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659B1 -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659B1
KR102147659B1 KR1020200031239A KR20200031239A KR102147659B1 KR 102147659 B1 KR102147659 B1 KR 102147659B1 KR 1020200031239 A KR1020200031239 A KR 1020200031239A KR 20200031239 A KR20200031239 A KR 20200031239A KR 102147659 B1 KR102147659 B1 KR 102147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unit
hall sensor
upper plate
circula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옥
김상우
Original Assignee
(주)피스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피스월드 filed Critical (주)피스월드
Priority to KR1020200031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659B1/ko
Priority to EP20924103.3A priority patent/EP4120797A4/en
Priority to PCT/KR2020/004910 priority patent/WO2021182669A1/ko
Priority to JP2022528977A priority patent/JP7329289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1Barbecue tables, e.g. central grilling areas surrounded by an eating 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5Coil arrangements using supplementary conductive or ferromagnetic pie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며, 원형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상판부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피가열용기를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인덕션부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원형코일의 중심에 배치되는 홀센서부; 상기 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내부에 매립되는 자력부재가 상기 상판부의 상면 중 정합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홀센서부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피가열용기가 안착되는 멀티받침부;를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UNDER INDUCTION RANGE SYSTEM}
본 발명은 자기장을 이용하여 용기의 온도를 올려주는 인덕션 렌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탁 등의 테이블 아래 인덕션 렌지가 배치되는 언더 구조에서 용기까지의 높이에 따라 인덕션 렌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식의 조리를 위한 가열 장치로서, 전자 렌지, 가스 렌지, 오븐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실내 공기의 오염 문제, 실내 온도의 상승 문제 등의 이유로 최근 인덕션 렌지(Induction range)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인덕션 렌지는 유도 가열 방식을 채택한 가열 조리 기구로서, 높은 에너지 효율과 안정성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갖는다. 또한, 인덕션 렌지는 산소의 소모가 없고, 폐가스의 배출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인덕션 렌지는 고주파 전류를 흘리면 발생되는 자기력선이 인덕션 렌지의 상판 위에 놓인 전용 용기의 바닥을 통과할 때, 저항 성분에 의해 생성되는 와류 전류를 이용하여 전용 용기 자체만을 발열시킨다.
한편, 인덕션 렌지는 자기장이 미치는 범위가 비교적 협소하여 인덕션 렌지 자체의 상판 바로 위에 전용 용기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된다. 이와 달리, 기존 음식물에 의한 오염이나 손상 문제 등으로 그 설치 위치를 식탁의 하부로 변경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 설치 장소에 따라 그 장소에서 사용되는 식탁 등의 상판 두께가 가변적인 바, 코일과 전용 용기 사이의 거리가 적절한 가열 범위를 벗어나는 문제점이 종종 초래되었다. 또한, 코일과 전용 용기 사이의 거리는 다른 이유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는 인덕션 렌지에 무리를 가하는 것인 바, 내부 회로 부품의 손상 등의 내구성 저하, 인덕션 렌지의 열 효율의 저하 등의 후속적인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45993호 (2019.11.12.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34951호 (2019.12.05.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1332호 (2019.09.06.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식탁 등의 상판 두께 또는 인덕션 코일과 전용 용기 사이의 높이에 따라 인덕션 렌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인덕션의 적절한 동작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내구성 및 열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전용 용기가 안착되는 받침 부재를 사용하여, 인덕션 렌지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며, 원형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상판부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피가열용기를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인덕션부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원형코일의 중심에 배치되는 홀센서부; 상기 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내부에 매립되는 자력부재가 상기 상판부의 상면 중 정합영역에 위치하면, 상기 홀센서부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피가열용기가 안착되는 멀티받침부;를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인덕션부의 하우징 상판 내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자력부재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에서 측정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값은 상기 상판부의 두께를 의미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께에 따라 원형코일의 최대 출력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합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정합영역과 동심을 갖고, 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가동영역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력부재가 상기 가동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멀티받침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자력부재의 매립 위치를 표시하는 원형표식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형코일은 상기 인덕션부의 하우징 상판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식탁 등의 상판 두께 또는 인덕션 코일과 전용 용기 사이의 높이에 따라 인덕션 렌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인덕션의 적절한 동작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자동으로 차단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비접촉식 홀센서를 채택하여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정합영역을 형성하여, 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자력부재를 포함하는 멀티받침부를 채택하여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인덕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홀센서부를 통해 변환된 A/D값과 거리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
도 4는 도 1의 멀티받침부에 대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정합영역 및 가동영역에 대한 멀티받침부의 다양한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덕션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홀센서부를 통해 변환된 A/D값과 거리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이고, 도 4는 도 1의 멀티받침부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정합영역 및 가동영역에 대한 멀티받침부의 다양한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상판부(100), 인덕션부(200), 홀센서부(300), 제어부(400), 멀티받침부(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한 세트로서 에너지 효율성이 우수한 전용 피가열용기(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판부(100)는 인덕션부(200)가 설치되는 대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사용되는 식탁 등의 상판을 지시한다. 또한, 상판부(100)는 조리 가능하다면 반드시 식탁 등의 상판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판부(100)는 싱크대 등의 상판을 지시할 수 있다. 상판부(100)는 대리석, 나무, 유리 등의 비자성체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판부(100)는 상하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며, 미리 설정된 범위 내의 두께(t)를 갖는다. 이런, 상판부(100)는 상판부(100)의 재질에 따라 그 두께(t) 범위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상판부(100)의 두께(t)가 일정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인덕션부(200)가 작동되지 않도록 설계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본 시스템은 원형코일(210)과 피가열용기(600) 사이의 높이(거리)를 감지한 후,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 인덕션부(200)가 작동되도록 설계된다.
