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087B1 -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087B1
KR102079087B1 KR1020180032078A KR20180032078A KR102079087B1 KR 102079087 B1 KR102079087 B1 KR 102079087B1 KR 1020180032078 A KR1020180032078 A KR 1020180032078A KR 20180032078 A KR20180032078 A KR 20180032078A KR 102079087 B1 KR102079087 B1 KR 102079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ipe
adapter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0293A (ko
Inventor
표지웅
백공진
신용석
엄기영
Original Assignee
표지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지웅 filed Critical 표지웅
Priority to KR1020180032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0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0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6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hree or more members surround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건축물부착장치나 배관연결장치에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가 개시된다. 이러한 어댑터는 홀더와 걸림쇠로 구성된다. 걸림쇠에는 제1볼트가 끼워지며, 홀더에는 제1볼트의 축선의 방향과 서로 직교하도록 제2볼트가 끼워지고 제2볼트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스토퍼가 마련된다. 또한, 걸림쇠에는 제1볼트에서 배관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라운드져 있어 지지대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배관과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배관연결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상부클램프가 하부클램프로 조임볼트가 상부클램프와 나사결합한다. 이에 따라 홀더와 걸림쇠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지지대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며, 내진용 버팀대로서 일체화에 유리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배관의 경우 가압력 확보에 유리하고,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배관의 경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Adapter and Sway Brace Fitting in use of Sway Brace Device for Building like Pipe}
본 발명은 건축 구조물에 배관을 매달아 설치하고 지진이나 외부 충격의 경우 배관의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버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부착장치나 배관연결장치에 지지대를 고정하기 위한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소방설비나 상수관과 같이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배관라인을 형성하거나 또는 전기설비에 필요한 전선이나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배관라인을 매달아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지진이나 외부 충격시 배관이 흔들릴 경우 파손이나 손상으로 누수, 누전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내진설계 방안으로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흔들림방지버팀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흔들림 방치 버팀대의 내진설계는 구조물과 관련 부품이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견고하게 하여 충격에 버티도록 하는 것이며, 이와 구별하여 면진설계는 완충제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과 관련 부품을 서로 분리하여 지진파의 영향을 차단토록 한다.
상기 흔들림방지버팀대는, 설치 위치에 따라, 종방향 버팀대와 횡방향 버팀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종방향 버팀대(Longitudinal Sway Brace)는 수평지진하중에 의한 배관 축과 평행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버팀대이며, 횡방향 버팀대(Lateral Sway Brace)는 수평지진하중에 의한 배관 축에 수직 방향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버팀대이다. 또한 건축구조물에 고정하는 형식에 따라, 벽체 고정타입과 빔클램프 타입(BEAM CLAMP type)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상기 벽체 고정타입은 건축물의 콘크리트 벽체에 앵커볼트나 전산볼트를 매입하고 벽체에 버팀대를 고정하는 방식이며, 빔클램프 타입은 건축물의 철골빔에 빔클램프를 설치하여 버팀대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설치각도에 따라, 30˚, 45˚, 60˚, 90˚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는 건축구조물과 배관라인과의 관계에서 지지대를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하여 배관을 지지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종방향 버팀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횡방향 버팀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흔들림방지버팀대에 적용된 어댑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흔들림방지버팀대(10, 10´)는 건축물부착장치(Structure Attachment Fitting)(11), 지지대(Brace Member)(12) 및 배관연결장치(Sway Brace Fitting)(13)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축물부착장치(11)는 건축구조물의 벽체에 매입된 앵커볼트(미도시)에 끼워져 너트로 고정되고, 배관연결장치(13) 예컨데, 라이저클램프(Riser Clamp)는 배관(1)을 고정한다.
상기 건축물부착장치(11)와 배관연결장치(13)는, 직접 고정될 수도 있으나, 배관(1)이 건축구조물의 벽체나 철골빔 등으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 설치되므로 통상 지지대(12)가 사용된다. 상기 지지대(12)를 사용할 경우, 좌굴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일정한 세장비(최소회전반경 대비 지지대의 길이)를 갖도록 하고 있으며, 내진용 흔들림방지버팀대(10, 10´)의 경우 300 이내가 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는, 내진설계의 경우 견고한 결속을 위해 별도의 어댑터가 이용되는데, 건축물부착장치(11) 측에 사용되는 어댑터를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Structue Attachment Fitting Adapter), 배관연결장치 측에 사용되는 어댑터를 배관연결장치어댑터(20)(Sway Brace Fitting Adapter)로 불리우고 있다.
