2가이드공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형성된 제2조정디스크, 상기 제2조정디스크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본체의 전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1볼조인트가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1가이드공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형성된 제1조정디스크, 상기 제1조정디스크와 제2조정디스크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 상기 분사노즐본체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센서, 작업 대상면과 분사노즐본체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 및 제1센서와 제2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가 설정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구동부와 제2구동부를 제어하여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방향을 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조정디스크의 후단 외주면에는 걸림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정디스크의 전단 내주면과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1조정디스크의 걸림돌부와 하우징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걸림홈부와 제2걸림홈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1조정디스크와 제2조정디스크 및 제2조정디스크와 하우징이 각각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조정디스크의 제1걸림홈부 폭은 제1조정디스크의 걸림돌부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볼조인트와 제2볼조인트의 수평 거리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에 연마재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공급탱크 및 압축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연마재와 고압 공기를 각각 이송호스와 고압호스를 통해 분사노즐장치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분사노즐장치를 구동하여 분사조절구에 의해 분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분사노즐본체로 연마재를 분사하여 강구조물의 도장을 제거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분사조절구로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 대상면인 강구조물 표면의 폐도장이나 녹을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하다.
둘째, 분사조절구의 하우징 전단에 회전 가능한 것으로 분사노즐본체의 전단이 관통하는 제1조정디스크가 편심 구비되는 경우, 제1조정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분사노즐본체의 전단이 편심되게 회전하면서 분사노즐본체의 각도를 조절하여 연마재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셋째, 분사조절구의 제1조정디스크 후방에 회전 가능한 것으로 분사노즐본체의 후단이 관통하는 제2조정디스크가 편심 구비되는 경우, 제1, 2조정디스크의 위치 조합에 따라 원하는 각도로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다.
넷째, 분사조절구에 제1, 2조정디스크를 회전시키는 제1, 2구동부가 구비되는 경우, 대상 구조물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도 동력에 의해 연마재의 분사 각도나 강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다섯째, 분사조절구의 제1, 2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경우, 컨트롤패널에서 입력된 분사 각도에 맞게 제1, 2조정디스크를 회전하여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분사노즐본체의 기울기, 작업 대상면과 분사노즐본체의 각도를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측정된 센서값에 따라 분사노즐본체의 분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분사노즐본체가 직전방 방향인 분사노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분사노즐본체가 기울어진 분사노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1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제1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6은 제2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제2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8은 제1조정디스크와 제2조정디스크가 구비된 분사조절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분사조절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제1, 2볼조인트가 구비된 분사노즐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분사노즐본체와 분사조절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14는 분사조절구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분사노즐본체가 직전방 방향인 분사노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분사노즐본체가 기울어진 분사노즐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는 연마재(8)를 공급하는 연마재 공급탱크(1),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1)로부터 공급된 연마재(8)가 이송되는 이송호스(2), 고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3), 상기 압축기(3)로부터 공급된 고압 공기가 이송되는 고압호스(4) 및 상기 이송호스(2)와 고압호스(4)가 연결되어 연마재(8)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5)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장치(5)는 연마재(8)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가 각각 구비되는 분사노즐본체(6) 및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외부에 구비되어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분사조절구(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연마재의 분사 각도를 자동으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대상 구조물과의 거리에 따라 연마재의 분사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는 연마재 공급탱크(1), 이송호스(2), 압축기(3), 고압호스(4) 및 분사노즐장치(5)로 구성된다.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1)는 연마재(8)를 공급한다.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1)는 연마재(8)가 저장되어 이송호스(2)를 통해 분사노즐장치(5)로 연마재(8)를 공급한다.
상기 연마재(8)는 모래, 쇼트, 그릿트 등일 수 있다.
상기 이송호스(2)는 연마재 공급탱크(1)로부터 공급된 연마재(8)가 이송되는 통로이다.
상기 압축기(3, air compressor)는 고압 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기(3)는 고압 공기를 압축하고 저장하여 고압호스(4)를 통해 분사노즐장치(5)로 고압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연마재(8)는 고압의 압축 공기와 함께 분사노즐장치(5)를 통해 분사되고, 분사된 연마재(8)는 작업 대상면인 강구조물(S) 표면에 강하게 충돌하여 폐도장 및 녹을 제거한다.
상기 분사노즐장치(5)는 분사노즐본체(6)와 분사조절구(7)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본체(6)는 연마재(8)를 고압으로 분사한다.
상기 분사조절구(7)는 분사노즐본체(6)의 외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를 조절한다.
