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721B1 -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721B1
KR102145721B1 KR1020200040691A KR20200040691A KR102145721B1 KR 102145721 B1 KR102145721 B1 KR 102145721B1 KR 1020200040691 A KR1020200040691 A KR 1020200040691A KR 20200040691 A KR20200040691 A KR 20200040691A KR 102145721 B1 KR102145721 B1 KR 102145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ipe
clamping device
connection wire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0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식
Original Assignee
정해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해식 filed Critical 정해식
Priority to KR1020200040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8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the two members being hooked in on one side and fastened together on the other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1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클램프몸체와, 상기 제1 클램프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2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제2 수용부 내측에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그립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1,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제2 클램프몸체 내측에 감싸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 클램프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제2 그립부가 연결와이어의 양측으로 간단하게 고정되며, 제1, 제2 클램프몸체를 급수용 파이프의 양측으로 고정시킬 경우 연결와이어가 제1, 제2 결착날개 내측면에서 양측으로 상호 당겨지도록 가압밀착됨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연결와이어에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해수면에서 작용하는 파도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연결와이어에서 이탈되지 않고 휘어짐에 의한 연결부분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급수용 파이프의 직경이 다소 상이하더라도 간격조절부에 의해 세밀한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클램핑시 유격을 최소화하여 해상에 설치시 파도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사용 안정성을 화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Clamping device for pipe connection}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육지에서 섬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해수면에 설치되는 파이프들을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파도에 의해 흔들리지 않고 연결와이어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급수관로가 휘어져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년 지속되는 가뭄재난으로 인해 섬 지역에서는 물부족 현상이 심각하며,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하여 생활용수로는 적합하지 않아 실질적으로 식수를 선박으로 운반,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섬 지역으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한 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국가 차원에서 급수관로를 해저에 매설하는 상수도 공급사업을 들 수 있으나, 인허가 절차에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되어야 해서, 국가 예산을 편성해 집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이러한 급수관로를 해저에 매설하는 방식은 공사가 장기화되며, 시공법 자체의 어려움과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많아, 필요에 따라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는 없는 현실이다.
이에, 재난 상황에 섬 지역으로 신속한 급수를 위해 급수관로를 해저에 매설하지 않고, 해수면으로 급수관로를 띄워 육지와 섬을 연결시킬 수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해수면에 설치되는 급수관로의 설치상태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일정 길이를 가지는 급수용 파이프(1000, 2000)를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연결하고, 연결된 파이프(1000, 2000)가 파도에 의해 휘어져 이탈되지 않도록 일반적으로 파이프간의 하부에 금속재질의 와이어 로프(3000)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로프(3000)는 파이프(1000, 2000)와 결속되어 파도에 의해 파이프(1000, 2000)가 휘어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고, 섬과 육지를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로프(3000)에 파이프(1000, 2000)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철사를 이용하여 파이프의 외면을 감싸도록 묶는 방식으로 체결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철사를 이용한 고정방식은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파이프 외면으로 감싸도록 하고, 철사의 양단부를 꼬아서 고정시키는데, 육지에서 섬으로 연결되는 급수관로의 길이만큼 일일이 결속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여, 결속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철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더라도 파이프(1000, 2000)와 와이어 로프(3000)간 유격이 많이 발생하여 파도에 의해 파이프(1000, 2000)가 심하게 흔들려 고정부분이 풀어지는 등 불량이 많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급수용 파이프(1000, 2000)가 와이어 로프(3000)에서 풀려지면 해수면에서 발생되는 파도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일정 배치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지면서 파이프간 결합부분이 파손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이러한 파이프(1000, 2000)와 와이어 로프(3000)를 일체로 유동없이 고정시키려면, 철사를 파이프(1000, 2000)와 와이어 로프(3000)의 외면으로 번갈아꼬면서 결속시켜야 해 결속작업이 더욱 복잡해져, 사실상 이러한 방식으로 작업하기에는 무리가 따르게 된다. 더욱이, 와이어 로프(3000)에 단일의 파이프가 아닌 복수개의 파이프(1000, 2000)를 함께 결속시킬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더욱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철사를 이용한 파이프 고정방식을 벗어나, 파이프와 와이어 로프간의 결속 작업이 용이하면서도, 파이프와 와이어 로프간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4770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급수용 파이프와 연결와이어와의 결속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결속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도록 함과 함께, 파이프 결속시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결속 가능한 급수용 파이프의 직경이 다소 상이하더라도 보다 세밀한 간격조절을 통해 유격이 최소화되도록 고정하여 해수면에서 파도에 의한 흔들림을 감소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1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클램프몸체와, 상기 제1 클램프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2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원형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제2 수용부 내측에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그립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1,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제2 클램프몸체 내측에 감싸지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제2 수용부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 제2 결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면상에는 볼트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면에 형성되는 각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시켜 상기 제1, 제2 결합면간의 간격이 조절된다.
