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6090B1 -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6090B1
KR102146090B1 KR1020200010937A KR20200010937A KR102146090B1 KR 102146090 B1 KR102146090 B1 KR 102146090B1 KR 1020200010937 A KR1020200010937 A KR 1020200010937A KR 20200010937 A KR20200010937 A KR 20200010937A KR 102146090 B1 KR102146090 B1 KR 10214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ynthetic wood
modified
weight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승하
황태경
Original Assignee
벽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0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6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27K3/50Mixtures of different organic impregnat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1/00Catalysts comprising the elements, oxides, or hydroxides of magnesium, boron, aluminium, carbon, 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 B01J21/06Silicon, titanium, zirconium or haf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21/063Titanium; Oxides or hydroxides thereof
    • B01J35/0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5/0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0Catalyst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35/39Photocataly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15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by electric means
    • B27K5/002Electric discharges,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9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raised panels, i.e. panels having a profiled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09Methods, e.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4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08K9/06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with silicon-containing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00/00Wooden materials to be treated
    • B27K2200/15Pretreated partic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00/00Wooden materials to be treated
    • B27K2200/30Multilayer articles comprising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90UV-prot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주주 압출기를 통해 제 1 올레핀 수지 및 표면개질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보조 압출기를 통해 제 2 표면개질 목분, 제 2 올레핀 수지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은 가수분해된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1: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ynthetic wood containing photocatalyst and synthetic wood using thereof}
본 발명은 광촉매 특성을 가져 내오염성이 높은 합성목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 소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천연 목재를 이용한 건축 내, 외장재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천연목재는 건축 내,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을 만큼의 생산이 어려우며, 습기에 쉽게 변형되며 곰팡이 등이 쉽게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연목재와 유사한 질감 및 외관을 갖는 합성목재가 개발되고 있다. 합성목재는 목분, 볏집 등과 같은 섬유질과 가공이 쉬운 열가소성 수지를 혼합하여 압출 또는 사출되어 제조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목재와 열가소성 수지는 균일한 분산이 어렵고, 우수한 기계강도를 나타내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목분 등과 같은 섬유질과 열가소성 수지가 균일하게 분산되며, 우수한 기계강도를 나타내기 위한 방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0705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목분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균일한 성질을 갖는 합성목재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촉매 특성을 가져 내오염성이 높은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은 이중압출 방법을 통해 제조하되, 주 압출기를 통해 제 1 올레핀 수지 및 표면개질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보조 압출기를 통해 제 2 표면개질 목분, 제 2 올레핀 수지 광촉매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은 가수분해된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1: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은 이산화티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기재층 또는 표면층은 자외선 안정제 및 열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은 목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제 1 올레핀 수지 또는 제 2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표면층은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2올레핀 수지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이산화티탄은 아나타제(anatase)형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은 아미노실란계화합물 및 다면체올리고머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목분을 포함하여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내구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합성목재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과정을 대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제조된 합성목재를 일 측면에서 관찰한 모양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종래 표면에 축광구조를 갖는 합성목재를 일측면에서 바라본 형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주 압출기를 통해 제 1 올레핀 수지 및 