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900Y1 - 홈을 갖는 벽돌 - Google Patents

홈을 갖는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900Y1
KR200242900Y1 KR2020010016143U KR20010016143U KR200242900Y1 KR 200242900 Y1 KR200242900 Y1 KR 200242900Y1 KR 2020010016143 U KR2020010016143 U KR 2020010016143U KR 20010016143 U KR20010016143 U KR 20010016143U KR 200242900 Y1 KR200242900 Y1 KR 2002429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ricks
groove
grooves
mor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6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균
Original Assignee
박정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균 filed Critical 박정균
Priority to KR2020010016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9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9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900Y1/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돌에 홈과 요철이 있어 현장에서 가공이 용이하고 전단력 보강과 일정한 줄눈 폭의 확보가 가능한 홈을 갖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190*90*57의 규격, 또는 다른 규격의 벽돌의 측면 또는 상하 면에 일정 규격의 홈(6)과 줄눈 깊이의 공간(7)을 갖고있어 벽돌에 전단력과 가공용이성, 일정한 줄눈 간격을 유지하게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이 벽돌에 오목하고 길게 팬 자리를 다수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을 갖는 벽돌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홈을 갖는 벽돌{brick with groove}
본 고안은 홈을 갖는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벽돌의 상하면에 가늘고 긴 홈 또는 마구리 면에 요철이 있어 가공의 용이성과 전단력의 증가 및 줄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홈을 갖는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190*90*57의 규격을 갖는 표준벽돌과 190*90*50, 210*100*60, 230*110*75 등이 쓰인다.
이러한 보통의 벽돌은 면(8), 마구리(9), 길이(10)로 구성되어 온장(11)의 형태로 생산되어 왔다. 벽돌은 가공의 형태 및 규격에 따라 온장(11), 칠 오토막(12), 반격지(13), 이오토막(14) , 반절(15), 반토막(16) , 반반절(17) 등으로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즉석 가공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여 사용하여 왔다.
종래의 벽돌은 벽돌 전체의 강도가 일정하여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반절, 반반절 등의 가공이 요구될 때 자르기 위한 선을 가볍게 망치로 타격하여 선을 낸후 마지막에 힘주어 타격을 가하면 그 잘리는 면이 대부분 일정하지 못하거나 요구되는 크기의 가공이 쉽지 않았다.
종래의 벽돌은 기능공의 기능과 숙련도에 따라 가공된 벽돌의 크기가 결정되어져 정확한 규격의 가공이 필요할 때에는 알맞는 형태가 얻어질 때까지 수차례 노력을 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따라서, 규격에 맞지 않는 벽돌의 폐기 및 노동력 소모, 시공불량 등이 나타났었다. 또한 벽돌의 조적공사시 벽돌 사이에 몰탈 충진을 위한 줄눈 간격이 필요하나 종래의 벽돌은 줄눈의 간격이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좌우되었으며, 줄눈 간격을 일정하게 만드는 것이 쉽지 않아 매 줄눈마다에 몰탈의 충진이 고르지 않았으며 줄눈의 형태도 곱지 않았었다. 이로 인하여 벽돌간의 접착력이 일정하지 않았으며 그 간격도 신뢰할 수 없고 구조적 결함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요즈음에 들어 건설 폐기물은 환경오염의 문제와 관련하여 폐기물의 최소화가 요구되며, 또한 공사비 절감을 위하여 공기단축과 정밀시공의 필요성이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게 대두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벽돌의 표면에 홈이 있어 가벼운 타격만으로도 원하는 형태의 벽돌 크기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벽돌의 마구리가 오목하게 되어 있어 벽돌의 줄눈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벽돌의 결합력이 골고루 분포되어 구조적으로 신뢰할 수 있다. 또한 조적공사시 벽돌의 홈에 몰탈이 충진되어 추가적인 전단력을 갖게된다. 이러한 벽돌의 편리한 가공과 일정한 간격의 줄눈 유지, 전단 저항능력이 향상되는 홈을 갖는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벽돌을 이용하여 쌓기 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홈을 갖는 벽돌을 이용하여 쌓기 한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 및 겨냥도
도 4는 벽돌의 가공형태
도 5, 6, 7, 8, 9, 10은 상기 실시 예를 도시한 평면 및 겨냥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종래의 벽돌 2. 홈을 갖는 벽돌
3. 측면 홈 4. 쌓기용 몰탈
5. 줄눈 6. 홈
본 고안에 따르면, 벽돌이나 점토벽돌 등의 벽돌의 일측 또는 각 측면에 일정한 깊이의 홈과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을 갖는 벽돌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홈을 갖는 벽돌을 도시한 것으로서 벽돌(10)의 상·하면(8)과 마구리면(9), 양측면(10)에 홈(6)과 요철(7)이 있으며, 도 3의 (A)(B)(C)와 5의 (A)(B)(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6)과 요철(18, 19)을 갖는다.
