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99B1 -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 Google Patents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99B1
KR102146099B1 KR1020200014166A KR20200014166A KR102146099B1 KR 102146099 B1 KR102146099 B1 KR 102146099B1 KR 1020200014166 A KR1020200014166 A KR 1020200014166A KR 20200014166 A KR20200014166 A KR 20200014166A KR 102146099 B1 KR102146099 B1 KR 10214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s
standard unit
brick
support par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진
Original Assignee
김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진 filed Critical 김학진
Priority to KR102020001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04G21/1841Means for positioning building parts o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8Spacers between build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을 조적할 때 적층 되는 벽돌의 행렬을 일정하게 맞춰주는 규격 유닛에 관한 것으로, 판 형상의 받침부, 받침부에 설치되는 기준접촉부 및 받침부에 구비되어 접착제를 통과시키는 관통공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을 활용하여 비숙련자도 벽돌의 행렬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벽돌 조적 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받침부에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므로 종래 기술들에 비해 벽돌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의 관통공이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될 때 형성되는 눈금부를 활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행렬이 일정한 벽돌의 조적이 가능하므로, 벽돌 조적 시 작업효율을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Standard unit for brick bonding}
본 발명은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벽돌을 조적할 때 적층 되는 벽돌의 행렬을 일정하게 맞춰주는 규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을 조적할 때 기초콘크리트상에서 다수개의 벽돌을 벽체시공의 폭만큼 한 줄로 시공한 뒤, 시공 폭의 양 끝단에 세로 규준 틀을 세워 양 끝단에 규준 쌓기를 한 이후, 수준기를 이용하여 벽돌의 앞, 뒤, 좌, 우 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기준을 맞춘 후 벽돌을 적층 하게 된다. 이 때, 일렬로 나열되고 상하로 적층 되는 벽돌과 벽돌의 사이에는 시멘트와 모래를 반죽한 모르타르를 접착제로 활용하여 벽돌 상호간에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 벽돌의 조적은 숙련된 조적공에 의해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조적하는 것으로, 조적공이 숙련되지 않은 경우 벽돌의 정렬을 균일하게 하기 어려워 숙련된 조적공에게 의뢰를 맡기는 경우가 다수이므로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게 되며, 숙련된 조적공이더라도 벽돌의 정렬을 맞추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 시간을 소요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선행문헌 1에서는 연결바 및 연결홈을 갖는 벽돌을 이용한 조적 공법을 개시하였으며, 선행문헌 2에서는 홈이 형성된 벽돌 및 홈에 삽입하는 스트랩을 이용한 조적 공법을 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들에 개시된 조적 공법의 경우 벽돌에 요철 또는 요홈을 형성해야 하므로 벽돌 성형 공정이 까다로우며, 벽돌을 건조하거나 포장 또는 운반하는 단계에서 요철부분이 파손될 위험이 높아진다. 즉, 벽돌의 요철부분이 벽돌을 생산, 건조, 보관, 운송하는 모든 단계에서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벽돌 자체의 모양을 바꾸지 않고 비숙련자도 빠른 시간 안에 벽돌의 행렬이 일정하도록 조적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7688호 (2017.04.11. 등록)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27276호 (2001.04.06. 공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비숙련자도 벽돌의 행렬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접착제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여 접착력이 향상된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빠른 시간 안에 행렬이 일정한 벽돌의 조적이 가능하도록 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비숙련자도 벽돌의 행렬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판 형상의 받침부 및 받침부에 설치되는 기준접촉부로 구성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접착제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받침부에 벽돌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공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빠른 시간 안에 행렬이 일정한 벽돌의 조적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받침부의 관통공이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되어 눈금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을 활용하여 비숙련자도 벽돌의 행렬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으므로, 벽돌 조적 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에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의 접촉면적을 최대화하므로, 종래 기술들에 비해 벽돌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받침부의 관통공이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될 때 형성되는 눈금부를 활용하여 빠른 시간 안에 행렬이 일정한 벽돌의 조적이 가능하므로, 벽돌 조적 시 작업효율을 높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의 다양한 실시예 및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을 활용하여 조적된 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나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각 실시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각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은 판 형상의 받침부(100) 및 받침부(100)에 설치되는 기준접촉부(200)를 포함하도록 구비된다.
