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698B1 -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698B1
KR102147698B1 KR1020190050873A KR20190050873A KR102147698B1 KR 102147698 B1 KR102147698 B1 KR 102147698B1 KR 1020190050873 A KR1020190050873 A KR 1020190050873A KR 20190050873 A KR20190050873 A KR 20190050873A KR 102147698 B1 KR102147698 B1 KR 102147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cap
surface treatment
unit
target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0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성
Original Assignee
박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성 filed Critical 박태성
Priority to KR1020190050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6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2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made by galvanoplastic methods or by plating; Surface treatment; Enamelling; Perfuming; Making antisep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7Means for sterile storage or manipulation of dental im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a working support, e.g. work-t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istry (AREA)
  • Robo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임플란트용 픽스처(Fixture)의 표면 처리 장치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픽스처를 공급하는 픽스처 공급부, 상기 공급된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픽스처 이송부, 상기 픽스처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Cap)을 공급하는 캡 공급부, 상기 공급된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캡 이송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체결하여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하는 조립부 및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BLASTING TARGET PRODUCT}
본 발명은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치과 치료에 있어서 충치 또는 기타 사유에 의해 발치된 후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인공 치아로 임플란트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인공치아로 사용되는 임플란트는 인체에 전혀 해가 없는 재료를 사용하게 되며, 뼈와 잇몸이 없는 부분에 대해서 미용뿐만 아니라 기능까지 회복시키는 치료를 하게 된다. 이러한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로 인하여 기존의 치료 방법으로는 불가능했던 치료가 가능해져서, 더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회복으로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사용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발치된 치아의 자리에 매식체(Fixture)를 골내에 식립하여 고정한 후, 자연치아 형태의 크라운을 결합하여 치아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인공치아를 일컫는다. 임플란트는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상이며 충치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매식체와, 자연치아 형상의 크라운과, 매식체와 크라운을 결합하는 어버트먼트로 이루어져 있는데, 매식체는 골융합이 우수한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한편, 매식체의 외부 표면에는 골 융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SLA (sandblasting with large grit and acid etching) 등 다양한 표면처리가 수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임플란트 표면처리(Implant Surface Treatment) 방법으로는 machined surface와 TPS (Titanium plasma spraying), HA coating의 시기를 거쳐 RBM (resorbable blasting media) 시대를 기반으로 SLA, SLActive 및 Fluoride, 각종 이온주입 등의 다양한 표면활성화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표면처리로 인해 매식체(10)의 홈 내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표면처리 수행 이전에, 매식체(10)의 홈에 볼트(30)를 체결하고, 볼트가 체결된 부분에 절연 물질인 캡(20)을 씌우는 경우가 있다. 도면부호 40은 후술하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으로서 표면처리를 위해 표면처리 장치로 공급된다.
다만, 종래의 경우, 작업자가 매식체(10), 볼트(30) 및 캡(20)을 수작업으로 체결해야만 했고, 이에 따라 인건비가 발생하고, 생산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12568호 (2011.2.9.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구성하는 픽스처, 캡 및 볼트를 각각의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이송하고,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체결함으로써,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로 소비되는 비용을 없애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처(Fixture)의 표면 처리 장치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공급하는 장치는 상기 픽스처를 공급하는 픽스처 공급부, 상기 공급된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픽스처 이송부, 상기 픽스처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Cap)을 공급하는 캡 공급부, 상기 공급된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캡 이송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체결하여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하는 조립부 및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임플란트용 픽스처(Fixture)의 표면 처리 장치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기 