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7163B1 - 미세먼지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7163B1
KR102147163B1 KR1020190057376A KR20190057376A KR102147163B1 KR 102147163 B1 KR102147163 B1 KR 102147163B1 KR 1020190057376 A KR1020190057376 A KR 1020190057376A KR 20190057376 A KR20190057376 A KR 20190057376A KR 102147163 B1 KR102147163 B1 KR 102147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unit
air
condensed water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호
이정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아이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아이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아이앤이
Priority to KR102019005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7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7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7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6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 G01N15/0618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collecting particles on a support of the filter type
    • G01N15/0631Separation of liquids, e.g. by absorption, wi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2001/228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with cool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4Suction devices
    • G01N2001/247Syrin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2015/0288Sorting the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6High temperature; Heat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22Temperature
    • G01N2203/0228Low temperature; Cool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먼지 흡입부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수분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분을 응축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에서 수분이 분리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및 상기 제습부에서 미세먼지와 분리되어 응축된 응축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응축수를 기화시켜 배출하는 증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하부에 배치된 미세먼지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수로 변환시켜 미세먼지와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된 미세먼지에 대해 냉각을 통해 수분과 미세먼지를 분리하고, 미세먼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상태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세먼지 측정 장치{MEASURING DEVICE OF FINE PARTICLE}
본 발명은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양을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성분을 가지는 대기 중 부유물질이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인체가 노출되는 경우,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는 원인이 될 수 있고, 사망률이 높아질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에서 1995년부터 10㎛(PM 10) 크기의 미세먼지를 새로운 대기오염물질로 규제하고 있으며, 2015년부터 2.5㎛(PM 2.5) 크기의 미세먼지에 대한 규제도 추가로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대해 대기 중에 얼마나 있는지를 측정하는 기술은, 광산란법(light scattering method), 베타선(beta gauge) 측정법, 중량법 등이 있다.
광산란법은 산란광의 양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입자상 물질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베타선 측정법은 필터에 포집된 미세먼지에 베타선을 투과시키고, 베터선이 미세먼지를 투과하면서 발생하는 변화량을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농도를 구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중량법은 필터에 공기를 통과시키고, 그 과정에서 포집된 미세먼지 중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때, 중량법이나 베터선 측정법의 경우, 주변 환경의 온도와 습도가 측정 결과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최적의 온도 및 습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미세먼지 측정을 위해 주변 환경의 온도 및 습도를 최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특히, 최적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5990호 (2017.09.20.)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2596호 (2018.06.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미세먼지를 측정할 때, 미세먼지에 포함된 습도를 제거하여 습도가 제거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는,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먼지 흡입부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수분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분을 응축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에서 수분이 분리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및 상기 제습부에서 미세먼지와 분리되어 응축된 응축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응축수를 기화시켜 배출하는 증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하부에 배치된 미세먼지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수로 변환시켜 미세먼지와 분리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는 상기 제습부의 하부 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습부에서 수분과 분리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부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부는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상부에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증발부는, 유입된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 가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상기 증발부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상기 증발부로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발부는 상기 가열부에 포함된 제1 가열기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열기는, 상기 가열부와 함께 증발부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와 증발부를 연결하는 응축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관은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습부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증발부로 이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습부의 일 측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된 미세먼지에 대해 냉각을 통해 수분과 미세먼지를 분리하고, 미세먼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한 상태의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 흡입부를 제습부보다 하부에 배치함에 따라 실외에 설치하더라도 비가 오는 등의 날씨와 무관하게 실외의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00)는, 미세먼지 흡입부(110), 제습부(120), 가열부(130), 미세먼지 측정부(140) 및 증발부(150)를 포함한다.
미세먼지 흡입부(110)는 제습부(1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주변의 공기가 유입되며, 공기의 유입으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흡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이렇게 미세먼지 흡입부(110)가 제습부(12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비가 오는 등의 날씨와 무관하게 실외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흡입부(110)에는 공기가 유입될 때, 벌레나 해충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미세먼지가 흡입되는 입구에 다수의 홀이 형성된 망이나 네트가 설치될 수 있다.
제습부(120)는 미세먼지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에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습부(120)는 미세먼지 흡입부(110)보다 상부에 배치됨에 따라 미세먼지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제습부(120)를 채우고, 제습부(120)를 채운 공기를 냉각하여 응축수를 생성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습부(120)의 주변에 냉각기(122)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기(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20)의 외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습부(120) 내를 냉각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냉각기(122)는 제습부(12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냉각기(122)에 의해 제습부(120) 내부가 냉각되어 응축수가 생성되면, 생성된 응축수는 미세먼지와 분리되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습부(120)는 냉각에 의해 미세먼지와 결합된 수분을 제거하는 것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에 따라 제습부(120)를 냉각하는 방식과 함께 실리카 겔 등의 제습물질이 같이 이용될 수도 있다.