받침부(100)는 후술할 기준접촉부(200)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될 기저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받침부(10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벽돌(B)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통과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관통공(110)을 더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관통공(110)이 받침부(100)의 전체 면적을 덮는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되어, 벽돌의 적재 위치를 안내하는 눈금부(111)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눈금부(111)는 받침부(100)의 관통공(110)이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길이를 갖는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될 때 소정의 길이를 기준으로 벽돌의 적재 위치를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 소정의 길이는 5mm 또는 10mm의 규격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줄눈의 간격 또는 벽돌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받침부(100)는 PVC 재질의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PE, PP 등의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받침부(100)의 전체 폭은 벽돌(B)의 세로 길이의 규격인 57mm 보다 약 3mm정도 작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받침부(100)가 벽돌(B)의 각 사방에 약 1.5mm의 여유공간을 갖고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받침부(100)의 전체 높이는 기준접촉부(200)의 전체 높이보다 높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가 용이하도록 전체 길이가 1.5m 내지 1.6m에 이르는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받침부(1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길이와 크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기준접촉부(200)는 받침부(100)의 윗면 또는 아랫면에 설치되어 벽돌과 접촉함으로써 줄눈 작업의 공간을 확보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기준접촉부(200)는 받침부(100)의 상측에 위치한 벽돌의 하부, 받침부(100)의 하측에 위치한 벽돌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된다. 이 때, 복수 개로 설치되는 기준접촉부(200) 사이의 간격은 각 기준접촉부(200)의 중심부간의 거리가 약 90mm가 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첩족부(200)는 받침부(100)의 폭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30mm 이상 57mm 미만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측이 빈 관 형상, 길이방향의 중심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절삭된 모래시계 형상, 다각기둥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준접촉부(200)의 높이는 벽돌과 벽돌 사이에 일반적으로 채워지는 줄눈의 높이인 약 10mm 내지 12mm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접촉부(200)는 PVC 재질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와 일체형으로 사출되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탄성재질로 제작되어 받침부(100)의 관통공(11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 1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각 실시예들을 살펴보도록 한다. 각 실시예들은 각 도면 상단의 정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에 각 타입의 기준접촉부(200)가 설치된 것으로, 하단의 상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의 실시예에 따라 받침부(100)가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a내지g-1>타입, 받침부(100)에 복수 개의 관통공(110)이 구비된 <a내지g-2>타입, 받침부(100)의 관통공(110)이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되어 눈금부(111)를 형성하는 <a내지g-3>타입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받침부(100)의 폭보다 작은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에 모두 설치된 a타입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에만 설치된 b타입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접촉부(200)가 받침부(100)의 윗면 또는 아랫면 중 한 면에만 설치되므로, 기준접촉부(200)가 설치되지 않은 면과 벽돌 사이의 접촉면적이 넓어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과 벽돌(B)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제 3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한 쌍의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에 두 줄로 설치된 c타입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접촉부(200)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에 각각 두 줄씩 설치되므로, 기준접촉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벽돌(B)과 접촉할 수 있어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의 정렬 기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제 4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받침부(100)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에 설치된 d타입이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접촉부(200)가 받침부(100)의 폭과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므로, 기준접촉부(2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벽돌(B)과 접촉할 수 있어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의 정렬 기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제 5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교차되어 설치된 e타입이다.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접촉부(200)가 받침부(100)의 윗면과 아랫면에 교차되어 설치되므로, 기준접촉부(200)의 접촉 기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기준접촉부(200)의 제작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제 6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내측이 빈 관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에 설치된 f타입이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접촉부(200)가 내측이 빈 관 형상으로 구비되므로, 기준접촉부(200)의 내측으로 접착제가 통과하여 벽돌(B)에 도포될 수 있어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과 벽돌(B) 간의 접착력이 향상됨과 동시에 정렬 기능이 강화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제 7 실시예는 기준접촉부(200)가 양 끝단에서 길이방향의 중심부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절삭된 형상으로 구비되어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에 설치된 g타입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100)의 다양한 실시예 및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B)을 활용하여 조적된 벽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평으로 쌓인 벽돌의 집합을 "행"이라 하고 수직으로 쌓은 벽돌의 집합을 "열"이라 할 때 도 8을 참조하면, 각 행 사이에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이 설치되어 모든 행들이 앞뒤로 어긋나거나 흐트러짐 없이 쌓이도록 한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열의 벽돌들이 교차되어 쌓일 때에도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의 눈금부(111)가 벽돌(B)이 놓일 위치를 직관적으로 안내함으로써, 벽돌(B)이 교차되는 간격에 어긋남이나 흐트러짐이 없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은 벽돌(B)의 윗면에 설치되어 수평을 맞추는 기능 외에 벽돌(B)의 옆면에 설치되어 종래에 사용하던 세로 규준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은 벽돌을 여러 겹으로 쌓을 때 각 벽돌의 앞면 또는 뒷면에 설치되어 각 벽돌의 겹들이 