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4219B1 -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 Google Patents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4219B1
KR102144219B1 KR1020190044038A KR20190044038A KR102144219B1 KR 102144219 B1 KR102144219 B1 KR 102144219B1 KR 1020190044038 A KR1020190044038 A KR 1020190044038A KR 20190044038 A KR20190044038 A KR 20190044038A KR 102144219 B1 KR102144219 B1 KR 102144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frame
folded
main frame
sof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4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90044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219B1/ko
Priority to EP24169042.9A priority patent/EP4375745A2/en
Priority to US17/045,953 priority patent/US11409187B2/en
Priority to JP2021549899A priority patent/JP7235882B2/ja
Priority to EP20791371.6A priority patent/EP3958053B1/en
Priority to PCT/KR2020/004524 priority patent/WO20202138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을 부드럽고 넓게 확산시켜주는 조명장비인 소프트박스에 있어, 원터치방식으로 디퓨저(확산커버)를 간단히 접철(摺綴)시켜 장비의 부피축소(및 부피확장)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 중심부에 발광장치의 마운팅이 가능한 링 형태를 이루는 한편, 전방부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 스피드링; 상기 전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부의 펼침시 상기 스피드링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전방부를 반으로 접을 경우 일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이 타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에 상호중첩되는 한데모음이 가능한 다수의 살대; 및, 상기 살대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경우 우산형을 이룬 상태로 펼쳐져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전방부의 폴딩시 상기 살대들에 의해 접철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SOFT BOX CAPABLE OF EASY FOLDING}
본 발명은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빛을 부드럽고 넓게 확산시켜주는 조명장비인 소프트박스에 있어, 원터치방식으로 디퓨저(확산커버)를 간단히 접철(摺綴)시켜 장비의 부피축소(및 부피확장)를 손쉽게 이룰 수 있도록 한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camera)의 첨단화·디지털화 및 영상신호 처리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인하여 사진의 품질(화소, 색도, 발기 등)은 고도화되고 있으며, 또한 연속적인 장면과 순간적인 장면을 촬영하는 기술들에 대해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발전되어 왔다.
그러나, 영상촬영에서 가장 중요하고 근본적인 것은 촬영대상(피사체)에 조사되는 빛(照明)이다. 빛은 촬영된 영상(사진 등)의 품질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고, 이러한 빛의 근본적인 광원은 태양이며, 모든 것의 기본은 이 태양광원에 의존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광량(光量)이 부족하거나 주변환경으로 인해 색감(色感)이 왜곡되는 경우 인공광원을 사용하며, 이를 위해 대부분의 영상촬영에는 스피드라이트(speed light / "일렉트로닉 플래시" 혹은 "스트로보"라고도 함)라 칭하는 발광장치가 사용된다.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장점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광량이 적은 상황에서도 적정노출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는 점과 저광량의 상황에서 손떨림이 없는 사진을 위한 셔터속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으로, 자연광(태양)의 광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자연스러움이 묻어나는 좋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며, 실제 대다수의 일안반사식(Single Lens Reflex; SLR) 카메라 사용자들이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발광부의 면적은 좁은데 반해 발광시의 광밀도가 무척 높기 때문에 상기 스피드라이트를 피사체에 직접 조사하는 경우 매우 거친 톤과 짙은 그림자가 생기는 등 촬영물 왜곡의 문제가 있어, 이런 현상을 최소화할 요량으로 천정 등에 의해 반사된 빛이 피사체에 간접적으로 조사되도록 하는 바운스조명법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허나, 앞서 언급한 바운스조명의 방법은 반사대상(천장 등)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제한이 있고, 반사대상이 높은 공간에서는 스피드라이트의 빛이 피사체에 도달하는 거리가 멀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상기 스피드라이트의 빛을 확산시켜 조명을 균일하고 부드럽게 만들며 넓은 영역으로 빛을 확산시켜주는 소프트박스(soft box)를 활용하고 있다.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5871호를 통해, 영상촬영용 소프트박스의 기능과 촬영효과를 증진하고 탈·부착이 신속하며 휴대하기 용이토록 한 영상촬영용 소프트박스의 다용도 스피드링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367호를 통해, 영상촬영용 소프트박스의 기능을 강화하고 탈·부착이 신속하며 휴대가 용이토록 한 소프트박스의 스피드링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상기 영상촬영용 소프트박스의 다용도 스피드링은, 소프트박스가 텐션바와 분리구성되어 있어 부품들에 대한 분실우려가 크고, 분해조립이 어렵다는 이유로 소프트박스의 부피를 축소가 불가하여 휴대성이 크게 떨어질 뿐만 아니라 보관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의 상기 소프트박스의 스피드링은, 원하는 형태의 소프트박스 구조를 유지하면서 키홈에 의해 고정볼트가 고정되므로 해당 고정볼트의 조임과 풀림의 반복으로 인한 키홈이나 고정볼트의 마모로 내구성이 떨어지고, 고정볼트의 풀림시 분실우려가 크다는 문제가 있다.