제습부(120)에서 냉각기(122)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에 결합된 수분을 냉각하는 것은, 공기를 저온으로 냉각함에 따라 수분이 과포화상태가 되어 응축되어 액체 상태의 응축수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공기 중의 절대습도를 낮출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흡입부(110)가 제습부(12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미세먼지 흡입부(110)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면, 제습부(120)의 낮은 온도에 의해 유입된 미세먼지에 결합된 수분이 응축수로 바로 변환될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 흡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미세먼지와 결합된 수분은 빠르게 미세먼지와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흡입부(110)는 제습부(120)의 하부 측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제습부(120)의 측면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미세먼지 흡입부(110)가 배치되는 위치는 제습부(120)의 하부 측면 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130)는 제습부(120)를 거쳐 수분과 분리된 미세먼지가 유입되고, 유입된 미세먼지를 가열하여 미세먼지에 결합된 수분을 증발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습부(120)와 미세먼지 측정부(140)를 연결한 통로의 외주면을 열선 등으로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30)에는 외측에 제1 가열기(13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열기(132)는 가열부(130)의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열풍기가 이용될 수 있고, 또한, 가열부(130)의 주변을 감싸는 열선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제1 가열기(132)는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으며, 가열부(130)의 내부를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할 수 있으면 어떤 종류든 이용될 수 있다.
이렇게 가열부(130)에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상대습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열부(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즉, 제습부(120)를 거쳐 절대습도가 낮아진 상태로 미세먼지 측정부(140)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절대습도가 낮아진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부(140)는 본 실시예에서, 공기 중에 포함됨 미세먼지의 중량을 측정하여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광산란법이나 베타선 측정법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농도는 ㎍/㎣의 단위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측정부(140)는 제습부(120)를 거치면서(또는 가열부(130)도 함께 거치면서), 절대습도(또는 상대습도도 함께)가 낮아진 상태에서,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공기 중의 실제 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세먼지에 수분이 결합된 상태에서, 미세먼지 측정부(140)로 유입되면, 실제 미세먼지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무게가 측정되기 때문에 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정확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미세먼지 측정부(140)는 측정될 수 있다.
이렇게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측정된 미세먼지 농도는 측정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완료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완료된 공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대습도(또는 상대습도도 함께)가 낮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매우 건조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절대습도(또는 상대습도도 함께)가 낮은 공기를 증발부(15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미세먼지 측정부(140)에는 송풍기(142)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142)는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증발부(15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송풍기(142)는 미세먼지 측정부(140)에 설치되어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증발부(150)로 공급하는데, 송풍기(142)가 구동됨에 따라 미세먼지 흡입부(110)에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142)는 미세먼지 흡입부(110)로 유입되는 공기가 빠르게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저속으로 구동되거나 또는 일정 시간 간격마다 일시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증발부(150)는 제습부(120)에서 미세먼지와 분리된 응축수가 유입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미세먼지 흡입부(110)로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서 분리된 응축수가 바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증발부(150)는 미세먼지 흡입부(1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증발부(150)의 상부는 응축수가 관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증발부(150)는 자연 상태에서, 응축수가 기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증발부(150)에 제2 가열기(152)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가열기(152)는 증발부(150)가 열을 가하여 증발부(150)로 유입된 응축수가 빠르게 증발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가열기(152)는 제1 가열기(132)와 같이, 열풍기가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증발부(150)에 설치된 열선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외에 다양한 종류의 가열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가열기(152)는 본 실시예에서, 증발부(150)의 하부 외측에 배치된 것에 대해 설명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증발부(15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증발부(150)에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건조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공급된 공기는 제습부(120)와 가열부(130)를 거치면서 절대습도와 상대습도가 낮아진 상태이므로, 이렇게 절대습도 및 상대습도가 낮아진 공기가 증발부(150)에 유입됨에 따라 응축수가 증발되는 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증발부(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20) 및 미세먼지 흡입부(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습부(120)에서 생성된 응축수가 자중에 의해 하부로 떨어지면서 증발부(15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렇게 증발부(150)로 응축수가 유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 가열기(152)와 함께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건조된 공기가 공급됨 따라 증발부(150)에 포함된 응축수는 보다 빠르게 증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응축수가 