흐트러지지 않고 동일선상에 쌓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우측 상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는 벽돌(B)의 가로 길이의 규격인 190mm 보다 약 10mm정도 큰 길이를 갖고, 각 받침부(100)의 좌측면에 요홈부(120)가 구비되고 우측면에 요철부(130)가 구비되어 적재할 벽돌(B) 개수에 맞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8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100)는 벽돌(B)과 벽돌(B) 사이에 형성되는 약 10mm 내지 12mm의 간격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줄눈작업이 이루어질 공간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벽돌(B)의 세로 길이의 규격인 57mm 보다 약 10mm정도 작은 47mm의 가로 길이를 갖고, 벽돌(B)의 높이의 규격이 90mm 보다 약 10mm 내지 12mm정도 큰 100mm 내지 102mm의 세로 길이를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 때, 수평으로 설치되는 받침부(100)에는 아랫면과 윗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요홈부(120)가 구비되고, 수직으로 설치되는 받침부(100)에는 아랫면과 윗면에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된 요철부(130)가 구비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받침부(100)의 요철부(130)가 수평으로 설치된 받침부(100)의 요홈부(120)에 삽입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을 이용하여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 중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기초 공사를 마친 벽체시공 위치에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을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평하도록 설치한다. 이후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벽돌(B)을 각 눈금부(111)의 간격에 따라 일정한 위치에 놓음으로써 벽체의 기저가 되는 행의 시공을 완료한다. 기저의 시공이 완료된 벽체 폭의 양 끝단에 본 발명에 따른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을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직하도록 설치한다. 기저가 되는 행의 양 끝단에 수직으로 설치된 규격 유닛(U)을 따라 규준 쌓기를 한 이후, 각 행의 층을 작업할 때마다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을 설치하여 벽돌의 앞, 뒤, 좌, 우 열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기준을 맞춘 후 접착제가 도포된 벽돌을 적층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이 때, 각 벽돌(B)과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의 눈금부(111)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된 벽돌(B) 사이의 공간에 줄눈 시공이 이루어짐으로써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U)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마감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받침부 110 : 관통공
120 : 요홈부 130 : 요철부
111 : 눈금부 200 : 기준접촉부
U :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B : 벽돌

Claims (6)

  1. 판 형상의 받침부(100); 및
    상기 받침부(100)의 상측에 위치한 벽돌의 하부, 상기 받침부(100)의 하측에 위치한 벽돌의 상부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도록, 상기 받침부(100)의 윗면 및 아랫면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는 기준접촉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기준접촉부(200)는,
    내측이 빈 관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벽돌(B)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를 통과시키는 복수 개의 관통공(1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100)는,
    좌측면에 요홈부(120) 및 우측면에 요철부(130)를 더 포함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접촉부(200)는,
    탄성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통공(110)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10)은,
    상기 받침부(100)의 전체 면적을 덮는 격자형 그물망 구조로 구비되어, 벽돌의 적재 위치를 안내하는 눈금부(11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KR1020200014166A 2020-02-06 2020-02-06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KR10214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66A KR102146099B1 (ko) 2020-02-06 2020-02-06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166A KR102146099B1 (ko) 2020-02-06 2020-02-06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99B1 true KR102146099B1 (ko) 2020-08-19

Family

ID=7226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166A KR102146099B1 (ko) 2020-02-06 2020-02-06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9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76A (ko) 1999-09-13 2001-04-06 조순구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KR100769582B1 (ko) * 2006-12-06 2007-10-23 권화숙 벽돌 패널
KR20150019081A (ko) * 2013-08-12 2015-02-25 권택주 블록공사에서의 자동 줄눈 형성판
KR20150026459A (ko) * 2013-09-03 2015-03-11 김범태 조적벽돌 모르타르 타설용 프레임
KR101727688B1 (ko) 2015-08-07 2017-04-18 박영택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7276A (ko) 1999-09-13 2001-04-06 조순구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KR100769582B1 (ko) * 2006-12-06 2007-10-23 권화숙 벽돌 패널
KR20150019081A (ko) * 2013-08-12 2015-02-25 권택주 블록공사에서의 자동 줄눈 형성판
KR20150026459A (ko) * 2013-09-03 2015-03-11 김범태 조적벽돌 모르타르 타설용 프레임
KR101727688B1 (ko) 2015-08-07 2017-04-18 박영택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268B2 (en) Concrete block spacer system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KR101740919B1 (ko) 돌출된 연결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와 그 제조방법
US20100162649A1 (en) Building block system
US8955282B2 (en) Soloarmar construction engineering system
KR101783460B1 (ko) 조립식 보강벽돌
US3559361A (en) Method for construction
KR102146099B1 (ko)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US4703599A (en) Concrete masonry footer block foundation system and blocks therefor
KR101609249B1 (ko) 프리캐스트 부재를 이용한 사면보강벽 및 그 공법
US4798036A (en) Concrete masonry footer block foundation system and blocks therefor
US2014019639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RU2477770C1 (ru) Замковый сборный ленточный фундамент
KR102594640B1 (ko) 확장이 가능한 기초용 브라켓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기초 시공 방법
KR20130129789A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KR102616011B1 (ko) 보강토 옹벽용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345898B1 (ko) 선 조립된 철근다발을 가지는 벽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 방법
RU2627524C2 (ru) Платформенный сборно-монолитный стык
CN213267374U (zh) 建筑工地用装配式道路
KR102177744B1 (ko) 벽식 pc 지하주차장 구조물
US4597230A (en) Log construction device
US7080827B1 (en) Stone fence
CN108222254B (zh) 仿竹结构钢管及含有这种钢管的预制楼板
KR20090001058U (ko) 석재 판넬
GB2106158A (en) Permanent form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