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956B1 - 기능성 꼬치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꼬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956B1
KR102146956B1 KR1020190019204A KR20190019204A KR102146956B1 KR 102146956 B1 KR102146956 B1 KR 102146956B1 KR 1020190019204 A KR1020190019204 A KR 1020190019204A KR 20190019204 A KR20190019204 A KR 20190019204A KR 102146956 B1 KR102146956 B1 KR 10214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kewer
cutting
food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김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수 filed Critical 김현수
Priority to KR1020190019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꼬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이 꽂히는 막대형 부재로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팅 슬릿(cutting slit)이 형성되는 꼬치 샤프트; 및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커팅 슬릿을 커팅할 때 사용되는 샤프트 커팅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능성 꼬치대{Functional skewering tool}
본 발명은, 기능성 꼬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꼬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꼬치대를 이용한 음식, 특히 길거리 음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길이가 긴 대형 꼬치대가 등장하고 있다. 예컨대, 대형 닭꼬치, 회오리 감자, 빅사이즈 핫도그 등의 음식을 꿰기 위해 대형 꼬치대가 사용되고 있다.
종전의 작은 꼬치대는 길이가 짧아서 사용에 불편함이 없었다. 하지만, 대형 꼬치대의 경우에는 그 길이가 상당해서 상단의 음식 조각을 떼어먹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하단의 남아있는 음식 조각을 먹는 데는 꽤 불편함이 있다.
만약, 꼬치대 하단의 음식 조각을 먹기 위해 꼬치대 앞쪽을 무리하게 입에 넣으면 꼬치대 앞쪽의 뾰족한 부분으로 인해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대게는 꼬치대 앞부분을 손으로 부러뜨리거나 혹은 꼬치대 하단의 남아있는 음식 조각을 옆으로 해서 입으로 뜯어 먹는다.
하지만, 꼬치대를 그냥 부러뜨리기는 쉽지 않다는 점에서 꼬치대를 강제로 부러뜨리거나 음식 조각을 옆으로 뜯어 먹으면 손이나 입, 혹은 옷에 음식이 묻어 닦아 내야 하는 또 다른 불편함이나 번거로움이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기능성 꼬치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4-002984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6-004273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1999-001102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13-00076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꼬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식이 꽂히는 막대형 부재로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팅 슬릿(cutting slit)이 형성되는 꼬치 샤프트; 및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커팅 슬릿을 커팅할 때 사용되는 샤프트 커팅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꼬치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꼬치 샤프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꼬치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벽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삽입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꼬치 샤프트의 단면적보다 넓은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은,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보스; 상기 고정 보스에 결합하는 보스 스크루; 및 상기 보스 스크루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교차하게 형성되는 측면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팅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100)는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꼬치 샤프트(110)와 샤프트 커팅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꼬치 샤프트(110)는 음식이 꽂히는 막대형 부재이다. 즉 꼬치 샤프트(110)에 대형 닭꼬치, 회오리 감자, 빅사이즈 핫도그 등의 음식이 꽂힌다. 음식이 잘 꽂히도록 꼬치 샤프트(110)는 선단부(111)로 갈수록 뾰족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꼬치 샤프트(110)는 나무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지만, 독성이 없는 플라스틱으로 꼬치 샤프트(110)를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작은 꼬치대(미도시)는 길이가 짧아서 사용에 불편함이 없지만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것과 같은 꼬치 샤프트(110)는 그 길이가 상당해서 상단의 음식 조각을 떼어먹는 데는 문제가 없으나 하단의 남아있는 음식 조각을 먹는 데는 꽤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선단부(111)가 뾰족하기 때문에 꼬치 샤프트(110)의 하단에 남아있는 음식 조각을 먹기 위해 꼬치 샤프트(110)의 선단부(111)를 무리하게 입에 넣으면 뾰족한 부분으로 인해 사고 위험이 존재한다. 이때는 무리하지 말고, 길이가 긴 꼬치 샤프트(110)를 일정 부분씩 커팅(cutting)하면 된다.
꼬치 샤프트(110)를 커팅하기 위하여 꼬치 샤프트(110)의 측면에 다수의 커팅 슬릿(cutting slit, 120)이 형성된다. 커팅 슬릿(120)은 홈 형태로서 커팅이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에는 복수의 커팅 슬릿(120)이 형성되고 있으나 하나의 커팅 슬릿(12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커팅 슬릿(120)은 손으로 부러뜨려도 되지만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커팅할 수 있도록 샤프트 커팅 유닛(130)이 적용된다.
샤프트 커팅 유닛(130)은 꼬치 샤프트(11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커팅 슬릿(120)을 커팅할 때 사용된다.
예컨대, 샤프트 커팅 유닛(130)이 다수 무게가 나가기 때문에 도 2의 상태 그대로에서 샤프트 커팅 유닛(130)을 잡고 원하는 커팅 슬릿(120)을 커팅하더라도 지렛대의 원리로써 꼬치 샤프트(110)가 쉽게 커팅될 수 있다.
