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647B1 -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647B1
KR102146647B1 KR1020200022157A KR20200022157A KR102146647B1 KR 102146647 B1 KR102146647 B1 KR 102146647B1 KR 1020200022157 A KR1020200022157 A KR 1020200022157A KR 20200022157 A KR20200022157 A KR 20200022157A KR 102146647 B1 KR102146647 B1 KR 1021466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gas
cooling water
heat exchange
cool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창호
Original Assignee
임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창호 filed Critical 임창호
Priority to KR102020002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6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5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 F23J2217/101Baghous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9/00Treatment devices
    • F23J2219/70Condensing contaminants with coo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30Technologies for a more efficient combustion or heat us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imneys And Fl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이 소각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완전연소 및 정화시켜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이나 분진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한편, 연소가스가 집진부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고열에 의해 집진부가 타거나 녹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ECO-FRIENDLY DISPOSAL SYSTEM OF WASTE WITH HEAT EXCHANGE APPARATUS}
본 발명은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폐기물이 소각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완전연소 및 정화시켜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이나 분진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한편, 연소가스가 집진부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고열에 의해 집진부가 타거나 녹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기물의 처리는 매립이나, 소각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매립에 의한 처리는 대규모의 매립지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악취 및 오수로 인해 환경이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소각에 의한 처리는 폐기물의 부피와 무게를 80% 이상 감소시켜 매립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반면, 폐기물의 완전연소가 곤란한 관계로 유해가스 및 분진의 발생에 따른 대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폐기물 소각장치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완전히 연소시켜 부피와 무게를 더욱 감소시킴과 동시에 유해가스 및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한편, 배터리의 경우, 휴대용 단말기, 자동차, 무선 전자제품, 무선 완구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무선을 이용한 제품의 증가와 함께 소비가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터리는 수명이 다하게 되면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도록 폐기 처리되며, 폐기된 부속품은 환경보호를 위해 재처리 공정을 거치게 된다.
최근에는 자원재활용 및 청정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폐배터리에 대한 폐기작업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1669호(2013.05.30.) '폐배터리의 유가금속 재활용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폐기물이 소각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완전연소 및 정화시켜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이나 분진 등이 제거되도록 하는 한편, 연소가스가 집진부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고열에 의해 집진부가 타거나 녹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진부(130)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집진부(130)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열교환장치(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집진부(130)는 백필터(132)를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장치(140)는,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고열로부터 상기 백필터(132)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열교환장치(140)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하우징(141);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관(142); 및 상기 열교환관(14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순환수단(143)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수단(143)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144); 상기 냉각수탱크(144)로부터 상기 열교환관(14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45); 및 상기 열교환관(142)을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탱크(144)로 재유입되도록 하는 재유입관(146)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145)에는, 순환펌프(147)가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상기 냉각수탱크(144)에 저장된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상기 열교환관(142)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41)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관(142)은 복수로 이루어져 각 하우징(141)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호 연결되며, 연소가스는 상기 각 하우징(141)을 통과하면서 상기 집진부(130) 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냉각수탱크(144)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공급관(145)으로부터 상기 재유입관(146)으로 진행되면서 각 하우징(141)을 통과하는 한편, 연소가스와 열교환되면서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순환수단(143)은, 상기 재유입관(146)과 냉각수탱크(144) 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하우징(141)을 통과하며 온도 상승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장치(14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교환장치(140)로부터 상기 집진부(130)로 진행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연소가스를 재냉각하는 냉각부(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냉각부(150)는, 상기 열교환장치(140)로부터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51a)와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기 집진부(13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51b)가 형성되는 냉각조(151); 상기 냉각조(151)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52); 상기 냉각조(15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사노즐(153);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노즐(153)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154); 및 상기 냉각수관(154)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55)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152)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155)가 개방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53)을 통해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기물을 소각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이나 유해가스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소가스가 집진부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함으로써 고열에 의해 집진부가 타거나 녹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서 연소가스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분진제거부 및 가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서 열교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서 냉각부 및 집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1에서 정화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은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정화하기 위한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으로써,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분진제거부(110), 분진제거부(110)를 통과한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가열부(120), 가열부(12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통과되며 분진제거부(1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분진을 제거하는 집진부(130) 및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집진부(130)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열교환장치(140)를 포함한다.