쌓여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증발부(150)에는 응축수가 증발되어 기화된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54)는 본 실시예에서, 증발부(15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배출구(154)를 통해 응축수는 배출되지 않고, 기화된 공기만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측정 장치(100)는, 미세먼지 흡입부(110), 제습부(120), 가열부(130), 미세먼지 측정부(140) 및 증발부(1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미세먼지 흡입부(110)는 제습부(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미세먼지 흡입부(110)로 유입된 공기는 제습부(120)의 내부를 채우도록 제습부(12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제습부(120)는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입된 공기를 냉각시켜 미세먼지와 수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수분이 응축수로 변환되어 하부로 떨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미세먼지 흡입부(110)가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미세먼지 흡입부(110)로 유입된 공기에서 미세먼지와 결합된 수분이 바로 응축수로 변환되어 하부로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습부(120)의 하부에 떨어진 응축수는 제습부(120)와 증발부(150)를 연결하는 응축수관(CP)을 통해 증발부(15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습부(120)의 하부에 응축수관(CP)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제습부(120)의 하부가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제습부(120)의 하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습부(120)에서 하부로 떨어진 응축수가 응축수관(CP)을 통해 증발부(150)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습부(120)의 주변에 냉각기(122)가 설치될 수 있으며, 냉각기(122)가 구동됨에 따라 제습부(120)의 내부 온도를 낮춰 미세먼지에 결합된 수분은 과포화되어 응축수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제습부(120)의 일 측면에 가열부(130)가 배치되고, 제습부(120)에서 수분이 분리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가열부(130)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120)와 가열부(130)는 이동관(AP)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가열부(130)는 제습부(120)의 일 측의 위치에 제습부(120)와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130)는 제1 가열기(132)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열기(132)는 가열부(130)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고, 또는 필요에 따라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가열부(130)에 설치된 제1 가열기(132)는 가급적 하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가열기(132)가 가열부(13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제1 가열기(132)는 가열부(130) 및 증발부(150)에 각각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130)의 하부에 증발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
가열부(130)의 하부에 증발부(150)가 배치됨에 따라 가열부(130)에 설치된 제1 가열기(132)는, 가열부(130)와 함께 증발부(150)를 가열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증발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제1 가열기(132)가 배치되고, 하부에 제2 가열기(15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증발부(150)로 유입된 응축수는 제1 가열기(132), 제2 가열기(152) 및 미세먼지 측정부(140)에서 공급된 건조된 공기에 의해 보다 빠르게 기화될 수 있다. 이렇게 응축수가 기화된 공기는 배출구(15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제2 가열기(152)는 생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가열기(132)가 가열부(130)와 증발부(150)를 함께 가열하기 때문에 제2 가열기(152)를 생략한 상태에서 증발부(150)로 유입된 응축수를 효과적으로 기화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세먼지 측정 장치
110: 미세먼지 흡입부
120: 제습부
122: 냉각기
130: 가열부
132: 제1 가열기
140: 미세먼지 측정부
142: 송풍기
150: 증발부
152: 제2 가열기
154: 배출구
AP: 이동관
CP: 응축수관

Claims (10)

  1.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는 미세먼지 흡입부가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에서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와 수분을 분리하며, 분리된 수분을 응축하는 제습부;
    상기 제습부에서 수분이 분리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에서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측정부; 및
    상기 제습부에서 미세먼지와 분리되어 응축된 응축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응축수를 기화시켜 배출하는 증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습부는 상기 하부에 배치된 미세먼지 흡입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냉각하여 수분을 응축수로 변환시켜 미세먼지와 분리하며,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상기 증발부로 공급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는 상기 제습부의 하부 측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에서 수분과 분리된 미세먼지가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부의 내부를 가열하기 위한 제1 가열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습부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상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유입된 응축수를 가열하는 제2 가열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측정부는 상기 증발부로 미세먼지 농도의 측정이 완료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상기 가열부에 포함된 제1 가열기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열기는, 상기 가열부와 함께 증발부를 가열하는 미세먼지 측정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와 증발부를 연결하는 응축수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관은 상기 미세먼지 흡입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습부에 의해 생성된 응축수가 상기 증발부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미세먼지 측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제습부의 일 측에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0190057376A 2019-05-16 2019-05-16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147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76A KR102147163B1 (ko) 2019-05-16 2019-05-16 미세먼지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376A KR102147163B1 (ko) 2019-05-16 2019-05-16 미세먼지 측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7163B1 true KR102147163B1 (ko) 2020-08-25