상기 어댑터(20, 20′)는, 그 구조적 특징에 따라 공용 또는 전용으로 구분한다. 공용 어댑터는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 및 배관연결장치어댑터(20)로서 공용하여 사용되는 어댑터이며, 전용 어댑터는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 또는 배관연결장치어댑터(20) 중의 어느 하나에 전용하는 어댑터이다. 도시된 예는 공용 어댑터(20, 20′)이며, 상기 공용 어댑터(20, 20′)는 한 종류의 어댑터만으로 그 배치만을 달리 하여 종방향 버팀대 또는 횡방향 버팀대를 구성할 수 있어 유익하다. 즉, 상기 종방향 버팀대(10)의 경우,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와 배관연결장치어댑터(20)가 서로 평행한 방향에 위치하며,(도 1 참조) 상기 횡방향 버팀대(10´)의 경우,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와 배관연결장치어댑터(20)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에 위치하는 점에서 서로 다르다.(도 2참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20)는 내진용 흔들림방지버팀대(10, 10´)의 견고한 결속과 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ㄷ" 형상의 단순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가압단(21)과 체결단(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단(21)에는 지지대(12)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체결단(23)에는 배관연결장치(13)나 건축물부착장치(11)에 볼트(14, 15)로 고정된다. 상기 가압단(21)은,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지지대(12)가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요입된 형상이며, 그 상측에 가압볼트(22)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설되어 있고, 하측에는 가압볼트(22)에 대응하는 위치에 압입홈(21a)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가압볼트(22)가 하향 이동하여 강한 힘으로 지지대(12)의 변형을 유도하여 압입홈(21a)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통상 지지대(12)는 강관이나 형강 또는 평판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볼트(22)는, 본 분야에서 통상 두절볼트가 사용되고 있으며, 일정한 토크 이상으로 돌렸을 경우 볼트머리(22a)가 탈락하여 과도한 토크전달을 방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어댑터(20)의 경우, 가압볼트(22)가 지지대(12)를 물고 가압할 수 있도록 단부 끝이 뾰쪽한 첨미(尖尾)(22b)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점접촉하고 있는데, 지지대(12) 양단에서 가압하는 방향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지지대(12)가 비틀리거나 어긋나게 된다. 또한, 가압볼트(22)가 상대적으로 큰 토크의 힘으로 지지대(12)를 가압하고 있는데, 단순하게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있어 상하로 벌어질 수 있으며, 더욱이 지진동이나 외부 충격시 지지대(12)가 어댑터(20)로부터 탈리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어댑터(20)의 두께(t´)를 두껍게 하여야 하는데, 이 경우 그 만큼 무거워질 뿐만 아니라 판재 가공이 어려워 주물 제작을 해야 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어렵고 단가가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종래의 다른 예로서 판재 가공이 가능한 구조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를 개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는 종래의 다른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어댑터를 도시한 것으로, 도 4는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건축물부착장치 어댑터(30)의 경우, 홀더(31)와 걸림쇠(33)는 각각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되고, 건축물부착장치(34)에 리벳(35)으로 고정한 구조이다. 상기 홀더(31)는 일측에 가압볼트(32)가 돌설되도록 나사공(31a)이 형성되며, 그 타측에는 건축물부착장치(34)에 리벳팅하여 결속하도록 걸림고리(31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쇠(33)는 일측에 압입홈(33a)이 형성되고 홀더(3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돌기(33b)가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으로 요입되어 있으며, 그 타측에 리벳공(미도시)이 형성되어 리벳공과 걸림고리(31b)가 맞춰진 상태에서 건축물부착장치(34)에 리벳팅하여 상호 결속되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어댑터(30)는, 주물제작과 달리, 판재 가공이 가능하도록 별도록 제작하여 상호 결합하고 있어 양산성이나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하지만, 전체적으로 "ㄷ" 형상을 이루고 있어 가압볼트(32)의 가압에 따른 벌어짐이나 지지대의 탈리 문제를 해결하고 있지 못하다. 또한, 홀더(31), 걸림쇠(33) 및 건축물부착장치(34)가 리벳팅으로 일체 결속하고 있어 건축물부착장치 어댑터(30)로 사용되고 있으나, 배관연결장치어댑터로 사용할 경우 리벳 길이(L)만큼 배관을 가압할 수 없어 배관 지지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배관연결장치어댑터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30)는, 전용 어댑터로서,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로만 사용되고, 별도의 배관연결장치어댑터를 필요로 하게 되어 공용 어댑터로서의 장점을 확보할 수 없다.