폐기물은 폐배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각로(100)에서의 소각을 통해 폐기처분되는 한편, 재활용 가능한 금속이 회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은 폐배터리에 대한 소각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이 포함된 연소가스가 정화되면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폐배터리에 대한 소각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폐배터리에 구비된 각종 재활용 가능한 금속 예를 들면, 니켈 등의 회수가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소각로(10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분진제거부(110), 가열부(120) 및 집진부(130) 등을 통과하며 정화되면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분진제거부(110)는 사이클론으로 이루어지며, 소각로(100)에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통과되면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 등이 제거되도록 한다. 사이클론은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룰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열부(120)는 연소가스가 재연소되면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가 제거되며 완전연소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가열부(120)는 분진제거부(110)로부터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연소로(121) 및 연소로(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가열하는 버너(122)를 포함한다.
연소로(121)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일측 하부에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버너(122)는 연소로(121)의 일측에 배치되며, 분진제거부(110)를 통과하여 연소로(12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를 8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가 제거되면서 완전연소되도록 한다.
여 완전연소가 되도록 하면서 연소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가 제거되도록 한다.
집진부(130)는 몸체(131) 및 몸체(131)의 내부에 구비되는 백필터(132)를 포함하며, 분진제거부(110)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분진이 걸러지도록 한다.
즉, 집진부(130)는 가열부(12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통과될 때, 분진제거부(110)에서 제거되지 않은 크기가 작은 분진 즉, 미세분진이 제거되도록 한다.
백필터(132)는 공지된 일반적인 형태를 이루며, 몸체(131)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몸체(13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통과되며 미세분진 등이 걸러지도록 한다.
몸체(131)에는 진동기 및 포집된 미세분진 등을 배출하기 위한 밸브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은 연소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분진제거부(110)에서 1차 제거하는 한편, 분진제거부(110)에서 제거되지 않는 미세분진을 집진부(130)에서 2차 제거함으로써 폐기물의 연소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열교환장치(140)는 가열부(120)에서 집진부(130)로 진행하는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고열에 의해 백필터(132)가 타거나 녹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백필터가 테프론 필터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260℃ 정도의 내열성을 가지므로 인해 그 이상의 고열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열교환장치(140)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하우징(141), 하우징(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관(142) 및 열교환관(142)으로 냉각수가 흐르도록 하는 순환수단(143)을 포함한다.
하우징(141)은 복수로 이루어지면서 집진부(13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순차적으로 통과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즉, 하우징(141)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되면서 가열부(120)를 통과한 연소가스가 통과되며 집진부(130)로 진행되도록 한다.
열교환관(142)은 지그재그나 코일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복수로 이루어져 각 하우징(141)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호 연결되면서 냉각수가 통과한다. 즉, 열교환관(142)은 복수로 이루어져 각 하우징(141)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호 연결되면서 공급관(145)으로부터 재유입관(146)으로 진행되는 냉각수가 각 하우징(141)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열교환관(142)은 연소가스와의 열접촉면적이 증가되면서 가열부(1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연소가스가 빠르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순환수단(143)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144), 냉각수탱크(144)로부터 열교환관(14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45), 열교환관(142)을 통과한 냉각수가 냉각수탱크(144)로 재유입되도록 하는 재유입관(146)을 포함한다.
냉각수탱크(144)에는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공급되는 급수관(144a)이 연결되며, 급수관(144a)에는 냉각수탱크(144)의 수위에 따라 급수관(144a)을 개폐하는 수위조절밸브(144b)가 연결된다.
공급관(145)에는 순환펌프(147)가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냉각ㄴ수탱크(144)에 저장된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열교환관(142)을 통과하도록 한다.
순환펌프(147)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공급관(145)에 병렬로 연결되면서 어느 하나의 순환펌프가 고장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순환펌프가 구동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급수관(144a)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는 온도가 30℃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냉각수는 열교환관(142)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4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와의 열교환을 통해 30℃ 이상으로 온도로 상승하며, 보통 37℃ 정도로 상승한다.
