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750B1 -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750B1
KR101458750B1 KR20140101636A KR20140101636A KR101458750B1 KR 101458750 B1 KR101458750 B1 KR 101458750B1 KR 20140101636 A KR20140101636 A KR 20140101636A KR 20140101636 A KR20140101636 A KR 20140101636A KR 101458750 B1 KR101458750 B1 KR 10145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panel
synthetic wood
weight
mixtur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0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환
Original Assignee
(주)그린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그린우드 filed Critical (주)그린우드
Priority to KR20140101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1/00Pretreatment of moulding material
    • B27N1/02Mixing the material with binding agent
    • B27N1/029Feeding; Proportioning; Con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28Moulding or pressing characterised by using extrusion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4Anti-slip materials; Abras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P(polypropylene),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목분 및 첨가제가 일정량 혼합된 1차 혼합물과, 상부면, 내부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둘레면 전체에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구성된 2차 혼합물을 이용하여 이중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 목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1차 혼합물은, 목분 20~60중량% PP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15중량%, 및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상기 합성 목재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홈과, 그 상부 표면에 소정의 곡면을 가지는 코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2차 혼합물이 상기 코팅요홈의 상부에 형성되되, 이중 압출에 의해 압출되면서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며,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내부에는 상기 코팅층을 이루는 상기 2차 혼합물이 충진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코팅요홈으로부터 연통되게 구성되는 유입홈과,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2차 혼합물이 충진되는 탄성홈 및 상기 탄성홈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유입홈과 연결되는 충진홈으로 이루어지고,상기 합성 목재패널(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 poly-butylene-terephthalate),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 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synthetic wo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 목재패널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여 미끄러짐 방지(Non-slip)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압출 공법을 통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층 및 강성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써, 충격완화 기능을 부여한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천연목재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전세계적으로 환경 보존 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천연목재와 유사한 표면 질감 및 무늬를 갖는 합성목재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합성목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목재의 대부분은 비중이 비교적 가볍고 구하기가 쉬워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합성목재는 목재부스러기(대패밥,톱밥)와, 발포제(發泡劑)를 혼합한 플라스틱을 성형할 때 발포시켜서 천연목재와 비슷한 외관이나 성질을 갖게 한 재료로서 사출 또는 압출성형으로 제조되며, 사출성형품은 텔레비전 수상기의 캐비닛등에, 압출성형품은 건재에 주로 사용된다.
또한, 합성목재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로는, 합성수지, 목분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재료, 생산방식, 및 제품의 최종용도 등에 따라 다양한 첨가물이 추가되며, 목분 및 합성수지의 부착 및 분산을 촉진하기 위해 혼합제 및 혼합물의 결속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차단제가 더 첨가되며, 제품의 성능 하락을 막는 자외선 차단제 및 완충제, 제품의 밀도를 줄이기 위한 발포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목재는 건물의 외벽, 지붕덮개뿐만 아니라, 겨울철 등산로, 관망대 계단 또는 산책로 데크로도 사용되지만, 표면이 미끄러운 특유의 특성으로 인하여 겨울철 등산로, 관망대 계단 또는 산책로 데크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서는 미끄럼 사고가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합성목재는 휨강도 및 파단강도 등의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에도 취약한 단점으로 인하여 외력에 의해 쉽게 구부러지고,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합성목재 제품을 사용하여 계단이나 등산로 등을 시공하는 경우, 합성목재 제품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장선) 등의 설치 수량이 많아져 공사가 길어지고, 이와 함께 시공 비용이 상승될 수밖에 없고, 또한 높은 중량물을 사용할 수 없고, 고공에 사용 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99468호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 목재패널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여 미끄러짐 방지(Non-slip)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 압출 공법을 통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층 및 강성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써, 충격완화 기능을 부여한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PP(polypropylene),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목분 및 첨가제가 일정량 혼합된 1차 혼합물과, 상부면, 내부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둘레면 전체에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구성된 