작업자가 분사조절구(7)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연마재(8)의 분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분사조절구(7)를 조절하여, 분사노즐본체(6)를 도 2와 같이 직전방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거나 도 3과 같이 기울어진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도 4는 제1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제1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도 2, 도 4,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조절구(7)는 내부에 상기 분사노즐본체(6)가 수용되는 하우징(71), 상기 하우징(7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전단이 관통되는 제1가이드공(721)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구비되는 제1조정디스크(7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조절구(7)는 하우징(71) 및 제1조정디스크(72)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1)은 내부에 분사노즐본체(6)가 수용된다.
상기 하우징(71)의 후방에는 이송호스(2)가 인입되어 분사노즐본체(6)의 후방에 연결된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는 하우징(7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에는 제1가이드공(721)이 형성되어, 분사노즐본체(6)의 전단이 제1가이드공(721)을 통해 하우징(71)의 전단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가이드공(721)은 제1조정디스크(72)의 중앙에서 편심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조정디스크(72)를 회전할 경우, 분사노즐본체(6)의 전단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회전하면서 분사노즐본체(6)의 각도가 변경되어 연마재(8)의 분사 방향을 조절 가능하다.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전단 위치 변경에 따라 연마재(8)의 분사 방향이 변경될 수 있도록 분사노즐본체(6)의 후단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분사노즐본체(6)는 후단을 고정한 채 전단의 위치만 변경함으로써,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제2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제2조정디스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제1조정디스크와 제2조정디스크가 구비된 분사조절구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분사조절장치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도 6 내지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71)과 제1조정디스크(72)의 사이에는 분사노즐본체(6)의 후단이 관통되는 제2가이드공(731)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구비되는 제2조정디스크(7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의 회전시, 분사노즐본체(6)의 전방은 제1조정디스크(72)의 중앙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항상 경사진 방향으로만 연마재(8)를 분사할 수 있고 직전방으로 분사할 수 없다. 또한, 분사 방향만 조절될 뿐 구체적인 분사 각도는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의 후방에 제2조정디스크(73)를 구비하여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원하는 각도로 분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이드공(731) 역시 제2조정디스크(73)의 중앙에서 편심되게 위치하므로, 제1조정디스크(72)의 제1가이드공(721)과 제2조정디스크(73)의 제2가이드공(731) 위치를 서로 조합하면 어떠한 분사 각도든 설정 가능하다.
특히,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을 동일한 위치로 맞추면, 분사노즐본체(6)가 하우징(71)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그러므로 직전방으로 연마재(8)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도 10과 같이 상기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이 서로 편심되게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회전시키면, 분사노즐본체(6)가 분사조절구(7)와 소정 경사를 이루어 기울어져 회전한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의 후단 외주면에는 걸림돌부(722)가 돌출 형성되고(도 4, 도 5), 상기 제2조정디스크(73)의 전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의 걸림돌부(722)가 삽입되는 제1걸림홈부(732)가 형성되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도 6, 도 7).
또한, 상기 제2조정디스크(73)의 후단 내주면에는 하우징(71)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삽입되는 제2걸림홈부(733)가 형성되어, 제2조정디스크(73)가 하우징(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1은 제1, 2볼조인트가 구비된 분사노즐본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분사노즐본체와 분사조절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A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11,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외주면에는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의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가 회전하더라도 분사노즐본체(6)는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 및 제2조정디스크(73)의 회전시 제1가이드공(721) 및 제2가이드공(731)은 분사노즐본체(6)의 외주면과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본체(6)는 하우징(71)의 축과 다양한 각도로 움직여야 한다.
즉, 상기 분사노즐본체(6)는 제1가이드공(721) 및 제2가이드공(731) 내에서 3축 회전이 가능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분사노즐본체(6)가 제1가이드공(721) 및 제2가이드공(731) 내에서 어느 방향으로든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분사노즐본체(6)의 외주면에서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의 위치에 각각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의 내주면은 각각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볼조인트(61, 62)가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제1, 2볼조인트(61, 62)의 외부에는 윤활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2조정디스크(72, 73)의 회전에 의해 분사노즐본체(6) 회전시,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의 수평 거리가 변경된다.
이러한 수평 거리 변화를 흡수할 수 있도록 제2조정디스크(73)의 제1걸림홈부(732) 폭은 제1조정디스크(72)의 걸림돌부(722)의 폭보다 크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도 13).