도 6은 종래의 배관연결장치어댑터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배관연결장치어댑터는 도 5에 도시된 건축물부탁장치 어댑터와 함께 사용되어 지지대를 건축물부착장치와 배관연결장치 사이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배관연결장치 어댑터(40)는 판재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 것으로 "ㄷ" 형상의 가압단(41)과 체결단(4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단(41)에는 가압볼트(42)가 지지대를 가압하여 고정하고, 체결단(43)에는 볼트공(43a)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볼트(44)가 볼트공(43a)을 통해 배관연결장치(45)와 결합한다.
상기 가압단(41)은, 가압부(41a)와 받침부(41c)로 구분하여 살펴볼 때, 상기 가압부(41a)는 측방향으로 밴딩되어 "⊂"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으며, 가압볼트(42)가 돌설될 수 있도록 나사공(41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41c)는 가압볼트(42)에 상응하는 위치에 압입홈(41d)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가압볼트(42)가 나사공(41b)에서 조여짐에 따라 큰 토크의 가압력으로 지지대를 압입홈(41d)에 압입 고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배관연결장치 어댑터(40)는,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된 종래의 어댑터(20, 30)와 동일한 벌어짐이나 비틀림 또는 변형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더욱이 단일의 판재를 성형 가공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 가압볼트(42)를 지지하기에 한계가 있고, 나사공(41b)의 길이도 짧아 큰 토크를 전달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판재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는데,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어댑터(20)와 같게 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196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지진이나 외부충격시 지지대와 건축물부착장치 또는 배관연결장치 사이의 견고한 체결을 유도하여 지진이나 외부 충격에 대하여 부품 및 설치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와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는, 제1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볼트공이 마련된 걸림쇠; 그리고 상기 제1볼트에 끼워지는 제2볼트공(4이 마련되며, 제1볼트의 축선의 방향과 서로 직교하도록 제2볼트가 끼워지는 나사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볼트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홀더;를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걸림쇠에는 지지대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배관과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제1볼트공의 중심에서 배관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는 지지대가 삽입될 경우,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잡아줄수 있도록 측면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홀더에는 걸림공이 마련되며, 상기 걸림쇠에는 걸림공에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걸림돌기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방지버팀대용 배관연결장치는, 상기 어댑터; 제1원호부를 구비하며 배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클램프; 그리고 제2원호부를 구비하며, 일측은 홀더에 제1볼트로 고정되고 타측은 하부클램프에 조임볼트가 결합되어 조임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배관의 상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2개의 상부클램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클램프는 제1원호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1원호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클램프는 제1플랜지부와 마주보도록 제2원호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임볼트는 제2플랜지부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상호 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는 제2볼트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고 있어 홀더와 걸림쇠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지지대를 보다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나아가, 홀더의 양측에 측면지지부가 지지대의 양측을 잡아줄 수 있어 일체화에 유리하고, 가이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2볼트 첨미의 가압에 따른 변형이나 뒤틀림을 줄일 수 있다. 더욱이, 걸림쇠가 라운드져 배관과 밀착하고 있어 일체화에 유리하고,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배관의 경우 가압력 확보에 유리하고,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배관의 경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흔들림방지버팀대를 이용한 종방향 버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의 흔들림방지버팀대를 이용한 횡방향 버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흔들림방지버팀대에 적용된 어댑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종래의 다른 예로서 건축물부착장치 어댑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건축물부착장치 어댑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종래의 다른 예로서 배관연결장치 어댑터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를 도시한 결합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의 걸림쇠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의 걸림쇠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의 홀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의 홀더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에 지지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에 지지대가 90°각도로 설치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에 지지대가 45°각도로 설치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배관을 고정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작은 직경의 배관을 고정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큰 직경의 배관을 고정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를 이용하여 큰 직경의 배관을 고정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의 조임볼트 체결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시된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칭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7의 결합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흔들림방지버팀대(T)는 건축물부착장치(100), 지지대(300) 및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어댑터(200, 400) 및 배관연결장치(500)를 구비한다.
상기 건축물부착장치(100)는, 건축구조물 예컨데 콘크리트 슬라브나 철골빔 등에 앵커볼트나 전산볼트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500)는 배관(P1)을 고정한다. (도 16 참조) 그리고, 상기 지지대(300)는 건축물부착장치(100)와 배관연결장치(500) 사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200, 400)에 의하여 각각 고정된다. 이하,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건축물부착장치(100)에 지지대(300)를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를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0)라 하고, 배관연결장치(500)에 지지대(300)를 고정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를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라 하며, 상기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0)와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를 혼용하여 구분없이 사용할 경우에는 어댑터라 칭한다.
