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2117B1 -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 Google Patents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2117B1
KR101712117B1 KR1020160122867A KR20160122867A KR101712117B1 KR 101712117 B1 KR101712117 B1 KR 101712117B1 KR 1020160122867 A KR1020160122867 A KR 1020160122867A KR 20160122867 A KR20160122867 A KR 20160122867A KR 101712117 B1 KR101712117 B1 KR 101712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moment
synthetic wood
weigh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일
Original Assignee
한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일 filed Critical 한태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8Moulding or pressing
    • B27N3/10Moulding of mats
    • B27N3/14Distributing or orienting the particle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7/00After-treatment, e.g. reducing swelling or shrinkage, surfacing; Protecting the edges of boards against access of humid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00/00Wooden materials to be treated
    • B27K2200/10Articles made of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서, 기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모멘트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투입되어 이중압출 하더라도, 상기 목재본체와 모멘트부재가 서로 화학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비에 따라 전체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강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모멘트부재를 목재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이중 압출하여 성형함으로써, 합성목재의 두께를 늘릴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충분한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선팽창 계수를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A SYNTHETIC WOOD COMPOSITION, AND A HIGH-RIGIDITY SYNTHETIC WOOD WHICH IS MANUFACTURED BY FUSING THEREOF CHEMICALLY, MECHANICALLY AND STRUCTURALLY}
본 발명은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모멘트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투입되어 이중압출 하더라도, 상기 목재본체와 모멘트부재가 서로 화학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비에 따라 전체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강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목재는 질감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하기 때문에, 최근 건물 실내의 바닥 마감용 바닥판, 기둥, 패널, 건물 외벽 데크재, 야외 데크재 및 난간용 등에 원목보다는 합성목재를 선호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합성목재 재질의 건축 자재의 경우 자연적인 느낌이 나면서도 원목에 비하여 여러 장점이 있으나, 강도면에서는 원목이나 합성수지재질의 재료에 비하여 떨어지기 때문에, 합성목재를 바닥판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상부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그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강도를 높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합성목재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957호에서는 긴장재 내장형 합성목재 바닥판이 소개되어 있으며, 보다 자세하게는 일정크기와 두께를 갖는 판재 형상으로 합성수지 또는 목분과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형성된 합성목재 본체(10)와, 내부가 비어있는 금속재의 중공관체 형상으로 합성목재 본체(10)의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폭방향의 일정간격마다 삽입되어 구성되며,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긴장재(25)가 배치되고, 내부에 충전재(21)가 충전되는 보강 심재(20)와, 상부 플랜지(41)와, 상부 플랜지(41)와 평행하게 하부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 플랜지(42) 및 상부 플랜지(41)와 하부 플랜지(42)의 폭방향 중앙부를 연결하며 일정간격으로 고정공(431)이 통공되어 형성되는 웨브(43)로 이루어지며, 웨브(43)의 일측면이 합성목재 본체(10)의 측단부와 면접하도록 합성목재 본체(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되, 긴장재(25)의 양단부가 웨브(43)의 고정공(431)을 관통하여 정착되는 고정부재(40)를 포함하며, 보강 심재(20)는 외주면에서 수직으로 돌출하여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2개 이상의 보강편(22)이 형성되고, 보강 심재(20)의 내부에는 보강편(22)과 보강편(22)의 사이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편(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긴장재 내장형 합성목재 바닥판에서는 심재에 보강편을 구성하여 심재의 강성을 보강하면서도 합성목재 본체의 뒤틀림 등을 방지하도록 하며, 더불어 보강 심재의 내부에 긴장재를 배치하여 인장력을 도입함으로써 상부하중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합성목재는 두껍게 형성하는 경우 설치 시 차지하는 공간확보에 대한 어려움과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길이 선팽창 계수가 높아 계절 간 큰 온도변화에 따른 길이 선팽창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8957호
본 발명은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모멘트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투입되어 이중압출 하더라도, 상기 목재본체와 모멘트부재가 서로 화학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비에 따라 전체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강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목재본체는 목분 50 내지 75중량%, 폴리에틸렌(PE)계 수지 15 내지 40중량%,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멘트부재는 목분 50 내지 65중량%, 폴리에틸렌(PE)계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25 내지 40중량%,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25 내지 40중량% 폴리에틸렌(PE)계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중 3할인 7.5 내지 12중량%는 유리섬유(GF, Glass fiber)로 구성되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첨가제 10 중량% 중 4 내지 6중량%는 탈크(Talc)로 구성되어져, 기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상기 모멘트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투입되어 이중압출 하더라도, 상기 목재본체와 모멘트부재가 서로 화학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비에 따라 전체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강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목재본체 및 상기 모멘트부재에 포함된 첨가제 10 중량%는 결합제(CA), 윤활제, 자외선차단제, 