하지만, 좀 더 쉽게 커팅 슬릿(120)을 통해 꼬치 샤프트(110)를 커팅하고자 할 때는 샤프트 커팅 유닛(130)을 꼬치 샤프트(110)에서 분리한 후, 샤프트 커팅 유닛(130)에 형성되는 관통홀(131)을 꼬치 샤프트(110)의 선단부(111)로 집어넣고, 커팅 대상의 커팅 슬릿(120)에 샤프트 커팅 유닛(130)을 배치한 다음, 꼬치 샤프트(110)를 커팅하면 된다.
그러면 단순히 힘으로 꼬치 샤프트(110)를 커팅하는 것에 비해 손쉽게 꼬치 샤프트(110)를 커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손이나 옷에 음식이 묻는 것을 저지하면서 꼬치 샤프트(110)를 커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정면도, 도 6은 도 5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200) 역시, 복수의 커팅 슬릿(220)을 갖추는 꼬치 샤프트(210)와 샤프트 커팅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샤프트 커팅 유닛(230)의 임의 망실 위험을 줄이는 구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꼬치 샤프트(210)의 하단부에는 제1 나사부(2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 커팅 유닛(230)에는 꼬치 샤프트(210)가 삽입되는 삽입홈(231)이 형성되되 삽입홈(231)의 벽면에 제1 나사부(211)와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232)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샤프트 커팅 유닛(230)이 해당 위치에서 임의로 분리되어 망실되는 위험이 없다.
샤프트 커팅 유닛(230)에는 삽입홈(23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는 개구부(233)가 형성된다. 개구부(233)는 커팅 슬릿(220)을 통해 꼬치 샤프트(210)를 커팅할 때 사용되는 부분이다.
즉 꼬치 샤프트(210)의 하단부에서 샤프트 커팅 유닛(230)을 분리한 후, 샤프트 커팅 유닛(230)의 개구부(233)로 꼬치 샤프트(210)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샤프트 커팅 유닛(230)을 원하는 커팅 슬릿(220)에 배치하고 샤프트 커팅 유닛(230)에 힘을 가하여 꼬치 샤프트(210)를 커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300) 역시, 복수의 커팅 슬릿(320)을 갖추는 꼬치 샤프트(310)와 샤프트 커팅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샤프트 커팅 유닛(330)의 구조가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하다. 즉 샤프트 커팅 유닛(330)은 꼬치 샤프트(3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보스(334)와, 고정 보스(334)에 결합하는 보스 스크루(335)와, 고정 보스(3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팅 모듈(331)을 포함한다.
커팅 모듈(331)에는 보스 스크루(335)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332)가 형성되는 한편, 나사부(332)에 교차하게 측면홀(333)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고정 보스(334)에서 커팅 모듈(331)만을 분리한 후, 커팅 모듈(331)의 측면홀(333)로 꼬치 샤프트(310)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커팅 모듈(331)을 원하는 커팅 슬릿(320)에 배치하고 커팅 모듈(331)에 힘을 가하여 꼬치 샤프트(310)를 커팅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400)는 복수의 조립식 단위 꼬치대(411~414)를 포함한다.
조립식 단위 꼬치대(411~414)의 개수는 도시된 것보다 많아도 좋고 혹은 적어도 좋다. 이러한 조립식 단위 꼬치대(411~414)의 조립 부위에 삽입식 조립돌기(451)와 삽입식 조립홈(452)이 형성된다. 삽입식 조립 돌기(451)와 삽입식 조립홈(452)은 약간 빡빡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이처럼 기능성 꼬치대(400)가 복수의 조립식 단위 꼬치대(411~414)로 형성되는 한편 복수의 조립식 단위 꼬치대(411~414)의 조립 부위에 삽입식 조립돌기(451)와 삽입식 조립홈(452)이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조립식 단위 꼬치대(411~414)를 하나씩 분리해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꼬치대(500)는 복수의 조립식 단위 꼬치대(511~514)를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제4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조립식 단위 꼬치대(511~514)의 조립 부위에는 나사식 조립돌기(551)와 나사식 조립홈(552)이 형성된다.
이처럼 기능성 꼬치대(500)가 복수의 조립식 단위 꼬치대(511~514)로 형성되는 한편 복수의 조립식 단위 꼬치대(511~514)의 조립 부위에 나사식 조립 돌기(551)와 나사식 조립홈(552)이 형성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조립식 단위 꼬치대(511~514)를 하나씩 분리해서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손이나 입에 음식이 묻는 것을 최대한 저지하면서도 하단의 남은 음식을 전혀 불편함 없이 먹을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기능성 꼬치대 110 : 꼬치 샤프트
111 : 선단부 120 : 커팅 슬릿
130 : 샤프트 커팅 유닛 131 : 관통홀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음식이 꽂히는 막대형 부재로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팅 슬릿(cutting slit)이 형성되는 꼬치 샤프트; 및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커팅 슬릿을 커팅할 때 사용되는 샤프트 커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꼬치 샤프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는 제1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꼬치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의 벽면에 상기 제1 나사부와 나사 결합하는 제2 나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삽입홈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되되 상기 꼬치 샤프트의 단면적보다 넓은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꼬치대.
