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537B1 -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 Google Patents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537B1
KR102144537B1 KR1020180136339A KR20180136339A KR102144537B1 KR 102144537 B1 KR102144537 B1 KR 102144537B1 KR 1020180136339 A KR1020180136339 A KR 1020180136339A KR 20180136339 A KR20180136339 A KR 20180136339A KR 102144537 B1 KR102144537 B1 KR 102144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hange
pmos
ots
bit line
memo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3129A (ko
Inventor
송윤흡
최준태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3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537B1/ko
Publication of KR20200053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3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33Disturbance prevention or evaluation; Refreshing of disturbed memory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0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comprising amorphous/crystalline phase transition ce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3/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 G11C13/00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torage elements not covered by groups G11C11/00, G11C23/00, or G11C25/00 using resistive RAM [RRAM] elements
    • G11C13/0021Auxiliary circuits
    • G11C13/004Reading or sensing circuits or methods
    • H01L45/06
    • H01L45/12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20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 H10N70/231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e.g. memristors based on solid-state phase change, e.g. between amorphous and crystalline phases, Ovshinsky effec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70/00Solid-state devices without a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and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 H10N70/801Constructional details of multistable switching devices
    • H10N70/821Device geometry

Abstract

OTS(Ovonic Threshold Switch)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상기 비트라인 PMOS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기 OTS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 상기 상변화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 및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CIRCUIT ELEMENT IMPROVING SNAP-BACK AND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ELEMENT COMPRISING THE SAME}
아래의 실시예들은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메모리 셀의 선택적 동작을 위한 스위칭 소자로 사용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로적 보상 방법을 이용하는 기술이다.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OTS는 메모리 셀들 중 특정 메모리 셀을 선택하여 동작하도록 지원하는 스위칭 소자로 이용된다. 이러한 OTS는 비결정질 상태를 유지하며 임계값 이하의 전압에서 고 저항(High Resistance)으로 오프 상태(Off state)를 유지하고, 임계값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면 저 저항(Low Resistance)으로 변하면서 온 상태(On state)가 된다.
즉, OTS는 임계값 이상의 바이어스(Bias)가 인가될 때, 오프 상태로부터 온 상태로 변하게 되는데, 이 때 OTS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에는 스냅 백(Snap-back) 현상으로 순간적으로 매우 큰 전류가 발생하게 된다. Snap-back 현상은 상변화 메모리 소자의 판독(Read) 동작에 있어서 에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순간적으로 매우 큰 전류가 흘러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로 존재하는 상변화층을 비결정질로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스냅 백 현상을 완화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실시예들은,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안한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고 셋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3차원 아키텍처의 상변화 메모리에 적용 가능한 회로 소자를 제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OTS(Ovonic Threshold Switch)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개선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상기 비트라인 PMOS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기 OTS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 상기 상변화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 및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PMOS Diode는, 상기 OTS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게이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되어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PMOS Diode는, 상기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변화층 및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사용되는 회로 소자는,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로 형성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로소자는, 상기 OTS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상기 PMOS Diode의 게이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PMOS Diode의 저항값이 증가되어 상기 PMOS Diode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회로소자는, 상기 PMOS Diode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상기 비트라인 PMOS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기 OTS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 상기 상변화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 및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 방법은, 상기 OTS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PMOS Diode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PMOS Diode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PMOS Diode의 저항값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PMOS Diode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PMOS Diode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OTS(Ovonic Threshold Switch)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개선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는,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상기 비트라인 PMOS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기 OTS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 상기 상변화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 및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변화층 및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사용되는 회로 소자는,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들은,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제안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들은,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고 셋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3차원 아키텍처의 상변화 메모리에 적용 가능한 회로 소자를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가 종래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가 종래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는,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110), 비트라인 PMOS(110)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120), OTS(120)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Phase Change Material; PCM)(130), 상변화층(130)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140) 및 비트라인 PMOS(110) 및 OTS(120)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로 소자인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OTS(120)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와 연결되는 비트라인 및 소스라인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변화층(130)에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부로서, 종래의 선택 소자인 OTS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변화층(130)은 메모리 셀의 데이터 저장 구성부로서, 비트라인 및 소스라인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결정 상태가 결정질(낮은 저항성을 갖는 셋 상태) 및 비결정질(높은 저항성을 갖는 리셋 상태) 사이에서 변화되며 셋 상태 및 리셋 상태에 따라 이진값 [1] 및 [0]의 메모리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변화층(130)은 종래의 상변화층과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회로 소자인 PMOS Diode(150)는 PMOS에 다이오드가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임계값 이상의 바이어스가 인가되어 OTS(120)가 턴 온(Turn-on)되면,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이 때,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면서 OTS(120) 상단의 전압이 증가하게 되고, PMOS Diode(150)의 게이트 전압이 증가하여 PMOS Diode(150)의 저항값이 증가되게 된다. 이에, PMOS Diode(150)에 흐르는 전류의 양이 감소되기 때문에, PMOS Diode(150)는 결과적으로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변화층(130)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를 들면, 도 2의 좌측 그래프와 같이,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비트라인에 임계값 이상의 바이어스가 인가될 시 종래의 상변화 메모리 소자(보다 정확하게는, OTS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에는 순간적으로 매우 큰 전류가 발생하여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도 2의 우측 그래프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에서 비트라인에 임계값 이상의 바이어스가 인가될 시 PMOS Diode(150)의 저항값이 변화되며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보다 정확하게는, OTS(120)에 대응하는 메모리 셀)에는 종래보다 적은 양의 전류가 흐르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스냅 백 현상이 완화될 수 있으며,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로 존재하는 상변화층(130)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는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회로 소자인 PMOS Diode(150)를 포함함으로써, OTS(120)가 턴 온 되는 경우에 PMOS Diode(150)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켜 OTS의 스냅 백 현상을 완화하고 셋 상태로 결정질의 상변화층(130)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상술된 PMOS Diode(150)는 PMOS에 다이오드가 연결된 간결한 구조로 구현되기 때문에, PMOS Diode(150)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는 고집적의 3차원 아키텍처의 상변화 메모리에 적용 가능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방법은, 도 1 내지 2를 참조하여 상술된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에서 수행됨을 전제로 한다.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는 단계(S310)에서 OTS(120)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됨에 따라, PMOS Diode(150)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킨다.
그 후, 단계(S320)에서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는 PMOS Diode(150)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켜 PMOS Diode(150)의 저항값이 증가됨에 따라, PMOS Diode(150)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단계(S320)를 통해, 상변화 메모리 소자(100)는 OTS(120)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변화층(130)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OTS(Ovonic Threshold Switch)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개선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상기 비트라인 PMOS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기 OTS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
    상기 상변화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 및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를 포함하고,
    상기 PMOS Diode는,
    상기 OTS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게이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되어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2. 삭제
  3. 삭제
  4.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변화층 및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사용되는 회로 소자에 있어서,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되는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로 형성되고,
    상기 PMOS Diode는,
    상기 OTS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고 게이트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저항값이 증가되어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소자.
  5. 삭제
  6. 삭제
  7. 비트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비트라인 PMOS, 상기 비트라인 PMOS의 하단에 배치되는 OTS(Ovonic Threshold Switch), 상기 OTS의 하단에 배치되는 상변화층, 상기 상변화층의 하단에 배치되어 소스라인에 대한 스위치 역할을 하는 소스라인 NMOS 및 상기 비트라인 PMOS 및 상기 OTS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변 저항의 역할을 하는 PMOS Diode(Diode Connected PMOS)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OTS가 턴 온(Turn-on)됨에 응답하여 상기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PMOS Diode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키는 단계; 및
    상기 OTS의 스냅 백(Snap-back) 현상을 완화시키고 셋(Set) 상태에서 결정질의 상기 상변화층이 비결정질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PMOS Diode의 게이트 전압을 증가시켜 상기 PMOS Diode의 저항값이 증가됨에 따라, 상기 PMOS Diode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동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136339A 2018-11-08 2018-11-08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KR102144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39A KR102144537B1 (ko) 2018-11-08 2018-11-08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6339A KR102144537B1 (ko) 2018-11-08 2018-11-08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29A KR20200053129A (ko) 2020-05-18
KR102144537B1 true KR102144537B1 (ko) 2020-08-12