이 홈(6)은 상기 벽돌(10)의 상·하 면에 1개에서 수개에 이르기까지 있게되어 반절, 또는 반반절의 규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가공성을 고려하여 가는 홈이 여러 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홈(6)은 벽돌이 전단력을 갖도록, 홈의 형태는 직사각형(20),반원형(21), 삼각형(22)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벽돌의 마구리 측면에 요철(18,19)을 두어 일정한 양의 몰탈 충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줄눈 간격도 항상 일정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A),(B)(C)는 상기 벽돌(23)을 적용시킨 벽돌을 예시한 것으로, 도 6의 (A)는 벽돌(23)의 상·하면에 사각형 형태의 홈(24)을 다수 두고, 이 상부면에 몰탈(4)이 충진되며 또한 하면(25)의 홈에도 몰탈이 충진되어 하나의 벽체로 일체가 된다.
이때, 상기 상·하면의 홈(24, 25)은 그 상하면에 몰탈의 돌기를(26)를 형성하여 상기 벽돌(23)에 전단 저항능력을 갖게 만든다. 따라서 상기 벽돌은 상·하 벽돌을 단단히 결합하게 만들며 특히 횡력에 의한 전단 저항능력이 증가하게 되어 튼튼한 구조체가 되도록 일조를 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B)는 벽돌(27)의 일단에 다른 벽돌(28)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데 몰탈(29)이 벽돌에 결합력을 부여한다. 이때 수평 벽돌간의 간격이 아주 중요한데, 통상의 경우 이 간격은 10mm 정도를 표준으로 하고 있다. 이 벽돌은 요(30)와 철(31)을 갖게되는데 이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수평결합되며, 결합부(29)에는 몰탈이 충진된다.
따라서, 상기 벽돌의 결합부(29)에 철(30)의 폭(32)만큼 벽돌 수평 결합부 양측에 공간(29)을 갖게 되는바, 이 공간이 몰탈이 충진될 수 있는 일정한 몰탈 충진공간이다. 벽돌의 수평 결합시에 양측 철(30)부분을 맞닿도록 만하면 항상 일정한 깊이(32)의 몰탈 충진공간을 만들 수있다. 또한 여기에 벽돌의 상·하면에 두었던 홈을 추가로 만들어 내부에 돌기(33)를 형성하여 수평 결합하는 벽돌에 결합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벽돌은 쌓기 방법에 따라 반드시 이오토막이나 칠오토막 ,반절, 반반절등의 형태로 현장에서 가공되어 필요 개소에 쓰여지는바 이때 벽돌의 가공은 날카로운 작은 망치를 주로 사용하여 벽돌에 타격을 가하여 벽돌을 가공하는데 반절, 반반절로 가공될 위치에 가는 홈이 있어 그 부분의 저항능력이 다른 위치보다 작아 타격시 쉽게 원하는 모양으로 가공이 가능하며, 예상하지 못한 모양으로 가공될 우려가 거의 없다.
따라서, 숙련된 기술이 없어도 벽돌에 포함된 홈(34)을 따라 가공 할 수 있으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형태의 벽돌을 쉽게 가공 할 수 있다. 이것은 항상 일정한 형태로서 제작되므로 가공비용과 시간,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의 벽돌과 같이 불량가공으로 인한 건설 폐기물 발생도 줄여 환경에도 친환경적이 된다.
