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7276A -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 Google Patents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7276A
KR20010027276A KR1019990038962A KR19990038962A KR20010027276A KR 20010027276 A KR20010027276 A KR 20010027276A KR 1019990038962 A KR1019990038962 A KR 1019990038962A KR 19990038962 A KR19990038962 A KR 19990038962A KR 20010027276 A KR20010027276 A KR 200100272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ricks
strip
masonry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8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순구
Original Assignee
조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순구 filed Critical 조순구
Priority to KR1019990038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27276A/ko
Publication of KR20010027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7276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32Undercut connections, e.g. using undercut tongues and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73Adhesive layers other than mortar between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76Separate layer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목적: 본 발명은 건축물 시공시 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조적방법을 개량하여 견고하면서도 숙련자 뿐 아니라 비숙련자도 손쉽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을 제공함이 목적이다.
구성: 상면(21), 하면(22), 측면(23)과 마구리(24)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면(21)과 하면(22)에는 금속제 등으로 된 스트립(30)을 삽입하기 위한 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26)은 벽돌(20)의 장축 부분과 수평으로 가운데를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면(21)과 하면(22)에 동일하게 형성된다.
효과: 벽돌의 상, 하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스트립에 의하여 벽돌의 위치가 정확히 고정되므로 비숙련자도 손쉽게 원하는 형태로 조적을 할 수 있으며, 충격이나 피로에 의해 벽면에 크랙이 발생되도 크랙의 진행이 스트립에 의해 차단되므로 견고성이 증대될 뿐만아니라, 기존 벽체보다 향상된 방수 효과가 있다. 또한, 세로 기준틀과 수평실을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함으로써, 단시간에 많은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증가하고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Brick with slot and lay bricks method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시 벽체를 형성하는 벽돌과 이의 조적방법을 개량하여 견고하면서도 숙련자 뿐 아니라 비숙련자도 손쉽게 조적할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공사시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벽돌 또는 시멘트 블록이 사용된다. 벽돌은 그 형태가 다양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직육면체 모양의 벽돌이며 그 재질에 있어서는 시멘트, 점토, 플라스틱, 나무 등이고, 시멘트 블록으로는 직육면체 모양에 가운데 구멍을 형성하여 경량화 등을 시도하고 있다.
상기 벽돌의 종류로는 보통 벽돌, 내화 벽돌, 특수 벽돌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벽돌은 붉은 보통 벽돌과 시멘트 벽돌이다.
시멘트 블록은 일반적으로 담장 및 벽체 구성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그 용도가 벽돌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벽돌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시공시 상기 벽돌을 조적하는 방법은 영국식 쌓기, 화란식 쌓기, 미국식 쌓기 등이 있으나 작업 현장에서는 주로 화란식 또는 영국식을 사용하며 한 장 쌓기 또는 직교 쌓기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기존 벽돌의 형태를 도 7에 도시하였고, 도 8a와 도 8b에는 상기 기존 벽돌을 이용하여 조적하는 방법을 도시하였다.
도 7에서 보면 종래 벽돌(2)(4)은 가로(2a)/세로(2b) 방향 길이가 약 1:2이고 마구리의 높이(2c)는 가로(2a) 방향 길이보다 작으며 그 형태는 도면과 같이 내공부가 없는 벽돌(2)과 내공부(3a)가 있는 벽돌(3)으로 나눌 수 있으며, 시멘트 블록(6)은 주로 내공부(6a)가 형성된 것을 사용한다.
종래의 벽돌을 이용하여 조적하는 방법을 도 8a와 도 8b에 도시한다.
먼저 설계도와 시방서에 의해 조적하고자 하는 위치를 결정하고 수준기 또는 다림추 등을 이용하여 세로 기준틀(8)을 세운다. 상기 세로 기준틀(8) 또는 선 시공된 벽체에 소정의 줄눈(10) 너비를 결정하여 수평실(12)을 치고 상기와 같이 결정된 세로 기준틀(8) 및 수평실(12)에 의존하여 벽돌(2)을 정렬한다. 정렬된 벽돌(2) 사이 줄눈(10)과 벽돌(2) 상면에 몰타르(14)를 매질하고 다시 수평실(12)에 맞추어 벽돌(2)을 올린 후 상기 방식을 되풀이하여 조적한다.
상기 벽돌(2)의 조적 방식은 일반적으로 도 8a와 같이 한 장 쌓기와 도 8b의 직교 쌓기로 나뉜다.