더욱이, 상기 제1, 제2 그립부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C자형상으로 단부가 상기 각 개방부 내측을 향하여 곡면진 제1, 제2 결착날개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제2 결착날개가 상기 연결와이어의 외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1 그립부에는 상기 제2 결착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제2 결착날개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서 교차로 결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몸체는 일정 두께의 철판을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되, 철판을 일정 폭과 길이로 재단한 다음, 재단된 철판의 일단부측에 타공을 통해 제1 볼트체결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일단부를 내측으로 일정 폭으로 절곡시켜 제1 결합면을 형성시키고, 재단된 철판의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연결와이어의 외경과 대응되거나 더 큰 원주로 굽힘가공을 수행하여 제1 결착날개를 형성시키고, 재단된 철판의 중앙부에 상기 제1 파이프의 관경과 대응되거나 더 큰 원주로 C자형의 굽힘가공을 수행하여 제1 수용부를 형성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1 수용부에는 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일면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간격조절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간격조절홈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간격조절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간격조절부재를 상기 간격조절홈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삽입시켜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타측면이 상기 간격조절부를 가압시키면서 상기 간격조절부와 상기 간격조절홈간의 간격이 변경된다.
더욱이, 상기 제1,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1,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볼트체결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결합플랜지가 더 형성되며, ㄷ자 형태의 단면구조로, 양측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볼록한 탄성결합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클립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 결합플랜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클립부재를 결합시킨 다음, 볼트를 상기 결합공과 상기 볼트체결공을 연통하여 체결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제2 클램프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제1, 제2 그립부가 연결와이어의 양측으로 간단하게 고정되며, 제1, 제2 클램프몸체를 급수용 파이프의 양측으로 고정시킬 경우 연결와이어가 제1, 제2 결착날개 내측면에서 양측으로 상호 당겨지도록 가압밀착됨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연결와이어에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해수면에서 작용하는 파도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연결와이어에서 이탈되지 않고 휘어짐에 의한 연결부분의 파손이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급수용 파이프의 직경이 다소 상이하더라도 간격조절부에 의해 세밀한 간격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클램핑시 유격을 최소화하여 해상에 설치시 파도에 의해 급수용 파이프가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사용 안정성을 화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볼풀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급수관 파이프와 연결용 와이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급수관 파이프와 연결용 와이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급수관 파이프와 연결용 와이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를 결합시키는 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급수관 파이프와 연결용 와이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를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급수관 파이프와 연결용 와이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급수관 파이프(1000, 2000)를 급수관 파이프(1000, 2000)의 하부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용 와이어(30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는 내측에 제1, 제2 파이프(1000, 2000)의 외측면을 둘러싸도록 양측으로 분리체결되는 C자형태의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클램프몸체(100)는 내측에 제1 파이프(1000)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110)와, 제1 수용부(11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120) 및 제1 그립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수용부(110)는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1 파이프(1000)가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된다.