표면개질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포함하는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보조 압출기를 통해 제 2 표면개질 목분, 제 2 올레핀 수지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은 가수분해된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1: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기재층의 형성 시 목분을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및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혼합한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함으로써, 부착력 및 내구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표면층과의 접착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목재가 상기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 됨으로써, 기재층 내에서 제 1 올래핀 수지와의 상용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균일하지 못한 혼합에 따른 기계강도 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좋게는 상기 표면개질제는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및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반응시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가수분해된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은 아미노 실란계 화합물을 물로 가수분해 시켜 알콕시기를 하이드록시기로 치환한 것을 의미한다. 이때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은 말단에 아민기를 포함하는 실란 화합물인 경우 제한없이 이용이 가능하나, 구체적이고 비한정적인 일예로 상기 아미노실란계 화합물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및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은 작용기가 치환된 것일 수 있으며, 작용기가 치환된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에서,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 (Polyhedral oligomeric silsesquioxane, POSS)은, 3차원 구조를 가지는 실록산계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RSiO1.5)n (n = 6 내지 16의 정수) 형태의 분자식으로 표시된다. 상기 작용기는 알코올, 아민, 카르복실산, 에폭사이드 중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알코올기가 치환된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으로 TMP 디올이소부틸 POSS(DiolIsobutyl POSS), (TMP(Trimethylolpropane) DiolIsobutyl POSS), 사이클로헥산디올 이소부틸 POSS(Cyclohexanediol Isobutyl POSS), 1,2-프로판디올이소부틸 POSS(1,2-Propanediol Isobutyl POSS), 옥타(3-히드록시-3-메틸부틸디메틸실록시) POSS ((Octa(3-hydroxy-3-methylbutyldimethylsiloxy) POSS);
아민기가 치환된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으로 아미노프로필 이소부틸 POSS(Aminopropyl Isobutyl POSS), 아미노프로필 이소옥틸 POSS(Aminopropyl Isooctyl POSS),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이소부틸 POSS(Aminoethylaminopropyl Isobutyl POSS), N-페닐아미노프로필 POSS(N-Phenylaminopropyl POSS), N-메틸아미노프로필 POSS(N-Methylaminopropyl Isobutyl POSS), 옥타 암모늄 POSS(Octa Ammonium POSS), 아미노페닐 사이클로헥실 POSS(Aminophenyl Cyclohexyl POSS), 아미노페닐 이소부틸 POSS(Aminophenyl Isobutyl POSS);
에폭시기가 치환된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으로 에폭시 사이클로헥실 이소부틸 POSS(Epoxy Cyclohexyl Isobutyl POSS), 에폭시사이클로헥실 POSS(Epoxycyclohexyl POSS), 글리시딜 POSS(Glycidyl POSS), 글리시딜 에틸 POSS(Glycidyl Ethyl POSS), 글리시딜 이소부틸 POSS(Glycidyl Isobutyl POSS), 글리시딜 이소부틸 POSS(Glycidyl Isooctyl POSS);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알코올, 아민 또는 에폭시기가 치환된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혼합함으로써, 목분과의 표면개질 효율을 현저히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제조되는 합성목재의 기계적 물성 향상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수분해된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의 혼합비는 1:0.1 내지 0.5, 좋게는 1:0.2 내지 0.4일 수 있다.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이 소량 혼합되는 경우 표면개질 효과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이 지나치게 다량 포함되는 경우 표면개질 효과 상승 대비 생산단가가 급격히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의 제조는 상기 표면개질제 수용액에 목분을 침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이용되는 표면개질제의 양은 목분 100 중량부 대비 10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의 제조는 상기 표면개질제와 목분이 잠길 정도의 물을 혼합하여 표면개질제 수용액을 제조하고, 목분을 표면개질제 수용액에 침지하여 30분 내지 4시간 동안 교반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으며, 교반 후 목분을 분리하여 건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 기재층과 표면층의 결착력을 향상시키고, 표면층의 기계강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관점에서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은 목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를 통하여 표면층 내에서 상기 제 2 올레핀수지와 분리가 일어나지 않고 균일하게 혼합됨으로써 높은 기계강도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은 상기 기재층에 실록산계 화합물로 표면처리된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첨가하고, 표면층에 플라즈마로 표면처리된 제 2 표면개질 목분을 첨가함으로써, 기재층 및 표면층 각각이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하며, 기재층과 표면층의 결착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은 이산화티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이산화티탄은 아나타제(anatase)형 이산화티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이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을 더 포함함으로써, 광촉매 특성이 발휘되어 제조된 이중압출 합성목재를 야외 등에 설치 시 오염을 예방하고 장기적인 내구성 향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20 중량부의 이산화티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산화 티탄을 소량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광촉매 특성이 나타나기 어려우며, 이산화티탄을 다량 포함하는 경우 표면층의 물성 