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3710B1 -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 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 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3710B1
KR102143710B1 KR1020187025449A KR20187025449A KR102143710B1 KR 102143710 B1 KR102143710 B1 KR 102143710B1 KR 1020187025449 A KR1020187025449 A KR 1020187025449A KR 20187025449 A KR20187025449 A KR 20187025449A KR 102143710 B1 KR102143710 B1 KR 102143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auxiliary heat
thermal module
automotive thermal
main radi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3847A (ko
Inventor
다니엘 페레이라
페르난도 페레이라
딘-루옌 뉴엔
나탈리 지라르
카림 아랍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떼르미끄
Publication of KR20180133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1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 F28F9/002Casings in the form of plate-like arrangements; Frames enclosing a heat exchange core with fastening means for other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4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tubular conduits
    • F28D1/0408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 F28D1/0426Multi-circuit heat exchangers, e.g. integrating different heat exchange sections in the same unit or heat exchangers for more than two fluids with units having particular arrangement relative to the large body of fluid, e.g. with interleaved units or with adjacent heat exchange units in common air flow or with units extending at an angle to each other or with units arranged around a central element
    • F28D1/0435Combination of units extending one behind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5Other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e.g. internal filling means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075Supports for plates or plate 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 F28F9/262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 F28F9/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of heat-exchange elements, e.g. of radiators for radiators by screw-type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84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8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vehicles
    • F28D2021/0091Radiators
    • F28D2021/0094Radiators for recooling the engine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열 모듈(1)에 관한 것이며, 메인 라디에이터(2)와, 접합 부재(13)에 의해서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열 교환기(제 1 보조 열 교환기(3),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포함하며, 상기 접합 부재(13)는 메인 라디에이터(2)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접합 부재(13)는 기본적으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되고 그리고 메인 라디에이터(2)의 측방향 측면(7, 8) 중 하나 상에 형성된 각각의 개방 플랜지(16, 17) 내측에 중첩된 적어도 2개의 샤프트 베어링(14, 15)으로 형성된다.
다음에, 접합 부재(13)는, 엇갈린 순서로 서로 고정되며 그리고 접합 부재(13)에 의해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장착된 열 서브모듈을 구성하는 복수의 보조 열 교환기(제 1 보조 열 교환기(3),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 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열 교환 설비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자동차 엔진의 냉각 라디에이터와, 자동차, 특히 공기 조화 설비의 열 설비의 일부분인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와 관련된 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를 상기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에서, 통풍된 라디에이터는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라디에이터는 자동차의 전방에 장착되며, 냉각 유체가 라디에이터를 통해 통과된다. 냉각 유체는 엔진과 라디에이터 사이에서 순환되어, 엔진에 의해 방출된 열을 흡수하고, 그 열을 주위 공기로 리턴시키고, 이어서 통풍에 의해 냉각된 라디에이터로 들어간다.
또한, 자동차에는 환기, 난방 및/또는 공기 조화 설비가 구비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종류의 설비는 이것을 통해 공급된 냉각제 유체를 구비하며, 기본적으로 압축기, 응축기, 리시버 드라이어, 압력 조절기 및 증발기를 포함한다. 압축기는 가스 상태의 냉각제 유체를 흡입하고, 다음에 냉각제 유체는 고압 및 고온에서 가스의 형태로 응축기로 공급된다. 다음에, 냉각제 유체는 가스 상태로부터 액체 상태로 변경되어 열을 방출한다. 응축기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의 전방에 위치되어, 응축기와 외부 공기 사이에서 열 교환을 돕기 위해 팬에 결합되어, 냉각제 유체의 액화를 유도한다. 리시버 드라이어는 회로 내에 포함된 수분을 포집하여 그 열화를 방지한다. 압력 조절기는 증발기와 결합되어 액체 상태로부터 가스 상태로 냉각제 유체가 통과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리시버 드라이어가 장착된 응축기를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해 사용된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응축기는 라디에이터의 일반적인 평면에 평행한 일반적인 평면을 갖고 배치되며, 리시버 드라이어는 응축기에 부착되며,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라디에이터의 측방향 측면 중 하나를 따라서 리시버 드라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셀과, 셀 내측에 리시버 드라이어를 유지하기 위한 플랜지를 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플랜지는 라디에이터의 측방향 측면 상에 배치되며, 라디에이터의 높이에 따라서 일정 거리를 두고 중첩된다. 다음에, 리시버 드라이어는 플랜지 내에서 공동으로 중첩되며, 하부 플랜지는 중력에 의해 리시버 드라이어의 바닥을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를 제공한다. 리시버 드라이어의 바닥은 셀 내측에 중심을 맞추기 위해서 베이스와 중첩하여 협력하는 공동을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바람직하게, 플랜지는 리시버 드라이어를 라디에이터 상의 제 위치에 유지하는 탄성적으로 변경 가능한 부재를 포함한다.
더욱이, 제조자들은 또한 내연 기관 자동차가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함께 제공되는 범위를 제안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자동차에는, 이들이 임의의 리시버 드라이어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내연 기관의 응축기와 상이한 증발기-응축기의 열 모듈이 장착되어 있다.