그리고 제1 결합부(120)는 제1 수용부(11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제2 클램프몸체(200)의 상단에 상호 볼트 체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그립부(130)는 연결와이어(3000)의 외면 일정부분이 감싸지도록 C자형상으로 제1 수용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제1 파이프(10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30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다.
제2 클램프몸체(200)는 제1 클램프몸체(10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내측에 제2 파이프(2000)가 수용되는 제2 수용부(210)와, 제2 수용부(210)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220) 및 제2 그립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수용부(210)는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2 파이프(2000)가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된다.
제2 결합부(220)는 제2 수용부(210)의 상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제1 결합부(120)와 상호 볼트체결된다.
제2 그립부(230)는 연결와이어(3000)의 외면 일정부분이 감싸지도록 C자형상으로 제2 수용부(2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제2 파이프(200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3000)의 외면을 감싸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분리체결되는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의 제1, 제2 수용부(110, 210) 내측에 제1, 제2 파이프(1000, 2000)가 각각 수용되고, 제1, 제2 그립부(130, 230)가 연결와이어(3000)의 양측에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간단하게 고정되며, 제1, 제2 결합부(120, 220)를 볼트로 결합시킴에 의해, 제1, 제2 그립부(130, 230)가 연결와이어(3000)의 양측에서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겨져 연결와이어(3000)가 제1, 제2 그립부(130, 230) 내측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제2 파이프(1000, 2000)가 감싸지도록 한다.
여기서,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의 양단부를 상호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제2 결합부(120, 220)는 제1, 제2 수용부(110, 210)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말단부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 제2 결합면(121, 2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제2 결합면(121, 221)은 제1, 제2 파이프(1000, 2000)의 결속시 상호 마주보게 배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제2 결합면(121, 221)상에는 볼트체결공(140, 240)이 각각 형성되어, 각 볼트체결공(140, 240)으로 볼트를 연속적으로 체결시켜 제1, 제2 결합면(121, 221)간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즉, 제1, 제2 파이프(1000, 2000)의 제작공차에 의해 각 파이프의 외경 크기가 다소 상이하더라도, 볼트의 결합간격을 조절하여 이러한 공차를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의 양측으로 너트를 적당한 위치로 체결시켜 제1, 제2 결합면(121, 221) 간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아울러, 제1, 제2 그립부(130, 230)는 연결와이어(3000)의 외측면 일부를 감싸도록 C자형상으로 단부가 개방부 내측을 향하여 곡면진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가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가 연결와이어(3000)의 외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착되도록 하여 제1, 제2 결합부(120, 220)가 고정될 경우 상호 반대방향으로 당겨지도록 하여 연결와이어(3000)의 양측면이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더욱이, 이러한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는 연결와이어(30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서 교차로 결속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제1 그립부(130)에 형성되는 제1 결착날개(131)는 제1 그립부(130)의 단부에 전체면으로 형성되지 않고, 일부면이 절개되어 제2 결착날개(2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수용홈(13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결착날개(231)가 연결와이어(3000)의 일측면을 감싸면서 수용홈(132) 상으로 제2 결착날개(231)가 인입되도록 하여, 연결와이어(3000)의 길이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양측에서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가 교차로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 고정시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로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여 연결와이어(3000)가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 내측면에서 가압밀착되며, 급수용 파이프(1000, 2000)가 해수면에서 파도에 의해 유동되더라도 파이프(1000, 2000)가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에 의해 연결와이어(3000)와 일체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휘어지지 않고 연결와이어(3000)의 배치형상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는 일정 두께의 철판을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하여 제1, 제2 수용부(110, 210), 제1, 제2 결합부(120, 220) 및 제1, 제2 그립부(130, 230)가 단일 판재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다. 