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29789A -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29789A
KR20130129789A KR1020120053912A KR20120053912A KR20130129789A KR 20130129789 A KR20130129789 A KR 20130129789A KR 1020120053912 A KR1020120053912 A KR 1020120053912A KR 20120053912 A KR20120053912 A KR 20120053912A KR 20130129789 A KR20130129789 A KR 20130129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bricks
unit
reinforcing steel
mason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2414B1 (ko
Inventor
권기혁
이완섭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원유지개발 주식회사
이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상원유지개발 주식회사, 이완섭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53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241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7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은 길이쌓기 벽돌과 마구리쌓기 벽돌로 이루어지는 제 1단위벽돌을 다수개를 구성하여 1차 조적하는 단계와,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마구리쌓기 벽돌과 마구리쌓기 벽돌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보강철물을 구성하는 단계와, 길이쌓기 벽돌과 마구리쌓기 벽돌로 이루어지는 제 2단위벽돌을 상기 제 1단위벽돌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적하되, 길이쌓기 벽돌과 길이쌓기 벽돌이 대각선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하여 2차 조적하는 단계와,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보강철물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철물이 설치된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다시 상술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다수회 반복하는 단계를 거쳐 일정크기의 조적벽체를 형성하여, 벽돌을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통줄눈이 발생되는 부분을 보강철물로 보강함으로써 조적벽체의 구조성능을 확보하면서 미숙련공인 일반인들도 손쉽게 조적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서리 부분을 한 번에 쌓을 수 있어 종래의 한 쪽 벽체를 먼저 쌓고 만나는 벽을 끼워 맞추어 쌓아야 하는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고, 벽체의 줄눈 패턴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Brick constructing method using reinforcing member}
본 발명은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을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통줄눈이 발생되는 부분을 보강철물로 보강함으로써 조적벽체의 구조성능을 확보하면서 미숙련공인 일반인들도 손쉽게 조적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서리 부분을 한 번에 쌓을 수 있어 종래의 한 쪽 벽체를 먼저 쌓고 만나는 벽을 끼워 맞추어 쌓아야 하는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고, 벽체의 줄눈 패턴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조적 방법은 벽돌을 그대로 사용하면 통줄눈이 발생하여 이오토막, 반토막 등으로 조적공이 현장에서 벽돌을 가공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쌓아나가야 하였으며, 모서리 부분의 경우에도 한 번에 쌓지 못하고 한쪽 벽체를 먼저 쌓고 만나는 벽을 끼워 맞추어 쌓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어 조적에 경험이 없는 미숙련공은 벽돌가공과 위치선정에 익숙지 않아 조적조 벽체를 쌓는데 어려움이 있고, 따라서, 상당기간 실습을 거쳐야 능숙한 조적공이 된다. 숙련된 조적공의 임금은 높은 편이여서 국내에서 조적조 건축물이 사라져 가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441977호 "신축보강쇠를 이용한 벽돌조적 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다수의 벽돌(1)을 그 접합부가 몰탈로서 결합되게 일정높이의 1차벽돌조를 조적하는 단계(S1)와, 조적된 1차벽돌군의 임의벽돌(1)과 그에 이웃하는 벽돌(1)의 상면 여러 곳에, 장변(21)과 단변(22)으로 절곡형성되고 장변(21)의 바깥쪽 절반부분에는 합성수지재의 신축재(23)가 설치된 신축보강쇠(2)를 이웃하는 두 개의 벽돌(1)에 장변(21)이 반분되어 걸쳐지도록 설치하는 단계(S2)와, 각각 신축보강쇠(2)가 걸쳐져 설치된 1차벽돌군의 벽돌(1)과 벽돌(1)의 접합부를 포함한 그 직하부에 실리콘으로 되는 신축조인트재(3)를 투입하는 단계(S3)와, 상기 신축보강쇠(2)가 설치된 1차벽돌군 상에 다시 상술한 단계(S1)(S2)(S3)를 순차적으로 다수 회 반복하는 단계(S4)를 거쳐 일정크기의 벽돌조적벽체(a)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축보강쇠를 이용한 벽돌조적 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역시 이오토막, 반토막 등으로 조적공이 현장에서 벽돌을 가공하여 적절한 위치에 배치하여 쌓아나가야 하였으며 모서리 쌓기나 교차 쌓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441977호 "신축보강쇠를 이용한 벽돌조적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벽돌을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통줄눈이 