특히 디젤 엔진 자동차의 경우에,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되는 라디에이터 상에 리시버 드라이어가 없는 하나 이상의 열 교환기를 장착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열 교환기에 부착된 리시버 드라이어가 없기 때문에, 다음에 라디에이터는 그들 중 하나 이상을 수용하기 위한 특정 장착 수단을 구비한다. 이러한 장착 수단은 특히, 라디에이터 상의 측방향 맞물림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열 교환기의 각각에 고유한 부착 부재가 마련되는 아암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지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6,059,019 호(MODINE MANUFACTURING COMPANY 등)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리시버 드라이어가 없는 라디에이터 열 교환기 상에 설치하도록 제안된 장착 수단은, 종종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열 교환기의 구조에 따라서 특별히 구성되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미국 특허 제 6,059,019 호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요지는 이후에 보조 열 교환기라고 불리는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가 그 위에 장착된 이후에 메인 라디에이터라고 불리는 라디에이터를 포함하는 타입의 자동차용의 열 모듈에 관한 것이다. 메인 라디에이터는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전용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열 교환기는 자동차의 열 설비를 냉각시키는데 관여한다.
이러한 종류의 열 설비는 특히 통풍, 난방 및/또는 공기 조화 설비, 또는 환언하면 자동차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 설비이다. 다시 예를 들어, 이러한 종류의 열 설비는, 특히 전기 모터만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자동차용의 열 모듈의 사용과 관련하여 및/또는 전기 모터 및/또는 열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관련하여 자동차의 전원 부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메인 라디에이터 및/또는 보조 열 교환기의 실질적인 및/또는 구조적인 채택을 포함하는 장착 장치의 복잡한 구성을 특히 회피함으로써 모듈을 특히 저렴한 비용으로 구성할 수 있게 하는, 메인 라디에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열 교환기 사이의 장착 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장착 장치의 구성은 각각의 잠재적으로 다양한 구조를 갖는 하나 이상의 보조 열 교환기의 메인 라디에이터 상의 설치를 선택적으로 조장하는 것에 양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보조 열 교환기 또는 교환기들 및/또는 장착 장치의, 메인 라디에이터의 각각의 구조적 구성에 중대한 영향을 회피하면서 내연 기관 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 양자에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열 모듈은 메인 라디에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라디에이터는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는 전용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보조 열 교환기는 특히 공기 조화 설비 또는 자동차의 전원 부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과 같은 자동차의 열 설비를 냉각시키는 전용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열 교환기는 장착 장치에 의해서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된다. 메인 라디에이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보조 열 교환기는 통상적으로 이들이 연장되는 일반적인 평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특히, 장착 장치는 메인 라디에이터와 적어도 하나의 제 1 보조 열 교환기 사이에 배치된 접합 부재를 포함한다. 접합 부재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체결된 2개의 샤프트 베어링을 포함한다. 각각의 샤프트 베어링은, 메인 라디에이터의 측방향 에지들 중 하나 상에 마련되고, 특히 축방향 본체가 연장되는 축 방향에서 서로 일정 거리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개방 플랜지 내측에 중첩되어 있다.
이들 배치는, 상기 샤프트 베어링을 포함하는 접합 부재가 구비된 임의의 소위 제 1 보조 열 교환기가 공지된 종래 기술의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창착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장착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수용하기 위한 특정 구성을 갖는 상기 기존의 메인 라디에이터를 제공할 필요 없이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러한 종류의 기존의 메인 라디에이터는 특히 플랜지 내측에 수용된 리시버 드라이어가 마련된 응축기가 통상적으로 그 위에 장착된 메인 라디에이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샤프트 베어링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단부 에지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러그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샤프트 베어링이 연장되는 반대 축 방향의 양자에서 고정시키는 것이 제안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샤프트 베어링의 축방향 베어링 맞물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하나 또는 양 샤프트 베어링은 샤프트 베어링이 연장되는 양 반대 축 방향에서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각각 지지되는 2개의 숄더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환언하면, 2개의 숄더는 샤프트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 상에 유리하게 그리고 각각 형성되어,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샤프트 베어링이 연장되는 양 반대 축 방향에서 메인 라디에이터 상의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이동성을 저지한다. 상기 숄더에 대한 샤프트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의 결과적인 간단한 구조적 구성은 샤프트 베어링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평행하게 제 1 보조 열 교환기가 연장되는 높이 방향에서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유지될 수 있게 한다.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반대 방향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고정시키는 것이 또한 제안된다. 플랜지는 축 방향에서 개방되어 있음을 기억하며, 이러한 개방 플랜지는 플랜지 내측의 샤프트 베어링의 반경방향 도입을 위한 통로를 제공하여 그들 상호 중첩이 이뤄지게 하도록 이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고정은 플랜지 내의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및/또는 수축 가능한 부재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종류의 폐쇄 부재는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에 합체된 가요성 블레이드로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가요성 블레이드는 샤프트 베어링이 플랜지 내로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샤프트 베어링이 플랜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애물을 형성함으로써 샤프트 베어링이 플랜지 내로 도입된 후에 자발적으로 그 형상으로 돌아가게 한다.