제1 클램프몸체(100)를 일례로 설명하자면, 먼저 철판을 일정 폭과 길이로 재단한 다음, 재단된 철판의 일단부측에 타공을 통해 제1 볼트체결공(140)을 형성시키고, 제1 볼트체결공(140)이 형성된 일단부를 내측으로 일정 폭으로 절곡시켜 제1 결합면(121)을 형성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재단된 철판의 타단부측에는 내측으로 연결와이어(3000)의 외경과 대응되거나 더 큰 원주로 굽힘가공을 수행하여 제1 결착날개(131)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재단된 철판의 중앙부에 제1 파이프(1000)의 관경과 대응되거나 더 큰 원주로 C자형의 굽힘가공을 수행하여 제1 수용부(110)를 형성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재단, 절곡 및 타공을 통해 단일 철판으로 형상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도 6은 급수관 파이프와 연결용 와이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를 결합시키는 순서를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도 6의 (a)에서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 거치 프레임 상부에 제1, 제2 파이프(1000, 2000)를 안착시키고, 제1, 제2 파이프(1000, 2000) 사이에 연결와이어(3000)를 배치시켜 지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킨 다음, (b)에서와 같이 제1 파이프(1000)의 하부로 제1 클램프몸체(100)를 삽입시키고 제1 그립부(130)의 제1 결착날개(131)가 연결와이어(3000)에 결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함께 (c)에서와 같이 제2 클램프몸체(200)를 삽입시키고 제1 결착날개(131) 사이 수용홈(132)으로 제2 결착날개(231)를 결착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d)에서와 같이 연결와이어(3000)를 중심으로 제1, 제2 클램프 몸체를 회동시켜 제1, 제2 결합부(120, 220)가 상호 인접하도록 하고, (e)에서와 같이 볼트를 각 볼트체결공(140, 240)으로 연속하여 삽입시킨 다음, 너트를 볼트의 양단부에 체결시켜 제1, 제2 파이프(1000, 2000)의 크기에 맞게 제1, 제2 결합면(121, 221)의 간격을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연결와이어(3000)가 제1, 제2 결착날개(131, 231)에 의해 양측으로 당겨져, 연결와이어(3000)가 클램핑 장치와 간단하게 일체로 연결되도록 함과 함께, 제1, 제2 결합부(120, 220)의 간격조절을 통해 제1, 제2 파이프(1000, 2000)가 유격없이 상호 밀착되도록 하여 해수면에서 파도에 의한 흔들림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파이프(1000, 2000)의 밀착정도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간격조절부(150, 250), 간격조절홈(160, 260)과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의 체결편의 및 체결력 향상을 위한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가 더 형성된다.
제1 클램프몸체(100)를 일예로 설명하자면, 간격조절부(150)는 제1 수용부(110)에 형성된 곡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되어 일면이 제1 수용부(110) 내측으로 돌출되며, 제1 수용부(110)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1 파이프(1000)의 외측면에 이러한 간격조절부(150)의 일면이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간격조절홈(160)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일측면이 간격조절홈(160)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간격조절부재(170)를 간격조절홈(160) 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삽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간격조절홈(160) 상으로 삽입되는 간격조절부재(170)의 두께에 의해 간격조절부재(170)의 타측면에 간격조절부(150)의 일측면이 가압되면서 간격조절부(150)와 제1 수용부(110)의 내측면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여, 이러한 간격조절부(150)의 변형에 의해 제1 파이프(1000)와 밀착되는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간격조절부(150)는 제1, 제2 결합면(121, 221)에서의 볼트체결에 의한 간격조절에 부가적으로 간격이 더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직경이 다소 차이가 나더라도 클램핑 가능하며, 파이프의 직경에 따라 보다 세밀한 간격 조절을 통해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제2 결합면(121, 221)에는 폭방향으로 양측으로 연장되되, 양측에 볼트체결공(140, 240)이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가 더 포함된다. 이러한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는 제1, 제2 클램프몸체(100, 200)의 고정시, 제1, 제2 결합면(121, 221)의 양측으로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가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1, 제2 수용부(110, 210) 안쪽에서 볼트를 체결시키는 불편함 없이, 클램프몸체(100, 200)의 외측에서 볼트체결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ㄷ자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플레이트로, 양측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볼록한 탄성결합부(311, 312)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볼트체결공(140, 240)과 대응되는 결합공(313)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클립부재(300)를 더 포함하여, 상기와 같이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를 감싸도록 고정클립부재(300)를 끼워 간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고정클립부재(300)는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가 형성되는 폭과 대응되는 너비로 형성되고, 폭방향의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제2 탄성결합부(311, 312)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제1, 제2 탄성결합부(311, 312)는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에 각각 끼움결합되고, 해수면에서 파도에 의해 폭방향으로의 흔들림이 발생되더라도 제1, 제2 결합플랜지(122, 123, 222, 223)에서 탈락되지 않고 유지된다.