저하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 1 올레핀 수지 및 제 2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기계강도 향상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측면에서 좋게는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재층은 내구성 및 기계강도 향상을 위하여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충진제는 탄산칼슘, 실리카, 탈크, 질석, 마이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및 황산바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좋게는 탄산칼슘, 탈크 및 황산바륨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기재층 및 표면층은 실외에서 장기간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열 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열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의 첨가량은 열안정제 또는 자외선 안정제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안정제는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비스(1,1-디메틸에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 아인산,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1,1-비페닐]-4,4'-디일비스포스포네이트 및 비스(2,4-디-tert-부틸페닐)펜타에리쓰리톨디포스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구체적으로 자외선을 흡수하는 자외선 흡수제일 수 있으며, 이때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페논계, 벤조트리아졸계, 아크릴니트릴계, 금속 착염계, 힌더드 아민계, 초미립자 산화 티탄 또는 초미립자 산화 아연 등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은 심미감을 높이기 위하여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안료의 첨가량은 제조되는 합성목재의 사용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기재층은 제 1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1 올레핀 수지, 5 내지 20 중량부의 충진제 및 0.5 내지 3 중량부의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층에 포함된 목분과 올레핀의 비율이 상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장기간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합성목재의 질감을 나타내면서도 목분의 응집을 예방하여 균일한 물성을 갖는 기재층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은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2 올레핀 수지, 5 내지 20 중량부의 이산화티탄 및 0.5 내지 3 중량부의 열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에서 상기 표면층이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내구성을 향상시키면서도 장기간 사용에 의해 목분이 탈리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이중압출 장비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으며, 제조되는 합성목재는 기재층과 표면층의 2층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술한 기재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1 올레핀 수지, 제 1 표면개질 목분,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및 충진제를 혼합하여 주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고, 표면층을 형성하기 위한 제 2 올레핀 수지, 제 2 표면개질 목분, 자외선 안정제, 열 안정제, 이산화티탄 및 안료를 혼합하여 보조 압출용 마스터배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주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주 압출기에 투입하고, 보조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보조 압출기에 투입하는 방법으로 합성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미끄럼 방지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조압출기의 후단에 미끄럼 방지기능을 갖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홈 및 돌출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압출다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후속 공정 없이 한번에 표면층에 홈 및 돌출구조를 갖는 미끄럼 방지턱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좋게는 상기 압출다이는 톱니바퀴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압출다이로부터 형성되는 미끄럼 방지턱은 상기 톱니바퀴와 맞물리는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중압출을 통해 제조된 합성목재를 제공하며, 본 발명에 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중압출을 통해 합성목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는 내구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1.제 1 표면개질 목분의 제조
3-aminopropyltrimethoxysilane(APTMS) 1000 g을 10 리터의 물에 첨가하고, HCl을 0.05 mol 첨가하여 가수분해를 진행하였다. 이후, 아미노프로필 이소부틸 POSS(Aminopropyl Isobutyl POSS) 300 g을 첨가하고 60 ℃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여 표면개질제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표면개질제에 목분 8600g을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한 뒤,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제조하였다.
2. 제 2 표면개질 목분의 제조
진공 플라즈마 기기를 이용하여 8600g의 목분을 30분간 처리하여 제 2 표면개질 목분을 제조하였다.
3. 기재층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가 10 g/10 min) 650 g을 100 ℃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 여기에 제 1 표면개질 목분 1 kg, 탄산칼슘 충진제 90g, 열안정제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12 g을 혼합하여 주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주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4. 표면층
폴리프로필렌(용융지수가 12 g/10 min) 650 g을 100 ℃로 가열하여 용융한 후, 여기에 제 2 표면개질 목분 1 kg,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90g, 열안정제로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10 g을 혼합하여 주 압출용 마스터 배치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보조 압출기에 투입하였다.
상기 주 압출기 및 보조 압출기에 각각 기재층 및 표면층을 투입하고, 기재층은 30 ㎜, 표면층은 5 ㎜ 두께가 되도록 이중 압출을 실시하여 이중압출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내지 제조예 9]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표 1에서 함량의 단위는 g이다.