Family

ID=70912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339A KR102144537B1 (ko) 2018-11-08 2018-11-08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5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9471A (ja) * 2007-11-20 2009-06-11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0017B1 (en) * 2004-06-30 2006-01-24 Intel Corporation Accessing phase change memories
KR100744114B1 (ko) * 2005-05-12 2007-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상 변화 메모리 장치 및 그 워드라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9471A (ja) * 2007-11-20 2009-06-11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3129A (ko) 2020-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5602B2 (en) Programm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write current applied to phase change memory device and write driver circuit therefor
US6944050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11211121B2 (en) Resistive storage electronic device for adjusting voltage depending on temeperature
US9401203B1 (en) Memory driving circuit
US10566045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es resistive storage cells and reference resistance transistor, a resistance adjustment block to adjust the resistance value depending on a temperature and a data sensing block to sense the resistive value of the resistive storage cell and the reference transistor resistance value
KR20100132975A (ko) 상 변화 메모리 적응형 프로그래밍
KR20170068559A (ko) 메모리 셀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선택 디바이스
US10395735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including memory with first and second write currents
US20220262435A1 (en) Storage and Computing Unit and Chip
US10020064B2 (en) Dynamic reference current sensing using multiple reference cells
KR102144537B1 (ko)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KR102171635B1 (ko) Ots 스냅백을 개선하는 래치 방전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US8867265B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US9377799B2 (en) Voltage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recovering output voltage
KR101952968B1 (ko)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판독 회로
US10090029B2 (en) Electronic device for suppressing read disturban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125731B1 (ko) Ots의 스냅 백 현상을 개선하는 회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KR102214249B1 (ko) Rram 회로 및 방법
KR102144535B1 (ko) 전류 반복기를 사용하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KR102144536B1 (ko) 리키지 전류를 감소시키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Kwon et al. A fast and reliable cross-point three-state/cell ReRAM
KR102143998B1 (ko) 정상 상태시 오프 상태를 갖는 상변화 메모리 소자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3차원 아키텍처의 상변화 메모리
EP4297034A1 (en) Magnetic memory device
US10418101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98426A1 (en)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