  4. 음식이 꽂히는 막대형 부재로서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커팅 슬릿(cutting slit)이 형성되는 꼬치 샤프트; 및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커팅 슬릿을 커팅할 때 사용되는 샤프트 커팅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에는 상기 꼬치 샤프트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 커팅 유닛은,
    상기 꼬치 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고정 보스;
    상기 고정 보스에 결합하는 보스 스크루; 및
    상기 보스 스크루에 착탈 가능하게 나사 결합하는 나사부와, 상기 나사부에 교차하게 형성되는 측면홀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보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커팅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꼬치대.
KR1020190019204A 2019-02-19 2019-02-19 기능성 꼬치대 KR10214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04A KR102146956B1 (ko) 2019-02-19 2019-02-19 기능성 꼬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04A KR102146956B1 (ko) 2019-02-19 2019-02-19 기능성 꼬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956B1 true KR102146956B1 (ko) 2020-08-21

Family

ID=72235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04A KR102146956B1 (ko) 2019-02-19 2019-02-19 기능성 꼬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9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901A (ko) 2022-10-31 2024-05-08 박창민 핫도그 막대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핫도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157A (ja) * 1996-10-09 1998-05-06 Akira Fujiwara 食品用串
KR19990011026U (ko) 1997-08-30 1999-03-25 전주범 2조식 세탁기의 탈수통 지지구조
US6286418B1 (en) * 2000-02-11 2001-09-11 Joseph J. Berke Barbecue skewer structure and method
KR20040029849A (ko) 2002-10-02 2004-04-08 (주)디에스엘 탄성패드의 포트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어진 포트 및이를 갖춘 교량받침
KR200397013Y1 (ko) * 2005-07-13 2005-09-28 장병수 꼬치용 스틱
US20060033348A1 (en) * 2004-08-10 2006-02-16 Edible Arrangements, Llc Fruit skewer
KR20060042733A (ko) 2004-11-10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수명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3157A (ja) * 1996-10-09 1998-05-06 Akira Fujiwara 食品用串
KR19990011026U (ko) 1997-08-30 1999-03-25 전주범 2조식 세탁기의 탈수통 지지구조
US6286418B1 (en) * 2000-02-11 2001-09-11 Joseph J. Berke Barbecue skewer structure and method
KR20040029849A (ko) 2002-10-02 2004-04-08 (주)디에스엘 탄성패드의 포트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되어진 포트 및이를 갖춘 교량받침
US20060033348A1 (en) * 2004-08-10 2006-02-16 Edible Arrangements, Llc Fruit skewer
KR20060042733A (ko) 2004-11-10 2006-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소모품 수명 정보 검출 방법 및 장치
KR200397013Y1 (ko) * 2005-07-13 2005-09-28 장병수 꼬치용 스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901A (ko) 2022-10-31 2024-05-08 박창민 핫도그 막대 받침대 및 이를 구비한 핫도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6253A (en) Knives
US9061429B2 (en) Pumpkin carving spoon with nested knife
KR102146956B1 (ko) 기능성 꼬치대
US4689885A (en) Apparatus for cutting out a face in a pumpkin
KR910011139A (ko) 굴의 살을 자동으로 꺼내는 방법
KR200426255Y1 (ko) 칼치 털을 뽑는 포크
US4202095A (en) Steak knife
KR20170131296A (ko) 귤을 편리하게 먹을 수 있는 기계
JP2008093406A (ja) ピーマンの芯のくり抜き具
CN105328729A (zh) 一种弹性下压式刀具
JPH0750960Y2 (ja) 食物用串
KR950008395Y1 (ko) 애완동물용 발톱가위
KR101736090B1 (ko) 채가위
CN205660755U (zh) 一种菜刀
KR200304138Y1 (ko) 홈을 낸 꼬지용 막대기
KR200384688Y1 (ko) U자형 요홈이 형성된 절단용 가위
KR200428632Y1 (ko) 조립용 조각 칼
US1401635A (en) Corn-creamer
US20080250655A1 (en) Knife, knife blade, knife rack and two U-shaped handle forms each attached at one end to the blade
KR20200008211A (ko) 귤 까게
KR200157135Y1 (ko) 치킨용 선육도
KR100948963B1 (ko) 오렌지 나이프
KR200224486Y1 (ko) 오징어 건조용 다리고정구
WO2002047858A8 (en) Rule for a cutting die
KR200373693Y1 (ko) 채썰기용 보조가이드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