상판부(100)의 상면에는 사용자에게 화구의 위치를 안내하는 정합영역(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멀티받침부(500)가 상판부(100) 중 특정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정합영역(A)은 스티커를 통해 상판부(100)의 상면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합영역(A)은 음각에 의해 상판부(100)의 상면 표면에 반영구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정합영역(A)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정합영역(A)은 반경을 달리하는 복수 개의 동심원이 반복되는 모양일 수 있다.
상판부(100)의 상면에는 정합영역(A)과 동심을 갖고, 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가동영역(B)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영역(B)은 정합영역(A)과 그 용도 및 기능이 서로 구별되는 것으로 시각적 또는 비시각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인덕션부(200)는 자기장을 이용해 피가열용기(600) 자체에 열을 유도시키는 간접적 방식으로 피가열용기(600) 내의 음식물을 가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부(200)는 상판부(100)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며, 원형코일(210)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판부(100)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피가열용기(600)를 가열시킨다. 이런, 인덕션부(200)는 상판부(100)의 하면에 직접 부착되는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거나, 상판부(100)의 하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덕션부(200)는 원형코일(210), 인쇄회로기판(미도시), 홀센서부(300)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22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인덕션부(200)가 상판부(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이유로 종래 인덕션과 비교할 때, 원형코일(210)과 피가열용기(600)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d2)가 상대적으로 멀다. 한편, 원형코일(210)은 인덕션부(200)의 제한된 내부 공간에 장착된다.
그 결과,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코일(210)은 단위 면적에 턴(turn)수를 높여 피가열용기(600)에 대한 가열 효율을 극대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원형코일(210)은 원형판부(미도시)에 복수 회 이상 권취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원형코일의 중심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원형코일(210)은 인덕션부(200)의 하우징(220) 상판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형코일(210)과 피가열용기(600) 사이의 이격 거리(d2)를 최소화한다.
멀티받침부(500)의 자력부재(510)로 인해 그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홀센서부(300)는 자기장과 반응할 때 발생되는 소량의 전압을 검출한 후, 이를 트랜지스터를 통해 증폭하는 방법으로 센서 역할을 한다. 홀센서부(300)는 멀티받침부(500)를 이용하여 상판부(100)의 두께(t)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값을 검출할 수 있다. 이런, 홀센서부(300)는 인덕션부(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특히, 홀센서부(300)는 인덕션부(200)의 내부 공간 중 원형코일(210)의 중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홀센서부(300)는 인덕션부(200)의 하우징(220) 상판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원형코일(210)과 홀센서부(300)는 인덕션부(200) 내에서 동일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홀센서부(300)는 원형코일(210)의 중심에서 연직 상방 또는 연직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홀센서부(300)는 원형코일(210)의 중심을 수직 통과하는 가상의 선 위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시스템은 비접촉식 홀센서부(300)를 채택하여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홀센서부(300)는 홀센서(310), A/D변환부(320) 등을 포함한다. 홀센서(310)는 자력부재(510)의 자기장을 검출한다. 이런, 홀센서(310)는 Bipolar 타입으로 N극과 S극에 따른 자기장을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홀센서(310)는 자기장이 없는 경우, 인가되는 전압(Vdd)의 절반을 출력한다. 또한, 홀센서(310)는 S극과 N극에 따른 자기장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을 검출한다. 홀센서(310)는 전선 등을 통해 후술할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될 수 있다.