가열부(120)를 통과한 연소가스는 열교환장치(140)를 통과하면서 온도가 190℃ 미만으로 하강된다. 다시 말하면, 열교환장치(140)는 가열부(120)를 통과한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연소가스의 온도가 190℃ 미만이 되도록 한다.
집진부(130)로 진행되는 연소가스는 열교환장치(140)를 통과하면서 일정온도로 낮아지므로 인해 백필터(131)가 변형될 수 있는 온도에 이르지 않는 상태에서 집진부(130)로 진행될 수 있다.
순환수단(143)은 재유입관(146)과 냉각수탱크(144) 간에 구비되면서 배출관(146)으로부터 배출되는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장치(148)를 더 포함한다.
냉각장치(148)는 연소가스와의 열교환 후, 재유입관(146)으로부터 배출되는 온도가 상승한 냉각수를 냉각하여 냉각수가 30℃ 정도로 냉각되면서 냉각수탱크(144)로 유입되도록 한다.
냉각장치(148)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면, 냉각장치(148)는 쿨링타워(Cooling Tower) 등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교환장치(140)는 집진부(130)로 진행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낮추므로 인해 백필터(132)가 고열에 의해 타거나 녹는 등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교환장치가 구비되는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은 열교환장치(140)와 집진부(130) 간에 배치되면서 열교환장치(140)로부터 집진부(130)로 진행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연소가스를 재냉각하는 냉각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50)는 열교환장치(140)로부터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51a)와 유입된 연소가스가 집진부(13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51b)가 형성되는 냉각조(151), 냉각조(151)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52), 냉각조(15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사노즐(153), 외부로부터 분사노즐(153)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154) 및 냉각수관(154)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55)를 포함한다.
냉각조(151)는 상부에 유입구(151a)가 형성되고 타측 하부에 배출구(151b)가 형성되며, 하부에 분사노즐(153)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153)은 유입구(151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면서 유입구(151a)를 통해 케이싱(15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로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냉각조(151)는 상,하부가 차단된 원통 형태를 이루되, 상부는 유입구(151a)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뿔대 형태를 이루고, 하부는 밸브로부터 상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역원뿔대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유입구(151a)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냉각조(151)에서 넓게 퍼지면서 분사노즐(153)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와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분사된 냉각수가 냉각조(151)의 하부 중앙으로 모이면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온도감지센서(152)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190℃ 이상인 경우, 개폐밸브(155)가 개방되면서 분사노즐(153)을 통해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한다.
유입구(151a)를 통해 냉각조(15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분사노즐(153)을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온도가 하강되면서 배출구(151b)를 통해 집진부(130)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냉각부(15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는 190℃ 미만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집진부(130)로 진행될 수 있다.
열교환장치가 구비되는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은 집진부(13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를 중화하는 중화부(160)를 더 포함한다.
중화부(160)는 집진부(130)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산성가스를 제거하여 연소가스가 중화된 상태로 대기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중화부(160)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산성분을 중화하여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집진부(130)와 중화부(160) 간에는 블로워(171)가 구비된 유로관(170)이 연결되면서 집진부(130)를 통과하는 연소가스가 중화부(160)로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중화부(160)는 집진부(130)로부터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인입구(161a)와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토출구(161b)가 형성되는 케이싱(161), 케이싱(161)의 내부에 구비되는 노즐(162), 노즐(162)로 중화체를 공급하는 공급수단(163)을 포함한다.
케이싱(161)은 일측 하부에 인입구(161a)가 형성되고, 상부에 토출구(161b)가 형성된다.
공급수단(163)은 케이싱(161)의 하부에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중화체가 수용되는 저장탱크(164) 및 저장탱크(164)로부터 노즐(162)로 중화체를 공급하며 펌프(165a)가 구비되는 연결관(165)을 포함한다.
펌프(165a)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연결관(165)에 병렬로 연결되면서 어느 하나의 펌프가 고장나는 경우, 다른 하나의 펌프가 구동되는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저장탱크(164)는 상부가 케이싱(161)의 하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면서 노즐(162)로부터 분사되는 중화체가 낙하되며 수용된다.