산화방지제,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마스크배치업(M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왁스, 오일, 지방, 지방산, 알칸, 알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수제 0.5 내지 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강성 합성목재는 합성목재 조성물이 성형몰드를 통과하며 목재본체가 압출 성형되어지고, 상기 목재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목재본체의 압출성형 시 상기 성형몰드 내로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모멘트부재의 조성물이 투입되어져, 모멘트부재가 기 압출 성형되는 목재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중 압출하여 성형되어져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켜 전체 합성목재의 고강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멘트부재는 기 압출 성형되는 목재본체와 함께 이중 압출되는 대신 상기 목재본체보다 강도가 높은 중공형의 금속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목재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어져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켜 전체 합성목재의 고강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멘트부재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카본 및 카본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멘트부재는 전체 합성목재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목재본체와 하께 단면2차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는 모멘트부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합성목재의 강성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둘째, 목재본체에 모멘트부재 복수개를 길이방향을 따라 폭방향으로 이격되게 이중압출 또는 삽입함으로써 두께를 늘릴 필요 없이 고강도의 합성목재를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컴팩트한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셋째, 모멘트 부재는 합성목재 본체에 이중압출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어 생산되어짐에 따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어, 2차모멘트 증가 및 선팽창 계수 감소 등 고기능성을 유지하되 원가는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전체 시공비도 함께 절감되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합성목재의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합성목재에서 모멘트부재가 하단으로부터 삽입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성형 몰드에 투입되어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일정 간격마다 모멘트부재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이중압출 함으로써 합성목재의 두께를 늘리지 않고도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성형되어진 고강성 합성목재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은, 목분과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에 대한 첨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을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는 합성목재 조성물이 성형몰드를 통과하며 목재본체가 압출 성형되어지고, 상기 목재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목재본체의 압출성형 시 상기 성형몰드 내로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모멘트부재의 조성물이 투입되어져, 모멘트부재가 기 압출 성형되는 목재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중 압출하여 성형되어져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켜 전체 합성목재의 고강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 중 상기 목재본체는 목분 50 내지 75중량%, 폴리에틸렌(PE)계 수지 15 내지 40중량%,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지는 폴리에틸렌(PE)계를 비롯하여, 폴리프로필렌(PP)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계 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목재본체 및 상기 모멘트부재에 포함된 첨가제 10 중량%는 결합제(CA), 윤활제, 자외선차단제, 산화방지제,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마스크배치업(M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의 방수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방수제는 왁스, 오일, 지방, 지방산, 알칸, 알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 중량%의 오염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염방지제는 공지의 오염방지제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330)는, 목재본체(130)와, 복수개의 모멘트부재(260)들을 포함하며, 상기 목재본체(130)와 모멘트부재(260)들이 동시에 압출 성형되어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목재본체(130)는 전술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압출 성형을 하기 위한 성형몰드 내로 투입되어 압출 성형된다.
상기 모멘트부재(260)는 상기 합성목재(330)의 단면2차 모멘트를 향상시켜 합성목재(330)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모멘트부재(260)는 상기 목재본체(130)와 비교하여 단면2차 모멘트가 큰 모멘트보강 조성물로 형성된다.
상기 모멘트부재(260)는 상기 목재본체(130) 내부에 삽입되며, 복수개로 상기 목재본체(13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상기 모멘트부재(260)는 상기 목재본체(130)와 함께 압출 성형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본체(130)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물은,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과 비교하여 단면2차 모멘트가 크도록 조성되며, 세부적으로 목분 50 내지 65중량%, 폴리에틸렌(PE)계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25 내지 40중량%,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25 내지 40중량% 폴리에틸렌(PE)계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중 3할인 7.5 내지 12중량%는 유리섬유(GF, Glass fiber)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멘트부재에 포함된 첨가제 10 중량%는 결합제(CA), 윤활제, 자외선차단제, 산화방지제,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마스크배치업(M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여 조성된다.
이때, 상기 모멘트부재의 첨가제 10 중량% 중 4 내지 6중량%는 열팽창(열변화)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으로 탈크(Talc)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모멘트보강 조성물은 합성목재(330)의 선팽창 계수를 3.0 이하로 낮출 수 있도록 조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합성목재(330)는 성형몰드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과 모멘트보강 조성물을 동시에 투입하여 압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성형몰드는 내부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이 투입되되, 합성목재 조성물 사이사이로 상기 모멘트보강 조성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측면에 호스 또는 알루미늄관(사이드 압출관)으로 이루어진 투입라인이 연결되어 있다.