또한, 플랜지의 특정 구성을 회피하기 위해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고정이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를 구성하는 샤프트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가 제안된다. 예를 들어, 샤프트 베어링 중 적어도 하나는 반경 방향에서 플랜지에 샤프트 베어링의 탄성 베어링 맞물림에 따라 플랜지 내측에 샤프트 베어링을 고정시키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샤프트 베어링을 구비하는 상기 숄더 중 적어도 하나는 예를 들어 적어도 샤프트 베어링의 하나의 축방향 단부에 반경방향으로 배치된 가요성 분기부의 자유 단부에 배치된 클로(claw)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보조 열 교환기가 메인 라디에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러그와 함께 작동하는 후크를 포함하는 다른 해결책이 제공될 수 있다. 후크와 러그의 협력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가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양 반대 반향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이동성을 저지한다. 이러한 종류의 러그는 메인 라디에이터로부터 돌출하는 임의의 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기존의 돌출 요소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후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베어링이 고정되는 반대측의 측방향 에지 상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부착된 텅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텅은 이 텅이 통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를 포함하며, 노치의 에지는 상기 후크를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접합 부재는 그들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평행하게 그리고 엇걸린 순서로 배치된 복수의 보조 열 교환기를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설치하는데 이용된다. 접합 부재와 제 1 보조 열 교환기 사이의 체결로 인해서,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조 열 교환기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접합 부재는 그들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엇갈린 순서로 접합 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된 한 세트의 보조 열 교환기를 포함하는 열 서브모듈을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부재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하는 것과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장착하는 것을 조장한다.
특히, 상기 열 서브모듈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보조 열 교환기와, 고정 수단에 의해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평행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수단은 접합 부재와 제 2 보조 열 교환기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접합 부재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는 접합 부재에 가까운 그 측방향 에지에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장착하는 탭을 수용한다. 바람직하게, 고정 수단은 상기 축방향 본체가 연장되는 축 방향에 평행한 방향에서 서로 일정 거리에 배치된 상기 케이지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지는 각각의 탭을 수용한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는, 적어도, 샤프트 베어링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평행한 배향에서 그리고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배향을 따라서 탭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의 제 위치에 유지하는 탭을 위한 지지점을 제공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는 물론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일반적인 평면에 평행한 일반적인 평면에서 유지된다.
바람직하게, 케이지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그 측방향 에지 사이의 일반적인 평면에서 제 위치에 유지하는데 적어도 부분적으로 관여한다. 이를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지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에 가장 가까운 측방향 에지 상에 맞물려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가 그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반대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에서의 이동성을 저지한다.
케이지는, 케이지를 측면 상으로 및/또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에 가장 가까운 측방향 에지의 에지 표면 상으로 후크고정함으로써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에지 상에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후크고정은 제 2 보조 열 교환기가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양 반대 방향에서의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고정을 달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수단은 접합 부재에 가까운 측의 반대의 측방향 에지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를 포함한다. 정지부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적어도 하나의 배향에서의 그 이동성을 저지하기 위해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보다 가까운 측방향 측면과 맞물린다. 바람직하게, 정지부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제거 가능하게 또는 수축 가능하게 장착되어,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설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정지부는 예를 들어 나사고정에 의해 및/또는 탄성 중첩에 의해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장착되어 가역적으로 고정된다.
정지부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평행한 제 2 열 교환기의 유지를 보강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보강된 유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에 의해 달리 달성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의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서 케이지와 정지부 사이의 협력의 이러한 방식이 제안된다. 이를 위해서, 케이지와 정지부가 제 2 보조 열 교환기에 대해서 대립적으로 함께 지지되는 특정 실시예가 제안된다. 이러한 종류의 대립적인 베어링 맞물림은 제 2 보조 열 교환기가 그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반대 방향의 양자에서 각각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이동성을 저지한다.
적어도 케이지 또는 심지어 또한 정지부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에지의 에지 표면에 대해서 지지하는 클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베어링 클로는 특히, 케이지 및 정지부가 각각 지지하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에지의 에지 표면을 지지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배치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에 대한 케이지와 정지부 각각의 대립적인 지지 맞물림을 보강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샤프트 베어링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각각 개별적으로 고정되며, 바람직하게 밀봉된다.
예를 들어, 접합 부재는 알루미늄 기제의 금속과 같은 금속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합 부재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구성하는 금속 본체에 용접, 특히 납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합 부재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러그 중 적어도 하나는 직접적으로 또는 고정 러그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로드에 의해 교체 가능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러그 중 적어도 하나는 동일하게 직접 또는 고정 러그 중 적어도 하나에 체결된 로드를 거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샤프트 베어링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드에 의해 샤프트 베어링이 상호연결되는 실시예가 보다 구체적으로 제안된다. 로드는 예를 들어, 특히 샤프트 베어링이 제공되는 고정 러그에 의해서 부착되고, 특히 적어도 밀봉된다.