상기 분사노즐본체(6)가 수평 방향에서 회전시 제1조정디스크(72)가 제2조정디스크(73) 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도 14는 분사조절구의 자동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조절구(7)에는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마재(8)의 분사 각도는 작업자가 직접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강구조물(S)의 작업 대상면이 작업자 위치와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붐대 등을 이용하여 작업하여야 하므로, 분사노즐장치(5)의 분사조절구(7)를 직접 작동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동력에 의해 분사 각도나 분사 강도를 조절하고, 나아가 붐대 등을 이용하여 원거리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별도로 구비되는 컨트롤패널(9)을 이용하여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는 서보모터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분사조절구(7)에는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제어하여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방향을 조정하는 제어부(7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의 조합에 의해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의 위치를 각각 조절하여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므로, 작업자가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각각 조절하여 원하는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제어하는 제어부(76)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컨트롤패널(9)에서 원하는 분사 각도를 설정하면, 제어부(76)는 입력된 분사 각도에 맞게 분사노즐본체(6)를 회전시킬 수 있는 제1가이드공(721)과 제2가이드공(731)의 위치를 자동으로 산출한다. 그리고 이에 따라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구동하여 필요한 각도만큼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장치(5)에는 분사노즐본체(6)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센서(77) 및 작업 대상면과 분사노즐본체(6)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78)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76)는 제1센서(77)와 제2센서(78)의 측정값에 따라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가 설정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제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블라스팅 효율을 위해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는 구조 대상물 표면에 대하여 50~60° 정도의 각도로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작업 대상면이 작업자 위치와 먼 거리에 있는 경우, 연마재(8)가 직 전방으로만 분사된다면 연마재(8)의 분사 방향과 작업 대상면과의 각도가 감소할 수밖에 없어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가 작업 효율을 확보할 수 있는 적정 각도를 사전에 설정하면, 분사노즐장치(5)의 축이 작업 대상면과 어떠한 각도에 있더라도 자동으로 분사노즐본체(6)를 회전시켜 일정한 각도로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센서(77)를 통해 분사노즐장치(5)의 기울기를 측정하고, 제2센서(78)에 의해 분사노즐장치(5)의 작업 대상면에 대한 상대 기울기를 측정한 후 제어부(76)에서 이를 기반으로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제어하여 분사노즐본체(6)를 회전킴으로써 분사노즐본체(6)가 작업 대상면과 설정된 각도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 숙련도에 상관없이 블라스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작업자가 붐대 등으로 원거리 작업을 수행할 때에도 작업자가 수동으로 각도를 조절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최적의 분사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77)는 자이로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제2센서(78)는 3점 이상에서 분사노즐장치(5)와 작업 대상면의 거리를 측정하여 작업 대상면에 대한 분사노즐장치(5)의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측정센서일 수 있다.
본 발명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제거 방법에서는 (a)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1)에 연마재(8)를 공급하는 단계가 먼저 실시된다.
이후 (b) 상기 공급탱크(1) 및 압축기(3)에 전원을 인가하여 연마재(8)와 고압 공기를 각각 이송호스(2)와 고압호스(4)를 통해 분사노즐장치(5)로 공급하고, (c) 상기 분사노즐장치(5)를 구동하여 분사조절구(7)에 의해 분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분사노즐본체(6)로 연마재(8)를 분사하여 강구조물(S)의 도장을 제거한다.
상기 분사노즐장치(5)는 작동 레버(미도시)를 작동하여 구동될 수 있다.
강구조물(S)의 도장 제거 후에는 바탕면을 청소하고, 방청 작업 및 신규 도장 작업을 실시한다.
1: 연마재 공급탱크 2: 이송호스
3: 압축기 4: 고압호스
5: 분사노즐장치 6: 분사노즐본체
61: 제1볼조인트 62: 제2볼조인트
7: 분사조절구 71: 하우징
72: 제1조정디스크 721: 제1가이드공
722: 걸림돌부 73: 제2조정디스크
731: 제2가이드공 732: 제1걸림홈부
733: 제2걸림홈부 74: 제1구동부
75: 제2구동부 76: 제어부
77: 제1센서 78: 제2센서
8: 연마재 9: 컨트롤패널
S: 강구조물

Claims (8)

  1. 연마재(8)를 공급하는 연마재 공급탱크(1),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1)로부터 공급된 연마재(8)가 이송되는 이송호스(2), 고압 공기를 제공하는 압축기(3), 상기 압축기(3)로부터 공급된 고압 공기가 이송되는 고압호스(4) 및 상기 이송호스(2)와 고압호스(4)가 연결되어 연마재(8)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장치(5)로 구성되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장치(5)는 연마재(8)를 고압으로 분사하는 것으로 외주면에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가 각각 구비되는 분사노즐본체(6) 및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외부에 구비되어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는 분사조절구(7)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조절구(7)는, 내부에 상기 분사노즐본체(6)가 수용되는 하우징(71), 상기 하우징(71)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후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2볼조인트(62)가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2가이드공(731)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형성된 