발생되는 부분을 보강철물로 보강함으로써 조적벽체의 구조성능을 확보하면서 미숙련공인 일반인들도 손쉽게 조적벽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형태의 모서리 부분을 한 번에 쌓을 수 있어 종래의 한 쪽 벽체를 먼저 쌓고 만나는 벽을 끼워 맞추어 쌓아야 하는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고, 벽체의 줄눈 패턴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벽돌을 그 접합부가 모르타르로서 결합되게 한켜로 조적하되, 장변이 정면에 보이도록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과 상기 길이쌓기 벽돌의 일측면에 구성되며 단변이 정면에 보이도록 마구리쌓기로 쌓은 마구리쌓기 벽돌로 이루어지는 제 1단위벽돌을 마구리쌓기 벽돌의 양단에 길이쌓기 벽돌이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다수개를 구성하여 1차 조적하는 단계와,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마구리쌓기 벽돌과 마구리쌓기 벽돌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공 또는 결합돌기가 다수개 형성된 판형상의 보강철물을 구성하는 단계와,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과 상기 길이쌓기 벽돌의 타측면에 구성되는 마구리쌓기로 쌓은 마구리쌓기 벽돌로 이루어지는 제 2단위벽돌을 상기 제 1단위벽돌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적하되, 길이쌓기 벽돌과 길이쌓기 벽돌이 대각선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하여 2차 조적하는 단계와,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마구리쌓기 벽돌과 마구리쌓기 벽돌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보강철물을 구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강철물이 설치된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다시 상술한 단계를 순차적으로 다수회 반복하는 단계를 거쳐 일정크기의 조적벽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보강철물의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는 보강철물의 상부와 하부로 엇갈려 구성되며, 결합돌기가 형성된 반대쪽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철물은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벽돌의 폭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편이 상부와 하부로 각각 엇갈려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결합편은 보강철물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은 벽돌을 가공 없이 그대로 사용하는 대신에 통줄눈이 발생되는 부분을 보강철물로 보강함으로써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고 조적벽체의 구조성능을 확보하면서 미숙련공인 일반인들도 손쉽게 조적벽체를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 쌓기에서 모서리 부분을 한 번에 쌓지 못하고 한 쪽 벽체를 먼저 쌓고 만나는 벽을 끼워 맞추어 쌓아야 하는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고, 벽체의 줄눈 패턴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의 시공순서도,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다른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철물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a는 상기 도 2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b는 상기 도 4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4c는 상기 도 4a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5는 종래 벽돌조적 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부분 예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의 시공순서도이고, 도 1b는 상기 도 1a의 다른 시공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1a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은 벽돌을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11)과 마구리쌓기로 쌓는 마구리쌓기 벽돌(12)을 번갈아 위치시켜 한켜를 조적하고, 그 상단에는 다시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21)과 마구리쌓기로 쌓는 마구리쌓기 벽돌(22)을 번갈아 위치시켜 한켜를 조적하되, 길이쌓기 벽돌(11)과 길이쌓기 벽돌(21)이 대각선으로 어긋나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면, 하단의 두줄의 길이쌓기 벽돌(11)과 인접한 하나의 마구리쌓기 벽돌(12)을 제 1단위벽돌(10)로 정의하고, 상기 단위벽돌(10)의 상단에 조적되는 두줄의 길이쌓기 벽돌(21)과 인접한 하나의 마구리쌓기 벽돌(22)을 제 2단위벽돌(20)로 정의하면, 제 1단위벽돌(10)의 상부에 제 2단위벽돌(20)이 위치하게 되고, 마구리쌓기 벽돌(12)과 마구리쌓기 벽돌(22)은 상부와 하부에서 서로 면접하지 않고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 1단위벽돌(10)과 제 2단위벽돌(20)은 수평으로는 각각의 켜를 형성하도록 직렬로 다수개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수직으로는 제 1단위벽돌(10)과 제 2단위벽돌(20)이 각각 교대로 구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제 1단위벽돌(10)과 제 2단위벽돌(20)은 평면이 동일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통줄눈(C)이 형성되게 된다.