그러나,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유지를 접합 부재에 의해 보강하기 위해서 로드를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체결시키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또한, 로드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부착되고 밀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로드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보다 가까운 측방향 에지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다. 슬라이드 내측의 공간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에지의 에지 표면의 형태에 따라 현저하게 일치되며, 에지 표면 상에 슬라이드가 나사결합되어 그 형상을 유지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는 접합 부재의 일부인 로드 상에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예를 들어, 케이지는 로드에 장착되고 밀봉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접합 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제조되며, 케이지는 로드와 함께 일체식으로 성형된다.
보조적 방법에서, 케이지는 로드를 따라 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단에 의해서 로드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수단은 특정 구성의 기능으로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위치에서 로드를 따라 케이지를 위치설정할 수 있게 한다.
제 1 보조 열 교환기는 접합 부재와 접촉되는 단부에 대향되는 측방향 단부에서 유체 순환 파이프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 모듈의 다양한 응용예에 따르면, 제 1 보조 열 교환기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공기 조화 설비의 기구이거나, 특히 증발기 응축기이다. 이러한 경우에, 특히 제 2 보조 열 교환기는 자동차의 전기 추진 구동부에 의해 사용된 전원 부재를 냉각시키는데 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 모듈은 하나 이상의 상기 보조 열 교환기의 작동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단순한 구조적 구성을 선택적으로 갖고 있다. 보조 열 교환기 또는 교환기들을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의 이러한 종류의 선택적 설치는, 특히 메인 라디에이터의 기존의 구조체, 특히 종래 기술에 따른 전용 구조체를 사용할 때, 리시버 드라이어가 구비된 응축기를 수용하도록 선택된다.
접합 부재의 구조는 간단하며,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고정되고 메인 라디에이터를 구비한 플랜지 내측에 중첩된 상기 2개의 샤프트 베어링으로 잠재적으로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합 부재에 의해서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장착하는 방법은 접합 부재를 사용하여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을 성취할 수 있게 한다.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설치하기 위해 보조 열 교환기 또는 교환기들 상에 특별히 형성된 구조적인 부가물은 제한적이다. 작동기에 의한 보조 열 교환기 또는 교환기들의 용이한 선택적 장착이 성취된다. 실제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관한 경우, 이러한 구조적 부가물은 로드 및/또는 후크의 추가에 의해 완성된 보조적인 방법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고정된 상기 샤프트 베어링의 추가로 제한된다. 또한, 이러한 추가는, 보조 방식에서, 가역적 고정 부재에 의해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정지부를 포함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에 관한 경우, 이러한 구조적 부가물은 탭의 추가로 잠재적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특정 특징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열 모듈의 조립을 성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방법에 따르면, 제 1 보조 열 교환기는 상기 플랜지 내측에 샤프트 베어링을 중첩시킴으로써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된다.
특히, 제 1 보조 열 교환기는 샤프트 베어링을 각각의 플랜지 내측에 동시에 중첩시킴으로써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장착된다. 플랜지 내측에 샤프트 베어링을 중첩시키는 것은 메인 라디에이터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활주시킴으로써 특별히 실행된다. 보조적인 방법에서, 샤프트 베어링을 플랜지 내측에 중첩시킨 후에, 접합 부재가 구비된 측방향 에지에서의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약간의 틸팅은 메인 라디에이터 상의 후크의 맞물림을 야기한다.
또한, 제 2 보조 열 교환기는 적어도 접합 부재에 의해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장착된다. 특히, 제 2 보조 열 교환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탭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케이지 내측에 중첩시킴으로써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장착된다. 케이지 내측에 탭의 중첩시키는 것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제 2 보조 열 교환기를 활주시킴으로서 특별히 실행된다. 보조적인 방법에서, 탭을 케이지 내측에 중첩시킨 후에, 제거 가능한 정지부는 정지부를 나사결합시키고 및/또는 정지부를 탄성적으로 중첩시킴으로써 제 1 보조 열 교환기에 고정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를 메인 라디에이터 상에 설치하기 전에 또는 설치한 후에 제 1 보조 열 교환기 상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플랜지가 제공된 하나 이상의 보조 열 교환기와 기존의 메인 라디에이터의 조립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배치의 사용에 의해서 용이하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성취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조립은, 잠재적으로 복수의 보조 열 교환기를 지지하는 접합 부재의 일부인 상기 샤프트 베어링을 각각 수용하는 플랜지를 이용함으로써 이러한 종류의 종래 기술 메인 라디에이터의 구조적인 변경이 없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상세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예시적인 방식으로 제공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열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열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열 모듈을 장착하는 열 서브모듈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면들은 본 발명을 특정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물론, 상기 도면들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일반적으로 그리고 특히 더 잘 규정하는데 필요한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고 판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양한 도면들에 나타난 공통 부재들은, 특정 실시예들 사이에서 각각의 도면에서 그들의 개별적인 표현 및/또는 상기 공통 부재들의 동일한 배열을 포함함이 없이, 이들 도면들에 특정한 설명에서 각각 동일한 참조 번호들 및/또는 문자들에 의해 각각 특정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열 모듈(1)은 자동차의 기능 부재들을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을 선택적으로 장착하기 위해 자동차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열 모듈은 전체적으로 평평하고 일반적인 평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열 교환기를 포함한다. 열 교환기는 메인 라디에이터(2) 및 하나 이상의 보조 열 교환기(제 1 보조 열 교환기(3), 제 2 보조 열 교환기(4))로 구성된다.