A/D변환부(320)는 홀센서(310)에서 측정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한편, 디지털 값은 마이컴에 의한 연산을 통해 홀센서부(300)와 자력부재(510) 사이의 거리(d1)로 환산될 수 있다. 이 때, 마이컴은 디지털 값과 메모리부(미도시)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호 비교하여 거리(d1)를 산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상판부(100)의 두께(t)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홀센서부(300)를 통해 변환된 A/D값과 그에 따른 홀센서부(300)와 자력부재(510) 사이의 거리(d1)를 보여준다. 여기서, A/D값은 마이컴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된 정수를 의미한다. 또한, A/D값은 자력부재(510)의 자극 방향에 따라 그 값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인덕션부(200)의 성능을 고려할 때, 일 실시예에 따른 홀센서부(300)와 자력부재(510) 사이의 거리(d1)는 1 내지 60m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홀센서부(300)는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원형수납부(2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원형수납부(230)는 하면 및 그 측면이 금속성 차폐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원형수납부(230)는 원형코일(210)의 중심에 배치되며, 원형판부(미도시)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원형수납부(230)는 원형코일(210)의 중심을 수직 통과하는 가상의 선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원형수납부(230)의 측면 상단은 인덕션부(200)의 하우징(220) 상판 내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인덕션부(200)는 홀센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한다. 제어부(400)는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전기 배선과 그 상면에 실장되는 반도체, 컨덴서, 저항 등의 회로 소자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인덕션부(200)는 예를 들어, 버튼식 또는 터치식 패널 등으로 형성되는 입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덕션부(200)는 동작 상태 등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알려주는 표시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멀티받침부(500)는 피가열용기(600)가 안착되는 받침면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멀티받침부(500)는 내열성은 높지만, 열 전달율은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멀티받침부(500)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대리석, 나무, 유리 등의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멀티받침부(5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피가열용기(6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용이하게 공기 중으로 방출되도록 가이드하는 방열홈(530)이 특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멀티받침부(500)는 내부에 매립되어 있는 자력부재(510)를 통해 인덕션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인덕션부(200)의 전원은 사용자에 의한 전원 버튼의 작동으로 On/Off 된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피가열용기(600)를 가열하기 위해 반드시 피가열용기(600) 하측에 멀티받침부(500)가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인덕션부(200)의 전원이 On인 상태에서 피가열용기(600)를 상판부(100)의 상면에 올려 놓더라도 인덕션부(200)는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인덕션부(200)의 전원이 On인 상태에서 피가열용기(600)를 상판부(100)의 상면 중 정합영역(A)이나 가동영역(B)에 올려 놓더라도 인덕션부(200)는 동작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받침부(500)는 내부에 매립되는 자력부재(510)가 상판부(100)의 상면 중 정합영역(A)에 위치하면 홀센서부(300)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에 따라 인덕션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멀티받침부(5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자력부재(510)의 매립 위치를 표시하는 원형표식(520)이 형성될 수 있다. 원형표식(520)은 상면 및 하면 중심에 방열홈(530)과 구별되도록 직접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원형표식(520)은 멀티받침부(500)의 상면 및 하면 중심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원형표식(520)은 정합영역(A)과 합치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자력부재(510)는 양단에 N극과 S극이 형성되는 자석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자력부재(510)에 의해 멀티받침부(500) 주변에 형성되는 자기력선은 멀티받침부(500)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자력부재(510)는 예를 들어, N극이 멀티받침부(500)의 상면을 대향하는 경우 S극이 하면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면과 N극 말단 사이의 거리는 하면과 자력부재(510)의 S극 말단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면과 N극 말단 사이의 거리와 하면과 자력부재(510)의 S극 말단 사이의 거리와 다를 수 있다. 즉, 자력부재(510)는 멀티받침부(500)의 어느 일면과 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형표식(520)이 정합영역(A)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멀티받침부(500)를 상판부(100)에 배치하면,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은 홀센서부(300)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을 통해 상판부(100)의 두께(t), 홀센서부(300)와 자력부재(510) 사이의 거리(d1), 홀센서부(300)와 피가열용기(600) 사이의 거리 중 어느 하나를 계산할 수 있다. 이 때,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제어부(400)는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상판부(100)의 두께(t)로 인해 원형코일(210)과 피가열용기(600)의 바닥면 사이의 이격 거리(d2)가 적정 거리를 초과하는 경우, 본 시스템에는 성능의 저하 문제 뿐만 아니라, 고장 등에 따른 내구성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표시부(250)에는 에러(error) 코드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홀센서부(300)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이 복수 회 이상 반복 검출되는 경우, 제어부(400)는 홀센서부(300)를 통해 더 이상 측정값을 검출하지 않도록 미리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값은 상판부(100)의 두께(t)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400)는 상판부(100)의 두께(t)에 따라 원형코일(210)의 최대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시스템은 인덕션부(200)에 내장되는 회로 부품의 과열과 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력부재(510)가 가동영역(B)을 이탈하면, 제어부(400)는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자력부재(510)가 가동영역(B) 이내에 위치하면, 제어부(400)는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유지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받침부(500)를 상판부(100)에 배치할 때, 원형표식(520)을 사용하여 자력부재(510)가 가동영역(B) 내외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즉, a) 원형표식(520)이 정합영역(A)과 정확하게 일치하는 경우, b) 원형표식(520)이 정합영역(A)과 가동영역(B)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c) 원형표식(520)이 정합영역(A) 밖의 가동영역(B)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어부(400)는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유지시킨다. 이 때, 본 시스템은 a)의 경우 열 효율이 최대화된다. 그러나, d) 원형표식(520)이 가동영역(B)을 벗어나는 경우, 제어부(400)는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킨다.