2차 혼합물을 이용하여 이중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 목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1차 혼합물은, 목분 20~60중량% PP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15중량%, 및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상기 합성 목재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홈과, 그 상부 표면에 소정의 곡면을 가지는 코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2차 혼합물이 상기 코팅요홈의 상부에 형성되되, 이중 압출에 의해 압출되면서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내부에는 상기 코팅층을 이루는 상기 2차 혼합물이 충진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코팅요홈으로부터 연통되게 구성되는 유입홈과,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2차 혼합물이 충진되는 탄성홈 및 상기 탄성홈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유입홈과 연결되는 충진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목재패널(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 poly-butylene-terephthalate),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 중량부로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합성 목재패널은, 색상 안료 및 안정제가 상기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 중량부로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 목재패널은 상기 탄성홈을 중심으로 분할 구성되는 제1목재패널 및 제2목재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목재패널 사이에는 합성 목재패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a) 목분 20~60중량% PP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15중량%, 및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첨가제 1~5중량%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고,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b)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제조된 1차 혼합물을 압출하여 합성 목재패널을 압출하는 압출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압출된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표면 및 내부로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상기 2차 혼합물을 압출시켜 코팅층 및 탄성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및 탄성층 형성단계; 및 (d) 상기 코팅층 및 탄성층과 상기 합성 목재패널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연 건조가 10~1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패널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목재패널의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여 미끄러짐 방지(Non-slip) 기능을 향상시켜 합성 목재패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중 압출 공법을 통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층을 구성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 목재패널의 내부에 강성 보강부를 구성함으로써, 합성 목재패널의 위약한 강성을 강화시켜 외부 충격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유지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을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의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목재패널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PP(polypropylene),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목분 및 첨가제가 일정량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물을 이중 압출 공법으로 성형함으로써, 미끄러짐 방지(Non-slip)의 기능을 상승시키고, 용도에 따라 표면의 경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학교의 교실 및 체육관 등의 바닥재로 사룔할 수 있는 합성 목재패널(100)이다.
이러한 합성 목재패널(100)은 1차 혼합물과 2차 혼합물을 이중 압출하여 제작하며, 1차 혼합물은, 목분 20~60중량% PP(polypropylene)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5~15중량%, 및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되고, 2차 혼합물은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구성된다.
여기서, 목분은 재활용된 나무 및 목재의 부스러기, 톱밥 등으로 구성되는데, 구성비가 20중량% 이하이면, 합성 목재패널(100)의 강도가 저하된다는 우려가 있고, 구성비가 60중량% 이상이면 타 구성성분의 비율이 줄어들어 미끄럼 방지 및 충격흡수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최대 60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PP는, 10~25중량%의 혼합 비율을 가지며, 그 구성비가 10중량%이하이면 목분과의 결합력이 저하되며, 구성비가 25중량% 이상이면 열가소성 탄성체와 혼합율이 저하됨에 따라 최대 구성비를 25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탄성체는 합성 목재패널(100)의 표면에 소정의 거칠기를 제공하며, 이와 동시에 소정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비가 5중량%이하이면, 합성 목재패널(100)의 표면 거칠기 상태가 좋지 못하고, 구성비가 15중량%를 초과하면, 합성 목재패널(100)의 질감이나, 미감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의 거칠기를 제공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최대 구성비를 15중량%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첨가제는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고분자와 유리나 탄소섬유 등의 계면 접착성을 높이고 복합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전술한 혼합물의 압출 공정이 이루어질 때, 색상 안료, 안정제가 더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색상 안료 및 안정제는 합성 목재패널(100)의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합성 목재패널(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 poly-butylene-terephthalate),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하나가 합성 목재패널(100)의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 중량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압출 공법을 통해 성형이 이루어짐으로써, 합성 목재패널(100)의 상부 일면, 또는 상부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둘레면 전체에 2차 혼합물이 합성 목재패널(100)의 표면으로 이중 압출되면서 코팅층(110)을 형성된다.