열 교환기의 기하학적 참조가 여기 및 지금 명시되어 있는데, 이들의 일반적인 평면은 2개의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 폭(L)에 수직하게 배향된 높이(H)에 의해 각각 규정된다. 따라서, 열 교환기의 두께(E)는 그들의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하게 배향된다. 자동차 상의 열 교환기의 배치를 특정하기 위해서, 열 교환기는 자동차의 정면에서 전방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들 두께(E)는 종방향 축선을 따라 배향되며, 관련된 자동차는 종방향 축선을 따라서 자동차의 전방과 후방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메인 라디에이터(2)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는데 할당된다. 이를 위해서, 메인 라디에이터(2)는 열 교환 유체 순환 경로를 통상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유체의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에 각각 연결하기 위한 단부 피스(5, 6)가 장착된다. 이러한 단부 피스(5, 6)는 메인 라디에이터의 측방향 에지(7, 8) 중 하나와 다른 하나에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보조 열 교환기 또는 열 교환기들은 자동차의 보조 냉각 시스템의 일부분이다. 보조 열 교환기는 또한 열 교환 유체 순환 경로를 각각 포함하며, 이들에 할당된 유체를 위한 입구 파이프 및 출구 파이프에 이들을 각각 연결하기 위한 단부 피스(9, 10 및 11, 12)가 개별적으로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자동차의 승객실을 공기 조화하기 위한 설비의 일부분이다. 제 1 보조 열 교환기(3)를 구비하는 단부 피스(9, 10)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3)가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장착되는 것과 반대로, 그 측방향 에지 중 하나에 접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는 것을 여기에서 및 지금 유의해야 한다. 실제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그 측방향 에지중 하나를 점유하는 접합 부재(13)에 의해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 2 보조 열 교환기(4)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원 부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시스템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종류의 냉각 시스템은 단지 하이브리드 자동차 또는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기 모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추진이 제공되는 자동차에 장착된다.
도 3에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장착하는 단부 피스(11, 12)는 그 축방향 에지중 하나 및 다른 하나에 각각 마련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4)는, 그 측방향 에지중 하나상에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된 접합 부재(13)에 의해서, 그 두께(E)의 방향에서 엇갈린 순서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메인 라디에이터 및 2개의 열 교환기기를 포함하는 적층체의 중간에 배치되어 있다.
모든 도면에서, 접합 부재(13)는 그 측방향 에지 중 하나상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된다. 접합 부재(1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보조 열 교환기(3)와 메인 라디에이터(2)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고정된 접합 부재(13)는 이것을 메인 라디에이터(2)의 측방향 에지(8) 상에 중첩시킴으로써 보다 특별히 장착되어 있다. 메인 라디에이터(2) 상의 접합 부재(13)의 중첩은 메인 라디에이터(2)에 평행하게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설치를 조장한다.
특히, 도 2의 상세도 (a) 및 (b)와 도 3을 참조하면, 접합 부재(13)는 접합 부재에 의해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고정되어 밀봉된 적어도 2개의 샤프트 베어링(14, 15)을 단부에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 베어링(14, 15)은 이들을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하기 위해 고정 러그(14a, 15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샤프트 베어링(14, 15)은, 메인 라디에이터(2)의 측방향 에지(8)에 부착되며, 그들 축방향 배향의 방향에서 또는 환언하면 메인 라디에이터(2)의 높이(H)에 평행하게 서로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된 반경방향 개방 플랜지(16, 17)와 협력한다.
샤프트 베어링(14, 15)은 메인 라디에이터(2) 및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각각의 일반적인 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배향으로 개방 플랜지(16, 17) 내에 샤프트 베어링을 중첩시킴으로써 개방 플랜지(16, 17) 내측에 삽입된다. 개방 플랜지(16, 17)는 샤프트 베어링이 대응 플랜지의 내측으로 통과되게 벌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 가요성 텅(16a)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들 가요성 텅은 샤프트 베어링 상에 형성된 노치(14b, 15b)(도 3 참조)에 수용되도록 그 본래 형상으로 반전될 수 있다.