a) 내지 c)의 경우, 멀티받침부(500)의 상면에 피가열용기(600)를 올려 놓으면 인덕션부(200)는 비로소 가열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인덕션부(200)에 배치되는 전원 버튼을 제1전원스위치라고 한다면, 멀티받침부(500)는 이와 별개로 사용상 안전을 위해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을 이중으로 제어하는 제2전원스위치와 같다. 즉, 원형코일(210)로 공급되는 전력은 제1전원스위치와 제2전원스위치가 모두 On인 상태에서 작동, 유지된다. 이 때, 원형코일(21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은 상판부(100)와 멀티받침부(500)를 투과하여 피가열용기(600)에 작용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상판부 200: 인덕션부
300: 홀센서부 400: 제어부
500: 멀티받침부 600: 피가열용기
210: 원형코일 220: 하우징
230: 원형수납부 310: 홀센서
320: A/D변환부 A: 정합영역
B: 가동영역 510: 자력부재
520: 원형표식 530: 방열홈
240: 입력부 250: 표시부

Claims (8)

  1.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측에 고정 배치되며, 원형코일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을 통해 상기 상판부의 상부 공간에 위치하는 피가열용기를 가열시키는 인덕션부;
    상기 인덕션부의 내부 공간 중 상기 원형코일의 중심에 배치되는 홀센서부;
    상기 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
    내부에 매립되는 자력부재가 상기 상판부의 상면 중 정합영역에 일치되도록 위치하면, 상기 홀센서부를 통해 검출되는 측정값에 따라 상기 인덕션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피가열용기가 안착되는 멀티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정값을 통해 상판부의 두께, 상기 홀센서부와 상기 자력부재 사이의 거리, 상기 홀센서부와 상기 피가열용기 사이의 거리 중 어느 하나를 계산하며, 상기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센서부는
    상기 인덕션부의 하우징 상판 내면에 접촉 배치되며, 상기 자력부재의 자기장을 검출하는 홀센서; 및
    상기 홀센서에서 측정된 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A/D변환부;를 포함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측정값에 따라 원형코일의 최대 출력을 조절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상판부의 상면에는 상기 정합영역과 동심을 갖고, 보다 더 큰 반경을 갖는 가동영역이 형성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부재가 상기 가동영역을 이탈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형코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시키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받침부의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자력부재의 매립 위치를 표시하는 원형표식이 형성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코일은 상기 인덕션부의 하우징 상판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KR1020200031239A 2020-03-13 2020-03-13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KR102147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39A KR102147659B1 (ko) 2020-03-13 2020-03-13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EP20924103.3A EP4120797A4 (en) 2020-03-13 2020-04-10 SUB-INDUCTION COOKER SYSTEM
PCT/KR2020/004910 WO2021182669A1 (ko) 2020-03-13 2020-04-10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JP2022528977A JP7329289B2 (ja) 2020-03-13 2020-04-10 アンダー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システ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239A KR102147659B1 (ko) 2020-03-13 2020-03-13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659B1 true KR102147659B1 (ko) 2020-08-25

Family

ID=7229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239A KR102147659B1 (ko) 2020-03-13 2020-03-13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120797A4 (ko)
JP (1) JP7329289B2 (ko)
KR (1) KR102147659B1 (ko)
WO (1) WO202118266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35A1 (ko) * 2021-10-01 2023-04-06 (주)피스월드 스마트 패드에 의해 안전성을 강화시킨 언더 인덕션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476A (ja) * 2009-09-03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20180082858A (ko) * 2017-01-11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속 가이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KR20190063881A (ko) * 2017-11-30 2019-06-10 (주)피스월드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KR102021332B1 (ko) 2016-12-09 2019-09-16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덕션렌지용 발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렌지