도 8a는 벽돌(2)을 한 장씩 수직방향으로 계속 쌓아 올리는 방식이고, 도 8b는 각 층마다 벽돌(2)의 적층 방향이 직교되면서 쌓아 올리는 방식이며 이 때 각 벽돌(2)과 벽돌(2) 사이의 줄눈(10) 간격은 일정해야 하고, 줄눈(10) 사이에 채워지는 몰타르(14) 또한 정확한 간격으로 매질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벽돌(2)과 조적 방법은 숙련자들에게는 가능하나 일반인이나 비숙련자들이 세로 기준틀(8)이나 수평실(12)에 맞추어 몰타르를 개어 일정한 높이와 너비로 매질하기에는 어려워, 종래의 벽돌에 의하여 다량 조적시 많은 시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에서는 조적 시간을 단축하고 숙련자 뿐만 아니라 비숙련자도 손쉽게 조적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제안하는 제 1실시예로서 벽돌의 윗면과 아랫면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는 스트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한 장 쌓기로 조적할 시 벽돌과 벽돌을 매개해 주는 스트립에 의해 정확히 수직 방향으로 쌓아 올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서 스트립은 윗 벽돌과 아래 벽돌을 매개해 주면서 몰타르가 매질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주고, 이로 인하여 몰타르 매질 두께의 불균형을 예방할 수 있으며 스트립 표면에 컷팅(cutting)이 가능한 눈금홈이 새겨져 있어 작업 소요에 해당하는 길이 만큼만을 눈금홈을 꺽음으로써 간단히 사용할 수 있고, 조적시 동일층의 벽돌 줄눈 간격을 일정하게 맞출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직교 쌓기로 벽돌을 조적할 시 상기와 같은 홈이 형성된 벽돌로는 무리가 있기 때문에 벽돌 윗면에는 상기와 같이 중앙을 가로지르는 홈을 형성하고, 아랫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두 줄의 홈을 내어 직교 쌓기 시 위 아래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랫 면의 홈은 중앙의 줄눈 위치를 제외한 양측 부분의 가운데를 가로 질러 형성된다.
상기 실시예는 수직 방향으로 조적할 때 뿐만 아니라 수평 방향으로 조적할 때도 높이와 너비를 맞춰 주므로 일반인도 손쉽게 조적 시공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의 벽돌과 조적 방법을 사용하면 종래의 수평실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벽돌과 스트립에 의해 정확히 높이와 너비가 맞춰지며, 시공 후 크랙이 생성되어도 중간의 스트립에 의해 크랙 진행이 차단되므로 견고해지고, 이로 인해 방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숙련자 이외에도 일반인 등 비숙련자들도 어려움 없이 시공을 할 수 있어,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동일 시간동안 훨씬더 많은 조적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 1실시 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도 1a는 벽돌을 사용한 실시 예이고,
도 1b는 시멘트 블록을 사용한 실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질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 예를 도시한 상·하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 예를 이용한 조적 방법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를 이용하여 조적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종래 벽돌을 도시한 사시도.
도 8a와 도 8b는 종래 벽돌을 이용한 조적방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줄눈 14: 몰타르
20,25: 홈이 형성된 벽돌 26,27: 홈
30: 스트립 40: 매질기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종래 도면과 같은 부분은 종래 도면의 부호를 인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홈이 형성된 벽돌, 시멘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조적방법에 관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로서, 도 1a는 벽돌을 이용한 것이고, 도 1b는 시멘틀 블록을 이용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적 방법으로 조적한 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서 보면 본 발명의 홈이 형성된 벽돌(20, 20a)은 상면(21), 하면(22), 측면(23)과 마구리(24)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상면(21)과 하면(22)에는 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26)은 벽돌(20)의 장축 부분과 수평으로 가운데를 가로지르며 형성되고, 상면(21)과 하면(22)에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홈(26)은 윗 벽돌과 아래 벽돌 사이의 결합 매개체인 스트립(30)(strip)이 삽입되기 위한 부분이고, 홈(26)의 깊이 및 두께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스트립(30)이 삽입되어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을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은 내공부(3a)가 있는 벽돌 뿐만 아니라 붉은 벽돌, 시멘트 벽돌, 나무 벽돌, 플라스틱 벽돌, 시멘트 블록에 형성이 가능하다.
상기 스트립(30)의 형상은 직사각 형태의 판상이며, 벽돌(20)의 홈에 용이하게 삽입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스트립(30)의 높이는 상하부의 벽돌에 형성된 홈(20)의 깊이와 몰타르가 삽입되는 줄눈(10)에 의하여 결정된다.
또한, 스트립(30)에는 컷팅이 가능한 눈금홈(34)이 형성되어, 작업에 소요되는 해당량 만큼만을 손쉽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눈금홈(34)의 눈금은, 동일 층에 벽돌(20)을 정열할 때 작업자가 줄눈(10) 너비를 정확히 맞추도록 하는 부가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어, 동일 층의 벽돌(20) 정열시 정확한 간격의 줄눈(10)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립(30)의 재질은 경도가 강하면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합금이 바람직하며, 기타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트립(30)의 폭과 길이는 시공 목적 및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하여 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홈이 형성된 벽돌(20)과 스트립(30)을 이용하여 조적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단계에서는 먼저 수준기 또는 다림추 등을 이용하여 평평하게 고른 바닥에 기초 벽돌(20)을 대략의 줄눈(10) 간격에 맞춰 정렬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대략 정열된 벽돌 상면의 홈(26)에 스트립(30)을 삽입하고, 첫번째 단계에서의 줄눈(10) 간격을 스트립(30)의 눈금홈(34)에 의하여 정확히 정열한다.