제2조정디스크(73), 상기 제2조정디스크(73)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전단이 관통되어 상기 제1볼조인트(61)가 내주면에 지지되는 제1가이드공(721)이 중앙에서 편심되게 형성된 제1조정디스크(72),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를 각각 회전시키는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 상기 분사노즐본체(6)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제1센서(77), 작업 대상면과 분사노즐본체(6)의 각도를 측정하는 제2센서(78) 및 제1센서(77)와 제2센서(78)의 측정값에 따라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각도가 설정된 방향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구동부(74)와 제2구동부(75)를 제어하여 분사노즐본체(6)의 분사 방향을 조정하는 제어부(76)로 구성되며,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의 후단 외주면에는 걸림돌부(72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조정디스크(73)의 전단 내주면과 후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1조정디스크(72)의 걸림돌부(722)와 하우징(71)의 전단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돌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걸림홈부(732)와 제2걸림홈부(733)가 각각 형성되어 제1조정디스크(72)와 제2조정디스크(73) 및 제2조정디스크(73)와 하우징(71)이 각각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조정디스크(73)의 제1걸림홈부(732) 폭은 제1조정디스크(72)의 걸림돌부(722)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제1볼조인트(61)와 제2볼조인트(62)의 수평 거리가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의한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연마재 공급탱크(1)에 연마재(8)를 공급하는 단계;
    (b) 상기 공급탱크(1) 및 압축기(3)에 전원을 인가하여 연마재(8)와 고압 공기를 각각 이송호스(2)와 고압호스(4)를 통해 분사노즐장치(5)로 공급하는 단계;
    (c) 상기 분사노즐장치(5)를 구동하여 분사조절구(7)에 의해 분사 각도를 조절하면서 분사노즐본체(6)로 연마재(8)를 분사하여 강구조물(S)의 도장을 제거하는 단계;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를 이용한 제거 방법.
KR1020200036302A 2020-03-25 2020-03-25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KR10214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02A KR102148183B1 (ko) 2020-03-25 2020-03-25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02A KR102148183B1 (ko) 2020-03-25 2020-03-25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8183B1 true KR102148183B1 (ko) 2020-08-26

Family

ID=72293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6302A KR102148183B1 (ko) 2020-03-25 2020-03-25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1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5921B1 (en) * 2002-09-09 2004-03-16 John D. Shepher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utting tool edge cut taper
KR101051503B1 (ko) 2002-08-28 2011-07-22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트블라스트 처리에서의 타흔 분포도의 묘화방법 및 시스템, 및 처리조건의 설정 방법 및 쇼트블라스트 장치
JP2014151223A (ja) * 2013-02-05 2014-08-25 Musashi Engineering:Kk 水柱形成方法および水柱形成装置
KR20170000538U (ko) * 2015-07-31 2017-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분사 폭 확대 기능을 가지는 블라스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1503B1 (ko) 2002-08-28 2011-07-22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쇼트블라스트 처리에서의 타흔 분포도의 묘화방법 및 시스템, 및 처리조건의 설정 방법 및 쇼트블라스트 장치
US6705921B1 (en) * 2002-09-09 2004-03-16 John D. Shepher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utting tool edge cut taper
JP2014151223A (ja) * 2013-02-05 2014-08-25 Musashi Engineering:Kk 水柱形成方法および水柱形成装置
KR20170000538U (ko) * 2015-07-31 2017-02-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분사 폭 확대 기능을 가지는 블라스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7695A (en) Blast nozzle combined with multiple tip water atomizer
CN108525889B (zh) 一种喷涂机器人及其喷涂方法
CN109176321A (zh) 喷砂设备、喷砂系统及喷砂方法
JPH0699156A (ja) 配管系処理装置
KR102148183B1 (ko) 강구조물 도장 제거용 블라스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거 방법
KR100464462B1 (ko) 진공흡착식 블라스팅 장치
US11103887B2 (en) Multipurpose machine for surface treatment and related method
CN209477997U (zh) 喷砂设备及喷砂系统
US3791078A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painted metal surface for repainting
US4255906A (en) Abrasive cleaning apparatus
US20200232170A1 (en) Grinder head
JP4881644B2 (ja) 塗装装置
JPH0316997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斫用偏角回転ウォータジェットガン
KR101369680B1 (ko) 노후관로 변형에 따른 작업성이 용이한 2액형 도료 도장장치
CA2560089A1 (en) Device for coating tunnel walls
CN213287320U (zh) 一种建筑钢结构外表面喷涂装置
CN212385284U (zh) 一种平面靶材的自动喷砂设备
JP7296674B1 (ja) ウェットブラスト処理装置
KR100642245B1 (ko) 고압수와 연마재의 혼합분사에 의한 도장표면 처리장치
US20170087571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Fluidized Materials
JP2003299995A (ja) バンパーの塗装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塗装装置及びワーク供給装置
JP2006102908A (ja) 研磨材噴射装置
JP7236070B2 (ja) ミストジェット装置
CN210732177U (zh) 喷枪机构和除锈装置
KR102548513B1 (ko) 헤드분리형 블라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