저장탱크(164)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공급되며 수위조절밸브가 구비되는 물공급관(166)이 연결된다.
중화체는 물에 가성소다 등을 포함하는 알카리성 물질이 혼합된 형태를 이루며, 공급수단(163)의 구동 다시 말하면, 펌프(165a)의 구동에 따라 케이싱(161)의 내부로 분사된다.
알카리성 물질은 저장탱크(164)에 수용된 중화체의 농도에 따라 추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탱크(164)에는 알카리성 물질의 공급을 위한 도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저장탱크(164)에는 중화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히터(167) 및 중화체의 수위가 일정수위 이하인 경우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센서(168)가 구비될 수 있다. 저수위감지센서(168)의 감지신호에 따라 펌프(165a)의 구동 등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중화부(160)는 인입구(161a)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케이싱(161)의 내측에 구비되며 다수의 중공(169a)이 형성되는 폴링체(169)를 더 포함한다.
폴링체(169)는 외측 둘레가 케이싱(161)의 내측 둘레와 동일한 형태를 이루면서 케이싱(161)의 내측으로 고정,설치된다.
중공(169a)은 상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면서 인입구(161a)를 통해 케이싱(161)의 내부로 유입되는 연소가스가 통과되며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폴링체(169)와의 접촉면적이 향상되도록 한다.
연소가스는 폴링체(169)를 통과하면서 노즐(162)에서 분사되는 중화체와의 접촉이 고르게 이루어지면서 산성가스 즉, 산성분이 중화체에 혼합되어 저장탱크(164)로 낙하되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는 폴링체(169)와 접촉되면서 산성분이 폴링체(169)에 걸러지는 한편, 노즐(162)에서 분사되는 중화체가 폴링체(169)로 분사되면서 중화체에 혼합되어 저장탱크(164)로 낙하되며 제거될 수 있다.
케이싱(161)으로 유입되는 연소가스는 산성가스가 제거된 상태에서 토출구(161b)를 통해 대기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연소가스에 포함된 산성분은 중화체에 의해 중화되면서 저장탱크(164)로 포집 및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은 폐기물에 대한 소각시 발생되는 유해가스 및 분진 등이 포함된 연소가스가 정화되면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소각로 110 : 분진제거부
120 : 가열부 130 : 집진부
140 : 열교환장치 150 : 냉각부
160 : 중화부 170 : 유로관

Claims (6)

  1. 백필터(132)가 구비되는는 집진부(130)를 포함하는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에 있어서,
    폐기물의 소각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집진부(130)로 유입되기 전에 연소가스를 냉각하여 고열로부터 상기 백필터(132)를 보호하는 열교환장치(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장치(140)는,
    연소가스가 통과하는 하우징(141);
    상기 하우징(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열교환관(142); 및
    상기 열교환관(14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순환수단(143)을 포함하며,
    상기 순환수단(143)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가 저장되는 냉각수탱크(144);
    상기 냉각수탱크(144)로부터 상기 열교환관(142)으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145);
    상기 열교환관(142)을 통과한 냉각수가 상기 냉각수탱크(144)로 재유입되도록 하는 재유입관(146); 및
    상기 재유입관(146)과 냉각수탱크(144) 간에 구비되면서 상기 하우징(141)을 통과하며 온도 상승한 냉각수를 냉각하는 냉각장치(148)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관(145)에는,
    순환펌프(147)가 연결되면서 구동에 따라 상기 냉각수탱크(144)에 저장된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상기 열교환관(142)을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1)은 복수로 이루어져 상호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관(142)은 복수로 이루어져 각 하우징(141)으로 수용되는 한편, 상호 연결되며,
    연소가스는 상기 각 하우징(141)을 통과하면서 상기 집진부(130) 방향으로 진행되고,
    상기 냉각수탱크(144)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공급관(145)으로부터 상기 재유입관(146)으로 진행되면서 각 하우징(141)을 통과하는 한편, 연소가스와 열교환되면서 연소가스를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장치(140)로부터 상기 집진부(130)로 진행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감지하여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연소가스를 재냉각하는 냉각부(15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냉각부(150)는,