결국, 디퓨저(diffuser / 확산커버)를 우산과 같이 접철(摺綴)시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장비의 부피를 축소시키되, 그 접철과정이 보다 편리토록 한 소프트박스의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367호(등록일자 : 2005.09.07.)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367호(등록일자 : 2004.08.09.)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15717호(등록일자 : 2012.12.18.) (문헌 4)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61937호(공개일자 : 2018.06.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퓨저 형태유지의 수단인 다수의 살대가 결합되는 스피드링의 전방부(front part)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힌지구조의 달성으로, 상기 스피드링의 힌지동작에 의거 상기 살대들을 손쉽게 펼치거나 접첩시킬 수 있고 이러한 관계에 따라 장비의 부피축소 및 부피확장이 수월할 수 있도록 하는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관통 중심부에 발광장치의 마운팅이 가능한 링 형태를 이루는 한편, 전방부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 스피드링; 상기 전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부의 펼침시 상기 스피드링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전방부를 반으로 접을 경우 일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이 타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에 상호중첩되는 한데모음이 가능한 다수의 살대; 및, 상기 살대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경우 우산형을 이룬 상태로 펼쳐져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전방부의 폴딩시 상기 살대들에 의해 접철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피드링은, 링 형태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결합고정되는 호형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전방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펼쳐져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계한 링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상호중첩되는 회전동작이 가능한 회전프레임으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는 일측 범위 내에 한정하여 상기 살대들의 일측 선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수의 제1조립공이 일정간격마다 관통되고, 상기 제1조립공이 위치하는 테두리부위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상기 살대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1지지돌부가 일정간격마다 형성되며,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힌지결합을 위한 축결합부가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의 중앙에는 축공이 각각 내향되며, 상기 제1-1지지돌부에 대응밀착됨으로써 상기 살대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1-2지지돌부가 테두리면으로부터 일정간격마다 각각 돌출되며,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상기 축결합부에 중첩되는 힌지부가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축공에 삽입되어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축돌기가 돌출되며, 상기 살대들의 일측 선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수의 제2조립공이 관통되고, 상기 제2조립공이 위치하는 테두리부위로 각각 돌출된 상태로 상기 살대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돌부가 일정간격마다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각 내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디퓨저에 달린 고무밴드를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구가 돌출된다.
더하여, 상기 제1-1지지돌부 및 상기 제2지지돌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조립공 및 상기 제2조립공에 끼움된 상기 살대들의 힌지회전을 위한 회동공간이 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회동공간의 양측에는, 상기 살대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졌을 때 그 살대들이 밀착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살대들이 한데모일 때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제2접촉면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접촉면은, 상기 살대의 방사형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고, 상기 제2접촉면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센터라인을 그렸을 때 그 센터라인과 서로 평행한 각도를 형성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는, 발광장치(스피드라이트 등)의 마운트는 물론 전방부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스피드링의 힌지구조 달성에 따라, 그 스피드링의 전방부를 반으로 접을 경우 일범위 내에 있는 살대들을 타범위 내에 있는 살대들에 중첩시키는 한데모음으로 상기 살대들에 의해 펼쳐져 있던 디퓨저의 접철이 가능한바, 이를 통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장비(소프트박스)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것이 보다 수월케 되는 효과를 가져다준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살대들을 상호중첩시킨 후 한데모으는 경우 그 살대들의 힌지회전을 위한 조립공(제1,2조립공)들의 일측 접촉면(제2접촉면)에 밀착되어 서로 동일방향으로 뻗은 상호평행상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최적의 디퓨저 접철상태가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은 각종 효과의 발휘로, 장비(소프트박스)의 휴대 및 보관이 용이케 됨은 물론이거니와, 빠르고 편리한 촬영을 위해, 그리고 단시간 촬영시에도 최고의 퀄리티를 위한 사용자 만족을 충족시키는데 큰 기여를 하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배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과 살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3 및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 4(b)의 B-B선 단면도.