상기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0)는 건축물부착장치(100)에 지지대(300)를 고정하며, 상기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는 배관연결장치(500)에 지지대(300)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어댑터(200, 400)는 건축물부착장치(100) 또는 배관연결장치(500) 등 그 위치만 다를 뿐이며, 그 형상이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는,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0) 및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로서 모두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유익하다.
상기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0)는 건축물부착장치(100)에 제1볼트(230)와 너트(250)로 결합되는 홀더(220), 상기 홀더(220)에 수용되는 걸림쇠(210)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220)에 지지대(300)가 끼워져 걸림쇠(210)와의 사이에서 홀더(220)의 제2볼트(240)로 가압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200)는, 후술하는 바의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와 그 위치만 다를 뿐이며 그 형상이나 구조 및 기능이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에 관한 설명으로 이를 갈음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의 걸림쇠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9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의 홀더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2는 도 11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는, 제1볼트(430)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볼트공(412b)이 마련된 걸림쇠(410)와 상기 제1볼트(430)에 끼워지는 제2볼트공(422a)이 마련되며, 제1볼트(430)의 축선의 방향과 서로 직교하도록 제2볼트(440)가 끼워지는 나사공(421a)이 마련되며, 상기 제2볼트(440)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430)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410)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421c)가 마련된 홀더(420);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쇠(410)는, 그 일예로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살펴보면, 받침부(411)와 걸림부(412)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쇠(410)는 대량생산 및 경제성을 고려해 판재 가공이 가능한 평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쇠(410)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를 결합한 것일 수 있으나 기계적성질 및 가공의 편의를 고려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411)는, 그 일예로서 지지대(300)가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지지대걸림턱(411b)이 내측에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대(300)가 수용된 후 지지대(300)를 가압하여 변형에 따라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요입된 형상의 압입홈(411a)이 상측에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걸림턱(411b)의 높이(h)는 지지대(300)의 두께(t1:도 14참조)로 하는 것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적인 접촉이나 90˚설치시 배관(P:도 16참조)과의 일체화에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걸림턱(411b)은 지지대(300) 예컨대, 파이프 지지대와 같이 내부 공간을 가지고 이격된 거리의 벽체로 이루어진 경우를 고려하여 상하에 각각 형성되고 있으나, 지지대(300)의 형상이나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예컨대 평판 지지대의 경우 상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부(412)는, 그 일예로서 상방 돌출된 형상의 걸림돌기(412a)가 상측에 마련되며, 제1볼트(4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볼트공(412b)이 내측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412)는, 그 일예로서 상기 받침부(411)가 가압될 경우 제1볼트공(412b)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홀더(420)의 스토퍼(421c)에 의해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스토퍼지지부(412e)가 상측 후방에 마련된다. 또한 제1볼트공(412b)은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으로 할 수도 있으나 홀더(420)와의 결합 및 체결의 편의를 위해 제1볼트(430)가 끼워지는 관통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412)는, 그 일예로서 곡선부(412c)와 직선부(412d)가 하측면에 마련된다. 상기 곡선부(412c)는 제1볼트공(412b)의 중심에서 배관(P: 도 14 참조)까지의 거리를 반경(r)으로 하는 라운드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관(P: 도 14 참조) 설치 후에 지지대(300)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연속적으로 배관(P: 도 14 참조)과의 접촉을 유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직선부(412d)는 최고 설치각도(예컨데 90°)에서 배관(P: 도 14 참조)에 접하도록 형성하며,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최고 설치각도(예컨데 90°)에서 배관(P: 도 14 참조)과 직선부(412d)가 서로 접촉하도록 한다. 여기서, 최고 설치각도를 90°로 할 경우, 직선부(412d)는 지지대(300) 예컨데, 파이프지지대의 외측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며, 최고 설치각도를 90°에서 직선부(412d)와 지지대(300) 예컨대, 파이프지지대가 모두 배관(P: 도 14 참조)과 접촉하게 된다.
도 7과 도 8 및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420)는, 그 일예로서 가압부(421)와 측면지지부(42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홀더(420)는 대량생산 및 경제적 측면을 고려해 판재 가공이 가능한 평판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420)는 별개의 부품으로 구분하여 제작하고 이를 결합한 것일 수 있으나 기계적 성질 및 가공의 편의를 고려하여 일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면지지부(422)는, 그 일예로서 상기 가압부(421)의 양측에서 하방 절곡된 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측면지지부(422)에는 각도표시(422b)가 타각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설치시 지지대(300)의 설치각도을 확인하여 작업할 수 있어 유익하다. 그리고, 상기 측면지지부(422)의 양측에는 제1볼트(430)에 끼워지는 제2볼트공(422a)이 각각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지지부(422)의 양측 간격(w1)을 지지대(300)의 폭으로 할 때, 상기 지지대(300)를 고정하기 위해 끼우는 과정 및 제2볼트(440)의 압입 고정시 측면지지부(422)가 지지대(300)의 가이드로 기능하며, 제1볼트(430)로 배관연결장치(500)와 결합될 경우 측면지지부(422)가 지지대(300)를 가압하여 잡아줄 수 있으며, 나아가 제2볼트(440) 예컨데, 두절볼트의 첨미(尖尾)의 가압의 경우 측면지지부(422)가 지지대(300)의 양측에서 잡아줌에 따라 가압지점의 불일치나 변형 또는 비틀림을 줄일 수 있어 유익하다.