픽스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픽스처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Cap)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체결하여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구성하는 픽스처, 캡 및 볼트를 각각의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이송하고, 정해진 순서에 따라 자동으로 체결함으로써,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권비로 소비되는 비용을 없애 제조 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의하면,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구성하는 픽스처 및 캡을 각각의 다관절 로봇을 이용하여 이송하되, 공급된 각각의 픽스처 및 캡의 방향을 스캔한 후, 기설정된 방향의 픽스처 및 캡을 이송함으로써, 픽스처 및 캡의 체결 방향으로 인해 체결 과정이 더뎌지는 것을 방지하며, 그로 인해, 픽스처, 캡 및 볼트의 체결 속도를 향상시켜 보다 신속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의 양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처 보관부 및 캡 보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볼트 및 캡이 체결된 매식체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100)는 픽스처 공급부(110), 픽스처 이송부(120), 캡 공급부(130), 캡 이송부(140), 조립부(150) 및 배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처 공급부(110)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100)에 픽스처(10)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픽스처 공급부(110)는 복수의 픽스처(10)가 놓이는 픽스처 보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픽스처 보관부(111)는 소정 주기로 진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관되는 픽스처(10)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관되는 픽스처(10)의 위치 및 방향이 고정되어 있다면 픽스처 공급부(110)가 다양한 상태의 픽스처(10)를 픽업하기 위해 복잡한 관절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픽스처 보관부(111)가 진동되어 보관되는 픽스처(10)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간단한 형태의 픽스처 이송부(120)를 이용하더라도 픽스처(10)의 픽업이 가능하다.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 보관부(111)에 보관된 픽스처(10)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 보관부(111)에 보관된 복수의 픽스처(10) 중 어느 하나를 픽업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픽스처 이송부(120)의 일측은 픽스처(10)를 픽업하기 위한 '집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픽스처 이송부(120)는 다관절 로봇 팔(Robot arm)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픽스처(10)를 이송시키는 경로 및 소정의 위치에 따라, 관절의 위치 및 이동 반경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 보관부(111)에 놓인 픽스처(10)를 스캔하는 픽스처 스캔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 스캔부(121)를 통해 픽스처 보관부(111)에 놓인 복수의 픽스처(10)를 스캔한 후, 기설정된 방향 또는 형태(예컨대, 픽스처 이송부(120)의 집게가 픽스처(10)를 픽업하여 고정 핀(151a)에 삽입하기 용이한 방향 또는 형태)로 놓인 어느 하나의 픽스처(10)를 픽업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픽스처(10)의 방향으로 인해 픽스처(10)를 체결함에 있어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 스캔부(121)를 통해 스캔된 픽스처(10)의 방향에 기초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집게'를 회전시켜 픽스처(10)를 픽업할 수 있다.
한편, 픽스처 스캔부(121)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픽스처 이송부(120)와 별도로 형성되어 픽스처 보관부(111)에 놓인 복수의 픽스처를 스캔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픽스처 스캔부(121)는 픽스처 이송부(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픽스처 보관부(111)에 놓인 복수의 픽스처를 스캔할 수도 있다.
캡 공급부(130)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100)에 캡(20)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캡 공급부(130)는 복수의 캡(20)이 놓이는 캡 보관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캡 보관부(131)는 소정 주기로 진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관되는 캡(20)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캡 보관부(131)가 진동함에 따른 효과는 픽스처 보관부(111)가 진동함에 따른 효과와 동일하다.
즉, 캡 보관부(131)가 진동되어 보관되는 캡(20)의 위치 및 방향이 변경됨으로써 간단한 형태의 캡 이송부(140)를 이용하더라도 캡(20)의 픽업이 가능하다.
캡 이송부(140)는 공급된 캡(20)을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캡 이송부(140)는 캡 보관부(131)에 보관된 캡(20)을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캡 이송부(140)의 일측은 캡(20)을 픽업하기 위한 '집게'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위치는 픽스처 이송부(120)가 픽스처(10)를 이송시키는 소정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일 수 있다.
한편, 캡 이송부(140)는 다관절 로봇 팔(Robot arm)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캡(20)을 이송시키는 경로 및 소정의 위치에 따라, 관절의 위치 및 이동 반경이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캡 이송부(140)는 캡 보관부(131)에 놓인 복수의 캡(20)을 스캔하는 캡 스캔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캡 이송부(140)는 캡 스캔부(141)를 통해 캡 보관부(131)에 놓인 복수의 캡(20)을 스캔한 후, 기설정된 방향 또는 형태로 놓인 어느 하나의 캡(20)을 픽업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방향 또는 형태는 캡 이송부(140)의 집게가 캡(20)을 픽업하여 고정 핀(151a)에 삽입하기 용이한 방향 또는 형태로서, 예를 들어, 캡(20)이 고정 핀(151a)에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하게 기립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캡 이송부(140)가 기립된 상태의 캡(20)을 픽업함으로써, 별도의 회전 동작없이 캡(20)을 그대로 고정 핀(151a)에 삽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캡 이송부(140)가 복잡한 구성을 가질 필요가 없다.