더욱이, 고정클립부재(300)를 끼운 다음, 볼트를 결합공(313)과 볼트체결공(140, 240)으로 관통 체결하여 고정클립부재(300)의 이탈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제1 클램프몸체
110 : 제1 수용부 120 : 제1 결합부
121 : 제1 결합면 122 : 제1 결합플랜지
123 : 제2 결합플랜지
130 : 제1 그립부 131 : 제1 결착날개
132 : 수용홈
140 : 볼트체결공
150 : 간격조절부 160 : 간격조절홈
170 : 간격조절부재
200 : 제2 클램프몸체
210 : 제2 수용부 220 : 제2 결합부
221 : 제2 결합면 222 : 제1 결합플랜지
223 : 제2 결합플랜지
230 : 제2 그립부 231 : 제2 결착날개
240 : 볼트체결공
250 : 간격조절부 260 : 간격조절홈
270 : 간격조절부재
300 : 고정클립부재 311 : 제1 탄성결합부
312 : 제2 탄성결합부 313 : 결합공
1000 : 제1 파이프 2000 : 제2 파이프
3000 : 연결와이어

Claims (7)

  1.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1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결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제1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1 클램프몸체와;
    상기 제1 클램프몸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측면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는 C자형의 단면구조로, 제2 파이프가 상기 개방부 내측으로 수용되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2 결합부와,
    상기 제2 수용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파이프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결와이어의 외면을 감싸도록 하는 제2 그립부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몸체를;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제2 수용부 내측에 각각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제2 그립부가 상기 연결와이어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부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부를 상호 결합시켜 상기 제1, 제2 파이프가 상기 제1, 제2 클램프몸체 내측에 감싸지도록 하되,
    상기 제1, 제2 결합부는 상기 제1, 제2 수용부의 상단부에서 연장되어 하방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 제2 결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 제2 결합면상에는 볼트체결공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결합면에 형성되는 각 볼트체결공으로 볼트를 체결시켜 상기 제1, 제2 결합면간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그립부는 상기 연결와이어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C자형상으로 단부가 상기 각 개방부 내측을 향하여 곡면진 제1, 제2 결착날개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제1, 제2 결착날개가 상기 연결와이어의 외측면에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립부에는 상기 제2 결착날개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제2 결착날개가 상호 대향되는 방향에서 교차로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몸체는 일정 두께의 철판을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되,
    철판을 일정 폭과 길이로 재단한 다음, 재단된 철판의 일단부측에 타공을 통해 제1 볼트체결공을 형성시키고, 상기 제1 볼트체결공이 형성된 일단부를 내측으로 일정 폭으로 절곡시켜 제1 결합면을 형성시키고, 재단된 철판의 타단부에는 내측으로 상기 연결와이어의 외경과 대응되거나 더 큰 원주로 굽힘가공을 수행하여 제1 결착날개를 형성시키고, 재단된 철판의 중앙부에 상기 제1 파이프의 관경과 대응되거나 더 큰 원주로 C자형의 굽힘가공을 수행하여 제1 수용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에는 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절개되어 일면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간격조절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부의 일면에는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는 간격조절홈이 더 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간격조절홈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두께가 두꺼워지는 간격조절부재를 상기 간격조절홈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삽입시켜 상기 간격조절부재의 타측면이 상기 간격조절부를 가압시키면서 상기 간격조절부와 상기 간격조절홈간의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결합부에는 상기 제1, 제2 결합면의 양측에 폭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볼트체결공이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제2 결합플랜지가 더 형성되며,