도 6a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동작관계와 살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실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디퓨저 절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의 실시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배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과 살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a)(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와 결합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도 4(b)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스피드링의 동작관계와 살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실대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예시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에 있어서 디퓨저 절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의 실시관계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A)는, 관통(貫通) 중심부에 발광장치의 마운팅(mounting)이 가능한 링(ring) 형태를 이루는 한편 전방부(front part)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 스피드링(1)과, 상기 전방부에 결합되고 그 전방부의 펼침시 스피드링(1)을 중심으로 방사형(放射形)으로 배치되되 전방부를 반으로 접을 경우 일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이 타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에 상호중첩되는 한데모음이 가능한 다수의 살대(2)와, 상기 살대(2)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경우 우산형(雨傘形)을 이룬 상태로 펼쳐져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전방부의 폴딩(folding)시 살대(2)들에 의해 접철되는 디퓨저(3)를 포함한다.
스피드링(1)은, 발광장치(스피드라이트 등)의 마운트(장착)는 물론 상기 살대(2)의 방사형 배치 및 한데모음 배치를 위한 베이스구조물인 것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광장치를 끼워맞춤할 수 있게 중앙부가 관통된 링(ring) 형태의 메인프레임(11)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메인프레임(11)의 전방 일측에 결합고정되는 호형(弧形)의 고정프레임(12)과,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그 메인프레임(11)의 전방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12)에 힌지결합됨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11) 전방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펼쳐져 고정프레임(12)과 연계한 링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12) 전방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상호중첩되는 회전동작이 가능한 회전프레임(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1)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2)이 결합되는 일측 범위 내에 한정하여 상기 살대(2)들의 일측 선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수의 제1조립공(111)이 일정간격마다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1조립공(111)이 위치하는 테두리부위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상기 살대(2)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1지지돌부(112)가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조립공(111)들에 끼움된 상태의 상기 살대(2)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거나 한데모이는 힌지회전을 위한 회동공간(113)이 상기 제1-1지지돌부(112)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바, 상기 회동공간(113)의 양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대(2)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졌을 때 그 살대(2)들이 밀착되는 제1접촉면(113-1)과, 상기 살대(2)들이 한데모일 때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제2접촉면(113-2)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면(113-1)은 각 살대(2)들의 방사형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접촉면(113-2)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중심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센터라인(C)을 그렸을 때 그 센터라인(C)과 서로 평행한 각도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프레임(13)이 펼쳐져 메인프레임(11) 전방에 밀착고정될 때 그 고정상태를 유지시키는 회전프레임(13)의 구속(및 구속해제)을 위한 로킹부재(114)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로킹부재(114)는, 상기 메인프레임(11)에 밀착된 회전프레임(13)의 후방 결속홈(도시하지 않음)에 삽입결속됨에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13)의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는 걸림후크(114-1)와, 상기 걸림후크(114-1)를 동작시켜 회전프레임(13)의 구속을 해제하는 조작레버(114-2)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프레임(12)에는, 상기 회전프레임(13)의 힌지결합을 위한 축결합부(121)가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들 축결합부(121)의 중앙에는 후술할 상기 회전프레임(13)의 힌지부에 형성된 축돌기의 끼워맞춤을 위한 축공(121-1)이 각각 내향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11)의 각 제1-1지지돌부(112)에 대응밀착됨으로써 살대(2)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1-2지지돌부(122)가 테두리면으로부터 일정간격마다 각각 돌출되어 있다.