KR102045993B1 (ko) 2017-06-30 2019-11-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덕션 레인지의 용기 검지 시스템
KR20190134951A (ko) 2018-05-25 2019-12-05 김영봉 인덕션 전자렌지 및 인덕션 전자렌지의 센서 가이드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9489A (ja) * 1987-04-27 1988-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厨房装置
JP2000182762A (ja) 1998-12-14 2000-06-30 Daiun:Kk 電磁調理テーブル、電磁調理テーブルにおける調理器具の位置決め方法及び電磁調理テーブル用天板
JP2005038741A (ja) 2003-07-16 2005-02-10 Zojirushi Corp 加熱調理器
JP2012102996A (ja) 2011-12-12 2012-05-31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装置
KR101757336B1 (ko) * 2014-07-25 2017-07-12 김강수 인덕션 레인지의 안전부재
KR101597173B1 (ko) * 2015-12-30 2016-02-24 (주) 돌핀 언더레인지를 포함하는 인덕션 렌지용 화재발생차단장치
JP6223481B2 (ja) 2016-01-08 2017-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および温度検知装置
DE102017220824A1 (de) * 2017-11-22 2019-05-23 Arpa Sasu Verfahren zum induktiven Beheizen eines induktiv beheizbaren Kochgefäßes, Übertragungsuntersetzer und induktives Kochgerät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4476A (ja) * 2009-09-03 2011-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2021332B1 (ko) 2016-12-09 2019-09-16 주식회사 아모센스 인덕션렌지용 발열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인덕션렌지
KR20180082858A (ko) * 2017-01-11 2018-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속 가이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KR102045993B1 (ko) 2017-06-30 2019-11-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인덕션 레인지의 용기 검지 시스템
KR20190063881A (ko) * 2017-11-30 2019-06-10 (주)피스월드 언더렌지 작동 활성화 장치
KR20190134951A (ko) 2018-05-25 2019-12-05 김영봉 인덕션 전자렌지 및 인덕션 전자렌지의 센서 가이드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35A1 (ko) * 2021-10-01 2023-04-06 (주)피스월드 스마트 패드에 의해 안전성을 강화시킨 언더 인덕션 시스템
KR20230047678A (ko) * 2021-10-01 2023-04-10 (주)피스월드 스마트 패드에 의해 안전성을 강화시킨 언더 인덕션 시스템
KR102546615B1 (ko) 2021-10-01 2023-06-22 (주)피스월드 스마트 패드에 의해 안전성을 강화시킨 언더 인덕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29289B2 (ja) 2023-08-18
EP4120797A1 (en) 2023-01-18
JP2023502240A (ja) 2023-01-23
EP4120797A4 (en) 2023-08-23
WO2021182669A1 (ko)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29120A2 (en) Device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a food cooking container on a cooking hob
KR20140124106A (ko) 인덕션레인지
HK1068764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KR20180096082A (ko)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3531799B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uction heating device
AU2015311645A1 (en) Induction cooking appliance
US6815648B2 (en) Contact sensor arrangements for glass-ceramic cooktop appliances
US6417496B1 (en) Modular heating unit for cooktops
KR20190001199A (ko) 유도 가열 장치
KR102147659B1 (ko) 언더 인덕션 렌지 시스템
KR20190001201A (ko) 용기 감지 센서 및 용기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US20140027439A1 (en) Cook top grate as utensil size/presence detector
US6403932B1 (en) Controller for a heating unit in a cooktop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20210105225A (ko) 가열 안정성을 향상시킨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US20220279630A1 (en) Under-induction range system
KR20200007074A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69581B1 (ko) 유도 가열 장치 및 유도 가열 장치의 제어 방법
JP2006079916A (ja) 誘導加熱調理器
KR20190001202A (ko) 유도 가열 장치
EP3448117A1 (en) Control system, induction cooker and method
KR102546615B1 (ko) 스마트 패드에 의해 안전성을 강화시킨 언더 인덕션 시스템
JP2005353533A (ja) 誘導加熱調理器
EP1217874A2 (en) Controller for a heating unit in a cooktop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KR20210092044A (ko) 전기 쿡탑
EP3503672B1 (en) Induction cookt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