여기서, 캡 이송부(140)는 캡 스캔부(141)를 통해 스캔된 캡(20)의 방향에 기초하여 일측에 형성되는 '집게'를 회전시켜 캡(20)을 픽업할 수 있다.
한편, 캡 스캔부(141)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것과 달리, 캡 이송부(140)의 일측에 부착되어 캡 보관부(131)에 놓인 복수의 캡(20)을 스캔할 수도 있다.
조립부(150)는 소정의 위치에서 픽스처(10)와 캡(20)을 체결하여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조립부(150)는 소정의 위치에서 픽스처(10)와 캡(20)을 정렬하기 위한 고정 핀(151a)을 포함하는 정렬부(151), 정렬된 캡(20)과 픽스처(1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53), 고정 핀(151a)을 제어하는 고정 핀 제어부(155) 및 고정 핀(151a)이 추출된 위치에 볼트(30)를 삽입하여 정렬된 캡(20)과 픽스처(10)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전술한 픽스처 이송부(120) 및 캡 이송부(140)에 대해 설명하면, 전술한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10)를 픽업하여 픽스처(10)가 고정 핀(151a)에 삽입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캡 이송부(140) 역시, 캡(20)을 픽업하여 캡(20)이 고정 핀(151a)에 삽입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전술한 소정의 위치는 고정 핀(151a)이 놓인 정렬부(151)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픽스처 이송부(120) 및 캡 이송부(140)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각각 픽스처(10) 및 캡(20)을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캡 이송부(140)는 픽스처 이송부(120) 보다 먼저 캡(20)이 고정 핀(151a)에 삽입되도록 이송시킬 수 있으며,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10)를 픽업하여 캡(20)이 삽입된 고정 핀(151a)에 픽스처(10)가 삽입되도록 픽스처(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조립부(150)는 정렬부(151), 고정부(153), 고정 핀 제어부(155) 및 볼트 체결부(157)를 이용하여 정해진 순서에 따라 이송된 픽스처(10), 캡(20) 및 볼트(30)를 체결함으로써,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핀(151a)에 캡(20) 및 픽스처(10)가 차례로 삽입되면 고정부(153)는 캡(20) 및 픽스처(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153)는 정렬된 캡(20) 및 픽스처(10)의 양측면을 눌러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153)는 정렬된 캡(20) 및 픽스처(10)의 제 1 측면을 누르기 위한 제 1 고정부 및 제 1 측면의 반대면인 제 2 측면을 누르기 위한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고정 핀 제어부(155)는 캡(20) 및 픽스처(10)로부터 고정 핀(151a)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볼트 체결부(157)는 고정 핀(151a)을 추출한 위치에 볼트(30)를 삽입하여 볼트(30)를 이용하여 캡(20) 및 픽스처(10)를 체결할 수 있다.
볼트 체결부(157)는 볼트(30)를 삽입하기에 충분한 토크(Torque)를 발생시키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고정 핀 제어부(155)의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부(150)의 일측에 부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고정 핀 제어부(155)의 경우, 조립부(150)와 별도로 형성되어 고정 핀(151a)을 추출 할 수도 있다. 또한, 볼트 체결부(157) 역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부(150)와 별도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도록 한다.