더하여, 상기 디퓨저(3)에 달린 고무밴드(도시하지 않음)를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구(123)가 내측 테두리부위를 따라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프레임(13)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2)의 축결합부(122)에 중첩되는 힌지부(131)가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들 힌지부(131)의 선단에는 상기 축공(121-1)에 삽입되어 힌지포인트(hinge point)를 형성하는 축돌기(131-1)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살대(2)들의 일측 선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수의 제2조립공(132)이 관통되어 있고, 상기 제2조립공(132)이 위치하는 테두리부위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상기 살대(2)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돌부(133)가 일정간격마다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립공(132)들에 끼움된 상태의 상기 살대(2)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지거나 한데모이는 힌지회전을 위한 회동공간(134)이 상기 제2지지돌부(133) 내측에 각각 형성되는바, 상기 회동공간(134)의 양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대(2)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졌을 때 그 살대(2)들이 밀착되는 제1접촉면(134-1)과, 상기 살대(2)들이 한데모일 때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다른 제2접촉면(134-2)이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면(134-1)은 각 살대(2)들의 방사형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접촉면(134-2)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중심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센터라인(C)을 그렸을 때 그 센터라인(C)과 서로 평행한 각도를 형성한다.
더하여, 상기 디퓨저(3)에 달린 고무밴드(도시하지 않음)를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구(135)가 내측 테두리부위를 따라 미리 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돌출되어 있다.
살대(2)는, 상기 디퓨저(3)의 형태유지를 위한 뼈대가 되는 것으로, 디퓨저(3)의 입체적 형상에 대응한 굴곡형성의 텐션을 나타낼 수 있게 된 탄성봉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퓨저(3)는,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빛을 확산시켜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살대(2)들에 의해 우산형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정면에서 바라봤을 때 다각형을 이루며 측면에서 바라봤을 때 상기 스피드링(1)이 위치하는 후방부의 면적이 협소하고 전방으로 향할 수록 면적이 확장된 나팔형(喇叭形) 구조이되, 발광장치의 발광 빛을 확산시켜주는 확산막(diffuser curtain / 도시하지 않음) 전면을 가로막고 있는 형태를 구성한다.
미 설명부호, (115)는 상기 스피드링의 메인프레임에 부가장착된 상태로 그 메인프레임에 마운트되는 스피드라이트 등의 발광장치 결속상태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구속부재이고, (L)은 스피드라이트 등과 같은 인공광원(빛)의 발광을 위한 발광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A)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사체에 거친 톤과 짙은 그림자가 생기는 등 촬영물 왜곡의 원인인 발광 빛의 촬영대상물(피사체) 직접 조사를 차단할 목적으로 본 발명의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A)를 발광장치(L, 스피드라이트)에 장착사용한다.
이를 위해, 디퓨저(3)를 펼쳐서 우산형의 입체적인 형태로 만든 다음 상기 디퓨저(3) 후방의 스피드링(1) 관통 중앙부에 상기 발광장치(L)를 마운트하여 디퓨저(3) 전면에 구성된 확산막에 의해 발광장치(L)의 발광 빛이 부드럽고 넓게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영상촬영시 자연스러움이 묻어나는 촬영결과물(사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퓨저(3)를 펼쳐서 입체적인 형태를 만드는 과정은, 상기 스피드링(1)의 메인프레임(11) 전방 일측에 고정결합된 고정프레임(12)에 상호밀착상태로 중첩되어 있는 회전프레임(13)을 회전시켜 그 회전프레임(13)이 상기 메인프레임(11) 전방 타측에 밀착고정되도록 하고, 그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1)과 회전프레임(13)의 제1,2조립공(111)(132)들에 절곡선단부가 끼움된 다수의 살대(2)들이 디퓨저(3)의 입체적 형태에 대응하여 방사형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에 따라 가능하다.