세번째 단계에서는 스트립(30)이 홈(26)에 삽입된 벽돌 상면 및 벽돌과 벽돌 사이의 줄눈(10)에 몰타르(14)를 매질한다.
상기 매질시 몰타르(14)는 시공 목적과 시공 대상에 따라 다르나 보통 시멘트와 모래를 1:3으로 혼합하여 물에 개거나, 시멘트, 모래 및 석회를 1:0.2:3의 비율로 혼합하여 물에 개어 사용한다.
네번째 단계에서는 매질된 몰타르(14) 위로 돌출된 스트립(30)과 벽돌의 하면 홈(26)을 결합시켜 쌓는다. 벽돌(20)의 정렬시 스트립(30)에 형성된 눈금(34)에 의해 정확한 줄눈(10) 간격으로 정렬시킨다.
상술한 조적 방법을 반복하여 원하는 높이로 조적한다.
상기 몰타르(14)를 매질하는 방법은 기존 방법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종래에는 벽돌 상면(21) 전체에 몰타르(14)를 개어 매질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벽돌 중앙에 스트립(30)이 직립해 있으므로 스트립(30)에 의해 몰타르(14) 매질이 장애를 받는다.
도 3에 본 발명에 의한 벽돌(20)을 이용하여 조적시 몰타르(14)를 매질하는 매질기(40)를 도시하였다.
도 3에서 보면, 매질기(40)의 상단에는 손잡이(42)가 있고, 그 하부에 몸체(44)가 있으며, 몸체(44)의 하단에는 몰타르 절삭날(46)이 양측으로 생성되어 있다. 매질기 몸체(44)의 중앙에는 스트립(30)이 삽입될 수 있는 홈(48)이 형성되어 있어 매질시 스트립(30)에 의한 장애를 해소할 수 있다.
상기 매질기(40)의 너비는 벽돌(20)의 너비와 일치하고 홈(48)의 깊이는 벽돌 홈(26)과 동일하여 줄눈(10)의 높이에 맞게 몰타르(14)의 높이를 맞춰 매질할 수 있다.
상기 매질기(40)를 사용하여 몰타르(14)를 매질한 후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윗 벽돌의 측면 중앙이 아래 벽돌의 마구리(24)와 마구리(24) 사이 줄눈(10)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면(22)의 홈(26)에 삽입하고 정렬한다. 이후, 다시 벽돌 상면(21)의 홈(26)에 스트립(30)을 삽입하고, 벽돌과 벽돌 사이 및 벽돌의 상면(21)의 줄눈(10)에 몰타르(14)로 매질한 후 상기 방식을 반복하여 쌓는다.
그러나 상술한 벽돌(20)과 조적 방법은 한 장 쌓기에 의해 수직으로 조적할 때는 가능하나 두꺼운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수평으로 직교하여 쌓기에는 불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의하여 직교 쌓기가 가능한 벽돌의 제 2실시예를 도 4에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 2실시예의 벽돌(25)의 상면도 및 하면도이다.
벽돌 상면(21)은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다를 바 없으나, 하면(22)에는 홈이 두 개이고 상기 홈(27)은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27)의 위치는 벽돌 중앙의 세로 방향으로 몰타르(14)가 매질되는 소정의 줄눈 간격을 제외한 정사각형 부분의 가운데를 가로질러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의 벽돌(25)을 이용하여 조적하는 방법과 조적된 벽체 형태를 도 5와 도 6에 도시한다.
도면에서 보면, 벽돌(25)의 마구리(24) 부분이 전면에 보이도록 하여 바닥에 기초 벽돌을 정렬하고, 각 벽돌마다 스트립(30)을 삽입한 후 윗 벽돌에 스트립(30)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외하고 몰타르(14)를 매질한다. 이 대 측면(23)과 측면(23)사이의 줄눈(10)에도 동시에 몰타르(14)에 의해 매질한다. 윗 벽돌은 아래 벽돌이 정렬한 방향과 직교하여 쌓이고, 윗 벽돌의 하면에 형성된 홈(27)에 스트립(30)이 용이하게 삽입된다. 상기와 같이 쌓을 시 벽돌과 벽돌의 측면 사이에는 몰타르(14)가 매질될 줄눈(10)이 생기도록 쌓고, 상기 방법을 적용하여 계속해서 벽돌을 직교시켜 쌓는다.