제조예 8은 제 1 표면개질 목분이 아닌 표면개질 되지 않은 목분을 동량 첨가하여 제조하였으며, 제조예 9는 제 2 표면개질 목분이 아닌 표면개질 되지 않은 목분을 동량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기재층 표면층 비고
제조예 목분 올레핀 충진제 열안정제 목분 올레핀 이산화티탄 열안정제  
1 1000 650 90 12 1000 650 90 10  
2 1000 500 90 12 1000 500 90 10  
3 1000 700 90 12 1000 700 90 10  
4 1000 1200 90 12 1000 650 90 10  
5 1000 400 90 12 1000 650 90 10  
6 1000 650 90 12 1000 1200 90 10  
7 1000 650 90 12 1000 400 90 10  
8 1000 650 90 12 1000 650 90 10 기재층 목분 표면개질 안함
9 1000 650 90 12 1000 650 90 10 표면층 목분 표면개질 안함
[제조예 10 내지 제조예 15]
제조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되, 제 1 표면개질 목분의 제조 시 이용되는 AMTPS 및 POSS의 함량을 표 2와 같이 하여 제 1 표면개질 목분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이중압출 합성목재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AMTPS POSS 목분
1 1000 300 8600
10 1300 0 8600
11 0 500 8600
12 1000 50 8600
13 1000 600 8600
14 1000 300 5000
15 1000 300 14000
이중압출 합성목재의 물성 측정
1.기계적 물성 측정
제조예에서 제조된 이중압출 합성목재에 대하여 인장강도(KS M 3006) 및 굽힘강도(KS M ISO 178)를 측정하고 표 3으로 나타내었다.
내마모도는 시편 표면에 수직 방향으로 1.5kg 하중이 더해진 첨단부 지름이 0.45 ㎜인 니들을 분당 55회 평면 방향으로 약 10 ㎜ 가량 왕복 시킨 후, 마모된 깊이로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표 3으로 나타내었다.
인장강도(MPa) 굽힘강도(MPa) 내마모도(㎜)
-표면층
내마모도(㎜)
-기재층
제조예 1 17.1 78.5 0.12 0.03
제조예 2 16.7 77.4 0.13 0.03
제조예 3 17.0 77.2 0.12 0.04
제조예 4 16.2 75.3 0.12 0.11
제조예 5 12.9 57.4 0.13 0.05
제조예 6 15.9 75.8 0.42 0.03
제조예 7 12.4 55.5 0.19 0.04
제조예 8 10.6 42.3 0.12 0.15
제조예 9 12.3 54.0 0.53 0.04
제조예 10 14.4 65.9 0.12 0.08
제조예 11 13.6 61.2 0.13 0.07
제조예 12 15.5 71.3 0.13 0.06
제조예 13 14.6 66.2 0.12 0.04
제조예 14 16.7 75.5 0.14 0.09
제조예 15 12.4 53.6 0.13 0.05
표 3을 참고하면, 기재층이 제 1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1 올레핀 수지, 5 내지 20 중량부의 충진제 및 0.5 내지 3 중량부의 자외선 안정제를 포함하고, 표면층이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2 올레핀 수지, 5 내지 20 중량부의 이산화티탄 및 0.5 내지 3 중량부의 열안정제를 포함하는 제조예 1 내지 3의 경우 인장강도, 굴곡강도 및 내마모성이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촉매 효과 확인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이중압출 합성목재를 면적이 5×5 ㎝가 되도록 절단하고, 메틸렌블루 5 ㎖을 표면층위에 떨어트린 뒤, 태양광에 노출하고 5시간 뒤 색깔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5시간이 경과한 후 메틸렌 블루가 무색으로 변하여 광촉매 특성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9)

  1. 주 압출기를 통해 제 1 올레핀 수지 , 표면개질된 제 1 표면개질 목분 및 충진제를 포함하는 기재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보조 압출기를 통해 제 2 표면개질 목분, 제 2 올레핀 수지 및 광촉매를 포함하는 표면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표면개질 목분은 가수분해된 아미노실란계 화합물 : 다면체 올리고머 실세스퀴옥산을 1:0.2 내지 0.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표면개질제로 표면개질되며, 상기 기재층은 제 1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1 올레핀 수지, 5 내지 20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는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또는 표면층은 자외선 안정제 및 열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표면개질 목분은 목분을 플라즈마 처리하여 제조된 것인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올레핀 수지 또는 제 2 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제 2 표면개질 목분 100 중량부 대비 50 내지 70 중량부의 제 2올레핀 수지 및 5 내지 15 중량부의 충진제를 포함하는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홈 및 돌출구조를 갖는 미끄럼 방지턱을 포함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제조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200010937A 2020-01-30 2020-01-30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937A KR102146090B1 (ko) 2020-01-30 2020-01-30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937A KR102146090B1 (ko) 2020-01-30 2020-01-30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090B1 true KR102146090B1 (ko) 2020-08-20

Family

ID=7224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937A KR102146090B1 (ko) 2020-01-30 2020-01-30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60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25B1 (ko) * 2020-12-04 2021-03-02 문진호 시작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KR102414488B1 (ko) * 2022-02-11 2022-06-29 (주)애니우드 논슬립 데크구조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338A (ja) * 1999-07-28 2001-02-13 Jsr Corp 着雪・着氷防止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着雪・着氷防止用塗膜の形成方法