통줄눈(C)이 형성되도록 길이와 마구리가 번갈아 나오도록 단위벽돌 단위로 조적을 하고 통줄눈(C)이 형성된 부분에 보강철물(30)로 보강을 하기 때문에, 통줄눈을 피하기 위하여 이오토막, 반토막 등으로 조적공이 현장에서 벽돌을 가공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공기도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시공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조적단계는 벽돌을 두줄의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를 번갈아 한켜를 형성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조적한다.
이때, 장변이 정면에 보이도록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11)과 상기 길이쌓기 벽돌(11)의 일측면에 구성되며 단변이 정면에 보이도록 마구리쌓기로 쌓은 마구리쌓기 벽돌(12)을 제 1단위벽돌(10)이라 정의한다.
상기의 제 1단위벽돌(10)을 연달아 배치하여 마구리쌓기 벽돌(12)의 양단부에 길이쌓기 벽돌(11)이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제 1단위벽돌(10) 각각의 상부에 판형상의 보강철물(30)을 구성한다.
이때 보강철물(30)은 제 1단위벽돌(10)과 이웃하는 제 1단위벽돌(10)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위치시키는데, 통줄눈(C)은 제 1단위벽돌(10)의 단위로 형성되기 때문에 마구리쌓기 벽돌(12)과 마구리쌓기 벽돌(12)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11)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구성한다.
이후, 보강철물(30)이 구성된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는, 제 1단위벽돌(10) 각각의 상부에 제 2단위벽돌(20)을 조적한다.
제 2단위벽돌(20)은 길이쌓기 벽돌(21)과 상기 길이쌓기 벽돌(21)의 타측면에 구성되는 마구리쌓기로 쌓은 마구리쌓기 벽돌(22)을 단위로 지정하여 정의한 것이다. 제 1단위벽돌(10) 각각의 상부에 제 2단위벽돌(20)을 조적시에는 제 1단위벽돌(10)의 길이쌓기 벽돌(11)의 상부에는 제 2단위벽돌(20)의 마구리쌓기 벽돌(22)이 위치하고, 제 1단위벽돌(10)의 마구리쌓기 벽돌(12)의 상부에는 제 2단위벽돌(20)의 길이쌓기 벽돌(21)이 위치하도록 서로 어긋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다시 보강철물(30)을 구성한다.
이때 보강철물(30)은 제 2단위벽돌(20)과 이웃하는 제 2단위벽돌(20)을 걸쳐지도록 위치시키는데, 마구리쌓기 벽돌(22)과 마구리쌓기 벽돌(22)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21)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강철물(30)이 설치된 2차 벽돌군 상에 다시 상술한 단계(S1)(S2)(S3)(S4)를 순차적으로 다수회 반복하는 단계(S5)를 거쳐 일정크기의 조적벽체(W)를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 1단위벽돌(10)과 제 2단위벽돌(20)은 교대로 수평으로 각각의 켜를 형성하도록 다수개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수직으로는 제 1단위벽돌(10)과 제 2단위벽돌(20)이 각각 교대로 구성되어 구성된다.
이때, 제 1단위벽돌(10)과 제 2단위벽돌(20)은 평면이 동일하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통줄눈(C)이 형성되게 되며, 수직방향의 통줄눈(C)은 보강철물(30)을 수평방향으로 삽입시켜 보강하도록 한 것이다.
수직방향의 통줄눈(C)이 발생하기 때문에, 모서리 쌓기나 교차쌓기 시에도 한 번에 쌓지 못하고 한 쪽 벽체를 먼저 쌓고 만나는 벽을 끼워 맞추어 쌓아야 하는 어려움도 해결할 수 있어 조적이 매우 용이하다.