배출부(160)는 조립부(150)에 의해 준비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출부(160)는 체인 컨베이어의 형태로 형성되어 컨베이어를 통해 준비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유의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배출부(160)는 준비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표면 처리 대상 제품 이송부(미도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처 보관부 및 캡 보관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처 보관부 및 캡 보관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스처 보관부(111)는 복수의 픽스처(10)를 보관할 수 있으며, 진동을 일으켜 보관된 복수의 픽스처(10)의 정렬 방향 및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픽스처 보관부(111)의 진동 주기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픽스처 보관부(111)가 소정 주기로 진동하여 보관된 복수의 픽스처(10)의 정렬 방향 및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픽스처 이송부(120)는 복수의 픽스처(10) 중 기설정된 방향으로 놓인 어느 하나의 픽스처(10)를 픽업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캡 보관부(131)는 복수의 캡(20)을 보관할 수 있으며, 진동을 일으켜 보관된 복수의 캡(20)의 정렬 방향 및 위치가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캡 보관부(131)의 진동 주기는 작업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즉, 캡 보관부(131)가 소정 주기로 진동하여 보관된 복수의 캡(20)의 정렬 방향 및 위치가 지속적으로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캡 이송부(140)는 복수의 캡(20) 중 캡 기설정된 방향으로 놓인 어느 하나의 캡(20)을 픽업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체결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의 체결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참조하면, 고정 핀 제어부(155)는 고정 핀(151a)을 준비할 수 있다. 즉, 고정 핀 제어부(155)는 고정 핀(151a)이 상술한 소정의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캡 이송부(140)는 캡(20)을 픽업하여 고정 핀(151a)에 삽입되도록 캡(20)을 이송시킬 수 있다. 이어서, 픽스처 이송부(120)는 픽스처(10)를 픽업하여 캡(20)이 삽입된 고정 핀(151a)에 픽스처(10)가 삽입되도록 픽스처(10)를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b)를 참조하면, 고정부(153)는 고정 핀(151a)에 삽입된 캡(20) 및 픽스처(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고정 핀 제어부(155)는 캡(20) 및 픽스처(10)에 삽입된 고정 핀(151a)을 추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의 (c)를 참조하면, 고정부(153)가 캡(20) 및 픽스처(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볼트 체결부(157)는 고정 핀(151a)을 추출한 위치에 볼트(30)를 삽입 및 체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픽스처(10), 캡(20) 및 볼트(30)를 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 체결부(157)는 고정 핀(151a)을 추출한 위치에 볼트(30)를 회전시키며 삽입할 수 있다.
즉, 조립부(15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로 픽스처(10), 캡(20) 및 볼트(30)를 체결함으로써,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방법은 먼저, 단계 S510에서 픽스처 공급부(110)는 픽스처를 공급한다.
단계 S520에서 픽스처 이송부(120)는 공급된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단계 S530에서 캡 공급부(130)는 픽스처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Cap)을 공급한다.
단계 S540에서 캡 이송부(140)는 공급된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킨다.
단계 S550에서 조립부(150)는 소정의 위치에서 픽스처와 캡을 체결하여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한다.
단계 S560에서 배출부(160)는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510 내지 S560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110: 픽스처 공급부
111: 픽스처 보관부
120: 픽스처 이송부
121: 픽스처 스캔부
130: 캡 공급부
131: 캡 보관부
140: 캡 이송부
141: 캡 스캔부
150: 조립부
151: 정렬부
151a: 고정핀
153: 고정부
155: 고정 핀 제어부
157: 볼트 체결부
160: 배출부

Claims (12)

  1. 임플란트용 픽스처(Fixture)의 표면 처리 장치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공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를 공급하는 픽스처 공급부;
    상기 공급된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픽스처 이송부;
    상기 픽스처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Cap)을 공급하는 캡 공급부;
    상기 공급된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캡 이송부;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체결하여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하는 조립부; 및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조립부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정렬하기 위한 고정 핀을 포함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로부터 상기 고정 핀을 추출하는 고정 핀 제어부; 및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핀이 추출된 위치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를 체결하는 볼트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픽스처가 놓이는 픽스처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처 보관부는 소정 주기로 진동되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 이송부는 상기 픽스처 보관부에 놓인 상기 복수의 픽스처를 스캔하는 픽스처 스캔부를 포함하고,
    상기 픽스처 이송부는 상기 스캔된 복수의 픽스처 중 기설정된 방향으로 놓인 어느 하나의 상기 픽스처를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공급부는 복수의 상기 캡이 놓이는 캡 보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보관부는 소정 주기로 진동되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이송부는 상기 캡 보관부에 놓인 상기 복수의 캡을 스캔하는 캡 스캔부를 포함하고,
    상기 캡 이송부는 상기 스캔된 복수의 캡 중 기설정된 방향으로 놓인 어느 하나의 상기 캡을 픽업하여 이송시키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이송부는,
    상기 고정 핀에 상기 캡이 삽입되도록 상기 캡을 이송시키고,
    상기 픽스처 이송부는
    상기 캡이 삽입된 고정 핀에 상기 픽스처가 삽입되도록 상기 픽스처를 이송시키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8. 삭제
  9. 임플란트용 픽스처(Fixture)의 표면 처리 장치로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공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픽스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픽스처의 일측에 체결되는 캡(Cap)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공급된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체결하여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표면 처리 대상 제품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 핀을 이용하여 상기 픽스처와 상기 캡을 정렬하는 단계;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를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로부터 상기 고정 핀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핀이 추출된 위치에 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정렬된 캡과 픽스처를 체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방법.