JP2004345090A (ja) * 2003-05-19 2004-12-09 Asahi Kasei Chemicals Corp 機能性木材
KR101107057B1 (ko) 2011-09-20 2012-01-25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이중 구조의 친환경 합성목재
KR101317569B1 (ko) * 2010-03-02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다중 공압출을 이용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458750B1 (ko) * 2014-08-07 2014-11-05 (주)그린우드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1469B1 (ko) * 2015-12-02 2016-12-02 주식회사 더우드 전도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0338A (ja) * 1999-07-28 2001-02-13 Jsr Corp 着雪・着氷防止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着雪・着氷防止用塗膜の形成方法
JP2004345090A (ja) * 2003-05-19 2004-12-09 Asahi Kasei Chemicals Corp 機能性木材
KR101317569B1 (ko) * 2010-03-02 2013-10-11 (주)엘지하우시스 다중 공압출을 이용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107057B1 (ko) 2011-09-20 2012-01-25 주식회사 테크유니온 이중 구조의 친환경 합성목재
KR101458750B1 (ko) * 2014-08-07 2014-11-05 (주)그린우드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681469B1 (ko) * 2015-12-02 2016-12-02 주식회사 더우드 전도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1325B1 (ko) * 2020-12-04 2021-03-02 문진호 시작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KR20220079362A (ko) * 2020-12-04 2022-06-13 문진호 시각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KR102482879B1 (ko) 2020-12-04 2022-12-29 문진호 시각장애인 유도용 미끄럼방지 점자블록 시트
KR102414488B1 (ko) * 2022-02-11 2022-06-29 (주)애니우드 논슬립 데크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090B1 (ko)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TWI747815B (zh) 難燃性聚烯烴系樹脂組合物
EP2813542B1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reflectance, heat resistance, yellowing resistance and humidity resistance
DE112007002384B4 (de) Flammhemmende Polycarbonatharzzusammensetzung, Polycarbonatharz-Formgegenstand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 Polycarbonatharz-Formgegenstands
US6344158B1 (en) Flame retardant combinations for thermoplastic polymers II
KR102072501B1 (ko) 열안정성이 우수한 이중압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N109749247B (zh) 具有纤维织构的聚丙烯复合树脂组合物
DE102013226703A1 (de)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mit ausgezeichnetem oberflächenglanz, ausgezeichnetem reflexionsvermögen, ausgezeichneter antivergilbungseigenschaft und ausgezeichneter formbarkeit
EP3962994B1 (de) Polymere zusammensetzungen enthaltend ein teilkristallines polymer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3483204A1 (en) Masterbatch for improving the scratch resistance of polymethylmethacrylate and th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20130132028A (ko) 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봉지재용 실록산 가교제
CN104974477B (zh) 具有改良的机械特性和可模制性的聚酯树脂组成物
KR102237869B1 (ko) 휨강도 및 항균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JP5071126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US10998477B2 (en) Polyester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and moldability
KR102459557B1 (ko) 열충격 저항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824545B1 (ko) 에스테르계 알칼리 가용성 화합물이 결합된 세라믹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심색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조성물
JP2016199665A (ja) 摺動部材用樹脂組成物、摺動部材及び摺動部材の製造方法
US20220106447A1 (en) Long glas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including the same
JPS6119657A (ja) アリーレンサルフアイドポリマー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638066B1 (ko) 안경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안경테
KR102459560B1 (ko) 항곰팡이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84029B1 (ko) 고온에서 변색발생이 없는 유리섬유 사이징 조성물
JP2006137781A (ja) カップリング剤処理炭酸カルシウム
KR20210123044A (ko) 고강도 바닥재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고강도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