보강철물(30)은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폭은 벽돌 폭의 절반 정도로 구성되고, 길이는 벽돌 길이의 1.5배 정도로 형성되어 마구리쌓기 벽돌(12)(22)과 마구리쌓기 벽돌(12)(22)의 양단에 구성된 길이쌓기 벽돌(11)(21)의 상부를 모두 걸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마구리쌓기 벽돌(12)과 마구리쌓기 벽돌(12)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11)의 상부에 걸쳐지기 때문에, 보강철물(30)의 중앙부는 마구리쌓기 벽돌(12)에 위치하고 양단부가 각각 길이쌓기 벽돌(11)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통줄눈(C)이 형성된 부분을 보강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보강철물의 제 1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보강철물(30)은 판형상의 강재로 구성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으로 통공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공(31)을 형성하거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결합돌기(32)를 형성하여 수평방향의 줄눈에 삽입하고 모르타르와 일체로 결합되어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개의 결합돌기(32)는 규칙적으로 보강철물(30)의 상부와 하부에 엇갈려 구성되도록 하여 안정적인 지지와 동시에 결합력을 높일 수 있으며, 결합돌기(32)가 형성된 반대쪽면에는 결합홈(32a)을 형성하여 모르타르가 충진되도록 하여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결합돌기(3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상기 도 2의 제 3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 도 4a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며, 도 4c는 상기 도 4a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철물(30)은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벽돌의 폭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편(33)이 상부와 하부로 각각 엇갈려서 형성되도록 하여, 보강철물(30)의 삽입시에 각 결합편(33)이 마구리쌓기 벽돌(12)(22)과 길이쌓기 벽돌(11)(21)이 형성하는 수직줄눈에 삽입이 되어 끼워지도록 하여, 구조물의 안정성을 더할 수 있다.
결합편(33)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강재를 결합시켜 구성하여도 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철물(30) 자체를 절곡하여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철물(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돌출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 : 통줄눈
W : 조적벽체
10 : 제 1단위벽돌
20 : 제 2단위벽돌
11, 21 : 길이쌓기 벽돌
12, 22 : 마구리쌓기 벽돌
30 : 보강철물
31 : 결합공
32 : 결합돌기
32a : 결합홈
33 : 결합편

Claims (4)

  1. 각각의 벽돌을 그 접합부가 모르타르로서 결합되게 한켜로 조적하되,
    장변이 정면에 보이도록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11)과 상기 길이쌓기 벽돌(11)의 일측면에 구성되며 단변이 정면에 보이도록 마구리쌓기로 쌓은 마구리쌓기 벽돌(12)로 이루어지는 제 1단위벽돌(10)을 마구리쌓기 벽돌(12)의 양단에 길이쌓기 벽돌(11)이 이웃하여 위치하도록 다수개를 구성하여 1차 조적하는 단계(S1)와,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마구리쌓기 벽돌(12)과 마구리쌓기 벽돌(12)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11)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수직으로 관통하는 결합공(31) 또는 결합돌기(32)가 다수개 형성된 판형상의 보강철물(30)을 구성하는 단계(S2)와,
    1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두줄의 길이쌓기로 쌓은 길이쌓기 벽돌(21)과 상기 길이쌓기 벽돌(21)의 타측면에 구성되는 마구리쌓기로 쌓은 마구리쌓기 벽돌(22)로 이루어지는 제 2단위벽돌(20)을 상기 제 1단위벽돌(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조적하되, 길이쌓기 벽돌(11)과 길이쌓기 벽돌(21)이 대각선으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하여 2차 조적하는 단계(S3)와,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모르타르를 펼쳐 바르고, 마구리쌓기 벽돌(22)과 마구리쌓기 벽돌(22)의 양단에 이웃하는 길이쌓기 벽돌(21)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보강철물(30)을 구성하는 단계(S4)와,