이와 같은 합성 목재패널(100)은 코팅층(110)과 합성 목재패널(100)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 상부 표면에 소정의 코팅요홈(120)이 형성되며, 복수의 합성 목재패널(100)이 연결구(미도시) 등을 통해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연결홈(130)이 더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홈(130)은 합성 목재패널(100)의 양측면으로부터 중앙측으로 향하도록 함몰되게 형성되며, 합성 목재패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 상부면에는 코팅층(110)이 이중 압출에 의하여 일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접착면(132)이 형성되며, 접착면(132)에는 전술한 코팅요홈(120)이 더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210)를 구성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에 구성되는 탄성부(210)는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이 완료된 목재패널(100)의 내부에 2차 혼합물(코팅층과 동일 성분)이 충진될 수 있도록 코팅요홈(120)으로부터 연통되게 구성되는 유입홈(212)과, 합성 목재패널(100)의 중앙측에 형성되며, 2차 혼합물이 충진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홈(216) 및 탄성홈(216)의 원주를 따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방사상으로 복수 구성되며, 코팅층(110)의 성분이 충진되는 충진홈(2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진홈(214)은 복수 구성되되, 유입홈(212)의 단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 연결되어 코팅층(110)의 성분이 충진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탄성홈(216)을 중심으로 분할 구성되는 제1목재패널(102) 및 제2목재패널(104)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제1목재패널(102)의 하단에는 합성 목재패널(100)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패널(220)이 더 구성되며, 제2목재패널(104)에는 강성 보강패널(220)의 하부면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탄성체(240)가 수용되는 수용홈부(230)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코팅층(110)은 분할 구성된 제1 및 제2목재패널(102, 104)의 전체 표면에 코팅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혼합물 및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S10)와,
상기 혼합단계(S10)에 의해 제조된 1차 혼합물을 압출하여 합성 목재패널을 압출하는 압출단계(S20)와,
상기 압출단계에(S20) 의해 압출된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표면 및 내부로 상기 혼합단계(S10)를 통해 제조된 상기 2차 혼합물을 압출시켜 코팅층 및 탄성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및 탄성층 형성단계(S30)와,
상기 코팅층 및 탄성층과 상기 합성 목재패널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연 건조가 10~1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건조단계(S40)를 통해 제조된다.
혼합단계(S10)는 목분 20~60중량% PP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15중량%, 및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첨가제 1~5중량%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와,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때, 1차 혼합단계는 PP, 열가소성 탄성체, 목분 및 첨가제 뿐만 아니라, 색상 안료 및 안정제가 중량비에 의해 일정량 더 포함된 1차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압출단계(S20)는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혼합물을 압출하여 합성 목재패널(100)의 형상을 취하며, 상부에 코팅요홈(1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압출이 완료되고 난 후, 탄성부(210)를 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홈을 형성하는 탄성부 구성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압출단계(S20)는 제1목재패널(102) 및 제2목재패널(104)을 각각 별도로 압출하는 단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탄성부(210)가 압출시 동시에 구성되도록 한다.
코팅층 형성단계(S30)는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 목재패널(100)의 상부에 코팅층(110)을 형성하기 위해 2차 혼합물과 합성 목재패널(100)의 2차 압출이 이루어진다.
건조단계(S40)는 코팅층(110) 및 2차 혼합물이 충진된 탄성부(210)의 구성이 완료된 합성 목재패널(100)을 자연풍에 의해 10시간~12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합성 목재패널(100)은 그 표면에 코팅요홈(120) 및 코팅층(110)을 통한 미끄럼 방지부를 구성하여 미끄러짐 방지(Non-slip) 기능을 향상시켜 합성 목재패널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이중 압출 공법을 통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층으로 이루어진 탄성부(210)를 내부에 구성하여 외부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발명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합성 목재패널 110: 코팅층
120: 코팅요홈 130: 연결홈
210: 탄성부

Claims (4)

  1. PP(polypropylene),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목분 및 첨가제가 일정량 혼합된 1차 혼합물과, 상부면, 내부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둘레면 전체에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구성된 2차 혼합물을 이용하여 이중 압출 공법에 의해 성형되는 합성 목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1차 혼합물은, 목분 20~60중량% PP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15중량%, 및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첨가제 1~5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상기 합성 목재패널을 연결하는 연결홈과, 그 상부 표면에 소정의 곡면을 가지는 코팅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2차 혼합물이 상기 코팅요홈의 상부에 형성되되, 이중 압출에 의해 압출되면서 형성되는 코팅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내부에는 상기 코팅층을 이루는 상기 2차 혼합물이 충진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가 더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상기 코팅요홈으로부터 연통되게 구성되는 유입홈과,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중앙측에 형성되어 상기 2차 혼합물이 충진되는 탄성홈 및 상기 탄성홈의 원주를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 형성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유입홈과 연결되는 충진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성 목재패널(100)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렌: poly-butylene-terephthalate),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 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목재패널은, 색상 안료 및 안정제가 상기 1차 혼합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3중량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목재패널은 상기 탄성홈을 중심으로 분할 구성되는 제1목재패널 및 제2목재패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목재패널 사이에는 합성 목재패널의 강성을 보강하는 강성 보강패널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패널.