이후, 영상촬영을 마친 후에는 본 발명의 스프트박스(A) 부피를 축소시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토록 하는바, 우선 상기 스피드라이트(L)를 본 발명의 소프트박스(A)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어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펼쳐져있던 상기 살대(2)들을 한데모음함을 통해, 상기 디퓨저(3)를 접철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로킹부재(114)의 조작레버(114-2)를 이용(조작)하여 상기 로킹부재(114)의 걸림후크(114-1)에 의한 회전프레임(13)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고,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11) 전방에 밀착고정된 회전프레임(13)을 회전시켜 상기 고정프레임(12)에 밀착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제1조립공(111)에 끼움되어 있고 방사형으로 펼쳐진 복수의 살대(2)와 상기 회전프레임(13)의 제2조립공(132)에 끼움되어 있으며 방사형으로 펼쳐진 복수의 다른 살대(2)가 상호중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상호중첩된 복수의 살대(2)들을 회전시켜 한데모으는 것으로 디퓨저(3)를 최소한의 크기로 접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장비의 부피축소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살대(2)들을 한데모으는 과정은, 상기 제1,2조립공(111)(132)들이 위치한 상기 메인프레임(11)과 회전프레임(13)의 제1-1지지돌부(112) 및 제2지지돌부(133) 내측에 마련된 회동공간(113)(134)이 마련되어 있고, 그 회동공간(113)(134)의 제1접촉면(113-1)(134-1)에 밀착되어 있던 살대(2)들을 회전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살대(2)들이 서로 평행한 제2접촉면(113-2)(134-2)들에 밀착되고, 그로써 상기 살대(2)들 역시 서로 평행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 도 9a에서와 같이 방사형으로 펼쳐진 상기 살대(2)들이, 도 9b에서와 같이 서로 평행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살대(2)들을 한데모으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해 보다 손쉽게 디퓨저(3)를 접철시킬 수 있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디퓨저(3)의 접철에 의한 소프트박스(A)의 부피축소는 물론이거니와 휴대 및 보관이 매우 용이케 되는 것이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A)에 의하면, 발광장치(L)의 마운트는 물론 전방부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기 스피드링(1)의 구조개선으로, 스피드링(1)의 전방부를 폴딩{회전프레임(13)의 절첩}시켜 상기 스피드링(1)의 메인프레임(11)과 회전프레임(13)에 조립된 다수의 살대(2)를 서로 중첩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 살대(2)들을 한데모으는 것으로 상기 살대(2)들에 의해 형상이 유지되는 디퓨저(3)의 접철이 가능한바, 이를 통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장비(소프트박스)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작업이 보다 수월하게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발광장치(L)의 마운트는 물론 전방부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상기 스피드링(1)의 힌지구조 달성에 따라, 그 스피드링(1)의 전방부를 반으로 접을 경우 일범위 내에 있는 살대(2)들 즉, 상기 회전프레임(13)에 결합되어 있는 살대(2)들을 타범위 내에 있는 살대(2)들 즉, 상기 고정프레임(12)에 결합되어 있는 들에 상호중첩시키고 한데모으는 것으로 상기한 모든 살대(2)들에 의해 펼쳐져 있던 디퓨저(3)의 접철이 가능한바, 이를 통해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상태로 소프트박스(A)의 부피를 축소시키는 것이 보다 수월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상기 살대(2)들을 상호중첩시킨 후 한데모으는 경우, 그 살대(2)들의 결합 및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상기 제1,2조립공(111)(132)들의 제2접촉면(113-1)(134-2)에 밀착되어 서로 동일방향으로 뻗은 상호평행상태가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최적의 디퓨저(3) 접철상태가 달성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소프트박스, 1 : 스피드링
2 : 살대, 3 : 디퓨저
11 : 메인프레임, 12 : 고정프레임
13 : 회전프레임, 111 : 제1조립공
112 : 제1-1지지돌부, 113, 134 : 회동공간
113-1, 134-1 : 제1접촉면, 113-2, 134-2 : 제2접촉면
114 : 로킹부재, 114-1 : 걸림후크
114-2 : 조작레버, 121 : 축결합부
121-1 : 축공, 122 : 제1-2지지돌부
123, 135 : 걸이구, 131 : 힌지부
131-1 : 축돌기, 132 : 제2조립공
133 : 제2지지돌부

Claims (7)