상기 가압부(421)에는, 그 일예로서 나사공(421a), 걸림공(421b) 및 스토퍼(421c)가 마련된다.
상기 나사공(421a)은, 그 일예로서 걸림쇠(410)의 압입홈(411a: 도 9 참조)에 상응하여 전부측에 마련되며, 걸림쇠(410)와 결합되었을 때 압입홈(411a: 도 9 참조)을 향하도록 관통하여 형성되며, 또한 제2볼트공(422a)의 중심선과 서로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나사공(421a)은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으로 단순히 볼트가 수용될 수 있는 볼트공과 구별된다. 그리고, 상기 나사공(421a)은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일예로서 나사산이 형성된 판너트(421d)가 압입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너트(421d)는 제2볼트(440)의 나사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고 제2볼트(440)의 큰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압부(421)의 두께(t2)보다 큰 폭(w2)의 너트(431)가 가압부(421)에 압입되어 고정된 것으로,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형상의 판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사공(421a)에는 제2볼트(440)가 결합되는데, 나사공(421a)과 제1볼트공(412b)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볼트(440)와 제1볼트(430) 역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볼트(440)는, 본 발명의 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두절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절볼트는 일정 토크 이상의 힘이 가해질 경우 헤드가 떨어져 나갈 수 있기 때문에 과도한 토크 전달을 방지할 수 있으며, 테이퍼상으로 끝단이 뾰족하게 첨미(尖尾)가 형성되어 있어 지지대(300)를 물어 고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421c)는, 그 일예로서 걸림쇠(410)의 스토퍼지지부(412e)에 상응하여 후부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2볼트(440)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430)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410)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스토퍼(421c)는, 도시된 예에서 가압부(421)에 일체로 형성되고 있으나,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측면지지부(422)에 마련될 수도 있으며, 가압부(421)과 측면지지부(422) 양측에 걸쳐 있을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걸림공(421b)은, 그 일예로서 걸림쇠(410)의 걸림돌기(412a)에 상응하여 스토퍼(421c)와 나사공(421a)의 사이에 마련되며, 홀더(420)와 걸림쇠(410)를 상호 결합할 경우 걸림쇠(410)의 걸림돌기(412a)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홀더(420)의 걸림공(421b)에는 걸림쇠(410)의 걸림돌기(412a)가 끼워지고, 상기 홀더(420)의 나사공(421a)에는 제2볼트(440)가 돌설된 상태로 결함됨으로써 어댑터(400)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400)는 그 일측에 마련된 홀더(420)의 가압부(421)와 걸림쇠(410)의 받침부(411) 사이로 지지대(300)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2볼트(440)를 가압함에 따라 지지대(300)가 압입홈(411a)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어댑터(400)는 제1볼트(430)에 의해 그 타측에 마련된 제1볼트공(412b)과 제2볼트공(422a)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500)와 결합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500)는, 상부클램프(510, 520)와 하부클램프(530)를 가진다. 여기서, 상부클램프(510, 520)는 제1볼트(430)로 어댑터(400)와 결합되고, 상기 하부클램프(530)는 조임볼트(540, 550)로 상부클램프(510, 520)와 결합된다.
상기 하부클램프(530)는, 그 일예로서 배관(P1:도 16 참조)의 외측면의 원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의 제1원호부(531)가 마련되며, 상기 제1원호부(53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2개의 제1플랜지부(532, 533)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1원호부(531)에는 조임볼트(540, 550)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제3볼트공(532a, 53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볼트공(532a, 533a)은, 조임볼트(540, 550)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공으로 할 수도 있으나, 하부클램프(530)의 제작이나 가공 및 작업의 편의를 위해 조임볼트(540, 550)가 끼워질 수 있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배관(P1:도 16 참조)은 하부클램프(530)의 제1원호부(531)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조임볼트(540, 550)에 의해 상부클램프(510, 520)와 결합된다.