  4. 제 1항의 합성 목재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a) 목분 20~60중량% PP 10~25중량%, 열가소성 탄성체 5~15중량%, 및 실란계, 티탄산염계, 크롬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포함하는 첨가제 1~5중량%를 혼합하여 1차 혼합물을 제조하고, PP, 열가소성 탄성체 및 SiO2, Al2O3, Fe2O3 등이 모두 포함된 광물 파우더가 중량비 1:1:0.5의 비율로 혼합하여 2차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단계;
    (b) 상기 혼합단계에 의해 제조된 1차 혼합물을 압출하여 합성 목재패널을 압출하는 압출단계;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압출된 상기 합성 목재패널의 표면 및 내부로 상기 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상기 2차 혼합물을 압출시켜 코팅층 및 탄성층을 형성하는 코팅층 및 탄성층 형성단계; 및
    (d) 상기 코팅층 및 탄성층과 상기 합성 목재패널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해 자연 건조가 10~1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목재패널 제조방법.
KR20140101636A 2014-08-07 2014-08-07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45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636A KR101458750B1 (ko) 2014-08-07 2014-08-07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1636A KR101458750B1 (ko) 2014-08-07 2014-08-07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750B1 true KR101458750B1 (ko) 2014-11-05

Family

ID=52289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01636A KR101458750B1 (ko) 2014-08-07 2014-08-07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87A (ko) * 2016-11-30 2018-06-08 한국차체 주식회사 상용차용 적재 바닥부의 제조방법
KR102146090B1 (ko) * 2020-01-30 2020-08-20 벽진산업 주식회사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53B1 (ko) 2009-08-31 2010-06-16 주식회사 더우드 미끄럼 방지성능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KR101038356B1 (ko) 2011-04-06 2011-06-0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변형 및 미끄럼 방지용 합성목재
KR20120127810A (ko) * 2011-05-16 2012-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후성이 강화된 공압출 합성목재
KR101394584B1 (ko) 2013-12-31 2014-05-12 황선호 논슬립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데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853B1 (ko) 2009-08-31 2010-06-16 주식회사 더우드 미끄럼 방지성능과 열 안정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KR101038356B1 (ko) 2011-04-06 2011-06-01 주식회사동원프라스틱 변형 및 미끄럼 방지용 합성목재
KR20120127810A (ko) * 2011-05-16 2012-11-2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후성이 강화된 공압출 합성목재
KR101394584B1 (ko) 2013-12-31 2014-05-12 황선호 논슬립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데크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287A (ko) * 2016-11-30 2018-06-08 한국차체 주식회사 상용차용 적재 바닥부의 제조방법
KR102146090B1 (ko) * 2020-01-30 2020-08-20 벽진산업 주식회사 광촉매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6696B1 (ko) 미끄럼방지판부가 설치된 데크용 압출성형 합성목재
KR101575124B1 (ko) 광물입자를 포함하는 투수 및 탄성 바닥포장재 및 이를 이용하는 바닥포장 데크
US7445840B2 (en) Weather-resistant synthetic wood material
KR101458750B1 (ko)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394432B1 (en) Composite member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KR20110099468A (ko) 강도가 우수한 합성목재 제품 및 그 제조방법
KR101687606B1 (ko) 폴리우레탄 차음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흡·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1113114B1 (ko)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CN104929333A (zh) 一种防水板材及其制造方法
CN205604658U (zh) 一种凹凸式结构衔接的木塑地板
KR101681469B1 (ko) 전도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052395A1 (en) Composite component having a multilayer cap
JP5191775B2 (ja) デッキ床
CN209040487U (zh) 耐磨木塑混合地板
KR101712117B1 (ko)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CN108532899A (zh) 一种性能好的木塑地板
CN209987468U (zh) 一种多层复合型塑木地板
GB2492804A (en) Insulating cladding boards with weatherproofing layer
CN108547432A (zh) 不易开裂的木塑地板
CN108590101A (zh) 环保木塑地板
CN108590102A (zh) 耐脏木塑地板
CN108518044A (zh) 木塑复合地板
CN108590088A (zh) 一种木塑复合地板
CN108532900A (zh) 性能好的木塑地板
CN202672457U (zh) 一种耐磨耐刮擦耐污高耐候性的塑木型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