당해 적어도 하나의 샤프트 베어링(15)은, 즉 여기에서 대응 플랜지의 면 상에서 높이(H)의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숄더(18, 19)를 포함한다. 그 후,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그 높이(H)의 방향에서 또는 환언하면 샤프트 베어링(14, 15)이 따라서 연장되는 축방향 배향에 따라서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유지된다.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기본적으로 그 폭(L)의 방향으로 배향된 방향에서 그 일반적인 평면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3)를 측방향으로 활주시킴으로써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설치된다. 상기 측방향 활주는 샤프트 베어링(14, 15)이 개방 플랜지(16, 17)와 협력하도록 하며, 보조 방식에서, 접합 부재(13) 상에 결합된 그 측방향 에지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약간의 틸팅에 의해 이동의 종료시에 완료된다. 이러한 종류의 틸팅은 개방 플랜지(16, 17) 내측의 샤프트 베어링(14, 15)의 중첩에 따라 메인 라디에이터(2)에 평행하게 제 1 보조 열 교환기(3)를 배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종류의 틸팅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된 후크(20)가 메인 라디에이터(2)에 부착된 러그(21)와 결합될 수 있게 한다. 후크(20)는 접합 부재(13)가 고정되는 측과 반대측의 측방향 에지 상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된 텅(23)을 통해 형성된 노치(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후크(20)는 러그(21) 상에 결합되며, 그 결과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이들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한 배향을 갖고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고정된다. 후크(20) 및 러그(21)의 이러한 협력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아일릿 내의 샤프트 베어링의 클립핑 및 탄성 텅의 존재와, 부착부를 형성하는 숄더의 존재로 인해서, 접합 부재(13)에 의해 고정만으로 충분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모든 도면에 있어서, 샤프트 베어링(14, 15)은 각각의 고정 러그(14a, 15a)에 의해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13)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밀봉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샤프트 베어링(14, 15)은 또한 접합 부재(13)의 일부분인 로드(24)에 의해서 상호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로드(24)는 로드(24)만을 조종함으로써 샤프트 베어링을 동시에 삽입함으로써 아일릿 내의 샤프트 베어링의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된다. 또한, 이러한 종류의 로드는 접합 부재(13)에 의해서 제 1 열 교환기(3) 상에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설치에 관여한다.
제 1 보조 열 교환기(3) 및 제 2 보조 열 교환기(4)는 접합 부재(13)에 의해 특히 상호연결되어, 열 서브모듈(25)을 구성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4)는,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된 접합 부재(13)에 의해서, 그들 두께(E)의 방향에서 엇갈린 순서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종류의 열 서브모듈(25)은 접합 부재(13)에 의해서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술한 바와 같이, 적층체는 메인 라디에이터, 제 1 보조 열 교환기 및 제 2 보조 열 교환기의 연속부로 구성된다.
고정 수단은 접합 부재(13)와 제 2 보조 열 교환기(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 수단은 접합 부재(13)에 고정된 하나 이상의 케이지(26)를 포함하며, 각 케이지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장착하는 탭(27)을 수용한다. 케이지(26)는 케이지(26)가 고정되는 로드(24) 상에서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케이지(26)는 접합 부재(13)에 부착되어 밀봉되거나, 또는 접합 부재의 형성 동안에 몰딩된다.
케이지(26)는 탭(27)을 수용하며,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그들의 높이(H)에 평행한 배향 및 그들의 두께(E)에 평행한 배향으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고정시킨다.
케이지(26)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가장 가까운 측방향 에지에 대해 지지하는 클로(claw)(28)를 포함한다. 더욱이, 고정 수단은, 고정 부재(13)가 고정되고 그리고 고정 수단을 형성하는 케이지 또는 케이지들(26)이 고정되는 반대의 그 측방향 에지에서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정지부(29)를 또한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정지부(29)는 나사결합 및/또는 탄성 중첩과 같은 가역적인 고정 수단에 의해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고정된다. 케이지(26)와 정지부(29)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4)에 대항하여 반대로 지지되어,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의 그 폭의 방향에서 그 위치를 공동으로 유지하게 된다.
제 2 보조 열 교환기(4)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그 폭(L)의 방향으로 기본적으로 배향된 방향에서 그 일반적인 평면에서 측방향으로 활주시킴으로써 기본적으로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장착된다. 상기 측방향 활주는 케이지(26) 내측으로 탭(27)을 도입시키고, 케이지(26)가 구비하는 클로(28)에 의해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측방향 에지에 대항하여 케이지(26)를 지지하게 된다. 다음에, 정지부(29)는, 예를 들어 정지부를 나사고정시키는 것과 같이 정지부를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고정시킴으로써 제 2 보조 열 교환기(4)에 대항하여 위치된다.