상기 상부클램프(510, 520)는, 그 일예로서 배관(P1: 도 16 참조) 상부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가압할 수 있도록 2개로 이루어지며, 배관(P1: 도 16 참조)의 외측면의 원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의 제2원호부(511, 521)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클램프(530)의 제1플랜지부(532,533)와 마주보도록 제2원호부(511, 521)의 양단에서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2개의 제2플랜지부(512, 513, 522, 523)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플랜지부(513, 523)에는 조임볼트(540, 550)가 각각 끼워져 조여질수 있도록 제4볼트공(513a, 523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임볼트(540, 550)가 수용되는 제4볼트공(513a, 523a)은 관통공으로 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조임볼트(540, 550)와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공(도 12 및 도 13의 제2볼트(440)와 결합하는 나사공(421a)과 구별하여 이하 "조임나사공"이라 한다)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어댑터(400)는 제1볼트(430)에 의해 상부클램프(510, 520)와 결합되고, 하부클램프(530)가 조임볼트(540, 550)에 의해 상부클램프(510, 520)와 결합됨으로써 배관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의 구성에 따른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설치 및 그 작용효과를 살펴본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에 지지대가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8에서 A-A라인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는, 홀더(420)의 걸림공(421b)에 걸림쇠(410)의 걸림돌기(412a)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홀더(420), 걸림쇠(410) 및 상부클램프(510, 520)가 각각의 볼트공(512a, 522a)을 통해 제1볼트(430)와 너트(431)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400)에 지지대(300)를 끼우면, 상기 지지대(300)는 홀더(420)의 측면지지부(422)로 안내되어 걸림쇠(410)의 지지대걸림턱(411b)에 걸려 받침부(411)에 위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홀더(420)의 나사공(421a)은 걸림쇠(410)의 압입홈(411a)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나사공(421a)에 수용된 제2볼트(440)는 압입홈(411a)을 향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400)에 지지대(300)를 고정하고자 제2볼트(440)를 하향 이동시키면, 제2볼트(440)가 지지대(300)와 접촉하고, 더욱 토크를 크게 하면 제2볼트(440)의 첨미(尖尾)가 지지대(300)를 항복시켜 압입홈(411a)으로 지지대(300)를 물고 들어간다. 이때, 상기 제2볼트(440)의 가압(F)에 따라 그 반작용(F')으로 제2볼트(440)와 받침부(411)가 서로 벌어지려고 하는데, 본 발명의 경우, 걸림쇠(410)의 걸림돌기(412a)가 걸림공(421b)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걸림돌기(412a)가 가압부(421)에 걸리게 되어(F1) 제2볼트(440)와 받침부(411)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경우, 제1볼트(430)와 제2볼트(440)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제1볼트공(412b)과 나사공(421a)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홀더(420)에는 스토퍼(421c)가 마련되거나 걸림쇠(410)에는 스토퍼지지부(412e)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제2볼트(440)에 큰 토크가 걸려 가압되더라도 스토퍼지지부(412e)가 스토퍼(421c)에 걸리게 되어(F2) 서로 맞물림으로써 제2볼트(440)와 받침부(411)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어댑터(400)는, 걸림돌기(412a)가 마련되거나 제2볼트(440)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430)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410)가 이동하는 것이 차단하기 위한 스토퍼(421c)가 마련됨으로써 제2볼트(440)와 받침부(411)가 서로 벌어지는 것을 최소화하여 어댑터(400)에 지지대(300)를 견고하게 체결함으로써 컴팩트한 내진용 흔들림방지버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에 지지대가 90°각도로 설치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걸림쇠(410)의 지지대걸림턱(411b)의 높이(h)가 지지대(300)의 두께(t1)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는 90°설치각도에서 지지대(300) 예컨데, 파이프지지대가 배관(P)과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일체화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300) 뿐만 아니라 걸림쇠(410) 하측의 직선부(412d)가 최고 설치각도(θ)인 90˚에서 배관(P)과 서로 접촉하여 지지하고 있으므로 일체화에 더욱 유리하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에 지지대가 45°각도로 설치된 상태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를 사용할 경우, 상기 걸림쇠(410) 하측의 곡선부(412c)는 제1볼트공(412b)의 중심에서 배관(P)까지 거리를 반경(r)으로 하여 라운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설치각도(θ)가 변경하더라도 걸림쇠(410)가 연속하여 배관(P)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는, 설치각도(θ)와 무관하게 배관연결장치(500)와 결합하여 걸림쇠(410)가 배관(P)을 연속적으로 가압 고정할 수 있어 유익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가 적용되어 작은 직경의 배관을 고정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호를 의미한다.