이에, 상기 합성목재(330)는, 상기 목재본체(130)의 압출성형 시 상기 투입라인으로 상기 모멘트보강 조성물이 투입되어 목재본체(130)와 함께 압출 성형된다.
즉, 상기 합성목재(330)는 성형몰드 내로 합성목재 조성물과 함께 상기 투입라인을 통하여 모멘트보강 조성물이 투입되어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 사이사이로 모멘트보강 조성물이 투입되어, 목재본체(130)와 모멘트부재(260)가 이중으로 압출 성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상기 모멘트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투입되어 이중압출 하더라도, 상기 목재본체와 모멘트부재가 서로 화학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비에 따라 전체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강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합성목재(330)는 단면2차 모멘트를 증가시킬 수 있는 모멘트부재(260)가 목재본체(130) 사이사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를 포함하는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께를 늘리지 않고 고강도로 제작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합성목재(300)는 목재본체(100)와, 복수개의 모멘트부재(200)들을 포함하며, 전술한 제1실시예와 같이 목재본체(130)와 모멘트부재(260)가 동시에 압출 성형되는 대신 압출 성형된 목재본체(100)에 모멘트부재(200)들이 이후에 삽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목재본체(100)는 전술한 합성목재 조성물로 이루어져, 압출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형 등을 통하여 제조된다.
여기서, 상기 목재본체(100)는 상기 모멘트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면으로 복수개의 삽입홈(1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홈(102)은 상기 목재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목재본체(100)의 상면으로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요철부(10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모멘트부재(200)는 강도 및 단면2차 모멘트를 증가하는 역할을 하며, 종단면이 사각형상으로 상기 삽입홈(102)에 삽입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목재본체(100)에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모멘트부재(200)는 상기 목재본체(100)에 삽입 결합함에 있어, 표면에 접착제 등을 도포한 후 삽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멘트부재(200)는 데크보드와 같은 건축자재로 이용하는 경우 상부로부터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기 때문에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모멘트부재(210)를 상기 목재본체(110)의 하단면으로부터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목재본체(110)는 하면으로 복수개의 삽입홈(112)이 형성되며, 이에 상기 모멘트부재(210)는, 상기 목재본체(110)의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112)에 삽입 결합된다.
또한, 상기 모멘트부재(210)는 상기 목재본체(110)의 상면이 아닌 측면에서 삽입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등이 불필요하다.
상기 모멘트부재(200,210)는, 상기 목재본체(100,110)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며, 금속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가령, 상기 모멘트부재(200,210)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카본 및 카본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더불어 합성수지 재질도 적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모멘트부재(200,210)가 금속재질로 형성된 경우 산화방지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모멘트부재(200,210)는 내부가 중공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량을 줄일 수 있으며, 단면2차 모멘트를 증가시켜 강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합성목재(300,310,33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표면에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110, 130 : 목재본체
200, 210, 260 : 모멘트부재
300, 310, 330 : 합성목재

Claims (7)

  1. 성형 몰드에 투입되어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일정 간격마다 모멘트부재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이중압출 함으로써 합성목재의 두께를 늘리지 않고도 일체성을 유지하도록 성형되어진 고강성 합성목재를 제조하기 위한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목재본체는
    목분 50 내지 75중량%, 폴리에틸렌(PE)계 수지 15 내지 40중량%,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멘트부재는
    목분 50 내지 65중량%, 폴리에틸렌(PE)계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25 내지 40중량%, 첨가제 10 중량%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25 내지 40중량% 폴리에틸렌(PE)계와 폴리프로필렌(PP)계 수지 중 3할인 7.5 내지 12중량%는 유리섬유(GF, Glass fiber)로 구성되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첨가제 10 중량% 중 4 내지 6중량%는 탈크(Talc)로 구성되어져,
    기 압출되어지는 목재본체 내부에 상기 모멘트부재가 일정 간격마다 기계적으로 투입되어 이중압출 하더라도, 상기 목재본체와 모멘트부재가 서로 화학적으로 동일한 원료를 사용하여 구성됨으로써 구조적으로도 일체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모멘트부재의 조성비에 따라 전체 합성목재의 선팽창 계수를 감소시키면서도 고강성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본체 및 상기 모멘트부재에 포함된 첨가제 10 중량%는
    결합제(CA), 윤활제, 자외선차단제, 산화방지제, 탈크(Talc), 탄산칼슘(CaCO3), 마스크배치업(MB)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왁스, 오일, 지방, 지방산, 알칸, 알켄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는 방수제 0.5 내지 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을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에 있어서, 상기 고강성 합성목재는
    합성목재 조성물이 성형몰드를 통과하며 목재본체가 압출 성형되어지고,