Claims (27)

  1. 메인 라디에이터(2)와, 장착 장치에 의해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장착된 제 1 보조 열 교환기(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1)로서, 상기 장착 장치는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와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사이에 배치된 접합 부재(1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1)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13)는,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의 측방향 측면(7, 8) 중 하나 상에 마련된 2개 이상의 개방 플랜지(16, 17)와 협력하도록 구성된 2개 이상의 샤프트 베어링(14, 15)을 포함하고,
    상기 접합 부재(13)는, 그들의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엇갈린 순서로 접합 부재(13)에 의해 서로에 고정된 한 세트의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 및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포함하는 열 서브모듈(25)을 지지하고,
    상기 열 서브모듈(25)은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와, 상기 접합 부재(13)와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 사이에 배치된 고정 수단(26, 27, 29)에 의해서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평행하게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장착된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접합 부재(13)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접합 부재(13)에 가까운 그 측방향 에지에서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를 장착하는 탭(27)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케이지(26)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26)는, 상기 접합 부재(13)에 대하여 상기 개방 플랜지(16, 17)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폭(L)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베어링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단부 에지와 상호맞물리도록 구성된 러그(14a)에 의해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개방 플랜지(16, 17)는 상기 접합 부재(13)가 연장되는 축방향 배향으로 서로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은 탄성 클립핑(elastic clipping)에 의해서 각 개방 플랜지(16, 17) 내측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플랜지(16, 17) 중 하나 이상은 상기 플랜지가 포함하는 개구부를 폐쇄하기 위한 제거 가능한 또는 수축 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가능한 부재는, 상기 개방 플랜지(16, 17) 중 하나 이상에 합체되고, 상기 샤프트 베어링이 플랜지에 들어가게 하고 그리고 상기 샤프트 베어링이 플랜지 내로 도입된 후에 그 형상으로 자발적으로 돌아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구성된 가요성 텅(16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 중 하나 이상에 각각 형성된 2개의 숄더(18, 19)는 상기 개방 플랜지(16, 17)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축방향으로 지지되어,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이 연장되는 2개의 반대 축 방향의 양자에서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서의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이동성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의 하나 이상의 러그(21)와 협력하여, 제 1 보조 열 교환기가 그 측방향 에지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반대 방향의 양자에서의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이동성을 저지하는 후크(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 및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이들이 연장되는 일반적인 평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0. 삭제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13)는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장착과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장착을 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2. 삭제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6)는,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평행한 배향 그리고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배향을 따라서 상기 탭(27)을 유지하기 위한 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6)는, 제 2 보조 열 교환기(4)가 그 측방향 에지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방향 중 하나 이상의 방향에서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이동성을 저지하도록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보다 가까운 측면 에지와 상호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접합 부재(13)에 가까운 측의 반대의 측방향 에지에서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정지부(29)를 포함하며, 상기 정지부(29)는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일반적인 평면에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배향으로의 그 이동성을 저지하기 위해서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보다 가까운 측방향 에지와 상호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29)는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장착되고 제 1 보조 열교환기(3)에 가역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26) 및 상기 정지부(29)는 공동으로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에 대해서 대립적인 베어링 맞물림 상태로 되어,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가 그 측방향 에지들 사이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반대 방향의 양자에서 각각의 그 이동성을 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은 각각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에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은 상기 샤프트 베어링(14, 15)이 연장되는 축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로드(24)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베어링은 제 1 보조 열 교환기의 측방향 단부 에지와 상호맞물리도록 구성된 러그(14a)에 의해 연장되어 있고, 상기 로드(24) 및 상기 러그(14a)는 단일편 조립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24)는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보다 가까운 측방향 에지 상에 미끄럼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케이지(26)는 상기 로드(24) 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상기 접합 부재(13)와 접촉되는 에지에 대향되는 측방향 에지에서 유체 순환 파이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자동차에 장착하는 공기 조화 설비의 설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조 열 교환기(3)는 증발기 및 응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부재(13)는 상기 메인 라디에이터(2) 상에 제 1 보조 열 교환기(3)의 장착과 제 1 보조 열 교환기(3) 상에 제 2 보조 열 교환기(4)의 장착을 조장하고, 상기 제 2 보조 열 교환기(4)는 자동차의 전기 추진 구동부에 의해 사용된 전원 부재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열 모듈.
KR1020187025449A 2016-02-05 2017-02-07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 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 KR1021437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0940A FR3047553B1 (fr) 2016-02-05 2016-02-05 Dispositif d'assemblage entre un echangeur de chaleur d'une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d'air et un radiateur de refroidissement du moteur d'un vehicule automobile.