도 16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와 배관고정장치(700)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T´)가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d1)의 배관(P1)을 지지할 경우, 상기 배관연결장치(700)의 사이즈가 작게 되어 상부클램프(710, 720)의 양측 플랜지부(712, 722) 사이의 간격(w3)이 상대적으로 커진다. 즉, 상부클램프(710, 720)의 제1원호부(711, 721)와 하부클램프(730)의 제2원호부(731)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배관(P1) 가압력도 작아지게 되어 압축 및 인장하중을 견디기 위한 내진용 버팀대로서 제기능 발휘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의 경우, 상부클램프(710, 720)와 하부클램프(730)의 사이에서 배관(P1)을 가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420)와 걸림쇠(41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쇠(410)가 배관(P1)을 밀착하여 가압하고 있으므로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배관(P1)의 경우에도 배관(P1)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가압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가 적용되어 큰 직경의 배관을 고정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19는 도 17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호를 의미한다.
도 18과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와 배관연결장치가 적용된 흔들림방지버팀대(T˝)가 상대적으로 큰 직경(d2)의 배관(P2)을 지지하는 경우, 상기 배관연결장치(800)의 사이즈가 커지게 되어 상부클램프(810, 820)의 각각의 플랜지부(812, 822) 사이의 간격(w4) 뿐만 아니라 배관연결장치(800)와 어댑터(400)의 연결단에 큰 강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어댑터(400)의 경우, 제1볼트(430)가 홀더(420)의 측면지지부(422)의 양측에서 가압하여 고정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홀더(420)와 걸림쇠(410)가 일체로 결합된 상태에서 걸림쇠(410)가 배관(P2)에 밀착하여 가압 고정하고 있으므로 판재를 이용하더라도 큰 직경의 배관(P2)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의 조임볼트 체결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로서, (a)는 도 18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 조임볼트가 너트로 체결된 상태의 부분단면도이며, (b)는 도 19의 A부분을 확대하여 조임볼트가 플랜지와 나사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배관(P2)을 가압하기 전의 상태는 파선으로, 배관(P2)을 가압한 후의 상태는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호를 의미한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800)에 있어서, 하부클램프(830)와 상부클램프(820)의 사이에 배관(P2)이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클램프(830) 및 상부클램프(820)의 플랜지부(823,833)의 볼트공(823a,833a)에 조임볼트(550)를 끼우고 너트(551)로 채워 고정할 경우, 플랜지부(823,833)는 자유단에 해당하고 또한 볼트공(823a,833a)과 조임볼트(550)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조임볼트(550)의 조임력(F3, F3')을 크게 하더라도 조임력의 전달보다는 오히려 플랜지부(823,833)가 굽힘력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여 플랜지부(823,833)와 조임볼트(550)가 어긋나게 되어 서로 변형하거나 뒤틀려 상부클램프(520˝)에 효과적으로 조임력(F3, F3')을 전달할 수 없고, 변형에 따라 균일한 가압력이나 효과적인 밀착 고정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20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배관연결장치(800)에 있어서, 하부클램프(830)와 상부클램프(820)의 사이에 배관(P2)이 위치한 상태에서 하부플랜지(830)의 볼트공(833a)에 조임볼트(550)를 끼우고 상부클램프(820)의 나사공(823a)에 곧바로 나사 체결할 경우, 하부클램프(830)의 플랜지부(833)는 자유단에 해당하고 간극이 존재하므로 굽힘력에 의해 일부 처짐이 발생하고 변형이 일어난다. 그런데, 상부클램프(820)의 플랜지부(823)는 조임볼트(550)와 나사결합하고 있어 실질적으로 간극을 무시할 수 있고, 또한 자유단에 해당하더라도 볼트머리와 나사산까지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있으므로 상부클램프(820)의 플랜지부(823)는 항복될 때까지 계속해서 상부플랜지(820) 긴장시키고 또는 제2원호부(821)를 끌어당겨 배관(P2)을 가압한다. 이에 따라, 조임볼트(550)는 상부클램프(820)에 조임력(F5, F5')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부클램프(820)의 플랜지부(823)가 휘어져 변형되는 것을 줄일 수 있어 상부클램프(820)에 보다 균일한 가압력과 효과적인 밀착 고정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배관연결장치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서 일실시예가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기술사상과 범위내에서 모든 변형물이나 균등물 또는 그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 흔들림방지버팀대 100: 건축물부착장치
200: 건축물부착장치어댑터(400) 300: 지지대
400: 배관연결장치어댑터(400) 410: 걸림쇠
420: 홀더 500: 배관연결장치
510, 520: 상부클램프 530: 하부클램프
P, P1, P2: 배관

Claims (7)

  1. 제1볼트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제1볼트공이 마련된 걸림쇠;
    상기 제1볼트에 끼워지는 제2볼트공이 마련되며, 제1볼트의 축선의 방향과 서로 직교하도록 제2볼트가 끼워지는 나사공이 마련되며, 상기 제2볼트의 가압에 의해 제1볼트를 중심으로 반대방향에서 걸림쇠가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가 마련된 홀더;