  1. 관통 중심부에 발광장치의 마운팅이 가능한 링 형태를 이루는 한편, 전방부가 반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된 스피드링; 상기 전방부에 결합되고 상기 전방부의 펼침시 상기 스피드링을 중심으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되, 상기 전방부를 반으로 접을 경우 일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이 타측 범위 안에 배치된 것들에 상호중첩되는 한데모음이 가능한 다수의 살대; 및, 상기 살대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된 경우 우산형을 이룬 상태로 펼쳐져 상기 발광장치의 발광 빛을 확산시키며, 상기 전방부의 폴딩시 상기 살대들에 의해 접철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드링은, 링 형태의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일측에 결합고정되는 호형의 고정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방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고정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회전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이 결합되는 일측 범위 내에 한정하여 상기 살대들의 일측 선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수의 제1조립공이 일정간격마다 관통되며, 상기 제1조립공이 위치하는 테두리부위로부터 각각 돌출된 상태로 상기 살대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1-1지지돌부가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상기 살대들의 일측 선단부를 끼워넣을 수 있는 다수의 제2조립공이 관통되며, 상기 제2조립공이 위치하는 테두리부위로 각각 돌출된 상태로 상기 살대들의 일측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2지지돌부가 일정간격마다 형성되고,
    상기 제1-1지지돌부 및 상기 제2지지돌부의 내측에는, 상기 제1조립공 및 상기 제2조립공에 끼움된 상기 살대들의 힌지회전을 위한 회동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공간의 양측에는, 상기 살대들이 방사형으로 펼쳐졌을 때 그 살대들이 밀착되는 제1접촉면과, 상기 살대들이 한데모일 때 서로 평행한 상태로 밀착되는 제2접촉면이 마련되고,
    상기 제1접촉면은 상기 살대의 방사형 펼침상태 유지를 위한 정해진 각도를 형성하며, 상기 제2접촉면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중심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는 센터라인을 그렸을 때 그 센터라인과 서로 평행한 각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 전방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펼쳐져 상기 고정프레임과 연계한 링 형태를 이루거나 또는 상기 고정프레임 전방에 밀착고정되는 상태로 상호중첩되는 회전동작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에는, 상기 회전프레임의 힌지결합을 위한 축결합부가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축결합부의 중앙에는 축공이 각각 내향되며, 상기 제1-1지지돌부에 대응밀착됨으로써 상기 살대들의 이탈을 방지하는 다수의 제1-2지지돌부가 테두리면으로부터 일정간격마다 각각 돌출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에는, 상기 축결합부에 중첩되는 힌지부가 양측 선단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의 선단에는 상기 축공에 삽입되어 힌지포인트를 형성하는 축돌기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각 내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디퓨저에 달린 고무밴드를 걸 수 있는 다수의 걸이구가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044038A 2019-04-16 2019-04-16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KR102144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038A KR102144219B1 (ko) 2019-04-16 2019-04-16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EP24169042.9A EP4375745A2 (en) 2019-04-16 2020-04-02 Easily-foldable soft box
US17/045,953 US11409187B2 (en) 2019-04-16 2020-04-02 Easily foldable soft box
JP2021549899A JP7235882B2 (ja) 2019-04-16 2020-04-02 折畳が容易なソフトボックス
EP20791371.6A EP3958053B1 (en) 2019-04-16 2020-04-02 Easily-foldable soft box
PCT/KR2020/004524 WO2020213859A1 (ko) 2019-04-16 2020-04-02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038A KR102144219B1 (ko) 2019-04-16 2019-04-16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219B1 true KR102144219B1 (ko) 2020-08-12

Family

ID=72039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4038A KR102144219B1 (ko) 2019-04-16 2019-04-16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09187B2 (ko)