    상기 열교환장치(140)로부터 연소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51a)와 유입된 연소가스가 상기 집진부(130)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151b)가 형성되는 냉각조(151);
    상기 냉각조(151)로 유입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52);
    상기 냉각조(151)의 내부에 구비되는 분사노즐(153);
    외부로부터 상기 분사노즐(153)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관(154); 및
    상기 냉각수관(154)에 구비되는 개폐밸브(155)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152)는 연소가스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개폐밸브(155)가 개방되면서 상기 분사노즐(153)을 통해 냉각수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6. 삭제
KR1020200022157A 2020-02-24 2020-02-24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KR102146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57A KR102146647B1 (ko) 2020-02-24 2020-02-24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157A KR102146647B1 (ko) 2020-02-24 2020-02-24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647B1 true KR102146647B1 (ko) 2020-08-20

Family

ID=7224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157A KR102146647B1 (ko) 2020-02-24 2020-02-24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3481A (zh) * 2021-09-01 2021-11-19 江苏金牛环保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酸性气体焚烧炉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331A (ja) * 1993-12-02 1995-07-28 Babcock & Wilcox Co:The 改善された凝縮熱交換器スクラバーシステム
KR100345408B1 (ko) * 1999-01-18 2002-07-24 가부시키가이샤 다쿠마 열수를 이용한 배출가스 감온방법 및 그 장치
KR101271669B1 (ko) 2010-04-20 2013-06-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배터리의 유가금속 재활용방법
JP2019094792A (ja) * 2017-11-20 2019-06-20 株式会社タクマ 燃焼排ガスからの熱回収発電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0331A (ja) * 1993-12-02 1995-07-28 Babcock & Wilcox Co:The 改善された凝縮熱交換器スクラバーシステム
KR100345408B1 (ko) * 1999-01-18 2002-07-24 가부시키가이샤 다쿠마 열수를 이용한 배출가스 감온방법 및 그 장치
KR101271669B1 (ko) 2010-04-20 2013-06-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폐배터리의 유가금속 재활용방법
JP2019094792A (ja) * 2017-11-20 2019-06-20 株式会社タクマ 燃焼排ガスからの熱回収発電設備及びその制御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63481A (zh) * 2021-09-01 2021-11-19 江苏金牛环保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酸性气体焚烧炉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CN113663481B (zh) * 2021-09-01 2023-12-29 江苏金牛环保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酸性气体焚烧炉回收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59941B (zh) 加热熔融处理垃圾焚烧飞灰方法及设备
CN104344408B (zh) 含盐废液焚烧兼热能回收系统及工艺
CN101213404A (zh) 用于废物处理的真空焚烧设备及其真空保持方法
KR102146647B1 (ko) 열교환장치가 구비된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CN110925775A (zh) 一种垃圾焚烧烟气综合处理箱
CN204141593U (zh) 含盐废液焚烧兼热能回收系统
KR102146646B1 (ko) 폐기물의 친환경 처리시스템
CN211419939U (zh) 含油污泥处理装置
JP2021169882A (ja) 燃焼装置
CN111408608A (zh) 一种废油漆铁桶有机物热解自动除灰及热能回收的工艺及系统、应用
KR20170017492A (ko) 의료 폐기물 열처리장치
JPH11159718A (ja) 燃焼装置および燃焼方法
CN214120074U (zh) 一种医疗废弃物微波碳化无害化处理设备
CN211204070U (zh) 一种高含盐有机废液焚烧处理系统
JP2005095749A (ja) 溶融スラグ水砕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CN213480243U (zh) 一种废渣、废液处理设备
JP2004202469A (ja) ゴミの熱処理装置
CN216716228U (zh) 垃圾焚烧系统及垃圾焚烧余热回收系统
CN213089828U (zh) 一种废渣、废液处理系统
CN111380353B (zh) 垃圾处理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19674250U (zh) 电池破碎裂解尾气处理系统
CN214147926U (zh) 工业废盐喷烧系统
KR20200031233A (ko) 열병합 발전이 가능한 집진기 일체형의 소각 시스템
JP3510511B2 (ja) 焼却炉
CN112879920B (zh) 一种危险废物焚烧烟气中二噁英的脱除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