    ㄷ자 형태의 단면구조로, 양측 말단부에는 내측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볼록한 탄성결합부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볼트체결공과 대응되는 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고정클립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 제2 결합플랜지를 감싸도록 상기 고정클립부재를 결합시킨 다음, 볼트를 상기 결합공과 상기 볼트체결공을 연통하여 체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1020200040691A 2020-04-03 2020-04-03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102145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91A KR102145721B1 (ko) 2020-04-03 2020-04-03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0691A KR102145721B1 (ko) 2020-04-03 2020-04-03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721B1 true KR102145721B1 (ko) 2020-08-19

Family

ID=72291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691A KR102145721B1 (ko) 2020-04-03 2020-04-03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7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932B1 (ko) 2020-12-08 2022-02-17 정해식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102389440B1 (ko) 2021-01-27 2022-04-22 정해식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33B1 (ko) 2012-12-10 2014-12-29 씨에이코리아(주) 해저 케이블 하역장치
JP2016050643A (ja) * 2014-09-01 2016-04-11 未来工業株式会社 支持具
JP2017530304A (ja) * 2014-06-13 2017-10-12 シーメンス アクテ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減衰要素として金属製ワイヤマットを有している接続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033B1 (ko) 2012-12-10 2014-12-29 씨에이코리아(주) 해저 케이블 하역장치
JP2017530304A (ja) * 2014-06-13 2017-10-12 シーメンス アクティエンゲゼルシャフト 減衰要素として金属製ワイヤマットを有している接続クリップ
JP2016050643A (ja) * 2014-09-01 2016-04-11 未来工業株式会社 支持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932B1 (ko) 2020-12-08 2022-02-17 정해식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WO2022124451A1 (ko) * 2020-12-08 2022-06-16 정해식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KR102389440B1 (ko) 2021-01-27 2022-04-22 정해식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5721B1 (ko)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US20090127849A1 (en) Pipe fixing system and pipe fastening device
US8857771B2 (en) Conduit attachment device for use with a trapeze
US7845599B2 (en) Mounting coupling for sprinkler support system
US4739596A (en) Anchor plate for plumbing conduit
US1261213A (en) Pipe-coupling.
CN107949964A (zh) 管夹
US20080072530A1 (en) Pre-embedded connector formed by hot rolled steel for concrete
US5145132A (en) Adjustable load bolt adapter bracket assembly
US20020171013A1 (en) Pipe clamp arrangement
KR101605009B1 (ko) 공동주택용 슬래브 관통파이프 고정장치
US6783104B1 (en) Deformable clamp employed to stiffen hanger rod
US6494726B1 (en) Cable rack clamp
KR20070013179A (ko) 분기지관 소켓 부착장치
KR20180051034A (ko) 부재 연결 장치
KR102079087B1 (ko)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GB2245772A (en) Electrical connectors
JP4886217B2 (ja) 配線・配管材の支持具、配線・配管材の支持具及び該支持具を連結する連結金具。
JP4446814B2 (ja) 支柱金具
KR100352172B1 (ko) 두 개의 캠을 이용한 철선결속구
JP2008067573A (ja) 変圧器の固定構造およびその取付バンド
KR200432526Y1 (ko) 복수의 유-볼트를 이용한 낙석방지용 와이어로프 고정구
JP3207104U (ja) 落下防止機能を備えた配管支持具
JP3764883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連結構造及び連結方法
KR102364932B1 (ko) 해저 파이프 연결용 클램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