PCT/FR2017/050279 WO2017187031A1 (fr) 2016-02-05 2017-02-07 Dispositif d'assemblage entre un échangeur de chaleur d'une installation de conditionnement d'air et un radiateur de refroidissement du moteur d'un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847A KR20180133847A (ko) 2018-12-17
KR102143710B1 true KR102143710B1 (ko) 2020-08-11

Family

ID=55752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5449A KR102143710B1 (ko) 2016-02-05 2017-02-07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 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35331B2 (ko)
JP (1) JP6845865B2 (ko)
KR (1) KR102143710B1 (ko)
CN (1) CN109154479B (ko)
FR (1) FR3047553B1 (ko)
WO (1) WO20171870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146B1 (ko) * 2017-05-31 2023-08-1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쿨링모듈
FR3095037B1 (fr) * 2019-04-11 2022-06-03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fixation pour des échangeurs de chaleur d’un système d’échange thermique de véhicule
DE102019214119A1 (de) * 2019-09-17 2021-03-1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ühlsystem, Kraftfahrzeug
US11635014B2 (en) * 2020-05-20 2023-04-25 Hanon Systems Cooling module for mot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221A1 (fr) * 1998-05-28 1999-12-03 Valeo Thermique Moteur Sa Ensemble d'echangeurs de chaleur destine a un vehicule automobile
JP2004132564A (ja) * 2002-10-08 2004-04-30 Denso Corp 熱交換器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247U (ja) * 1991-07-12 1993-02-05 東洋ラジエーター株式会社 エンジンルームに取付けられる複合型熱交換器
DE29712351U1 (de) * 1997-07-12 1997-09-11 Behr Gmbh & Co Wärmeübertrageranordnung mit zwei Wärmeübertragern
DE19731999A1 (de) * 1997-07-25 1999-02-04 Laengerer & Reich Gmbh & Co Kühlmodul
GB2332507B (en) * 1997-12-22 2001-08-29 Caterpillar Inc Pivotal and removable cooling system
FR2779220B1 (fr) * 1998-05-28 2000-12-15 Valeo Thermique Moteur Sa Ensemble d'echangeurs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JP4116156B2 (ja) * 1998-07-30 2008-07-0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ラジエータとコンデンサとの連結構造
JP2000310119A (ja) * 1999-04-28 2000-11-07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作業機械の冷却装置
JP2002139294A (ja) * 2000-10-31 2002-05-17 Toyo Radiator Co Ltd ファンシュラウド付き複合型熱交換器
KR100759792B1 (ko) * 2001-09-08 2007-09-20 한라공조주식회사 일체형 열교환기
JP4062028B2 (ja) * 2002-09-19 2008-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及びシュラウドの組み付け構造
SE524096C2 (sv) * 2002-10-14 2004-06-29 Scania Cv Abp Kylanordning för ett motorfordon
DE10340566A1 (de) * 2003-09-01 2005-03-31 Behr Gmbh & Co. Kg Montageanordnung der Vorrichtung zum Austausch von Wärme
ATE403567T1 (de) * 2005-05-27 2008-08-15 Denso Thermal Systems Spa Wärmetauscheranordnung für kraftfahrzeuge
US8281848B2 (en) * 2008-01-15 2012-10-0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pring mounting feature for heat exchanger
JP5455482B2 (ja) * 2009-07-16 2014-03-26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冷却装置の開閉構造
US9091468B2 (en) * 2011-06-23 2015-07-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Fastener incorporated with nut provision
ITTO20120238A1 (it) * 2012-03-19 2013-09-20 Denso Corp Gruppo di scambio termico a composizione variabile in modo flessibile
DE102014201991A1 (de) * 2013-02-16 2014-08-2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ühl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1764579B1 (ko) * 2014-09-01 2017-08-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KR102173385B1 (ko) * 2014-09-24 2020-11-0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라디에이터 및 콘덴서 조립체
US10295277B2 (en) * 2015-06-05 2019-05-21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lide-on heat exchanger restraining brack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9221A1 (fr) * 1998-05-28 1999-12-03 Valeo Thermique Moteur Sa Ensemble d'echangeurs de chaleur destine a un vehicule automobile
JP2004132564A (ja) * 2002-10-08 2004-04-30 Denso Corp 熱交換器モジュ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47553A1 (fr) 2017-08-11
WO2017187031A1 (fr) 2017-11-02
JP2019507308A (ja) 2019-03-14
CN109154479A (zh) 2019-01-04
US10935331B2 (en) 2021-03-02
JP6845865B2 (ja) 2021-03-24
FR3047553B1 (fr) 2019-05-17
KR20180133847A (ko) 2018-12-17
US20190041141A1 (en) 2019-02-07
CN109154479B (zh)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710B1 (ko) 자동차의 엔진을 냉각시키기 위한 라디에이터를 갖는 공기 조화 장치의 열 교환기를 조립하는 장치
US6510891B2 (en) Clip-retainer for heat exchanger
US9261011B2 (en) Cooling module and pair of adapters for module standardization
US6986385B1 (en) Heating/air conditioning installation for motor vehicle including main module forming fluid-carrying heat exchanger
US20020014322A1 (en) Front end structure
CN107635803B (zh) 顶部安装式空气调节系统的冷凝器单元
KR20160029334A (ko) 쿨링 모듈
US7886860B2 (en) Assembly support system
US11326506B2 (en) Vehicle fan shroud with integrated support structure
US20180015809A1 (en) Adaptable roof-mounte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s
US20190145719A1 (en) Exchanger frame and core assembly of a motor vehicle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60039264A1 (en) Pipe retainer
US7367379B2 (en) Arrangement for securing a heat exchanger to another heat exchanger
US11591028B2 (en) Front end module assembly
US10018101B2 (en) Cooling system and a method for its use
US6125646A (e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 in a motor vehicle
US20070125525A1 (en) Arrangement used to secure a fan frame
US20210122230A1 (en) Assembly
EP1167165B1 (en) Front end structure
CN216069538U (zh) 用于车辆的模块化车顶安装式空调系统
RU245160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воздуха в передней части конструк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LU102213B1 (en) Cooling modul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5104212A (ja) 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KR101760298B1 (ko) 차량용 쿨링 모듈
LU102292B1 (en) Cooling module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ol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