또한, 종래의 벽돌형태가 마구리면이 평평하여 조적공사시 기능공의 정성도에 따라 줄눈 간격이 결정되었으나, 상기의 벽돌은 마구리면에 요철이 있어 항상 줄눈 폭을 일정하게 하여 벽돌공사시 마다 줄눈을 조정하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부실시공을 차단할 수 있고 시공품질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홈을 갖는 벽돌은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 콘크리트 벽돌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점토벽돌 타일벽돌 블록 등과 같이 쌓아서 상호 결합하는 모든 종류의 벽돌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벽돌의 상·하면, 마구리면에 홈(34)과 요(31), 철(30)을 만들어 벽돌들을 일체로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벽돌의 줄눈 간격이 일정치 않게 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고, 몰탈로 돌기(33)를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어 전단 저항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하는 모양으로 쉽게 가공이 용이하다.
이 같은 효과는 노무비의 절감과 건설폐기물 발생을 억제, 시공 코스트를 다운시킬 수 있고, 조적공사의 시공이 수월하며, 구조적으로 안정된 형태의 구조물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를 홈을 갖는 벽돌이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일반 콘트리트 벽돌(1)이나 점토벽돌, 타일벽돌 등의 벽돌의 상·하면(8)에 일정규격으로 가공이 필요할 때에 손쉽게 가공할 수 있는 사각형(20), 반원형(21), 삼각형(22)등의 형태로 일정 크기의 홈이 단독 또는 다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이 있는 벽돌.
  2. 일반 콘트리트 벽돌(1)이나 점토벽돌, 타일벽돌 등의 벽돌의 상·하면(8)과 마구리면(9)에 사각형(20), 반원형(21), 삼각형(22)등의 형태로 일정 크기의 홈이 단독 또는 다수 있는 것과, 마구리면(9)에 요(31)와 철(30)이 있어 수평방향 조적공사시 몰탈의 충진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이 있는 벽돌.
  3. 일반 콘크리트 벽돌이나 점토벽돌, 타일벽돌 등의 마구리면(9)에 사각형(20), 반원형(21), 삼각형(22)등의 형태로 일정 크기의 홈이 단독 또는 다수 있는 것과, 반원형, 직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의 요(31)와 철(30)이 있어 수평방향 조적공사시 몰탈의 충진이 일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이 있는 벽돌.
KR2020010016143U 2001-05-30 2001-05-30 홈을 갖는 벽돌 KR2002429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43U KR200242900Y1 (ko) 2001-05-30 2001-05-30 홈을 갖는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6143U KR200242900Y1 (ko) 2001-05-30 2001-05-30 홈을 갖는 벽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900Y1 true KR200242900Y1 (ko) 2001-10-29

Family

ID=73102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6143U KR200242900Y1 (ko) 2001-05-30 2001-05-30 홈을 갖는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9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878B1 (ko) 2017-03-02 2017-09-20 이진관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9878B1 (ko) 2017-03-02 2017-09-20 이진관 조립식 벽돌 건식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77471A1 (en) Brick/block/paver unit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for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JP2001512198A5 (ko)
EP1553236B1 (en) Block
US5826395A (en) Concrete block with offset ledge and installation guide means
KR200242900Y1 (ko) 홈을 갖는 벽돌
CN210177988U (zh) 一种砌筑辅助工具
EP0190377A1 (en) Support plate for tiles
US4719737A (en) Interlocking construction block
EP1613820A1 (en) A ceramic element for floors and/or coverings
CN212453716U (zh) 一种砌筑砂浆摊铺装置
US20030159399A1 (en) Deck spacer
US5881512A (en) Precasted wall/column module
KR20010027276A (ko)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조적 방법
KR200246504Y1 (ko) 다기능 벽돌
RU2005127860A (ru) Комплект кирпичей с горизонтальными и вертикальными соединительными большими участками для заверш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работ и отделки
JPH07119220A (ja) 積み上げ易いレンガ積み工法
CN213806444U (zh) 不同规格瓷砖预拼装固定装置
KR200172375Y1 (ko) 홈이 형성된 벽돌 및 조적용 스트립
CN217000974U (zh) 一种用于灰缝宽度控制砌筑设备
CN220313660U (zh) 一种尺寸可调的预制泛水模具
CA2362868A1 (en) Quoin template
CN217896981U (zh) 一种高强度蒸压加气混凝土砌块
AU2003100278B4 (en) Masonry construction element
EP1067252A2 (en) A process and means for laying t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