상기 실시예의 벽돌을 사용하여 조적을 하면 두께가 상당히 넓은 벽체도 견고하게 조적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적 방법은 상술한 벽돌 및 시멘트 블록에 국한되지 않고 기타 유사한 시공 자재에도 응용이 가능하며, 홈을 이용하여 여러 방식으로 조적이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해 종래 기술에서 도출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벽돌의 상, 하면에 형성된 홈과 상기 홈에 삽입되는 스트립에 의하여 벽돌의 위치가 정확히 고정되므로 비숙련자도 손쉽게 원하는 형태로 조적을 할 수 있으며, 충격이나 피로에 의해 벽면에 크랙(crack)이 발생되도 크랙의 진행이 스트립에 의해 차단되므로 견고성이 증대하고, 이에 의하여 기존 벽체보다 향상된 방수 효과를 기대 할수 있다.
또한, 세로 기준틀과 수평실을 설치하는 과정을 생략하여 작업자의 피로가 절감되며, 단시간에 많은 시공이 가능하여 작업 효율이 증가하고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4)

  1. 조적시 사용되는 일반적인 벽돌에 있어서,
    상면과 하면에 홈이 형성되어, 조적 정렬을 위한 스트립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이 형성된 벽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돌에는 시멘트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이 형성된 벽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은 직사각의 판상 형태이며, 경도가 강하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합금, 기타 금속류 또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이 형성된 벽돌.
  4. 기초 벽돌을 정렬하고 각 벽돌 사이의 대략의 줄눈 간격에 의해 정열하는 단계와, 상기 벽돌의 홈에 스트립을 삽입하고 삽입된 스트립에 의해 정확히 정열하는 단계와, 스트립이 삽입된 벽돌면을 몰타르로 매질하는 단계와, 상기 스트립이 윗 벽돌의 하면 홈에 삽입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조적 방법.
KR1019990038962A 1999-09-13 1999-09-13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KR200100272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62A KR20010027276A (ko) 1999-09-13 1999-09-13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8962A KR20010027276A (ko) 1999-09-13 1999-09-13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7276A true KR20010027276A (ko) 2001-04-06

Family

ID=19611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8962A KR20010027276A (ko) 1999-09-13 1999-09-13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272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057A1 (en) * 2003-04-02 2004-10-14 Jong-Ryul Park Wooden brick and wall body using the same
KR101887832B1 (ko) * 2017-12-13 2018-08-13 청화요업(주) 내진 구조의 프리캐스팅 벽돌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099B1 (ko) 2020-02-06 2020-08-19 김학진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KR102371297B1 (ko) 2021-08-11 2022-03-04 한생수 자동 수직정렬이 가능한 건설용 폴대 조립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88057A1 (en) * 2003-04-02 2004-10-14 Jong-Ryul Park Wooden brick and wall body using the same
KR101887832B1 (ko) * 2017-12-13 2018-08-13 청화요업(주) 내진 구조의 프리캐스팅 벽돌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099B1 (ko) 2020-02-06 2020-08-19 김학진 벽돌 조적용 규격 유닛
KR102371297B1 (ko) 2021-08-11 2022-03-04 한생수 자동 수직정렬이 가능한 건설용 폴대 조립체
WO2023017917A1 (ko) * 2021-08-11 2023-02-16 한생수 자동 수직정렬이 가능한 건설용 폴대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281B2 (en) Veneer connectors, wall blocks, veneer panels for wall blocks, and walls
US4651485A (e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system
TW421688B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US7665269B2 (en) Interlocking block
US20050108972A1 (en) Interlocking masonry articles and methods thereof
EP3347529B1 (en) Construction system having core supporting blocks and decorative fascia blocks
US20080172970A1 (en) Columnar block fence system
JPH07207811A (ja) ブロック壁
KR20010027276A (ko)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KR200172375Y1 (ko)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조적용 스트립
JP2002013226A (ja) ブロック体
KR100401173B1 (ko) 옹벽용 블록
GB2106158A (en) Permanent formwork
CN217782456U (zh) 嵌锁型砖墙
KR200227273Y1 (ko) 벽돌
JPH1181522A (ja) 構築用ブロック
US6038822A (en) Octagonal shaped concrete block
JPH09273245A (ja) ブロックジョイント及び溝切空胴ブロック並びにブロックベース
JPH10121790A (ja) 建築又は構築用板材
CN2374603Y (zh) 组装式墙体配套模板
KR200242900Y1 (ko) 홈을 갖는 벽돌
JPH0648009Y2 (ja) 空洞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
JP3030361U (ja) 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CN117328580A (zh) 一种alc条板与蒸压加气混凝土砌块组合的建筑物外立面空腔造型结构
KR200216927Y1 (ko) 조립식 조적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