    상기 홀더에 마련되는 걸림공;
    상기 걸림공에 수용되어 걸릴 수 있도록 상기 걸림쇠에 마련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지지대가 삽입될 경우, 상기 지지대의 양측을 잡아줄수 있도록 측면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측면지지부에는 각도표시가 타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쇠에는, 지지대의 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배관과 접촉하여 가압할 수 있도록 제1볼트공의 중심에서 배관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라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5. 제1항에 따른 어댑터;
    제1원호부를 구비하며, 배관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클램프;
    제2원호부를 구비하며, 일측은 홀더에 제1볼트로 고정되고 타측은 하부클램프에 조임볼트가 결합되어 조임볼트가 조여짐에 따라 배관의 상부를 가압하는 적어도 2개의 상부클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배관연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클램프는 제1원호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1플랜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클램프는 제1플랜지부와 마주보도록 제2원호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상의 제2플랜지부를 구비하며; 그리고
    상기 조임볼트는, 제2플랜지부와 나사결합함으로써 제1플랜지부와 제2플랜지부를 상호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배관연결장치.
  7. 삭제
KR1020180032078A 2018-03-20 2018-03-20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KR102079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78A KR102079087B1 (ko) 2018-03-20 2018-03-20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078A KR102079087B1 (ko) 2018-03-20 2018-03-20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93A KR20190110293A (ko) 2019-09-30
KR102079087B1 true KR102079087B1 (ko) 2020-02-19

Family

ID=68098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078A KR102079087B1 (ko) 2018-03-20 2018-03-20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0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056A (ko) 2022-02-24 2023-08-31 (주)진영에스텍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파이프지지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281A (ja) * 2007-08-01 2009-02-19 Akagi:Kk 配管支持具の防振構造
US20140013577A1 (en) * 2011-05-31 2014-01-16 Cooper B-Line, Inc. Sway Brace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992U (ko) * 2016-08-10 2016-08-30 김대식 내진용 브라켓
KR101751963B1 (ko) 2017-02-09 2017-06-30 (주)파워엔텍 압축력에 견디는 턴버클을 이용한 배관용 내진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6281A (ja) * 2007-08-01 2009-02-19 Akagi:Kk 配管支持具の防振構造
US20140013577A1 (en) * 2011-05-31 2014-01-16 Cooper B-Line, Inc. Sway Brace Attach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7056A (ko) 2022-02-24 2023-08-31 (주)진영에스텍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내진용 파이프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0293A (ko) 201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372B1 (en) Sway brace fitting
JP6130381B2 (ja) パイプ間ブレース組立体
US9909692B2 (en) Conduit spacing and mounting system and method
JP5294739B2 (ja) 連結金具
JP2016521324A (ja) パネルをビームに接続する耐震接続装置
KR102079087B1 (ko) 배관의 흔들림방지버팀대용 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배관연결장치
US4111579A (en) Scaffolding
JP5567994B2 (ja) 連結具
WO2001053186A1 (en) Termination for flat flexible tension member
US20080156945A1 (en) Hanger rod stiffening clip
US7984534B2 (en) Cable restraint clip
KR20190107541A (ko) 배관의 내진용 흔들림 방지 버팀대
US20220316506A1 (en) A Beam Clamp, and a Mounting Assembly
JP6664169B2 (ja) 壁パネル取付補助具及びそれを用いた壁構造
US11255410B2 (en) Adjustable transmission guy line connector
KR101066305B1 (ko) 냉간성형강 부재의 연결부 구조 및 연결방법
US20060180715A1 (en) Hanger rod stiffening clip
JP3934380B2 (ja) 補強装置
KR20210061568A (ko) 가변각 와이어 고정기구
KR200390879Y1 (ko) 플렉시블 죠인트의 연결구용 고정구
JP2019163770A (ja) 配管などの取付け金具
US10508768B2 (en) Truss adapter for mounting objects on space frame truss
KR102384349B1 (ko) 배관고정용 클램프
JP7330445B2 (ja) 配管支持具
JP4303691B2 (ja) ホース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