    상기 목재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목재본체의 압출성형 시 상기 성형몰드 내로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모멘트부재의 조성물이 투입되어져,
    모멘트부재가 기 압출 성형되는 목재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위치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이중 압출하여 성형되어져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켜 전체 합성목재의 고강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부재는
    기 압출 성형되는 목재본체와 함께 이중 압출되는 대신 상기 목재본체보다 강도가 높은 중공형의 금속 또는 비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목재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결합되어져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켜 전체 합성목재의 고강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부재는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철, 철 합금, 카본 및 카본 합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멘트부재는
    전체 합성목재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종단면 형상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KR1020160122867A 2016-07-26 2016-09-26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KR1017121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94641 2016-07-26
KR1020160094641 2016-07-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117B1 true KR101712117B1 (ko) 2017-03-03

Family

ID=5841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867A KR101712117B1 (ko) 2016-07-26 2016-09-26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00B1 (ko) * 2020-04-08 2020-11-11 주식회사 더우드 코어 내부보강재가 포함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강성 합성목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323A (ko) * 1999-04-15 2000-11-15 김정국 혼합 폐합성 수지를 이용한 목재 대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품
KR20080033900A (ko) * 2005-05-31 2008-04-17 제이-엠 메뉴팩쳐링 컴퍼니, 인크. 중합체 목질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549875B1 (ko) * 2015-03-13 2015-09-04 주식회사 더우드 고강도 및 수축팽창율이 낮은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508088A (ja) * 2013-01-15 2016-03-17 アルケマ フランス 多層複合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物品
KR101618957B1 (ko) 2014-06-11 2016-05-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긴장재 내장형 합성목재 바닥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6323A (ko) * 1999-04-15 2000-11-15 김정국 혼합 폐합성 수지를 이용한 목재 대체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품
KR20080033900A (ko) * 2005-05-31 2008-04-17 제이-엠 메뉴팩쳐링 컴퍼니, 인크. 중합체 목질 복합재료 및 그 제조방법
JP2016508088A (ja) * 2013-01-15 2016-03-17 アルケマ フランス 多層複合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得られる物品
KR101618957B1 (ko) 2014-06-11 2016-05-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긴장재 내장형 합성목재 바닥판
KR101549875B1 (ko) * 2015-03-13 2015-09-04 주식회사 더우드 고강도 및 수축팽창율이 낮은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000B1 (ko) * 2020-04-08 2020-11-11 주식회사 더우드 코어 내부보강재가 포함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강성 합성목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9053B2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EP3333339B1 (de) Paneel
CN105150644B (zh) 一种共挤型木塑复合材料
US7445840B2 (en) Weather-resistant synthetic wood material
KR101712117B1 (ko) 선팽창이 감소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를 화학적, 기계적, 구조적으로 융합하여 제조되는 고강성 합성목재
AT508293A1 (de) Formteil zur wärmedämmung einer leibung in einer wandöffnung
CN104929333A (zh) 一种防水板材及其制造方法
WO2020144113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KR102177000B1 (ko) 코어 내부보강재가 포함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강성 합성목재
CH708762A2 (de) Fertigbauelement mit einem Grundkörper, insbesondere für ein Gebäude.
DE602004006322T2 (de) Herstellungsverfahren für Böden
JP2007152832A (ja) 木粉高充填樹脂成形体及び合成木材
KR101458750B1 (ko) 합성 목재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201933744U (zh) 一种pvc发泡木塑地板
FI75178C (fi) Profillist, vilken omfattar en kaernprofil av foerstaerkt plast och ett omhoeljet av plast som omger kaernprofilen.
KR101438328B1 (ko) 무기재료를 포함하는 층간 소음 억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73937B1 (ko) 원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436802B1 (ko) 기능성 및 친환경 목분 복합체를 이용한 벽체 차음벽과 그의 제조방법
CN203271059U (zh) 一种超强复合地板
CN211447299U (zh) 防潮防裂的复合发泡水泥板
DE102014107854B4 (de) Formstein und Vollisolationsstein
DE102014118480A1 (de) Extrusionsprofi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Profils
AT413996B (de) Ziegel
JP2005271209A (ja) 耐候性合成木材
DE1829531U (de) Durch ausformung von vertiefungen versteifte folie, insbesondere kunststoffol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