  10. 삭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을 상기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고정 핀에 상기 캡이 삽입되도록 상기 캡을 이송시키고,
    상기 픽스처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시키는 단계는
    상기 캡이 삽입된 고정 핀에 상기 픽스처가 삽입되도록 상기 픽스처를 이송시키는 것인,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방법.
  12. 삭제
KR1020190050873A 2019-04-30 2019-04-30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2147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73A KR102147698B1 (ko) 2019-04-30 2019-04-30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0873A KR102147698B1 (ko) 2019-04-30 2019-04-30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698B1 true KR102147698B1 (ko) 2020-08-26

Family

ID=72242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0873A KR102147698B1 (ko) 2019-04-30 2019-04-30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6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36B1 (ko) * 2008-07-14 2008-12-17 임무철 치아모형 고정핀 자동 체결장치
KR20110012568A (ko)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세라캠 유니버셜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인공치아 복합 가공방법
JP5507595B2 (ja) * 2012-02-17 2014-05-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を用いた物品組付け装置
KR101517570B1 (ko) * 2013-11-08 2015-05-06 (주)반도옵티칼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힌지부재 결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4636B1 (ko) * 2008-07-14 2008-12-17 임무철 치아모형 고정핀 자동 체결장치
KR20110012568A (ko) 2009-07-31 2011-02-09 주식회사 세라캠 유니버셜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인공치아 복합 가공방법
JP5507595B2 (ja) * 2012-02-17 2014-05-2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ロボットを用いた物品組付け装置
KR101517570B1 (ko) * 2013-11-08 2015-05-06 (주)반도옵티칼 합성수지 안경다리의 힌지부재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9607B2 (en) Method for designing a digital abutment for dental implant
US8142193B2 (en) Compound angular joint for connecting an abutment to a dental implant in a predefined angle
JP6820257B2 (ja) 歯の位置を修正することによってアライナーを修正するための方法
US805242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orthodontic wire
CN102869313A (zh) 牙科植体固定装置以及包含所述牙科植体固定装置的植体系统
KR102147698B1 (ko) 표면 처리 대상 제품 공급 장치 및 방법
KR101830019B1 (ko) 인공 치아
EP2567672A2 (en) Driver assembly with a driver and an abutment
CN105283148B (zh) 用于基牙附件的铣削坯料
KR101967710B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EP1254738A3 (en) Automated system for repairing components
WO2019211912A1 (ja) スキャン用治具ならびにインプラント等の空間的位置を特定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EP3375575B1 (fr) Procédé de commande d'une cellule de travail automatisée
US20210401549A1 (en) Digital scan body alignment method and device using the same
JP5525189B2 (ja) インプラント用骨誘導再生補助具
Rohner et al. New possibilities for reconstructing extensive jaw defects with prefabricated microvascular fibula transplants and ITI implants
KR101744447B1 (ko) 맞춤형 인공치아 제조 방법
JP2006238805A (ja) 接木苗製造装置
Mathews The pediculated connective tissue graft: a technique for improving unaesthetic implant restorations.
US5222892A (en) Laboratory attachment jig for prosthodontic restoration
JP2014534017A (ja) 歯科補綴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87095A1 (en) Dental implant with integrated scan body
KR101823099B1 (ko) 티타늄 소재의 베이스와 세라믹 소재의 크라운으로 구성된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KR102286790B1 (ko) 뼈 있는 다리살의 투입 시스템
KR20160116100A (ko) 임플란트 픽스츄어 코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