EP (2) EP3958053B1 (ko)
JP (1) JP7235882B2 (ko)
KR (1) KR102144219B1 (ko)
WO (1) WO20202138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039544U (zh) * 2022-12-08 2023-05-16 乐清市创意影视器材有限公司 一种折叠式柔光箱伞盘及柔光箱
CN219574568U (zh) * 2023-03-28 2023-08-22 温州捷宝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柔光箱伞盘及柔光箱
USD1022008S1 (en) * 2023-07-02 2024-04-09 Shaoxing Senwen Photography Equipment Co., Ltd Softbox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67Y1 (ko) 2004-03-18 2004-08-21 고영국 소프트박스의 스피드링
KR20110039739A (ko) * 2009-10-12 2011-04-20 (주)현대포멕스 소프트 박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스피드링 및 이를 이용한 소프트 박스
KR101127458B1 (ko) * 2011-10-20 2012-03-22 김종석 접이식 소프트박스
KR101215717B1 (ko) 2010-11-05 2013-01-09 고영국 휴대와 설치가 용이한 접이형 소프트 박스
KR101706469B1 (ko) * 2015-09-02 2017-02-13 김종석 접이식 미니 소프트박스
KR20180061937A (ko) 2016-11-30 2018-06-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박스와 조명등 자동연결 스피드 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871Y1 (ko) 2005-06-22 2005-09-14 고영국 사진촬영용 소프트박스의 다용도 스피드링
KR101254900B1 (ko) * 2011-10-13 2013-04-18 (주)현대포토닉스 사진촬영용 접이식 소프트박스
CN206269048U (zh) * 2016-11-03 2017-06-20 林建廷 灯罩
US20210349375A1 (en) * 2017-09-08 2021-11-11 Vasyl Nykolyshyn A collapsible hollow light reflec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367Y1 (ko) 2004-03-18 2004-08-21 고영국 소프트박스의 스피드링
KR20110039739A (ko) * 2009-10-12 2011-04-20 (주)현대포멕스 소프트 박스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스피드링 및 이를 이용한 소프트 박스
KR101215717B1 (ko) 2010-11-05 2013-01-09 고영국 휴대와 설치가 용이한 접이형 소프트 박스
KR101127458B1 (ko) * 2011-10-20 2012-03-22 김종석 접이식 소프트박스
KR101706469B1 (ko) * 2015-09-02 2017-02-13 김종석 접이식 미니 소프트박스
KR20180061937A (ko) 2016-11-30 2018-06-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프트박스와 조명등 자동연결 스피드 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35882B2 (ja) 2023-03-08
EP3958053B1 (en) 2024-04-10
JP2022529567A (ja) 2022-06-23
EP3958053A4 (en) 2023-01-18
WO2020213859A1 (ko) 2020-10-22
EP3958053A1 (en) 2022-02-23
EP4375745A2 (en) 2024-05-29
US11409187B2 (en) 2022-08-09
US20210247665A1 (en)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219B1 (ko) 접철이 용이한 소프트박스
US7680401B1 (en) Portable photography studio and method of assembly
US10088111B2 (en) Collapsible LED fixture
US20140192510A1 (en) Foldable soft box
CN110709769B (zh) 摄影用多用柔光箱装置
US7234843B2 (en) Light with front and rear panels
KR20180093677A (ko) 사진촬영용 멀티 소프트박스 장치
KR101706469B1 (ko) 접이식 미니 소프트박스
US9470959B2 (en) Photo booth with indirect lighting system
US4183644A (en) Photographic background device
CA2922572C (en) Reflective lighting system
KR101282152B1 (ko) 사진, 동영상 촬영을 위한 반사판 및 배경용 프레임 세트
CN209248218U (zh) 闪光灯壳体、套件以及闪光灯光成形工具
CA3034692A1 (en) Softbox and cover adapter for lighting devices
US20190204716A1 (en) Airflow photographic reflector
US20240152036A1 (en) Light modifiers for photography
KR200342885Y1 (ko) 카메라 촬영용 피사체커버
FR2790061A1 (fr) Projecteur de lumiere
US6002889A (en) Camera with built-in deployable support
JPH11153821A (ja) 写真撮影ボックス
KR101249254B1 (ko) 햇빛 및 조명을 여과하여 투과시키는 태양광 바운스 장치
BE900226A (fr) Artifice photographique.
JP2005275080A (ja) 自己撮影用ミラ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