    상기 보강철물(30)이 설치된 2차 조적된 벽돌의 상부에 다시 상술한 단계(S1)(S2)(S3)(S4)를 순차적으로 다수회 반복하는 단계(S5)를 거쳐 일정크기의 조적벽체(W)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30)의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된 다수개의 결합돌기(32)는 보강철물(30)의 상부와 하부로 엇갈려 구성되며, 결합돌기(32)가 형성된 반대쪽면에는 결합홈(32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물(30)은 길이방향의 중앙부에 벽돌의 폭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결합편(33)이 상부와 하부로 각각 엇갈려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편(33)은 보강철물(3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곡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KR1020120053912A 2012-05-21 2012-05-21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KR101412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12A KR101412414B1 (ko) 2012-05-21 2012-05-21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912A KR101412414B1 (ko) 2012-05-21 2012-05-21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789A true KR20130129789A (ko) 2013-11-29
KR101412414B1 KR101412414B1 (ko) 2014-06-27

Family

ID=49856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912A KR101412414B1 (ko) 2012-05-21 2012-05-21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24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8959B (el) * 2015-11-30 2017-02-22 ΒΑΒΟΥΛΙΩΤΗΣ-ΓΟΥΝΑΡΗΣ-ΜHΤΑΚΗΣ Α.Β.Ε.Ε. με δ.τ. "ΧΑΛΚΙΣ Α.Β.Ε.Ε." Τοιχοποιια πληρωσης με κατακορυφους αρμους (ανα σταθερες αποστασεις) στην οψη της
KR101939178B1 (ko) * 2018-05-24 2019-04-11 서정희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KR20190135109A (ko) * 2018-05-28 2019-12-06 서정희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CN111350293A (zh) * 2018-12-20 2020-06-30 当代室内装修有限公司 抗震隔音砖墙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7701U (ja) * 1982-05-19 1983-11-28 高橋 稔 ブロツクの空積みに使うジヨイント
JP3319808B2 (ja) * 1993-04-19 2002-09-03 泰典 松藤 ブロック組積構造
JP3749825B2 (ja) 2000-09-06 2006-03-01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煉瓦組積構造、煉瓦組積工法及び煉瓦
KR100463099B1 (ko) * 2002-08-28 2004-12-23 주식회사 삼한 씨원 콘크리트 블록 벽체용 연결철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8959B (el) * 2015-11-30 2017-02-22 ΒΑΒΟΥΛΙΩΤΗΣ-ΓΟΥΝΑΡΗΣ-ΜHΤΑΚΗΣ Α.Β.Ε.Ε. με δ.τ. "ΧΑΛΚΙΣ Α.Β.Ε.Ε." Τοιχοποιια πληρωσης με κατακορυφους αρμους (ανα σταθερες αποστασεις) στην οψη της
KR101939178B1 (ko) * 2018-05-24 2019-04-11 서정희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KR20190135109A (ko) * 2018-05-28 2019-12-06 서정희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CN111350293A (zh) * 2018-12-20 2020-06-30 当代室内装修有限公司 抗震隔音砖墙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2414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490B2 (en) Block, flood protection barrie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rrier of this type
US8869479B2 (en) Web structure for knockdown insulating concrete block
US9091055B2 (en) Wall assembly method
CA2946787C (en) Masonry block system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US8973322B2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CA2852645A1 (en) Masonry block system
KR101412414B1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통줄눈 형성 조적방법
KR20150024458A (ko) 벽돌 조적용 연결구
CA2696981A1 (en) Building block system
US5205675A (en) Precast cribbing wall system
US20140196392A1 (en) Masonry units and structures formed therefrom
JP663580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の接合方法
US8800218B2 (en) Insulating construction panels, systems and methods
RU2477770C1 (ru) Замковый сборный ленточный фундамент
KR200417403Y1 (ko) 조립식 블럭
JP6382263B2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3152221U (ja) 舗装用ブロック
JP6553855B2 (ja) 建物の基礎構造、および、建物の基礎の施工方法
JP2014169551A (ja) 構造物基礎建設用ブロック
JP3199083U (ja) 土木建築用組みブロックの中間ユニットブロック体
KR100724525B1 (ko) 건축용 조립식 흙막이 구조
KR102112678B1 (ko) 결속블록을 구비한 보강토 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20190115571A (ko) 건축물의 내벽 건축을 위한 조립식 인터락킹 건축 블록
KR102628189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 및 이의 축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