Family

ID=7224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376A KR102147163B1 (ko) 2019-05-16 2019-05-16 미세먼지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716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9395B1 (ko) 2021-01-13 2021-03-18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컴프레서 방식 제습을 통한 습도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방법
KR102229385B1 (ko) 2021-01-13 2021-03-18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펠티어 소자 방식 제습을 통한 습도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방법
KR20210076868A (ko) 2019-12-16 2021-06-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KR20230085248A (ko) 2021-12-06 2023-06-14 주식회사 효광 미세먼지 감지모듈 및 저감장치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6014A (ja) * 1998-11-13 2000-07-28 Horiba Ltd ガス分析用除湿器
JP3362255B2 (ja) * 1998-01-27 2003-01-07 ラプレット アンド パタシュニック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粒状物質を測定するためのガス流調整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3981687B2 (ja) * 2002-04-24 2007-09-26 エムエスピー・コーポレーション 小型で高効率の凝結核計数器
KR100922630B1 (ko) * 2008-06-12 2009-10-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수분제거장치
KR101706995B1 (ko) * 2015-09-24 2017-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상 물질에 함유된 물(h2o)을 서리상으로 상변화시켜 물(h2o)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023366A (ko) * 2015-08-21 2017-03-03 (주)에이치시티 응축핵 입자 계수기
KR20170105990A (ko) 2016-03-11 2017-09-20 김중구 미세먼지 측정용 항온 항습기
JP2017223560A (ja) * 2016-06-15 2017-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粒子検出センサ
KR20180062596A (ko) 2016-12-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미세먼지센서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KR20180134194A (ko) * 2017-06-08 2018-12-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 및 수분 배출방법
KR20190009565A (ko) * 2017-07-19 2019-01-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 및 수분 배출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2255B2 (ja) * 1998-01-27 2003-01-07 ラプレット アンド パタシュニック カンパニ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粒状物質を測定するためのガス流調整器、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0206014A (ja) * 1998-11-13 2000-07-28 Horiba Ltd ガス分析用除湿器
JP3981687B2 (ja) * 2002-04-24 2007-09-26 エムエスピー・コーポレーション 小型で高効率の凝結核計数器
KR100922630B1 (ko) * 2008-06-12 2009-10-22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수분제거장치
KR20170023366A (ko) * 2015-08-21 2017-03-03 (주)에이치시티 응축핵 입자 계수기
KR101706995B1 (ko) * 2015-09-24 2017-02-15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기체상 물질에 함유된 물(h2o)을 서리상으로 상변화시켜 물(h2o)을 제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70105990A (ko) 2016-03-11 2017-09-20 김중구 미세먼지 측정용 항온 항습기
JP2017223560A (ja) * 2016-06-15 2017-12-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粒子検出センサ
KR20180062596A (ko) 2016-12-01 2018-06-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미세먼지센서의 수분 유입 방지 장치
KR20180134194A (ko) * 2017-06-08 2018-12-1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 및 수분 배출방법
KR20190009565A (ko) * 2017-07-19 2019-01-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오염 측정 분석을 위한 수분 전처리 장치 및 수분 배출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6868A (ko) 2019-12-16 2021-06-24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출가스의 여과성/응축성 초미세먼지 분류에 의한 통합농도 측정시스템
KR102229395B1 (ko) 2021-01-13 2021-03-18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컴프레서 방식 제습을 통한 습도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방법
KR102229385B1 (ko) 2021-01-13 2021-03-18 주식회사 필라스크리에이션 펠티어 소자 방식 제습을 통한 습도 보정 기능을 구비하는 미세먼지 자동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미세먼지 측정 방법
KR20230085248A (ko) 2021-12-06 2023-06-14 주식회사 효광 미세먼지 감지모듈 및 저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7163B1 (ko) 미세먼지 측정 장치
JP4369965B2 (ja) エアロゾルの測定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147164B1 (ko) 미세먼지 측정 장치
KR102157179B1 (ko) 대기 미세 먼지 측정 시스템
Exell Basic design theory for a simple solar rice dryer
US20190145874A1 (en) Thermophoretic particle detection system with variable channel geometry
CN102439414A (zh) 结露试验装置及结露试验方法
ES2614104T3 (es)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de polen bruto
KR200484692Y1 (ko) 확인된 공기 흐름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및 확인된 공기 흐름의 입자 농도 측정에서의 그러한 장치의 용도
CN107860077A (zh) 恒湿机
KR20170105990A (ko) 미세먼지 측정용 항온 항습기
US514871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relative humidity of gaseous materials
TW201338845A (zh) 揮發性有機物處理方法及裝置
SE502635C2 (sv) Sätt och anläggning för att öka utbytet av en lufttorkprocess
JP2004028421A (ja) 産業用空調装置
CN110631971A (zh) β射线颗粒物监测仪的去除干扰装置及方法
ten Brink et al. A high-flow humidograph for testing the water uptake by ambient aerosol
CN104154723A (zh) 一种煤样干燥装置及干燥方法
CN107764035A (zh) 用于对干燥工艺中的空气进行再循环的方法和布置
CN109959552A (zh) 一种烘干测试装备
CN102247707A (zh) 一种嵌入式抽湿杀菌装置
JP5466599B2 (ja) 湿球温度計
NL2016422B1 (nl) Luchtcirculatiesysteem, warenhuis voorzien van een dergelijk luchtcirculatie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ontvochtigen van lucht.
CN104898726B (zh) 采用红外测湿的湿度控制系统
US3134259A (en) Dew-point temperature sensi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